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605B1 -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605B1
KR960002605B1 KR1019930028020A KR930028020A KR960002605B1 KR 960002605 B1 KR960002605 B1 KR 960002605B1 KR 1019930028020 A KR1019930028020 A KR 1019930028020A KR 930028020 A KR930028020 A KR 930028020A KR 960002605 B1 KR960002605 B1 KR 96000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brake
fixed
performance tes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669A (ko
Inventor
김영호
안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아정기
마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아정기, 마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아정기
Priority to KR101993002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605B1/ko
Publication of KR95001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esting br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제1도는 본 발명은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메인측에 플라이휠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면도.
제6도는 슬라이드편이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제동시 토오크 검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드럼브레이크 어셈블리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기동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드 2 : 메인축
3 : 구동모터 4 : 플라이휠
5 : 노즐 6 : 로드셀
7 : 유압발생기 8 : 엔코더
9 : 열전대 10 : 슬립링
11 : 서브플레이트 13,14 : 지그플레이트
17,20 : 타이밍벨트 24 : 슬라이더
25 : 종동측 26 : 기어드모터
29 : 아암 31 : 가이드레일
32 : 고정판 33 : 슬라이드편
35 : 록킹핀 37 : 하우징
40 : 냉각용송풍기 43 : 브라켓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브레이크(BREAK)의 기본특성을 시험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를 실차상태외 동일한 조건에서 성능시험하여 데이타(DATA)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동시에 필요한 브레이크 씨스템은 그 성능에 따라 안전사고와 직결되므로 구성요소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는 일반성능시험, 특수성능시험등을 실차조건에서 테스트하여 보다 정확한 데아타를 제공받으므로서 신뢰성을 얻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씨스템의 테스트의 종류에는 테스트에 의해 성능을 시험하는 벤치테스트(BENCH TEST)와, 차량에 장착한 상태에서 테스트를 실시한 실차테스트로 대별된다.
이에따라 브레이크 씨스템의 제조사들은 벤치테스트 외에 실차테스트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예는 실차상태에서 브레이크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를 직접 차량에 장착시킨 다음 차량에 작용되는 관성을 조건에 따라 달리한 상태에서만 가능하게 되었으므로 실차상태에서의 성능시험이 매우 번거롭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브레이크를 차량에 설치시키지 않고도 차량에 작용되는 관성을 조건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실차상태와 동일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베드에 고정된 서브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 및 드럼이 장착되는 지그플레이트가 고정된 메인축과, 상기 메인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관성력을 가변시킨 상태에서 테스트가 실시되게 하는 플라이휠과, 상기 서브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축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메인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메인축과 대향된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캘리퍼 및 백플레이트어셈블리를 장착하는 지그플레이트와, 상기 지그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제동시 작용되는 토오크를 검출하는 제동시 토오크 검출수단과, 상기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어셈블리 내의 브레이크 마스타 실린더에 유압을 작용시키는 유압발생수단과, 상기 지그플레이트의 외측으로 감싸여지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우천시와 같은 상태에서 테스트가 실시되게 용수를 뿌려주는 노즐과, 상기 백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제동시 패드에 발생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열전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10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지지체 역할을 하는 베드(Bed)(1), 차량의 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와 드럼을 회전시키는 메인축(2), 메인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 메인축의 회전시 관성력을 부여하는 플라이휠(Fly Wheel)(4), 우천시와 동일조건으로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브레이크 어셈블리 측으로 용수를 뿌려주는 노즐(5), 재동시 발생되는 토오크를 검출하는 로드셀(Load Cell)(6), 유압을 발생시켜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제동하는 유압발생기(7), 구동모터의 회전수가 메인축으로 정확히 전달되는지를 비교하는 엔코더(Encoder)(8), 제동시 드럼 및 라이닝 그리고 패드와 디스크에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9) 및 슬립링(Slip ring)(10)등으로 구성된다.
