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696B1 -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696B1
KR960002696B1 KR1019920018742A KR920018742A KR960002696B1 KR 960002696 B1 KR960002696 B1 KR 960002696B1 KR 1019920018742 A KR1019920018742 A KR 1019920018742A KR 920018742 A KR920018742 A KR 920018742A KR 960002696 B1 KR960002696 B1 KR 960002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value
signal
sync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680A (ko
Inventor
김성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696B1/ko
Publication of KR94001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 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제1a 내지 f도는 입력된 영상신호 및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동기신호 파형도.
제2도는 종래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 회로도.
제4a,b,c도는 본 발명 제3도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동기신호 분리부 12 : 클럭 발생부
13 : 카운터부 14 : 레지스터
15 : 비교부 16 : D 플립플롭
17 : 딜레이 소자
본 발명은 영상신호 출력시, 현재 필드의 수직 동기가 시작될 때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저장한 후, 다음 필드의 수직 동기에서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이 값을 상기 이전에 저장해 둔 동기 간격과 서로 비교하여 그 대소관계에 따라 영상신호의 현재 필드를 구별하도록 한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된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 분리부(1)와, 동기신호 분리부(1)에서 분리된 수평 동기신호에 따라 클럭 발생부(2)에서 출력된 클럭 신호를 카운트하며, 수평 동기 기간마다 클리어되는 카운터부(3)와, 상기 카운터부(3)의 출력신호에 있어서 기수필드에서의 수평 동기신호와 수직 동기신호의 간격(T)과, 우수필드에서의 수평 동기신호와 수직 동기신호의 간격(T1)을 미리 예측하여 두 간격의 중간치를 유지시켜두는 래치부(4)와, 상기 카운터부(4)에서 출력된 바로 앞의 수직 동기에서 수직 동기의 간격과 래치부(4)에 미리 유지된 값을 비교 출력하는 비교부(5)와,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1)에서 분리된 수직 동기 시작시, 비교부(5)에서 비교한 출력신호를 다음 수직 동기가 시작될 때까지 저장하는 D 플립플롭(6)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동기신호 분리부(1)에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수평/수직(H/V) 동기가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수평 동기는 카운터부(3)에 입력되어 클럭 발생부(2)에서 출력된 클럭신호를 카운터하며, 수평 동기 기간마다 클리어된다.
한편, 카운터부(3)에서 출력된 카운터값은 비교부(5)에 입력되어 제1도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기수 필드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수직 동기 시작시 분리된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T)과, 제1도의 (d) 내지 (f)에서와 같이 우수 필드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수직 동기 시작시 분리된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T1)을 미리 예측하여 그 중간치를 미리 유지시킨 래치부(4)의 출력신호와 비교하여, 수직 동기가 시작될때 상기 비교부(5)의 출력은 수직 동기가 시작될 때까지 1필드 기간동안 D 플립플롭(6)에 저장한다.
즉, 비교부(5)의 입력단(B)에 입력된 카운터부(3)의 출력신호가 비교부(5)의 입력단(A)에 입력된 래치부(4)에 미리 유지된 값보다 작으면 우수필드로 판단하며, 상기 카운터부(3)의 출력신호가 래치부(4)에 유지된 값보다 크면 기수 필드로 판단한다.
따라서, 수직 동기가 시작될 때 카운터부(3)의 카운터값이 수평/수직 동기 간격이므로 상기 카운터부(3)의 카운트된 출력값과 래치부(4)에 유지된 수평/수직 동기 간격의 중간치를 비교하여 D 플립플롭(6)에 저장하므로서 기수 필드와 우수필드를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는 기수필드에서 수직 동기가 시작될때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T)과, 우수필드에서 수직 동기가 시작될때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T1)을 미리 알아야 상기 기수 필드와 우수 필드 간격(T)(T1)의 중간치를 계산하여 래치부(4)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래치부(4)에 중간치를 유지시킨 후에는 외부신호에 의해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이 변화될 경우 필드를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 필드 판단을 위한 기준값으로서의 중간값은 갱신되지 않으며, 미리 예측하여 기억시켜 준 고정값으로서, 종래 도면 제1도의 파형도 및 제2도의 회로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래치부(4)에는 T와 T1의 중간값을 미리 예측하여 기억시켜 두는 것이며, 이는 갱신되지 않는 고정된 값이고, 카운터부(3)가 매 수평 동기마다 클리어되는 것은 제1도의 (b) 또는 (e)와 같이 각 필드에서 수평 동기 이후에 나타나는 수직 동기(제1도의 (c) 및 (f)의 파형도 참조)까지의 시간(T 또는 T1)을 카운트하기 위하여 매 수평 동기마다 클리어되는 것 뿐이지, 이것이 중간값의 갱신을 위한 것은 아니다.
