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38B1 - 항공기 조종면의 위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조종면의 위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38B1
KR960002438B1 KR1019880017405A KR880017405A KR960002438B1 KR 960002438 B1 KR960002438 B1 KR 960002438B1 KR 1019880017405 A KR1019880017405 A KR 1019880017405A KR 880017405 A KR880017405 A KR 880017405A KR 960002438 B1 KR960002438 B1 KR 960002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supply
input
storage mean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723A (ko
Inventor
엠. 노비스 아리
엘. 아담스 돈
제이. 래몬탕 토리
시바홉 알버트
Original Assignee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코오포레이숀
해리 제이. 그윈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코오포레이숀, 해리 제이. 그윈넬 filed Critical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9000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24Transmitting means
    • B64C13/38Transmitting means with power amplification
    • B64C13/50Transmitting means with power amplification using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공기 조종면의 위치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와 이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개략적인 회로도.
제2a 내지 e도는 본 발명의 사용에 관계없이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여러가지 동작 변수의 종속성을 나타낸 그래프.
제3a 내지 f도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 각기 제2a 내지 e도의 동작 변수들에 대응하는 변수들의 종속성 및 제1도의 제어 회로의 사용 동안 직면되는 추가의 변수의 종속성을 나타낸 그래프.
제4도는 제1도의 전기 회로의 예시적인 수행에 대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 4 : 입력 신호 발생기
5 : 증폭 장치(증폭 수단) 9 : 전기 저장 장치
14 : 작동기 15 : 조종면 부재(가동성 부재)
16 : 기계식 작동 부재 17 : 스위치
19 : 검출기/펄스 발생기(검출 수단) 21 : 제어 회로
25 : 피드백 저항 34 : 신호 처리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가동성 부재(movable members)의 위치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성 항공기 에어 포일 부재 및 항공기 조정면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위치는 한나 이상의 영각(incidence) 조종면 부재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들 조종면 부재를 이동시킴에 따라, 항공기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치 않는 항공기 위치까지도 수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파일럿의 운전 부담(Work load)를 줄이기 위해 조종면 부재의 영각이 작동장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영각은 원하는 경우 항공기 위치를 제어하도록 항공기 위치, 항공기 가속, 공기 속도, 파일럿 스틱 입력 등과 같은 입력 변수들을 기초로 하여 신호 처리기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에 대한 종속성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명백한 이유로,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작동기는, 항공기의 순간적인 항로 변경에는 반응하지 않아야 하지만, 입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입력 신호값의 점진적인 변화에는 신속히 반응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신속한 항로 변경에 관여하는 신호를 저역 필터링 작용에 종속시키는 방안에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안의 통상적인 수행에 있어서는, 비교적 대용량 캐패시터가 연산 증폭 장치와 병렬로 접속되는데, 이 연산 증폭 장치는 센서 또는 센서들과 신호 처리기 사이에 배열되어, 그 센서 또는 센서들이 발생시킨 필터링되지 않은 입력 센서 신호에 의해 충전되거나 혹은 연산 증폭 장치의 출력에서 나타난 피증폭 센서 신호에 의해 충전된다. 이러한 유형의 제어 장치는 적절히 동작하여, 전기 시스템 특히 연산 증폭 장치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인터럽트(interrupt)되지 않는 한은 그 의도된 목적을 충실히 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장치의 유형을 사용하는 경우, 그 캐패시터는 통상 연산 증폭 장치를 통해 전원이 인터럽트 되면 비교적 신속하게 방전된다. 이것은 그러한 인터럽션에 뒤어어 전력의 공급이 재개될 때 항공기 조종면 부재에 위치한 작동기로 공급된 신호가 부정확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것은 캐패시터가 전력 인터럽션 이전에 방전되었을 때의 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작동기의 신호를 제공하였던 곳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어떤 값이나 혹은 어떤 인터럽션도 갖지 않기 때문이다.이것은 또한 상기 캐패시터의 대응 단자를 갖는 연산 증폭 장치의 출력 접합부에서 발생되어 통상 다른 변수들과 관련해서 항공기 조종면 부재에 위치한 작동기를 제어하는 출력 신호가, 설사 입력 센서 또는 센서들에 의해 공급된 입력 신호가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다른 위치를 호출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조종면 부재를 부정확한 위치로 조정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는 작동기에 공급된 출력 신호가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순간 위치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레벨로 상기 캐패시터가 충전될 때까지 초래되게 하기 때문에,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이동 방향이 캐패시터의 추가의 충전과 전술된 출력 신호 값의 대응하는 증가에 응답하여 작동기에 의해 역전되게 한다.