베드(1)와 고정된 서브플레이트(Sub Plate)(11)에 메인축(2)을 베어링(12)으로 지지되게 설치하고 상기 메인축의 양단에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디스크 또는 드럼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플레이트(13)(14)를 고정한다.
상기 서브플레이트(11)의 상부에는 구동모터(3)를 설치하여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메인축(2)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모터축에 구동풀리(15)를 고정하고 메인축(2)에 종동풀리(16)를 고정하여 상기 풀리에 타이밍벨트(17)가 걸리도록 하므로서 구동모터(3)의 회전력이 메인축(2)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타이밍벨트(17)는 복수개 사용하여 메인축(2)이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한다.
구동모터(3)의 회전력이 타이밍벨트(17)를 통해 메인축(2)으로 전달되므로 인해 동력전달시 타이밍벨트(17)의 미끄러짐(Slip)이 발생되어 구동모터(3)의 회전수가 메인축(2)에 정확히 전달되는지를 식별하기위해 베드(1)에 공지의 엔코더를 설치하고 메인축(2)과 엔코더(8)에 고정된 풀리(18)(19)에는 타이밍벨트(20)를 연결하여 구동모터(3)의 회전수와 메인축(2)의 회전수를 비교검출 하도록 한다.
이는 보다 정확한 측정치를 얻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축(2)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3)의 일측(구동풀리의 반대측)은 서브플레이트(11)에 힌지(21)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다른 일측(구동풀리의 근접부)은 서브플레이트(1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너트(22)와 끼워지는 보울트(23)를 고정한다.
이는 타이밍벨트(17)가 이완되어 구동모터(3)의 회전수가 메인축(2)으로 정확히 전달되지 않음을 엔코더(8)에 의해 검출됨에 따라 구동모터(3)의 위치를 가변시켜 타이밍벨트(17)를 긴장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축(2)과 대향된 위치에 슬라이더(24)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24)에는 캘리퍼(Caliper) 및 백플레이트 어셈블리(Back Plate Assembly)가 장착되는 지그플레이트(14)를 종동축(25)으로 고정 설치한다.
상기 슬라이더(24)는 베드(1)에 설치되어 기어드모터(26)의 회전력이 체인(27)을 통해 전달됨에 따라 회전되는 리드스크류(26)와 나사끼우기로 결합한다.
이는 지그플레이트(14)에 캘리퍼 또는 백필레이트 어셈블리를 장착완료후 슬라이더(24)를 메인축(2)측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도 빠른 시간내에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첨부도면 제8도는 제동시 토오크 검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제동시에 발생되는 토오크를 검출하기 위해 지그플레이트(14)가 고정된 종동축(25)에 아암(Arm)(29)을 고정하고 베드(1)에는 상기 아암과 링크(30)로 연결되는 로드셀(6)을 설치한다.
이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제동시 종동축(25)에 작용되는 관성력이 아암(29)을 통해 로드셀(6)로 전달되도록 하여 X-Y레코더(도시는 생략함)의 기록용지상에 그래프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상기 아암(29)이 고정된 종동축(25)은 정, 역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즉, 제3도와 같이 아암(29)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로드셀(6)을 압축, 인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차량의 전진 및 후진시 제동에 따른 압축 및 인장토오크를 검출하기 위함이다.
