KR960003043B1 - 윈도우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43B1
KR960003043B1 KR1019930000993A KR930000993A KR960003043B1 KR 960003043 B1 KR960003043 B1 KR 960003043B1 KR 1019930000993 A KR1019930000993 A KR 1019930000993A KR 930000993 A KR930000993 A KR 930000993A KR 960003043 B1 KR960003043 B1 KR 960003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s
relationship
display
graphical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360A (ko
Inventor
쿠세 카즈시
미쯔이 키니찌
오히라 쯔요시
자베이 샤람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죤 디. 크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죤 디. 크레인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3001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윈도우 관리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네개의 윈도우를 가지는 응용 프로그램 화면 표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화면 표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전제로 표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요부를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윈도우 관리 시스템(3)의 관리표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6도는 제3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7도는 제3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제3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제3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2 : 오프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3 : 윈도우 관리 시스템(window managing system)
4 :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9 :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user interface system)
본 발명은 윈도우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윈도우간의 관계(relation)를 용이하게 수행하고, 또한 이러한 관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데이타베이스(databases)의 브라우저(browsers) 및 언어처리기 프로그램(language processors program)의 브라우저와 같은 윈도우 시스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은, 복수의 윈도우(윈도우내에서 생성된 서브 윈도우(sub windows)를 포함함)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윈도우간의 관계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예를들면, 제1도에 표시한 응용 프로그램은 네개의 윈도우로 구성된다. 각 윈도우는, 두종류의 리스트, 그라프(graph) 및 도면(diagram)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제1의 리스트 윈도우에, 자동차 판매회사의 지점명(branch names)이, 제2리스트 윈도우의 각 지점에, 소속하는 사원명(employee names)이 각각 표시된다. 그라프 윈도우(graph window)는, 각 지점 또는 각 사원의 년간매상고(annual sales)를 월별 그라프에 표시한다. 도면 윈도우(diagram window)는, 각 지점 또는 각 사원의 담당지역을 지도상(on map)에 표시한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사전에 윈도우간의 관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이하와 같은 조작을 행한다(제1도 참조).
(1) 지점명 리스트로부터 한개의 지점을 선택하면, 그 지점에 관한 정보가 잔여 세개의 윈도우에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2) 사원명 리스트로부터 한명의 사원을 선택하면, 그 사원에 관한 년간 매상 그라프와 담당지역이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또, 이와 같은 예에서는 우상(upper right)의 년간 매상 그라프의 윈도우는 지점의 매상과, 사원의 매상의 쌍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담당지역 도면의 윈도우는 이와 유사하게 지점의 담당 지역과 사원의 담당지역 쌍방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법에서는, 단순히 데이타 항목의 선택에 의해서 관련하는 윈도우를 자동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조작이 간단하다. 그러나, 윈도우사이의 데이타 이동방향(directions)과 이동 목적지(destination) 윈도우의 종류(리스트, 그라프, 도면, 문자와 같은 형태)가, 사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의 자유도(the degree of operability)가 떨어진다. 예를들면(도면 윈도우를 연결(link)하지 않고) 지점명과 매상고만을 표시변경하거나, 그라프 윈도우의 데이타를 리스트로 반입(carring)하는 것과 같은 조작은 불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윈도우 관리의 예는 예를 들면, 후지 제록스 인포메이션 시스템(Fuji Xerox Information System) 주식회사의 「Objectworks/c++」의 참조 메뉴얼 릴리즈(Reference Manual, Rel. 2)의 4장 「소스 코드 브라우저(source code browse)」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법의 불합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윈도우간의 관계를 순서대로 설정하지 않고, 각 조작에 대해 윈도우의 관계를 지정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데이타가 지정되는 윈도우(source window)에서 데이타를 지정한다(click 한다). 그 다음 지정된 데이타의 속성(attribute)을 표시하는 윈도우(destination window)를 지정한다. 예를들면, 해당 목적지 윈도우(destination window)의 반입 버튼(take in button)을 클릭한다. 그 다음, 목적지에 표시된 속성을 뷰(view)의 선택에 의해 결정한다. 현재의 뷰로 만족하는 경우는 실행을 계속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소스(source)에서 클릭한 데이타 인스턴스(data instance)의 필요로 하는 속성 데이타가 요구되는 뷰(view)로 요구되는 윈도우에 표시된다. 각 조작에 대해 데이타의 소스와 목적지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경우의 사용예는 이하와 같다(제1도 참조).
