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34B1 -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34B1
KR960002434B1 KR1019870010036A KR870010036A KR960002434B1 KR 960002434 B1 KR960002434 B1 KR 960002434B1 KR 1019870010036 A KR1019870010036 A KR 1019870010036A KR 870010036 A KR870010036 A KR 870010036A KR 960002434 B1 KR960002434 B1 KR 960002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er
ring
shaft
connecting member
axi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16A (ko
Inventor
에스 카라베이지 젤라드
Original Assignee
아시어스 에트 아우릴레이지 피우거트
알라인 반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어스 에트 아우릴레이지 피우거트, 알라인 반제트 filed Critical 아시어스 에트 아우릴레이지 피우거트
Publication of KR89000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angular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19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일부인 접속부재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력수단 2 : 구동수단
3 : 작동수단 4 : 축
5 : 분할형 탄성링 6 : 접속부재
9 : 가요성 구동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긴장장치는 다수가 알려진 바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FR-A-2 382 903호에는 안전벨트를 팽챙하게 하는 긴장장치가 기술되어 있는 바. 이 긴장장치는 차량에 부착되는 충돌탐지기, 안전벨트에 고정되어 벨트에 증가된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된 부재와, 충돌시 탐지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증가된 장력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부재의 신속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돌탐지기에 반작용하는 수단으로 구성도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충돌탐지기에 반작용하는 수단은 피스턴과 실린더장치로 구성되고, 실린더에서 피스턴의 변위가 벨트에 증가된 장력을 가하도록 이용된다.
특히 이 특허문헌의 제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피스턴과 실린더장치는 가요성의 와이어로 안전벨트와인더에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이어는 와인더축의 일부에 배설된 드럼에 미리 권취되어 있으며, 충돌탐지시에 이 피스턴이 작동하여 와이어를 당기므로서 드럼이 신속하게 회전하고 안전벨트의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드럼은 드럼이 회전시 원심력, 또는 피스턴의 작동하에 드럼의 각 가속도에 의하여 작동되는 클러치에 의하여 와인더의 축에 연결된다.
또한 특허문헌 FR-A-2 491 340에는 사고발생시 작동될 수 있는 축력기(蓄力器)와, 이 축력기의 작동후에 자동와인더의 벨트축에 작용하고 이에 복귀긴장 회전운동을 부여하는 에너지 변환기로 구성되는 형태의 자동안전벨트와인더용 복귀긴장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 에너지변환기는 벨트축에 연결되는 견인수단을 위한 회전로울러로 구성되고 그 견인수단은 축력기의 작동후, 그리고 전단핀형태인 고정장치의 고정력을 극복한 후 벨트축의 연결과 복귀긴장운동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언급된 축력기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 기술된 장치는 다수의 결점, 특히 견인수단과 와인더축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이 복잡한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비교적 저렴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는 차량의 급속한 감속이 탐지됨에 따라서 작동될 수 있는 축력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축력수단은 와인더축에 권취회전운동을 부여하도록 와인더축을 회전작동시키는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이 가요성 구동부재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작동수단은 권취축 일부의 둘레에 배치된 분할형 탄성링으로 구성되며 가요성 구동부재의 예비부분이 링의 둘레에 권취되어 있고, 와인더축의 상기 부분에서 대경부(大徑部)에 접속되어 와인더의 정상작동시 링에서 상기 축부분의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링의 변부사이에 접속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접속부재는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축력수단의 작동시에 벨트를 강제권취하여 증가된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과 와인더축 사이에서 상기 축 부분둘레의 링을 조이므로서 링의 변부를 해제하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하여 당기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는 공지된 형태의 와인더에 적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차량의 급속한 감속이 탐지됨에 따라서 작동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파이로테크닉 카트리지(pyrotechnic cartridge)와 같은 축력수단(1)을 포함한다.
이들 수단은 축(4)에 회전권취운동을 부여하도록 축(4)을 회전작동시키기 위한 수단(3)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에 연결된다.
이들 작동 수단은 와인더축(4)의 일부둘레에 배치된 분할형 탄성링(5)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 일부의 대경부에 부여하여 와인더의 정상작동시 링에서 이 축부분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분할링의 두 변부사이에는 접속부재(6)가 개재되어 있다.