베드(1)의 일측으로는 메인축(2)의 회전시 브레이크 어셈블리 내의 브레이크 마스타실린더에 유압을 발생시켜 제동하는 유압발생기(7)를 설치하여 배관으로 연결한다.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7도는 테스트시 메인축(2)에 관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축(2)의 양측으로 위치되게 한쌍의 가이드레일(31)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고정판(32)에 고정된 복수개의 슬라이드핀(33)을 끼워 슬리이드편이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축(2)과 고정판(32)사이에는 보울트(34)에 의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플라이휠(4)을 메인축(2)에 고정시키기 위해 플라이휠이 체결공(4a)과 일치되게 보울트관통공(32b)을 형성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테스트시 메인축(2)에 관성력을 부여하는 플라이휠(4)의 무게는 동일하게 형성하여도 되지만, 차량인너 타이어(Inner tia)의 회전체가 갖는 고정관성인 0.5㎏ms2를 제외한 0.25, 0.5, 1.0, 2.0, 4.0, 8.0㎏ms2의 관성을 갖도록 각기 달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스트시 요구되는 관성력에 따라 메인축(2)에 플라이휠(4)을 신속하게 장착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드편(33)에 복수개의 걸림홈(33a)(33b)을 형성하고 가이드레일의 일측으로 슬라이드편(33)에 근접되게 고정된 브라켓(43)에는 록킹핀(35)을 스프링(36)으로 탄력설치하여 록킹핀(35)이 걸림흠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드편(33)에 형성되는 걸림홈(33a)(33b)은 프라이휠(4)을 메인축(2)에 장착하기 위해 플라이휠이 메인축과 접속시켰을때 슬라이드편(33)이 가이드레일(31)상에 위치되는 지점과, 플라이휠을 장착완료한 후 또는 메인축에 장착하지 않은 플라이휠이 메인축의 회전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슬라이드편(33)이 가이드레일(31)상에 위치되는 지점이 형성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지그플레이트(13)(14)의 일측으로 고정하우징(37a)과 가동하우징(37b)으로 분할형성된 하우징(37)을 감싸여지게 설치하여 상기 고정하우징(37a)에 테스트시 우천시와 동일한 조건을 부여하기 위해 브레이크 어셈블리 측으로 용수를 뿌려주는 노즐(5)을 고정한다.
상기 노즐(5)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는 용수공급 조절부(38)에 의해 조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하우징(37a)은 절첩가능하게 구성하고 가동하우징(37b)은 제10도와 같이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39)를 달아준다.
이는 지그플레이트(13)(14)에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착탈작업시 하우징(37)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동시 라이닝 및 패드의 마모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함과 동시에 마찰로 인해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하우징(37a)의 일측으로 냉각용 송풍기(40)를 설치하여 닥트(41)로 고정하우징(37a)과 연결한다.
드럼브레이크 및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시 부품에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기 위해 메인축(2)과 백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열감지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열감지수단으로 열전대(9)를 백플레이트 어셈블리에 고정하여 패드와 라이닝의 온도를 감지하고 메인축(2)에는 슬립링(10)을 고정하여 디스크와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는데, 이때 감지가능한 온도범위는 0-1000℃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메인축(2)의 일측에만 지그플레이트(13)(14)를 설치하여 1개의 드럼브레이크나 디스크 브레이크만을 선택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제1도와 같이 메인축의 양측으로 지그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드럼브레이크와 디스크브레이크를 동시에 테스트하게 되는 것으로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험기를 이용하여 브레이크의 효력이 마찰면의 마찰열이나 또는 첨수로 인해 일시적으로 저하되는지를 테스트하는 페이드테스트(Fade test), 우천시 및 진창길의 주행시 급제동에 따른 브레이크의 안정성은 테스트하는 수분회복 테스트(Fade recovery test), 브레이크에서 마찰면의 마찰력이 일정하지 않아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지를 테스트하는 저더테스트(Judder test), 라이닝의 마모정도를 테스트하는 라이닝 마모테스트, 브레이크의 패드마모량을 확인하여 패드의 교환시기를 판단하는 패드마모 테스트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해 실차조건에 맞게 메인축(2)의 관성력을 조절하기위해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편(33)의 걸림홈(33b)에 록킹핀(35)으로 끼워져 이송이 제어되어 있던 고정편(32)을 메인축(2)의 결합측으로 이송시켜야 한다.