(1) 지점명 리스트로부터 지점을 한개 선택하여, 그라프 윈도우에서 반입 조작을 하면, 그 지점의 년간 매상고가 표시된다.
(2) 지점명 리스트로부터 한개를 선택하고, 도면 윈도우에서 반입 조작을 하면, 그 지점의 담당지역이 표시된다.
(3) 사원명 리스트로부터 사원을 한명 선택하고, 그라프 윈도우에서 반입 조작을 하면, 그 사원의 년간 매상고가 표시된다.
(4) 사원명 리스트로부터 사원을 한명 선택하고, 도면 윈도우에서 반입 조작을 하면, 그 사원의 담당 지역이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데이타의 반입 목적지를 자유롭게 절환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지점에 대한 매상고 그라프(sales graph)와 담당지역 도면을 순차로 표시하는 연속조작에서는, 지점명이 교환될 때마다 그라프 윈도우와 도면 윈도우에서 반입조작을 행하여야 하므로, 따라서 조작수는 적어도 이전 방법의 3배가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다른 선행문헌으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제63-273947호가 있다. 선행 문헌에서는, 카드상(card like) 윈도우중에서 데이타 인스턴트를 지시하면, 자동적으로 다른 윈도우가 생성되어, 이 윈도우중에서 목적지의 데이타 인스턴스의 소정의 속성이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은 윈도우와 윈도우간의 관계를 그래픽컬 윈도우에 대한 지시(instructions)로 설정하며, 이 관계를 그래픽컬 오브젝트(graphical objects)를 통해서 표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떠한 설명도 기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 윈도우간의 관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그 관계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윈도우간(plurality of windows)의 관계를 설정하는 그래픽컬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이 그래픽컬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예를들면 마우스 클릭킹(mouse clicking)에 의해 관계를 설정하며, 또한 이 설정을 그래픽컬 오브젝트의 표시태양의 변경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윈도우와 동일한 수의 버튼(buttons)을, 배치된 각 윈도우에 배열하고, 각 윈도우로 제공한다. 제2도 예의 경우는, 네개의 버튼이, 전(田) 형태(shape)로 배열되고, 또한 각 윈도우에 1조(one set)씩 제공된다. 한개의 버튼은, 마우스 또는 대응하는 키(key)로 선택하므로써 백흑반전하여 표시된다.
각 버튼은 각각의 윈도우에 대응하고 있다. 최초에는 모든 버튼이 선택되지 않고, 모두 백색 버튼으로 되어 있다. 이 같은 상태에서는 어느 윈도우도 관련되지 않으며 데이타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각 조작에 대해 소스와 반입 목적지를 지정한다. 다수회 동안,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타를 반출할 윈도우의 전(田) 형태의 네개의 버튼중, 반입 목적지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버튼을 선택한다. 그후 그와 같은 버튼을 다시 선택해서 해제(release)할 때까지, 소스와 반입 윈도우의 관계는 유지되며, 단지 윈도우내의 데이타를 선택하면 관계된 윈도우가 연결(link)된다. 예를들면, 지점 리스트와 사원명 리스트 및 년간매상고, 사원명 리스트 담당영역, 담당영역과 사원명 리스트를 관련시키기 위해서는 제2도와 같이 각각의 전(田) 형태의 버튼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형적인 조작(fixed operations)의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윈도우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한편, 보다 자유로운 조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각 조작마다 관계를 수행하므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처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실시예의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시스템은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1),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 윈도우 관리 시스템(window managing system)(3) 및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4)으로 구성된다. 워크스테이션(1)은 예를들면, 일본 IBM 주식회사의 RS/6000이고(RS/6000은 미국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사의 상표), 처리기(processor)(5), 표시장치(display device)(6), 키보드(key board)(7), 마우스(mouse)로 구성되어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2)은 예를들면 일본 IBM 주식회사의 AIX/6000이다(AIX/6000은 미국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사의 상표).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2)은 표시장치(6)와 사용자와의 대화(interaction)를 관리하는 그래픽컬 사용자인터페이스 시스템(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은 예를들면 오픈 시스템 파운데이션(open system foundation)의 OSF/Motif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은 마우스에 의해 제어되는 마우스커서(mouse coursor)(포인터)의 정보(information)도 역시 관리한다.