상술한 상황은 항공기의 제어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전력의 재공급을 수반하는 주기 동안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제어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갖지 않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인터럽션에 뒤따른 전원의 재공급을 자동적으로 인지하여, 이러한 인지에 응답해서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부정확한 위치 설정이 방지되도록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위치를 수정하는 유형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상기 장치를 구성면에서 비교적 간단하고, 제조면에서 저렴하며, 사용하기가 용이하고, 또 동작면에서 신뢰성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수적인 목적은 가동성 부재의 위치 변화가 있는 경우 전원의 일시적인 인터럽션이 그 인터럽션의 지속시간과 관계없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만 초래되도록 상기 가동성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동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들 및 기타 목적들은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제어 장치는 그것의 기본적인 구성 소자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과 ; 적어도 전원이 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동안 조종면 부재의 소망 위치를 나타내는 값을 갖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하는 수단과 ; 하나의 접합점에서 상기 증폭 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그 접합점으로부터 수신된 출력 신호를 전도시키도록 동작하는 수단과 ; 상기 전도 수단에 접속되어, 출력 신호에 대한 종속성에 따라 상기 조종면 부재를 위치 설정시키도록 동작하는 수단과 ;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증폭 수단의 입력에 접속된 한 단자와 상기 접합점에 접속된 다른 단자를 포함하는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한 전력 공급의 인터럽션시에 방전되고 단지 그러한 전력의 재공급시에만 점차 재충전되므로, 이러한 재공급 이후 즉시 상기 출력 신호가 인터럽션의 부재에 따라 정확한 값과는 상이한 부정확한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위치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의 부정확한 값에 대응하는 위치쪽으로의 상기 조종면 부재의 부수적인 재위치 설정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공급 수단에 의한 전력의 재공급을 검출하여, 이러한 재공급 이후 즉시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 전력의 재공급 이후 즉시 상기 저장 수단을 정확한 값으로 신속하게 재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 수단의 한 단자를 접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때 전기 제어 신호의 값에 대한 종속성에 따라 가동성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제어 장치는 제어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과 출력을 포함하는 수단과 ; 접합부에서 증폭 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그 접합부에서 작동기로 수신된 출력 신호를 전도시키도록 동작하는 수단과 ;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증폭 수단의 입력에 접속된 한 단자와 그 접합부에 접속된 다른 단자를 포함하는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저장 수단은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의 인터럽션시 방전되고 단지 그러한 전력의 재공급시에만 점진적으로 재충전되므로, 그러한 재공급 이후 즉시 상기 출력 신호가 인터럽션의 부재에 따라 정확한 값과는 상이한 부정확한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작동기에 의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부정확한 값에 대응하는 위치쪽으로의 가동성 부재의 부수적인 재위치 설정을 행하고 ; 전원에 의한 전력의 재공급을 검출하여 그러한 재공급 이후 즉시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 전력의 재공급 이후 즉시 상기 저장 수단을 정확한 값으로 신속하게 재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 시간 및 그 지속 시간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의 한 단자를 접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재충전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특별한 장점은 전기 에너지 저장 수단을 전력의 재공급 이후 즉시 그 정확한 값, 즉 인터럽션의 부재시 발생될 수 있는 값으로 신속하게 재충전되게 하는 것인데, 이에 따라 가동성 부재, 특히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값에 의해 작동기를 제어하는 신호의 일시적인 편차의 영향이 무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전원 또는 소스가 참조 번호(1)로 도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전원(1)은 각기 전원(1)이 동작할 때 접지 레벨 상하부간에 전압을 걸리게 하는 양의 단자(2) 및 음의 단자(3)를 갖는데, 상기 접지 레벨은 전원(1)이 그 동작을 중단한 이후 그리고 전력의 공급이 재개될 때까지 실질상 전압이 걸리지 않게 된다.