이에따라 인너타이어에 부여되는 조건에 알맞는 플라이휠(4)을 선택하여 플라이휠이 장착된 브라켓(43)의 록킹핀(35)을 잡아당기면 록킹핀(35)이 스프링(36)을 압축시키면서 후퇴되어 걸림홈(33b)에서 이탈되므로 메인축(2)의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판(32)에 장착되어 있던 플라이휠(4)을 메인축(2)의 결합부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편(33)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플라이휠(4)을 메인축(2)의 결합부로 이송시켜 결합부에 밀착시키면서 록킹핀(35)과 슬라이드편(33)상에 형성된 또 다른 걸림홈(33a)이 일치되므로 당기고 있던 록킹핀(35)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록킹핀(35)은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홈(33a)에 끼워지게 되므로 플라이휠(4)의 장착작업시 고정판(32)이 유동되지 않게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플라이휠(4)을 메인축(2)에 접속시킨 후에는 고정판(32)에 형성된 보울트관통공(32b)을 통해 메인축(2)에 플라이휠(4)을 보울트(34)로 장착한다.
그후 고정판(32)에 플라이휠(4)을 고정시키고 있던 보울트(34)를 분리시킨 다음 전술한 바와같이 록킹핀(35)을 잡아당겨 걸림홈(33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후 최초상태로 환원시켜 록킹핀(35)이 또 다른 걸림홈(33b)에 끼워지도록 하면 플라이휠의 장착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플라이휠(4)의 장착작업은 테스트 조건에 따라 1개이상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메인축(2)에 있던 플라이휠(4)의 분리작업은 전술한 바와는 역순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같이 플라이휠의 장착작업을 완료하고 난후에는 메인축(2)의 양단 및 종동축(25)에 테스트하기 위한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알맞는 지그플레이트(13)(14)를 고정하여 메인축(2)의 양단에 디스크와 드럼을, 그리고 종동축(25)의 양단에는 캘리퍼와 백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장착한다.
그후 상기 디스크와 캘리퍼, 그리고 드럼과 백플레이트 어셈블리를 결합시키기 위해 터미널박스(42)의 콘트롤스위치를 이용하여 기어드모터(26)를 구동시키면 그 동력이 체인(27)을 통해 전달되어 리드스크류(28)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끼우기로 결합된 슬라이더(24)가 빠른시간내에 메인축(2)축으로 이동된다.
이에따라 캘리퍼는 디스크 내측에, 그리고 백플레이트 어셈블리는 드럼내측으로 안내되어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차량에 장착시킨 상태와 동일하게 된다.
이와같이 실차조건을 갖춘 상태에서 지그플레이트(13)(14)의 외측으로 하우징(37)을 위치시키고 서브플레이트(11)의 상부에 얹혀진 구동모터(3)를 동작시키면 그동력이 타이밍벨트(17)를 통해 메인축(2)으로 전달되므로 메인축(2)이 고속으로 회전된다.
상기 메인축(2)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지그플레이트(13)에 고정된 디스크와 드럼은 자동차가 실제주행시와 동일하게 함께 회전된다.
구동모터(3)에 의해 메인축(2)이 회전된에 따라 또 다른 타이밍벨트(20)로 연결된 엔코더(8)가 메인축(2)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엔코더가 감지한 회전수를 기준으로 데이타를 산출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데이타를 얻게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메인축(2)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페이드테스트를 하기위해 유압발생기(7)를 작동하면 캘리퍼 및 백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장착된 브레이크 마스타실린더에 액압을 작용시키게 되므로 패드 및 라이닝이 메인축의 회전을 중단시키게 된다.
상기 제동은 30초간격으로 연속제동을 실시하여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온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180초 간격이 되게 제동을 간헐적으로 실시하여 온도를 냉각시키는 악조건을 부여한 다음 열변화에 따른 브레이크의 안전성을 테스트하게 된다.
상기 유압발생기(7)의 동작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면 메인축(2)의 관성력에 의해 캘리퍼와 백플레이트 어셈블리가 장착된 종동축(25)이 회동된다.
이에따라 종동축(25)에 고정된 아암(29)이 종동축(25)과 함께 회동하면서 베드(1)에 힌지결합된 로드셀(6)을 압축, 또는 인장시키게 되므로 브레이크의 제동시 걸리는 토오크(Torque)가 X-Y 레코더에 기록된다.