즉, 종래 기술에서 래치부(4)는 예측해 둔 중간값을 저장하는 기능적 구성 요소일 뿐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회로에서 그 문제점의 간단한 설명을 위해서 한가지 예를 들면, T=12초, T1=6초라고 할때 중간값을 9초로 설정하여 래치부(4)에 저장해 두고, 수평 동기 입력시 클리어된 카운터부(3)가 카운트한 클럭신호의 값이 9초보다 큰 값으로 12초이면 비교부(5)의 A<B 비교 결과에 의해 현재 필드는 기수필드가 될 것이고, 카운터부(3)가 카운트한 클럭신호의 값이 9초보다 작은 값으로 6초이면 비교부(5)의 A>B 비교 결과에 의해 현재 필드는 우수필드가 될 것이다.
이것은 동기신호의 결손이나 왜곡이 없이 정확하게 카운트되는 경우일 뿐이며, 외부 신호에 의해 수평 동기신호의 간격이나 수직 동기신호의 간격이 변화되면 클리어된 카운터부(3)가 카운트한 값이 -현재 기수필드임에도 불구하고 -기준값인 9초보다 작은 값으로 카운트되거나, 또는 -현재 우수필드임에도 불구하고 -기준값인 9초보다 큰 값으로 카운트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판단 기준의 값이 고정되어 있는데다, 이 고정된 값을 현재 카운트되는 동기 간격(T 또는 T1)과 단순 비교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수필드에서 수직 동기가 시작될때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T)과, 우수필드에서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T1)이 변하더라도 T와 T1은 항상 수평 1라인 주시 기간의 절반만큼 차이가 나는 것을 이용하여, 수직 동기가 시작될 때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을 저장한 후, 다음 수직 동기에서의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과 비교하여 안정적으로 영상신호의 필드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는,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상신호의 수평 동기신호와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수평 동기 이후의 수직 동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여 이 측정된 값을 비교한 결과로서 현재 영상 필드를 기수필드 또는 우수필드로 구별하는 회로에 있어서, 임의의 우수 또는 기수 필드에서, 수직 동기가 시작되기 직전의 수평 동기부터 수직 동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12,13)과, 상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이전 필드에서의 측정값을 1필드 동안 유지시키며, 1필드마다 이 값이 상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현재 필드에서의 측정값으로 갱신되어 이전 필드의 측정값으로 상기와 같이 유지되는 유지수단(17,14)과, 상기 측정수단의 출력값과 상기 유지수단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대소 관계로부터 현재 필드를 우수필드 또는 기수필드로 판별하는 판별수단(15,16)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로서,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 분리부 (11)와, 카운터부(13)에 클럭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클럭 발생부(12)와, 상기 클럭 발생부(12)에서 출력된 클럭신호를 카운트하면서 동기신호 분리부(11)에서 분리된 수평 동기신호 출력시마다 클리어되는 카운터부(13)와, 수직 동기시 카운터부(13)의 출력신호를 다음 수직 동기까지 1필드 동안 유지시키는 레지스터(14)와, 상기 레지스터 (14)의 출력신호와 카운터부(13)의 출력신호를 비교 출력하는 비교부(15)와, 수직 동기 시작시 비교부(15)의 출력신호를 1필드 기간 동안 저장하는 D 플립플롭(16)과, 상기 D 플립플롭(16)에서 비교부(15)의 출력신호가 저장된 다음 카운터부(13)의 출력신호를 레지스터(14)에 저장하기 위해 수직 동기를 지연시키는 딜레이 소자(17)로 실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드 판단의 기준값을 고정시키지 않고, 현재 필드에서의 동기 간격 카운트값을 다음 필드의 구별을 위해 비교할 기준이 되는 이전 필드의 동기 간격 카운트값으로 매 필드마다 가변-갱신-시켜 사용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카운트값이 어떻게 변화되던지 상관없이 T>T1의 관계 및, T와 T1은 수평 1라인의 1/2만큼의 차이가 항상 유지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수평 동기 이후에 수직 동기가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T 또는 T1)을 일단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된 값을 레지스터(14)에 다음 필드의 판단 기준값(Tref)으로 저장해두고, 다음 필드에서는, 수평 동기 이후에 수직 동기가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t)을 또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현재 동기 간격(t)과 상기 이전 필드에서 카운트된 동기 간격(Tref)을 서로 비교하여 t>Tref이면 현재 필드의 동기 간격이 이전 필드의 동기 간격보다 큰 값이므로 현재 필드는 기수필드로 판단하고,(왜냐하면 동기 결손이나 신호 왜곡 등의 제반 요건이 개입된다고 하더라도 그 비례적인 면에서 볼때 기수 필드의 동기 간격이 우수필드의 동기 간격보다 큰 값이므로) t<Tref이면 현재 필드의 동기 간격이 이전 필드의 동기 간격보다 작은 값이므로 현재 필드는 우수필드로 판단하고, 이때의 카운트값인 't'값을 딜레이 소자(17)에 의해 지연된 수직 동기신호(V)에 의해서 새로운 Tref 값(=이전 동기 간격인 t값)으로 레지스터(14)에 갱신 저장해 두어, 또 다음 필드에서의 새로운 카운트값(새로운 t값)과의 비교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필드 구별을 수행함으로써,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며, 이를 첨부한 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기 분리부(11)에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수평/수직(H/V) 동기가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수평 동기는 카운터부(13)에 입력되어 클럭 발생부(12)에서 발생한 클럭 신호를 카운트하며, 수평 동기 기간마다 제4도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클리어되어 출력된다.