상기 단자(2) 및 (3)에 걸리는 전압은 한편으로는 입력 신호 발생기(4)에 공급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증폭 장치(증폭 수단)(5)에 공급된다. 상기 입력 신호 발생기(4)는 주지된 구성, 예컨대 입력 센서의 구성을 갖는데, 이는 접속 라인(6)을 통해 증폭 장치(5)의 입력(7)에 공급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한다. 증폭 장치(5)도 또한 주지된 구성을 갖는데, 이것은 그것의 입력(7)에서 나타난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그것의 출력(8)에서 증폭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는 증폭 장치(5)와 병렬로 접속되는데, 예를 들면 그것의 한 단자(10)는 증폭 장치(5)의 입력 저항값에 비해 비교적 작은 저항값(즉, 100 오옴)을 갖는 저항(12)을 통해 입력(7)에 접속 되고, 또 그것의 다른 단자(11)는 증폭 장치(5)의 출력(8)과 결합된다. 이것은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가 그것의 단자(10) 및 (11)내에서 나타나는 전압의 종속성에 따라 충ㆍ방전되며, 또 증폭 장치(5)의 입력(7)을 갖는 접속 라인(6)의 접합점과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의 다른 단자(11)를 갖는 증폭 장치(5)의 출력(8)에 대한 접합점에서 나타나는 전압에 의존한다.
후자의 접합점은 접속 라인(13)에 의해서 이 접속 라인(13)에 개입된 신호 처리기(34)를 통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작동기(14)로 접속된다. 이 신호 처리기(34)는 주지된 구성을 갖는데, 이는 통상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 및 증폭 장치(5)의 조합에 의해 발생된 출력 신호의 함수이며 작동기(14)의 동작을 제어하는 궁극적인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여기서 지정될 필요는 없는 이미 잘 알려진 방식으로, 가속도, 자세(attitude)와 같은 다른 비행 변수나 혹은 기준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신호와 관련하여 접속 라인(13)에 의해 공급된 신호를 처리하게끔 동작한다. 이러한 문맥에 있어서, 신호 처리기(34)의 출력 신호가 반드시 입력 신호의 선형(linear) 함수일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오히려 이산, 불연속 및 복합 함수이어야 한다.
작동기(14)도 또한 주지된 구성을 갖는데, 이는 단지 예시적 목적을 위하여 기계적 작동 부재(16)에 의해 피벗 가능한 조종면 부재(가동성 부재)(15)와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종면 부재(15)의 위치는 실선으로 도시된 제1위치와 일점 쇄선(15')으로 도시된 제2위치간의 작동기의 동작에 응답하여 조정된다. 상기 조종면 부재(15)는 작동기(14)에 의해,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가 완전히 충전될 때 그것의 제1위치로 이동하게 되거나 혹은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가 완전히 방전될 때 그것의 제2위치(15')로 이동하게 된다. 만일 전력의 공급이 인터럽트되면, 작동기(14)는 그 조종면 부재(15)를 그러한 인터럽션 이전에 설정된 위치로 유지시킨다.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는 증폭 장치(5)와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와의 조합이 예컨대 3초 정도의 비교적 큰 시간 상수를 갖는 저역 필터 특성을 나타내도록 비교적 대량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이러한 조합의 입력 및 출력 신호에 대한 모든 일시적인 편차(예컨대, 평균값으로부터의 편차)가 균일해지거나 혹은 필터 아웃되고 반면에 입력 신호의 점진적인 변화가 원하는 바와 같이 출력 신호로 반영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의 충전(방전된 상태에서)이 전술한 시간상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비교적 느리게 행해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진적인 충전은 중요한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의 방전된 상태가 미리 얻어졌을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것은 조종면 부재(15)가 그것의 제2위치(15')를 가정하는 것과, 또한 조종면 부재(15)의 위치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조종면 부재(15)가 제1위치에 있는 동안 방전이 발생하면, 전력 공급의 인터럽션 이후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조합을 변경시키는데 걸리는 비교적 오랜 시간은 상당히 이롭지 못한데, 그 이유는 비록 원래의 제어 신호 또는 입력 신호가 조종면 부재(15)의 제1위치를 호출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부정확한 또는 부적절한 출력 신호의 값은 작동기(14)로 하여금 전기 전력 공급이 재개된 이후 비교적 오랜 시간 주기동안 조종면 부재(15)를 그것의 제2위치(15')쪽으로 피벗되게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것은 조종면 부재의 의도하지 않은 위치설정을 초래할 수 있다.