응용 프로그램(4)은 예를들면 사원정보의 데이타에비이스(database)의 브라우저(browser) 및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 브라우저(source code browser)가 있다. 응용 프로그램(4)은, 예를들어, 윈도우의 생성, 윈도우의 뷰(view) 즉, 데이타의 속성을 표시하는 등의 설정을 행하고, 또한 표시 데이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으로 공급하여 윈도우 및 데이타의 표시를 수행한다. 예를들면 제2도의 예에서는 4개의 윈도우가 형성되고 각각의 지점명 리스트의 뷰, 지점의 년간매상고 그라프의 뷰, 지점의 사원명 리스트의 뷰 및 담당지역 도면의 뷰가 설정되어 있다.
윈도우의 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윈도우의 「리스트」, 「그라프」, 「도면」 또는 「문자(text)」(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버튼을 클릭한다. 예를들면 리스트 종류중에 소정의 뷰를 선택할 경우에는 「리스트」버튼을 클릭한다.
따라서, 리스트 종류의 뷰의 명칭이 팝 업(pop up) 메뉴에 표시되고, 그 중에서 클릭에 의해 선택된다. 또, 이와 유사하게 「그라프」의 버튼을 클릭하면, 그라프 종류의 뷰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도면」과 「문자」의 버튼을 클릭하면 대응하는 종류의 뷰를 선택할 수 있다.
제4도는 제3도에 대한 윈도우 관리 시스템(3)의 구성을 더 설명한다. 윈도우 관리 시스템(3)은 응용 프로그램(4)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간에 위치한다. 윈도우 관리 시스템(3)내에서 윈도우의 자동제어에 사용한 관리표가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을 통하여 응용 프로그램(4)을 사용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처리(a)는 마우스에 의한 클릭과 문자입력(character input) 등이 있다. 윈도우 관리 시스템(3)에 관계하지 않는 입력 조작은, 직접, 응용 프로그램(4)으로 전달된다(처리 c). 윈도우 관리 장치(3)에 관계하는 것은 우선, 윈도우 관리 시스템(3)을 통하여, 응용 프로그램(4)으로 전달된다(처리 b,d). 이때, 관리표(management table)를 사용하여 처리(processing)가 행해진다. 응용 프로그램(4)으로부터의 출력은, 직접,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으로 전달된다(처리 e).
제5도는 윈도우 관리 시스템(3)내의 관리표의 예를 표시한다. 또한 제5도는 관리표내의 윈도우 번호가 어느 윈도우에 대응하는가를 표시하는 윈도우 배치도도 역시 포함하고 있다. 응용 프로그램(4)에서 사용한 서브 윈도우(sub windows)와 동일한 수의 표를 제공한다. 이예는, 서브 윈도우수가 네개인 경우이다. 각 표의 항목수도 서브 윈도우수에 역시 일치한다. 각 항목은 각 서브ㆍ윈도우에 대응하고 있다. 각 항목은 값으로 「on」 또는 「off」를 가진다. 「on」은 윈도우간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off」는 관계가 없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5도는, 제2도의 예에 대한 관리표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들면, 표1은 좌상(upper left)의 서브 윈도우의 전(田) 버튼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고, 좌하(lower left)(항목 2)와 우상(upper right)(항목 3)의 서브 윈도우에 대응하는 작은 버튼이 「on」(관계 있음)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6도는 윈도우 관리 시스템(3)의 처리개요를 표시한다.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을 통하여 수행하는 사용자의 처리가 전(田) 버튼의 클릭일 때는 전(田) 버튼의 설정처리를 행한다(S1,S2). 서브 윈도우상의 데이타의 클릭일 때에는 자동 윈도우 처리(automatic window processing)을 행한다(S3,S4). 또 사용자 처리가 전(田) 버튼의 클릭과 데이타의 클릭이 아닐 때에는 다른 처리를 행한다(S5). 