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527B1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527B1
KR960001527B1 KR1019930000280A KR930000280A KR960001527B1 KR 960001527 B1 KR960001527 B1 KR 960001527B1 KR 1019930000280 A KR1019930000280 A KR 1019930000280A KR 930000280 A KR930000280 A KR 930000280A KR 960001527 B1 KR960001527 B1 KR 960001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coil
brak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802A (ko
Inventor
시게미 이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을 표시하는 전체구성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모의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의 개념도.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2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모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 5 : 모터
9a, 9b : 콘택트접점 10 : 카속도검출기
13 : 층상 30, 41 : VTO메이크접점
31 : BB브레이크접점 32 : 온딜레이타이머
33 : SD코일 34 : NCT메이크접점
35, 42 : SD메이크접점 36 : DC코일
37 : DZ메이크접점 38 : DC브레이크접점
39 : DO코일 40 : DZ브레이크접점
51 : 카속도검출수단 52 : 카 정지지령검출수단
53 : 카미끄러짐검출장치 54 : 도어개폐지령수단
이 발명은, 로프식 또는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해, 특히 카가 미끄러졌을때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는, 근년에 대단하게 발전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기술이 여러가지가 사용되어서 구성되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일부인 엘리베이터카의 도어의 제어장치에 대해서도 예를들면 일본국특개평 2-123088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같이 마이크로컴퓨터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지령인 도어의 개폐지령은, 예를들면 브레이크 드럼의 마찰력저하에 의해 카의 보전토크가 저하해서 카를 보전할 수 없는 등의 브레이크 고장등의 발생해도 이와 같은 이상과는 관계없이 출력되어 버린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는, 카가 정지상태에서 도어개방가능영역에 있으며, 도어개방지령이 출력되어 문이 열리는 가능성이 있다. 브레이크 토크가 저하하면 카는 미끄러지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고, 카가 도어개방가능한 엘리베이터에 다달해서 문호개방지령이 출력되면, 카는 미끄러져 정지하고 있지 않는데도 문이 열린다. 또 카가 일단 문호개방영역을 빠져나가도, 카가 미끄러지면서 상승 또는 하강을 계속하면, 설령 문호개방가능영역외에서 일단 문호폐쇄지령이 출력되어도, 다음의 통과층의 문호개방가능영역에서 문호개방지령이 출력되면 문이 열린다. 그러기에 카가 미끄러지고 있을때는 카내의 승객과 승강장의 기다리는 사람이 문에끼어서 사고를 당하는 일이있어 대단히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브레이크토크가 저하해서 카가 미끄러지고 있는 상태에서의 문호의 열림을 저지하고 카내의 승객과 승강장치의 기다리는 사람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카속도를 검출하는 카속도검출수단과, 카를 구동하는 모터에의 정지지령을 검출하는 카 정지지령검출수단과 상기 정지지령검출시에 상기 카속도가 소정속도이상일때, 카의 미끄러짐을 검출하는 카미끄러짐 검출수단과, 상기 카 미끄러짐 검출시에 문호폐쇄지령을 출력하는 문호개폐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상기 카 미끄러짐 검출수단은 도어개방가능영역외에서 상기 카 정지지령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에의 정지지령을 검출했을때에 카의 미끄러짐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카속도검출수단에 의해 카속도가 검출되고, 카 정지지령검출수단에 의해 카를 구동하는 모터에의 정지지령이 검출되고 카의 미끄러짐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정지지령검출시에 상기 카속도가 소정속도이상일때, 카의 미끄러짐으로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카 미끄러짐검출시에 도어개폐지령수단에 의해, 문호폐쇄지령이 출력된다. 또 상기 카 정지지령검출수단에 의해 문호개방가능영역외에서 상기 모터에의 정지지령이 검출되었을때, 카미끄러짐 검출수단에 의해 카 미끄러짐으로 검출된다.
[실시예 1]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을 표시하는 전체구성도이다.
동도에서, 1은 엘리베이터의 카이고, 그 상부에는, 타단에 카운트웨이트(2)가 접속되어서 활차(3)에 감긴 로프(4)가 부착되어 있다.
5는 활차(3)를 회전시켜서 카(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모터이다.
6은 플런저가 삽입된 브레이크 코일(7)로 된 전자브레이크이고, 이 브레이크코일(7)과, 내부전원(8)과 브레이크콘텍터 B의 콘텍터접점(9a)이 직렬로 접속되고 브레이크콘텍터 B이 도시하지 않은 콘텍터코일이 여자되어서 콘텍터접점(9a) 온이되면 폐회로를 구성하고, 즈레이크코일(7)이 여자되어서 내부의 플런저가 모터(5)로부터 분리된다. 또 콘텍터코일이 카 정지지령으로서 소자되게 되면, 브레이크 코일(7)이 소자 되어 플런저가 모터(5)에 접촉해 마찰에 의해 모터(5)를 정지시킨다.