또한 제동시 디스크와 패드, 드럼과 라이닝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슬립링(10)이나 열전대(9)에 의해 감지되어 X-Y레코더에 기록된다.
한편, 우천시 및 진창길의 주행시 급제동에 따른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테스트하는 수분회복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고정하우징(27a)에 설치된 노즐(5)을 통해 메인축(2)의 회전시 용수를 분사시키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를 실시하므로서 데이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메인축(2)의 회전시 제동을 함에 따라 디스크와 패드 그리고 드럼과 라이닝이 마찰을 일으키게 되므로 라이닝과 패드가 마모되어 분진이 발생된다.
이러한 분진은 냉각용 송풍기(40)의 동작에 따라 지그플레이트(13)(14)의 외측으로 감싸여지게 설치된 고정하우징(37a) 및 가동하우징(37b) 그리고 닥트(41)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저더테스트는 메인축(2)의 회전시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청각으로 식별하므로서 가능하게 되고, 라이닝 및 패드 마모테스트는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를 일정시간 또는 일정횟수 반복실시한 후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 라이닝 및 패드를 분리하여 육안으로 식별하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인축에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실차상태와 같은 조건이 되도록 플라이휠에 의해 메인축의 관성력을 가변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3)

  1. 베드(1)에 고정된 서브플레이트(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 및 드럼이 장착되는 지그플레이트(13)가 고정된 메인축(2)과, 상기 메인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관성력을 가변시킨 상태에서 테스트가 실시되게 하는 플라이휠(4)과, 상기 서브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축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3)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메인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메인축과 대향된 슬라이더(24)에 설치되어 캘리퍼 및 백플레이트 어셈브리를 장착하는 지그플레이트(14)와,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제동시 작용되는 토오크를 검출하는 제동시 토오크 검출수단과, 상기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어셈블리내의 브레이크 마스터실린더에 유압을 작용시키는 유압발생수단과, 상기 지그플레이트의 외측으로 감싸지게 되는 하우징(37)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우천시와 같은 상태에서 테스트가 실시되게 용수를 뿌려주는 노즐(5)과, 상기 메인축과 백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제동시 부품에 발생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축(2)의 양측으로 위치되게 가이드레일(31)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고정판(32)이 고정된 복수개의 슬라이드편(33)을 끼워 플라이휠(4)을 고정판(32) 또는 메인축(2)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3. 제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편(33)에 복수개의 걸림홈(33a)(33b)을 형성하고 브라켓(43)에는 록킹핀(35)을 탄력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4. 제1항에 있어서, 테스트시 메인축(2)의 관성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플라이휠(4)의 무게를 각기 달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5.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 수단으로 구동모터(3)의 축에 구동풀리(15)를 고정하고 메인축(2)에는 종동풀리(16)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각 풀리사이에 타이밍벨트(17)를 연결하여 구동모터(3)의 동력이 메인축(2)으로 전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6. 제5항에 있어서, 서브플레이트(11)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의 일측을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반대편은 보울트(23)와 너트(22)로 나사 결합하여 너트(22)를 공회전시킴에 따라 타이밍벨트(17)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7. 제1항에 있어서, 제동시 토오크 검출수단으로 지그플레이트(14)와 고정된 종동축(25)에 아암(29)을 고정하고 베드(1)에는 아암(29)과 링크(30)로 연결되는 로드셀(6)을 설치하여 제동시 종동축(25)에 작용되는 관성력이 아암(29)을 통해 로드셀(6)로 전달되어 토오크를 검출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8. 제7항에 있어서, 아암(29)이 고정되는 종동축(25)을 정, 역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로드셀(6)이 차량의 전진 및 후진시의 토오크를 검출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9. 