이같은 다른 처리중에는, 키보드 등으로부터의 입력, 메뉴조작 및 전(田) 버튼 이외의 버튼의 클릭등에 등하는 처리를 포함하고, 소스, 목적지의 개별의 지정도 이와같은 다른 처리중에 역시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다른 처리중에, 소스, 목적지 각각의 지정에 대해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소스 윈도우에서 데이타를 클릭하므로써 선택이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제2도의 지점명 리스트의 윈도우의 「하코자키(Hakozaki)」를 지정한다(S11). 또, 이때에는 현재의 지점명 리스트의 윈도우는 다른 윈도우와 관계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제8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같이 자동적으로 관계 윈도우(related window)에 관계 데이타(related data)가 표시된다. 이때 목적지의 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해서 해당 윈도우의 반입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클릭한다(S2). 그후 반입 데이타의 뷰 선택버튼(도시되지 않음, 리스트뷰, 그라프뷰, 도면뷰, 문자뷰 등의 선택버튼이 있다)을 클릭하여 반입 데이타뷰의 리스트를 팝업 메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뷰를 선택한다(S13,S14).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데이타를 목적지 윈도우에 표시한다(S15). 예를들면 제2도의 좌하 윈도우(현재는 사원명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에 해당 지점의 대고객(big customer)의 리스트를 표시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대고객 데이타의 항목을 팝업 메뉴로부터 선택한다. 그러면 좌하(lower left)의 윈도우에 “하코자키”지점의 대고객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다음에 제8도를 참조하여 전(田) 버튼 설정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눌려진(depressed) 전(田) 버튼이 놓여있는 서브윈도우 번호를 「from」 레지스터에 세트한다(S21). 전(田) 버튼 네개중에 작은 버튼중 눌려진 버튼에 대응하는 서브 윈도우 번호를 「to」 레지스터에 저장한다(S22). 또한, 이같은 「from」 레지스터와 「to」 레지스터의 값을 참조하여, 「from」 목차표에서 「to」목차의 항목값을 반전한다. 즉, 항목값이 「on」일 때에는 「off」로, 「off」일 때에는 「on」으로 반전한다(S23,S24,S25). 예를 들면, 제2도에서는 지점명 리스트 윈도우의 전(田) 버튼의 우상(upper right)과 좌하(lower left)의 버튼이 강조(highlight)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지점명 리스트의 윈도우를 소스로 하는 목적지 윈도우는 우상(upper right)의 년간매상고 그라프의 윈도우와, 좌하(lower left)의 사원명 리스트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지점명 리스트의 윈도우의 전(田) 버튼의 우상(upper light) 버튼을 클릭하면 하이라이트가 소멸한다. 즉, 상기 관계는 리셋(reset)된다. 한편, 지점명 리스트의 윈도우 전(田) 버튼의 우하(lower right) 버튼을 클릭하면, 이 버튼은 하이라이트되어 상기관계가 행해진다.
이하에 제9도를 참조하여 자동 윈도우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소스 윈도우에서 데이타를 클릭하면, 클릭된 데이타의 식별자(identifier)가 「data」 레지스터에 세트된다(S31). 또 클릭된 데이타가 위치하는 서브윈도우 번호가 「from」 레지스터에 세트된다(S32). 또한 「from」 목차표의 각 항목을 점검하고, 그 값이 「on」일 때에는 대응하는 서브 윈도우에 「data」 레지스터에서 지정한 데이타의 바람직한 속성(desired attribute)(목적지 윈도우에서 표시한 속성)이 목적지의 윈도우에 표시된다(S34~S37).