전원의 일시적인 인터럽션이 발생할 때, 단자(2) 및 (3)에서의 전압은 접지 전위로 이동하며, 또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는 통상 전원(1)의 단자 (2), (3)에서, 전력 공급이 재개된 이후까지 머무르는 접지 전위로 전력을 발생시키는 증폭 장치(5)를 통해 적절히 방전된다.
도면의 제2a도 내지 제2e도에는, 조종면 부재(15)가 제1위치에 있고 또한 전기 전력 공급이 먼저 인터럽트되고 난 다음 재개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가 그래프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기 전력 공급이 인터럽트된 경우(제2a도), 발생기(4)에 의해 발생된 입력 신호의 전압은 동일한 코스(제2b도)를 나타내며,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의 충전은 작동기(14)에 공급된 출력 신호(제2d도)와 마찬가지로 신속하게 하강한다(제2c도).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종면 부재(14)는 통상 전기 전원 인터럽션의 전체 지속시간(제2a도) 동안 제1위치로 유지된다.
이러한 인터럽션에 뒤이어 전력의 공급이 일단 재개되면(제2a도), 발생기(4)에 의해 발생된 입력 신호 전압(제2b도)이 즉시 원래의 레벨로 상승한다.
그러나,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는 방전된 상태에 있다가, 상기 전력 공급의 재개 이후 시간 상수(제2c도)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비교적 느리게 충전된다.
이것은 작동기(14)에 공급된 출력 신호(제2d도)(이 경우, 전기 에너지 저장 수단의 충전과 동일한 코스로 수반됨 ; 제2c도)가, 비록 그 입력 신호(제2b도)가 조종면 부재(15)의 제1위치를 호출하더라도, 입력 신호(제2b도)의 값에 대응하지는 않지만 사실상 조종면 부재(15)의 제2위치를 초기에 호출하는 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작동기(14)가 조종면 부재(15)를 그것의 제2위치로 피벗시키게 되어, 전술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종면 부재(15)의 피벗팅은 조종면 부재(15)가 출력 신호(제2d도)의 순간적인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결국 정지되어 역전(제2e도)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은 이미 발생되고 만다. 게다가, 그러한 역전 이후라 하더라도 조종면 부재(15)의 소망의 제1위치로의 이동은 실제시간 상수와 부합되게 비교적 느려질 것이다.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를 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조종면 부재(15)의 제2위치로의 이동 범위를 최소화 시키게끔 전력 공급의 재개 이후 즉시 제1도의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을 일시적으로 가속화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것은 그 한 단부가 접지에 접속되고 그 다른 단부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의 한 단자(10) 및 저항(12) 사이에 배치된 접합점에 접속되는 전기 접속 라인(18)에 개입된 스위치(17)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스위치(17)는 상술한 전기 제어 장치가 이미 설명된 방식으로 동작하게끔 정상적으로 개방된다. 한편, 스위치(17)가 폐쇄될 경우, 접지 전위는 스위치(17)를 통해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의 한 단자(10)에 공급되는데, 이에 따라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17)가 개방될 때 보다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훨씬 빠른 충전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기(14)에 공급된 출력 신호의 값이 신속하게 증가하게 되고, 그 조종면 부재(15)도 그것의 제1스위치를 스위치(17)가 개방될 때 보다 훨씬 더 작은 범위로 이동시키게 된다.