제1항에 있어서, 지그플레이트(13)(14)의 외측으로 감싸지게 설치되는 하우징(37)을 고정하우징(37a)과 가동하우징(37b)으로 분할형성하여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착탈시 가동하우징(37b)을 고정하우징(37a)으로부터 분리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10. 제9항에 있어서, 고정하우징(37a)을 절첩가능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11. 제9항에 있어서, 고정하우징(37a)과 닥트(41)로 연결되게 냉각용 송풍기(40)를 설치하여 제동시 브레이크 어셈블리측으로 송풍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12. 제1항에 있어서, 베드(1)에 엔코더(8)를 설치하고 메인축(2)에는 엔코더의 풀리(19)와 타이밍벨트(20)로 연결되는 풀리(18)를 고정하여 구동모터(3)의 회전수가 메인축(2)에 정확히 전달되는지를 비교 검출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13. 제1항에 있어서, 베드(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4)를 리드스크류(28)에 나사끼우기로 결합하여 기어드모터(26)의 동작에 의해 슬라이더(24)가 리드스크류(28)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KR1019930028020A 1993-12-16 1993-12-16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KR96000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020A KR960002605B1 (ko) 1993-12-16 1993-12-16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020A KR960002605B1 (ko) 1993-12-16 1993-12-16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669A KR950019669A (ko) 1995-07-24
KR960002605B1 true KR960002605B1 (ko) 1996-02-23

Family

ID=1937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020A KR960002605B1 (ko) 1993-12-16 1993-12-16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16B1 (ko) * 2014-02-26 2014-12-24 데크컴퍼지트 주식회사 항공기 브레이크 디스크 테스트장비
KR102151226B1 (ko) * 2019-10-29 2020-09-02 서한산업(주)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다축 강도 평가 시험용 지그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21B1 (ko) * 2002-03-19 2008-09-04 주식회사 한국베랄 브레이크 패드 압축율 시험기
KR100725804B1 (ko) * 2005-12-14 2007-06-11 주식회사 만도 제동 장치의 런아웃 측정 시스템
KR101525898B1 (ko) * 2013-10-21 2015-06-03 상신브레이크(주)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자동간극조정수단을 시험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16B1 (ko) * 2014-02-26 2014-12-24 데크컴퍼지트 주식회사 항공기 브레이크 디스크 테스트장비
KR102151226B1 (ko) * 2019-10-29 2020-09-02 서한산업(주)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다축 강도 평가 시험용 지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669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6769B2 (ja) 自動車用試験台
KR960002605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성능시험기
JP2006226778A (ja) タイヤの接地圧分布測定装置
JP2006503311A5 (ko)
WO2019210688A1 (zh) 一种用于轮胎与路面摩擦过程研究的模拟试验装置及方法
US6170326B1 (en) Signal processing system for energy transfer arrangement under test
US3543576A (en) Tir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5122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다축 강도 평가 시험용 지그 모듈
US7204161B2 (en) Isolation arrangement for system under test
US6729178B2 (en) Output spindle shaft for a rolling wheel testing apparatus
JP2964654B2 (ja) 摩耗評価試験方法
JP3997647B2 (ja) 摩耗試験装置
US6662669B2 (en) Isolation arrangement for system under test
CN112902813A (zh) 一种钳式制动盘磨耗快速检测设备
KR101136079B1 (ko) 기차용 브레이크 성능 시험장치
JP3029237B2 (ja) 台上摩耗エネルギー測定試験機
JP3154015B2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ー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50308A (ko) 브레이크 다이나모 시스템
KR200248436Y1 (ko) 차량 브레이크 디스크/드럼의 디티브이 자동측정 시스템
KR100251362B1 (ko) 브레이크 성능 시험 장치
EP1092137B1 (en) Noise testing system with temperature responsive sensitivity
JPH05256713A (ja) ブレーキのトルク測定装置
JP2001305020A (ja) オートバイ用チェーンの動力試験装置と、それを使用するオートバイ用チェーンの試験方法
KR100224403B1 (ko) 브레이크 성능 시험 장치
KR102227777B1 (ko) 브레이크 제동 및 타이어 구동 하이브리드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및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