예를들어 제2도의 예를 살펴보면 이런 경우 사기 지점명 리스트의 전(田) 버튼의 우상(upper right) 및 좌하(lower left)의 버튼을 하이라이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지점명 리스트를 소스, 우상(upper right)의 년간매상고 그라프의 윈도우 및 좌하(lower left)의 사원명 리스트 윈도우를 목적지로 하는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것과 관계하는 관리표는 제5도의 표1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지점명 리스트의 “하코자키”가 클릭되면, “하코자키”의 식별자가 「data」 레지스터에 저장되고, 또 좌상(upper left)의 지점명 리스트 윈도우의 윈도우 번호가 「from」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표1의 항목 1, 2, 3 및 4의 값이 각각 「off」, 「on」, 「on」, 「off」이기 때문에, 우선 제2도의 윈도우 즉, 우상(upper right)의 년간매상고 그라프의 표시 속성값을 「하코자키」의 식별자로부터 추출하여 당해 우상(upper right)의 년간매상고 그라프 윈도우에 표시한다. 또한 제3의 윈도우 즉 좌하(lower left)의 사원명 리스트의 표시도 역시 자동적으로 갱신하여 표시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윈도우가 네개인 예를 표시하였으나, 이 같은 발명은 둘이상의 윈도우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윈도우를 가지는 프로그램 브라우저와 멀티미디어 브라우저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일상(shape of tiles)상으로, 중복(overlapping)하지 않게 생성되는 복수의 윈도우 보다는 오버랩(overlap)한 윈도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2차원의 윈도우 배치를 표시하는 그래픽컬 오브젝트 대신에 오버랩의 상태도 표시하는 3차원적인 그래픽컬 오브젝트로 윈도우간의 관계 설정 표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윈도우간의 관계는, 상기에 설명된 데이타의 반출, 반입의 관계외에, 여러가지의 관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리스트와 문자의 행위치(row positions)와 열위치(line positions)가 연결(link)되는 것과 같은 관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윈도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그래픽컬 오브젝트가 표시되며, 이같은 그래픽컬 오브젝트로의 조작 예를들면, 마우스 클릭(mouse click)에 의해 관계가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설정은 그래픽컬 오브젝트의 표시태양의 변경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정형적인 조작의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서브윈도우간의 관계를 설정하며 보다 자유로운 조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각 조작으로 관계를 수행하므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처할 수가 있다.

Claims (9)

  1. 표시수단과 ;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화면(display screen)상에 복수의 윈도우(plurality of windows)를 표시하는 윈도우(window)표시수단과 ; 상기 윈도우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관계 설정(relation set) 수단과 ; 상기 윈도우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픽컬 오브젝트(graphical objects)를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화면상에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관리장치.
  2. 표시수단과 ;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화면에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윈도우 표시수단과 ;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화면에 소정의 그래픽컬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수단과 ; 상기 그래픽컬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operation)에 응답하여 상기 윈도우의 관계를 설정하는 수단과 ; 상기 그래픽컬 오브젝트의 표시 태양(display mode)을 상기 윈도우의 관계에 응답하여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는, 고정된 배치(fixed arrangement)내에 상호간에 중첩(overlapping)되지 않게 표시되는, 윈도우 관리장치.
  4.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는 모체(parent) 윈도우내에 표시되는, 윈도우 관리장치.
  5. 제2, 3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각각에 한개씩 상기 그래픽컬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윈도우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컬 오브젝트는 대응하는 상기 윈도우의 근방에 표시되는, 윈도우 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컬 오브젝트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button) 표시를 상기 복수의 윈도우 배열(arrangement)에 배치하여 구성하는 윈도우 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수단은, 조작된 상기 그래픽컬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윈도우와 해당 그래픽컬 오브젝트의 버튼 표시 내부에 직접 조작된 버튼 표시에 대응하는 다른 윈도우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윈도우 관리장치.
  9. 표시수단의 표시화면에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와 ;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 화면에 소정의 그래픽컬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 상기 그래픽컬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윈도우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와 ; 상기 복수 윈도우간에 설정된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컬 오브젝트의 표시태양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관리방법.