스위치(17)의 동작은 전기 전원(1)의 단자(2), (3)에서 나타난 전압을 수신하여, 그 전력 공급이 그것의 인터럽션에 뒤이어 재개 되었음을 검출한 후에 즉시 제한된 지속 시간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검출기 및 펄스 발생기(검출 수단)(19)에 의해 제어된다. 이어서, 이러한 펄스는 라인(2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7)의 폐쇄 위치로의 일시적인 작동을 의미하는 지속 시간 동안 스위치(17)를 폐쇄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스위치(17)의 구성 및 동작은 전기 입력 장치의 동작을 제2a도 내지 제2e도에 관한 상술된 상황으로 변경시키는데, 이것은 제3a도 내지 제3f도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3a도 내지 제3e도는 그 순서가 제2a도 내지 제2e도와 대응하고, 또 제3f도는 검출기/펄스 발생기(19)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나타낸다. 전기 전력의 공급이 재개될 경우, 펄스 발생기(19)가 제한된 지속 시간을 갖는 펄스(제3f도)를 발생시키기 시작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펄스는 스위치(17)를 폐쇄시켜, 그 펄스의 지속 시간 동안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의 한 단자(10)가 접지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증폭 장치(5)의 출력(8)에서 나타나는 신호가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를 스위치(17)의 부재시보다 훨씬 더 신속하게 충전시키게 되며(제3d도), 또 작동기(14)에 대한 접속 라인(13)에 나타나는 출력 신호(제3e도)가 적절히 뒤따르게 된다. 그 결과, 작동기(14)에 공급된 신호(제3d도)가 조종면 부재(15)의 순간적인 위치에 대응하는 값에 도달하기 전에, 그 제1위치(제3e도)로부터 조종면 부재(15)가 인출되는 것은 인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다, 그 펄스(제3f도)의 지속 시간은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가 펄스의 종료 이전에 실질상 완전히 충전되도록 선택된다(제3c도). 그 펄스가 일단 한번 종료되면, 스위치(17)는 개방되고, 입력 장치의 동작은 그 스위치(17)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같아진다.
증폭 장치(5),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 저항(12) 및 검출기/펄스 발생기(19)는 그러한 소자를 상호 접속시키는 여러가지 전기 전도선과 더불어 전기 제어 회로(21)를 구성하는데, 이는 통상적이지만 도면의 제4도에 도시된 동작만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여기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대응하는 구성 소자 및 접속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동작 수행에 있어서, 증폭 장치(5)는 증폭기(22)를 아울러 포함하는 연산 증폭 장치인데, 여기서 증폭기(22)는 접지된 양의 입력(23)과 음의 입력(7)을 가지며, 또 이 음의 입력(7)은 출력(8) 및 음의 입력(7) 사이에서 연장되어 피드백 저항(25)을 결합하는 피드백 루우프 및 저항(24)을 통해 초기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입력 신호 발생기(4)로부터). 상기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9)는 저항(12)과는 직렬로 그리고 피드백 저항(25)과는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회로(21)의 이러한 통상의 수행을 위해 사용된 스위치(17)는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JFET)(Q1)에 의해 구성된다. JFET(Q1)은 그것의 게이트(26)가 그것의 소오스(27)에 나타난 접지 전위보다 더 양 으로 되는 전기 전위를 가질때 폐쇄 스위치로서 작용한다. JFET(Q1)의 드레인(28)은 접속 라인(18)에 의해 캐패시터(29)의 한 단자와 저항(12) 사이의 접합점에 접속된다.
검출기/펄스 발생기(19)는 캐패시터(29), 저항(30), 다이오드(31) 및 다른 저항(32)을 포함한다. 이 캐패시터(29) 및 저항(30)은 전기 전원(1)의 양의 출력 단자(2) 및 음의 출력 단자(3) 사이에서 직렬도 접속되는 반면에, 다이오드(31)는 저항(3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저항(32)은 캐패시터(29), 저항(30), 및 다이오드(31), 그리고 JFET(Q1)의 게이트(26) 리드의 접합점(33) 사이에 배치된다.
동작에 있어서, 전력이 턴 오프될 때 양의 소오스 단자(2) 및 음의 소오스 단자(3)는 서로에 결합되며, 또한 전원(1)내에 존재하는 저 임피던스를 통하여 접지부에 결합된다. 이것은 캐패시터(29)를 다이오드(31)를 통해 매우 신속하게 방전되게 하는데, 그것의 목적은 전기 전원이 인터럽트된 이후 가능한한 빨리 펄스 발생기(19)를 "리세트"시키는 것이다.