이 접속부재는 구동수단(2)에 연결되고 축력수단의 작동시에 벨트를 권취하여 이에 증가된 장력을 가할수 있도록 구동수단과 와인더축 사이에서 상기 축부분 둘레의 링을 조이므로서 링의 변부를 해제하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하여 당기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축력수단은 잭을 구성하는 장치(7)에 연결되고 이 잭은 일축부분이 축력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타측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동부분은 예를 들어 풀리(8)와 가요성 구동부재(9)로 구성된 복귀부재를 포함하고 이 가요성 구동부재(9)는 구동수단의 일부이며, 예를들어 일측단부(10)가 와인더에 고정되고 타측단부(11)가 링의 둘레에 감겨있는 가요성 와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접속부재는 축력수단의 작동시 가요성 구동부재에 의하여 당기어질 수 있도록 이 가요성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급속한 감속이 탐지되면 축력수단이 작동되고 그 결과로 잭을 구성하는 수단(7)의 가동부분, 즉 풀리(8)가 신속하게 움직이게 한다. 가요성 구동부재의 일측단부는 와인더에 고정되고, 이 구동부재가 풀리를 돌아 지나갈 때에 구동부재가 당겨지고 접속부재도 당겨지며 축부분의 둘레에 있는 링이 조여져 구동수단(2)과 와인더의 축이 결합되므로서 벨트가 권취된다.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속부재(6)는 분할링(5)의 변부가 벌어진 상태에 있도록 하는 두 지지면(6a)(6b)을 갖는다.
다시 제2도에서, 잭을 구성하는 수단(7)은 내외로 배치된 두 튜우브(12)(13)로 구성된다. 내측 튜우브(12)는 축력수단(1)에 고정연결되고 외측 튜우브(13)는 내측 튜우브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에는 가용성 구동부재의 복귀부재(8)가 착설되어 있다.
이 가요성 구동부재(9)는 이중으로 되어 있다. 즉 이 부재는 와인더의 고정탭(14)에 감겨 있으며 복귀부재(8)를 돌아 지나가며, 그 두 단부는 분할링(5)에 감겨 있다.
축력수단은 잭을 구성하는 수단의 내측부재(12)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유효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의 급속한 감속이 탐지됨에 따라서 작동될 수 있는 축력수단(1)으로 구성되고, 이 축력수단(1)은 와인더축(4)에 권취회전운동을 부여하도록 와인더축을 회전작동시키는 작동수단(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이 가요성 구동부재(9)로 구성되고 작동수단이 와인더축(4) 일부의 둘레에 배치된 분할형 탄성링(5)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이 링(5)이 탄성을 가지며 링(5)의 두 변부사이에 접속부재(6)를 배치하여 상기 와인더의 축의 직경보다 링의 직경이 크게하여 와인더의 정상작동중에 이 링내에서 축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재(6)는 구동수단(2)에 연결되고 축력수단(1)의 작동시에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당기어지므로서 링(5)의 변부가 이로부터 해제되어 축(4)의 둘레에 링이 조여지므로서 구동수단(2)과 와인더축(4)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지고 벨트가 권취되어 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접속부재(6)가 가요성 구동부재(9)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접속부재(6)가 분할형링(5)의 변부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두 지지면(6a,6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70010036A 1986-09-18 1987-09-10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 KR960002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13081A FR2604134B1 (fr) 1986-09-18 1986-09-18 Tendeur de rappel pour enrouleur de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8613081 1986-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16A KR890004916A (ko) 1989-05-10
KR960002434B1 true KR960002434B1 (ko) 1996-02-17

Family

ID=933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036A KR960002434B1 (ko) 1986-09-18 1987-09-10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50759A (ko)
EP (1) EP0261006B1 (ko)
KR (1) KR960002434B1 (ko)
CA (1) CA1286275C (ko)
DE (1) DE3761754D1 (ko)
ES (1) ES2013640B3 (ko)
FR (1) FR2604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76081T2 (de) * 1987-12-23 1993-03-25 Nissan Motor Sicherheitsgurt mit spannvorrichtung.