또, 9b는 브레이크콘텍터(b)의 콘텍터접점이고, 이 콘텍터코일이 여자되면, 온이되고, 카정지지령시에 소자되면 오프가 된다.
10은 와이어(11)를 통해서 카(1)이 접속되어 카(1)의 속도를 검출하는 카속도검출기, 12는 각층상(13)에 대응해서 승강로내에 한개씩 설치된 문호개방가능영역을 표시하는 플레이트, 14는 카(1)상부에 부착되어 카(1)의 승강에 따라 플레이트(12)위치에서 문호개방신호(e)를 출력하는 문호개방가능영역검출기, 15는 카(1)의 저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하는 도어제어장치이다.
16은 모터(5)의 구동이나 카도어의 개폐제어를 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고, 각종의 연산처리를 하는 CPU(17)와, CPU(17)의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18)과 CPU(17)의 처리데이터등을 기억하는 RAM(19)과 CPU(17)의 처리에 따라 모터(5)에의 토크지령(a), 도어제어장치(15)에의 문호개방지령(b) 및 문호폐쇄지령(c)를 출력하는 출력포트(20)와, 속도검출기(10)으로부터의 카속도 d, 문호개방가능영역검출기(14)로부터의 문호개방출력(e) 및 콘텍터접점(3b)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포트(21)와, 이들 CPU(17), ROM(18), RAM(13), 출력포트(20) 및 입력포트(21)를 접속하고 버스(22)로 구성된다.
제2도는 마이크로컴퓨터(16)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의 모의도(래더다이어그램)이다.
동도면에서, 속도검출기(10)로 검출된 카속도(d)가 소정치 예를들면 2m/min이상일때 온하는 VTO메이크접점(30)과, 상기 브레이크 콘텍터(B)의 콘텍터코일이 카 정지지령시에 소자되어 콘텍터접점(9b)이 오프가 되었을때 온하는 BB 브레이크접점(31)과, 상기 VTO메이크접점(30) 및 BB브레이크접점(31)이 함께 온의 상태가 T초 예를들면, 0.4초 이상계속되면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온딩타이머(32)와, 카(1)의 미끄럼검출용 릴레이 SD의 SD코일(33)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정규문호관제어신호가 폐문시에 온하는 NCT메이크접점(34)과, 상기(Sd)코일(33)이 픽업되었을때, 즉 미끄러짐이 검출되었을때 온하는 SD메이크접점(35)과의 병렬회로와, NCT메이크접점(34) 또는 SD메이크접점(35)이 온하였을때 픽업해서 문호폐쇄지령신호(c)를 출력하는 문호폐쇄지령을 릴레이DC의 DC코일(36)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문호개방가능영역을 검출기(14)의 문호개방신호(e) 검출시에 온하는 DZ메이크접점(37)과, 상기 DC코일(36)이 픽업했을때 온하는 DC메이크접점(37)과, 상기 DC코일(36)이 드롭아웃했을때 즉 정규문호관제어신호가 문호개방인가 또는 상기 전자브레이크(6)가 정상이고 미끄럼정이 검출되지 않을때 온하는 릴레이DC의 DC브레이크접점(38)과, DZ메이크접점(37)과, DC브레이크접점(38)이 모두 온일때 픽업해서, 문호개방지령신호(b)를 출력하는 문호개방지령을 릴레이DO의 DO코일(39)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VTO메이크접점(30), NCT메이크접점(34), SD메이크접점(35) 및 DZ메이크접점(37)의 타다은 전원 V에 접속되고, SD코일(33), DC코일(36) 및 코일(39)의 타단은 접지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 1의 개념을 제3도에 대해 설명한다.
문호개방가능영역검출기(14)와 메이크접점(37)으로 되는 문호개방가능영역 검출수단(50)에 의해 카(1)이 문호개방가능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고, 카속도검출기(10)와 VTO메이크접점(30)으로 되는 카속도검출수단(51)에 의해 카속도(d)를 검출하고, 콘텍터코일(9b)과 BB브레이크접점(31)으로 되는 카정지지령검출수단(52)에 의해 브레이크콘텍터B의 콘텍터코일의 소자 즉 카정지지령이 발령된 것을 검출한다.
또 SD코일(33)이 카미끄러짐검출수단(53)에 의해 카정지지령검출수단(52)의 출력으로부터 카정지지령이 출력되어서 BB브레이크접점(31)이 온되어 있음에도, 카속도 검출수단(51)의 출력으로부터 카속도(d)가 예를들면 2m/min 이상으로 VTO메이크업접점(30)이 온되어 있는 상태를 카(1)의 미끄러짐이라고 검출한다.