이어서 전력 공급이 재개될 때, 캐패시터(29)가 방전 상태로 된다. 캐패시터(29) 양단 전압이 동시에 변화할 수는 없으며, 특히 다이오드(31)가 이러한 방향에서는 전도되지 않고, 또 저항(30)의 저항값이 저항(30)을 거쳐 캐패시터(29)로의 전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JFET(Q1)의 게이트가 양의 전위로 되고 또 JFET(Q1)이 턴온된다. 이것은 캐패시터(29)의 한 단자를 JFET(Q1)을 통해 접지부로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 캐패시터(29)는 연상 증폭 장치(5)에 의해 적당한 전압까지 신속하게 방전된다. 캐패시터(29)와 그리고 연산 증폭 장치(5)의 음의 또는 반전 입력(7) 사이에 삽입되는 비교적 작은 값을 갖는 저항(12)은 제어 회로(21)의 오기능을 초래할 수도 있는 반전 입력(7)의 접지를 방해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반전 입력(7)은 접지부에 매우 근접해 있기 때문에, 저항(12)을 통해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게 한다.
전력의 공급이 재개된 이후에는, 펄스 발생기(19)의 캐패시터(29)가 저항(30)을 통해 충전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JFET(Q1)의 게이트(26)로 가해진 전압이 결국 접지 전위 이하로 강하되어 JFET(Q1)이 비전도 상태로 되므로, 이에 따라 캐패시터(29)의 한 단자(10)가 접지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접지 분리가 일어날때, 회로(21)의 동작은 스위치(17)(JFETQ1)가 제1위치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와 같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항공기 조종면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회로 장치의 특정 구성에 관해서만 예시 및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예로만 제한되는것이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오로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로부터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8)

  1. 전원에서 전력이 공급될 때 전기 제어 신호의 값에 대한 종속성에 따라 가동성부재(15)이 위치를 조정하는 작동기(14)의 제어 장치로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수단(5)과 ; 도선들(8,11,13)의 한 접합점에서 상기 증폭 수단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접합점으로부터 수신된 출력 신호를 작동기(14)로 전도하기 위한 수단(33)과 ; 상기 증폭 수단의 입력에 연결된 한 단자와 상기 도선들(8,11,13)의 접합점에 연결된 타 단자를 가지며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의 인터럽션시에 방전되고 전력 공급의 재개시에 단지 점진적으로 재충전되는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으로, 전력 공급의 재개 이후 즉시 출력 신호는 인터럽션의 부재시 출력 신호가 갖는 정확한 값과는 다른 부정확한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작동기(14)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의 부정확한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동성 부재(15)를 재위치 설정시키는 전기 에너지 저장 수단(9)을 구비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의 재개를 검출하여, 이러한 전력 공급의 재개후 곧바로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 수단(19)과 ; 전력 공급의 재개후 즉시 정확한 값으로 상기 전기 에너지 저장 수단(9)을 신속하게 재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에 반응하여 그리고 그 신호의 지속 시간 동안에 상기 저장 수단의 일단자를 접지시키는 수단(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장 수단(9)은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수단(17)은 상기 전기 저장 수단(9)의 한 단자와 접지부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7)는 접지부에 접속된 소오스(27) 리드와, 저기 저장 수단(9)의 일단자에 접속된 드레인(28) 리드와 , 상기 검출 수단(19)에 연결된 케이트(26) 리드를 가지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단자(10)을 통해 전기 저장 수단(9)의 한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10)와 상기 증폭 수단(5)의 입력 사이에 설치된 저항(12)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1)은 양의 단자(2) 및 음의 단자(3)를 가지며, 상기 검출 수단(19)은 상기 전원(1)의 양의 단자와 음의 단자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저항(30)과 캐패시터(29)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30)과 캐피시터(29)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17)에 접속된 노드(33)와 음의 단자(3) 사이에 저항(30)과 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수단(5)은 입력을 구성하는 음의 입력(7), 저장 수단(9)의 출력을 구성하는 출력(8), 접지부에 연결된 양의 입력(23), 증폭 수단(5)의 출력(8)과 음의 입력(7) 사이의 피드백 루프에 연결된 저항(25)을 가지는 증폭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성 부재(15)는 항공기 조종면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기 제어 장치.