즉, 수직 동기 발생 시점에서 카운터부(13)의 출력 신호값을 알면 수평/수직 동기의 간격을 알 수 있다.
카운터부(13)의 출력신호는 동기신호 분리부(11)에서 발생한 수직 동기가 딜레이 소자(17)에 의해 지연되어 레지스터(14)에 도달했을때 레지스터(14)에 저장된다.
또한, 카운터부(13)의 출력은 비교부(15)의 입력(D)에 연결되어, 비교부(15)의 입력(C)에 연결된 최종 수직 동기신호에서 저장된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을 저장해둔 레지스터(14)의 값과 비교된다.
비교부(15)에서 출력된 비교신호는 동기 분리부(11)에서 분리된 수직 동기 시작시 D 플립플롭(16)에 저장된다.
즉, D 플립플롭(16)에 저장된 비교부(15)의 출력신호는, 상기 비교부(15)의 입력단(C)을 통해 입력된 레지스터(14)의 출력신호가 비교부(15)이 입력단(D)을 통해 입력된 카운터부(13)의 출력신호 보다 작으면 기수 필드이고, 카운터부(13)의 출력신호가 레지스터(14)의 출력신호 보다 작으면 우수필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수직 동기 시작시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을 저장한 후 다음 수직 동기에서의 수평 동기와 수직 동기의 간격을 비교하여 안정적으로 영상신호의 필드를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영상신호의 수평 동기신호와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수평 동기 이후의 수직 동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여 이 측정된 값을 비교한 결과로서 현재 영상 필드를 기수필드 또는 우수필드로 구별하는 회로에 있어서, 임의의 우수 또는 기수필드에서, 수직 동기가 시작되기 직전의 수평 동기부터 수직 동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수단(12,13)과, 상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이전 필드에서의 측정값을 1필드 동안 유지시키며, 1필드마다 이 값이 상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현재 필드에서의 측정값으로 갱신되어 이전 필드의 측정값으로 상기와 같이 유지되는 유지수단(17,14)과, 상기 측정수단의 출력값과 상기 유지수단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대소 관계로부터 현재 필드을 우수필드 또는 기수필드로 판별하는 판별수단(15,16)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KR1019920018742A 1992-10-12 1992-10-12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KR96000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742A KR960002696B1 (ko) 1992-10-12 1992-10-12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742A KR960002696B1 (ko) 1992-10-12 1992-10-12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680A KR940010680A (ko) 1994-05-26
KR960002696B1 true KR960002696B1 (ko) 1996-02-24

Family

ID=1934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742A KR960002696B1 (ko) 1992-10-12 1992-10-12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6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680A (ko) 199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5496A (en) Odd/even field detector for video signals
JP3694529B2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の同期化
US4722004A (en) Video signal discriminating apparatus
KR960002696B1 (ko) 영상신호의 필드 구별회로
JPH02290396A (ja) 多規準デジタルカラーフィールド1検出器
US5877640A (en) Device for deriving a clock signal from a synchronizing signal and a videorecorder provided with the device
KR950006356B1 (ko) 동기회로
JP2789616B2 (ja) 垂直自動同期回路
JPS6170861A (ja) 水平同期検出回路
JP2714221B2 (ja) テレビジョン方式判別装置
JP2006311022A (ja) 非標準信号判定回路
KR100218271B1 (ko) 수직 동기 분리 회로와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및 필드 검출 회로
KR100223010B1 (ko) 지정 필드의 비디오 동기신호발생 및 스코프 먹싱 장치
KR0146430B1 (ko) 휘도신호 자동판별회로
JPH02285881A (ja) 映像信号受信回路
KR100425687B1 (ko) 평판표시장치의 합성동기신호 분리회로
KR100311367B1 (ko) 티브이시스템의라인선택및필드검출장치
JPH0620248B2 (ja) 垂直同期信号有無検出回路
KR950002212Y1 (ko) 수직동기 분리회로
JP2002354288A (ja) 映像表示装置
JPS61261973A (ja) フレーム同期パターン分離回路
HU186198B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et for generating signal identifying image from composite synchronizing signal
JP2000041202A (ja) テレビジョン方式判別回路
JPH02195788A (ja) 非標準信号判別回路
JP2003134355A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標準/非標準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