KR1019930000993A 1992-02-27 1993-01-27 윈도우 관리장치 및 방법 KR960003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040859A JPH07109584B2 (ja) 1992-02-27 1992-02-27 ウィンドウ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92-040859 1992-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360A KR930018360A (ko) 1993-09-21
KR960003043B1 true KR960003043B1 (ko) 1996-03-04

Family

ID=1259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993A KR960003043B1 (ko) 1992-02-27 1993-01-27 윈도우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558223B1 (ko)
JP (1) JPH07109584B2 (ko)
KR (1) KR960003043B1 (ko)
CN (1) CN1030869C (ko)
BR (1) BR9300395A (ko)
CA (1) CA2084573A1 (ko)
DE (1) DE69321270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365B1 (ko) * 2006-12-06 2014-06-27 소니 주식회사 윈도우의 표시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US8977980B2 (en) 2006-08-28 2015-03-10 Sony Corporation Display scrolling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display program recorded there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2596B2 (ja) * 1995-07-07 2003-06-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ジェクトの表示方法
WO1999056151A1 (fr) * 1998-04-24 1999-11-04 Alexei Sergeevich Kashik Procede de visualisation dynamique de donnees relatives a un objet
JP4567191B2 (ja) * 1998-05-18 2010-10-20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ータの比較視覚レンダリング方法
US6728724B1 (en) 1998-05-18 2004-04-2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comparative visual rendering of data
JP3737334B2 (ja) 2000-03-21 2006-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情報処理装置、画像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および伝送媒体
JP2003030121A (ja) * 2001-07-17 2003-01-31 Hitachi Commun Syst Inc Web共有システムおよびWeb共有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端末
CN100589073C (zh) * 2004-05-06 2010-02-10 柳濑隆敏 窗口显示系统及显示方法
FR2910988B1 (fr) * 2006-12-29 2009-02-27 Wally Tzara Dispositif d'analyse de grandeurs variables par multi-fenetrage simultane
CN104537221B (zh) * 2014-12-19 2017-09-15 中国石油集团东方地球物理勘探有限责任公司 一种窗口管理方法及系统
CN111880700B (zh) * 2020-06-09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3947A (ja) * 1987-04-24 1988-11-11 インタ−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ンズ・コ−ポレ−ション デ−タベ−ス・システム
JPH02158828A (ja) * 1988-12-12 1990-06-19 Fujitsu Ltd マルチウィンドウのリンク表示方法
JP2751373B2 (ja) * 1989-04-24 1998-05-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ウィンドウ階層表示方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7980B2 (en) 2006-08-28 2015-03-10 Sony Corporation Display scrolling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display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413365B1 (ko) * 2006-12-06 2014-06-27 소니 주식회사 윈도우의 표시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69C (zh) 1996-01-31
JPH07109584B2 (ja) 1995-11-22
JPH05289839A (ja) 1993-11-05
KR930018360A (ko) 1993-09-21
DE69321270T2 (de) 1999-06-02
EP0558223B1 (en) 1998-09-30
CA2084573A1 (en) 1993-08-28
DE69321270D1 (de) 1998-11-05
CN1076531A (zh) 1993-09-22
BR9300395A (pt) 1993-08-31
EP0558223A1 (en) 199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2595B1 (en) Source editing in a graphical hierarchical environment
US5668966A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anipulation of search predicate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92000317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구로 사용하기 위한 실수 입력 메뉴
US20050235251A1 (en) User interface for an object instance floorplan
US20050235206A1 (en) User interface for a quick activity window
US20050235224A1 (en) User interface for an activity scout window
US6760039B2 (en) Program for graphic priority editing
US20050256852A1 (en) System for viewing databases
JPH07168710A (ja) プログラムを構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H05289840A (ja) ウィンドウ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960003043B1 (ko) 윈도우 관리장치 및 방법
EP15918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ressively disclosing information to a computer user
US20050235223A1 (en) User interface adaptable by an end user
US20050235208A1 (en) User interface for a guided activity window
US6546558B1 (en) Visual scenario editor for editing links between presentation screens in a multi-media application
US5671379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ndows
JPH08249170A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設計/製造支援装置
AU772714B2 (en) Computer operation
Frankel et al. An on-line assistance system for the simulation model development environment
Cisco Objective View Editor
Cisco Objective View Editor
Cisco Objective View Editor
Cisco Objective View Editor
JPH04199352A (ja) ツール操作に好適な情報処理装置
JPH09128199A (ja) グラフ表示における表示と非表示の切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