KR1019880017405A 1987-12-24 1988-12-24 항공기 조종면의 위치 제어 장치 KR960002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38,618 US4885514A (en) 1987-12-24 1987-12-24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n aircraft control surface
US138,618 1987-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723A KR890009723A (ko) 1989-08-03
KR960002438B1 true KR960002438B1 (ko) 1996-02-17

Family

ID=2248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405A KR960002438B1 (ko) 1987-12-24 1988-12-24 항공기 조종면의 위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85514A (ko)
EP (1) EP0323389B1 (ko)
JP (1) JP2760533B2 (ko)
KR (1) KR960002438B1 (ko)
AU (1) AU610295B2 (ko)
CA (1) CA1328495C (ko)
DE (2) DE323389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0031A (en) * 1997-07-15 1999-05-04 Niagara Mohawk Powe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hydrogen compressor with electrochemical autothermal reformer
GB0905560D0 (en) * 2009-04-01 2009-05-13 Rolls Royce Plc An electrical actuator arrangement
US8438743B2 (en) 2011-06-01 2013-05-1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Resolver type skew sensor with gimbal attachment
ES2899669T3 (es) * 2011-07-26 2022-03-14 Moog Inc Sistema de retención de motor eléctrico
US11682535B2 (en) 2021-03-12 2023-06-20 Essex Industries, Inc. Rocker switch
US11688568B2 (en) 2021-03-15 2023-06-27 Essex Industries, Inc. Five-position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63576A1 (de) * 1967-06-26 1971-08-19 Kent Ltd G Elektrische Steuervorrichtung
DK124466B (da) * 1968-08-16 1972-10-23 M Bech Elektrisk rorstilleaggregat til skibsstyreanlæg.
DD114703A1 (ko) * 1974-08-20 1975-08-12
DE2547368B2 (de) * 1975-10-23 1978-08-17 Eckardt Ag, 7000 Stuttgart Regeleinrichtung mit einem elektronischen digitalen Speicher
US4079902A (en) * 1977-04-18 1978-03-21 Vyacheslav Fedorovich Ryzhko Aircraft control surface actuator
US4291260A (en) * 1978-04-17 1981-09-22 Nixon John M Motor velocity control servo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85514A (en) 1989-12-05
DE3884929D1 (de) 1993-11-18
EP0323389A2 (en) 1989-07-05
DE3884929T2 (de) 1994-03-31
JPH01297392A (ja) 1989-11-30
DE323389T1 (de) 1989-10-26
EP0323389B1 (en) 1993-10-13
EP0323389A3 (en) 1989-12-27
JP2760533B2 (ja) 1998-06-04
CA1328495C (en) 1994-04-12
AU610295B2 (en) 1991-05-16
AU2630388A (en) 1989-06-29
KR890009723A (ko) 198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6177A (en) Power factor control system for AC induction motors
US4323853A (en) Circuit for protecting traveling-wave tubes against faults of a power supply
EP0130254B1 (en) Power supply for a circuit interrupter
KR960002438B1 (ko) 항공기 조종면의 위치 제어 장치
US5666066A (en) Overcurrent detecting device for a DC motor
KR830009679A (ko) 전기모터 초퍼 제어 장치와 방법
US4220905A (en) Battery charger
US3699422A (en) Automatic battery charger
JPS61293159A (ja) 直流電圧制御回路
JP3483399B2 (ja) 充電装置
JPS6013483B2 (ja) 電力制御装置
US3721795A (en) Servomechanism feed system
DK332480A (da) Kobling til overvaagning af en indgangsspaending
JPS642517Y2 (ko)
JPH0295140A (ja) 二次電池充電回路
US4054831A (en) Power supply turn-on and turn-off transient elimination circuits
KR950001886B1 (ko) 과부하 방지 방법 및 과부하 방지 회로
JPH09130987A (ja) 充電制御装置
JPS5631302A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vernier control type electric motor vehicle
JPH0370594B2 (ko)
JP2697965B2 (ja) 突入電流防止回路を備えた回路ユニット
JPS5825442Y2 (ja) バツチ・プロセス制御装置
JPH0567924A (ja) Fet増幅器制御回路
JPH0588503B2 (ko)
GB2435694A (en) Peak voltage detecto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