DE4032384A1 (de) * 1990-10-12 1992-04-16 Audi Ag Gurtstrammer fuer kraftfahrzeuge mit einem dreipunkt-sicherheitsgurt
DE4211009A1 (de) * 1992-04-02 1993-10-07 Trw Repa Gmbh Gurtstraffer für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e
DE4230665A1 (de) * 1992-09-14 1994-03-17 Takata Europ Gmbh Sicherheitsgurtanordnung für Fahrzeuge
JPH0715458U (ja) * 1993-08-30 1995-03-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
JP2003521417A (ja) 2000-02-04 2003-07-15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
US6460794B1 (en) 2000-05-31 2002-10-0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retensioner drive
JP3749183B2 (ja) * 2000-06-02 2006-02-22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リテンショナドライブ装置
US6520443B2 (en) 2000-06-02 2003-02-1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retensioner drive
WO2001094164A1 (en) * 2000-06-05 2001-12-1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retensioner drive
US6505790B2 (en) 2000-06-05 2003-01-1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retensioner device
KR100348163B1 (ko) * 2000-06-22 2002-08-09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동력전달장치 일체형 프리텐셔너
DE60115579T2 (de) 2000-10-31 2006-08-1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Farmington Hills Weich-Start-Betätigungskolben
US20040251364A1 (en) * 2002-12-26 2004-12-16 Kim Seung Man Pretensioner of a seatbelt retractor
US7350734B2 (en) * 2005-10-13 2008-04-0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eat belt pretensio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3093A (en) * 1960-03-08 1962-07-10 Albert M Stott Cable coupled actuator
DE3131637C2 (de) * 1980-10-06 1986-10-02 TRW Repa GmbH, 7077 Alfdorf Rückstrammer für Sicherheitsgurtautomaten
DE3215928C2 (de) * 1982-04-29 1985-11-21 Bayern-Chemie Gesellschaft für flugchemische Antriebe mbH, 8261 Aschau Aufwickelvorrichtung für Sicherheitsgurte
DE3231509C2 (de) * 1982-08-25 1985-04-18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Spannvorrichtung für ein auf eine Gurtrolle aufwickelbares Gurtende eines Sicherheitsgurtsystemes
DE3400177A1 (de) * 1984-01-04 1985-07-25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Vorrichtung zur strammung von sicherheitsgurten
DE3531856A1 (de) * 1985-09-06 1986-12-0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Sicherheitsgurtwickelautomat mit einem eine seilrolle und eine gurtwelle verbindenden kupplungshe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1006B1 (fr) 1990-02-28
CA1286275C (en) 1991-07-16
ES2013640B3 (es) 1990-05-16
FR2604134B1 (fr) 1988-12-23
KR890004916A (ko) 1989-05-10
EP0261006A1 (fr) 1988-03-23
DE3761754D1 (de) 1990-04-05
US4750759A (en) 1988-06-14
FR2604134A1 (fr) 1988-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434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
JP3890608B2 (ja) 力制限器を有するベルト巻き付け器−ベルトテンショナ組合わせ
KR0142282B1 (ko) 좌석벨트의 리트랙터
JPH01309849A (ja) 安全ベルト用の引き締め機構
US5938135A (en) Webbing retractor
US5344095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a belt pretensioner device acting on the belt drum
EP1024064B1 (en) Seat belt retractor
JPH06156187A (ja) 自動車安全ベルトのベルトリトラクター
EP0641691A1 (en) Safety belt pretensioner
US4840325A (en) Seat belt tightening device
US20110215184A1 (en) Belt retractor having a force limitation device and a tightening device
EP1516789A2 (en) Seatbelt retractor
US6405959B1 (en) Safety belt with belt tautener
US6311918B1 (en)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a seat belt
KR20230038536A (ko) 벨트 리트랙터
US4549704A (en) Coupling device for the winding shaft of a safety belt roll-up device with retightening device
US4088281A (en) Dual tension single spring retractor
JP2844395B2 (ja) 緊張装置を持つ安全ベルト巻取り機
GB2192124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belt retightener
SU452956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го ремн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JP2004518570A (ja) ベルト緊張装置を持つ安全ベルト巻取り機
JPH0492748A (ja) プリロード装置
JPS63212151A (ja) 安全ベルトの緊急巻取り装置
US4790561A (en) Seat belt system
US4378916A (en) Wind-up device for safety be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