또 NCT메이크접점(34), SD메이크접점(35) DC코일(36), DC브레이크접점(38) 및 DO코일(39)로 되는 문호개폐지령수단(54)에 의해, 정상시에는 문호개방가능영역검출수단의 출력과 정규문호관제제어신호에 따라 문호개방지령신호(b) 또는 문호폐쇄지령신호(C)를 출력하고, 카미끄러짐검출수단(53)에 의해 카(1)의 미끄러짐이 검출되었을때에는 정규문호관제 제어신호의 상태에 불구하고 문호 폐쇄지령(c)를 출력한다.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 1의 동작을 제2도에 따라 설명한다.
카(1)는 모터(5)에 의해 활차(3) 및 로프(4)를 통해서 승강한다.
승강중, 전자브레이크(6)는 브레이크콘텍터(BB)의 콘텍터코일이 여자되어서 콘텍터접점(9a)이 온되어 있음으로서, 브레이크코일(7)이 여자되어 브레이크코일(7)에 삽입되어 있는 플런저가 모터(5)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카(1)를 정지시키는데는, 콘텍터코일이 카정지지령으로 소자되어서 콘텍터접점(9a)이 오프됨으로써, 전자브레이크(6)은 브레이크코일(7)이 소자되어 플런저가 모터(5)에 접촉되어 마찰에 의해 모터(5)를 정지시킨다.
또, 카(1)가 승강중에 또는 소정층에서 정지해서 문호개방가능영역검출기(14)가 플레이트(12)에 대향하게 되면, 카(1)가 문호개방가능영역에 있는 것으로 보고, 문호개방출력(e)을 마이크로컴퓨터(6)에 송출한다. 문호개방가능영역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우도어 및 승강장도어(어느것도 도시않음)의 문호개방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16)으로부터 도어제어장치(15)에 문호개방지령신호(d)가 출력되면 도어제어장치(15)는 카도어 및 승강장도어를 열고 문호폐쇄지령신호(c)가 출력되면 문을 닫게 된다. 또 카속도검출기(10)에 의해, 카속도(d)가 검출되어서 마이크로컴퓨터(16)의 출력된다.
다음에, 문호개폐를 제어하는 동작을 제2도어에 따라 설명한다.
카(1)이 승강하고 있는 경우에는, 커속도(d)는 2m/min이상이고, 콘텍터코일은 여자되어서 콘텍터접점(9a) 및 (9b)가 온상태이다. 콘텍터접점(9a)가 온상태이므로, 브레이크코일(7)이 여자되어 있는 상태이고, 전자브레이크(6)는 브레이크동작하지 않는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16)은 콘텍터접점(9b)이 오프이므로 BB 브레이크접점(31)을 온한다.
또, 카(1)가 승강하고 있는 경우에는, 카속도(b)가 2m/min이상인 것으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16)는 VTO메이크접점(30)을 온한다. 따라서 VTO메이크접점 및 BB브레이크접점(31)이 온이되므로, SD코일(33)은 드롭아웃의 상태이다.
카(1)가 소정층에 도달해서 문호개방가능영역 검출기(14)로부터 문호개방출력(e)이 마이크로컴퓨터(16)에 출력되면 마이크로컴퓨터(16)는, 메이크접점(37)을 온한다.
이상태에서, 카(1)가 정지하는 경우에는, 콘텍터코일이 소자해서 콘텍터접점(9a) 및 (9b)를 오프한다.
전자브레이크(6)가 정상이면, 콘텍터접점(9a)가 오프된 것으로부터 브레이크코일(7)이 소자해서 전자브레이크(6)가 정상이면, 콘텍터접점(9a)가 오프된 것으로부터 브레이크코일(7)이 소자해서 전자브레이크(6)가 가능하고, 모터(5)를 정지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16)는 콘텍터접점(9b)이 오프인 것으로부터 BB브레이크접점(31)을 온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16)는, 카(1)가 정지하고, 카속도검출기(10)의 출력으로부터 카속도(d)가 0m/min이고, 예를들면 2m/min 미만인 것을 검출하게 되면, VTO메이크접점(30)을 오프한다. 따라서 SD코일(33)은 드롭아웃의 상태이다.
이와같이 전자브레이크(6)가 정상적인때는, SD코일(3)은 항상 드롭 아웃의상태이고, SD메이크접점(35)은 오프이다.
따라서, 전자브레이크(6)가 정상인 경우는 도어개폐는 정규문호관제신호에 따른다. 카(1)가 문호개방가능영역에 있을때 정규문호관제신호가 문호개방이면, 마이크로컴퓨터(16)는 VTO메이크접점(34)을 오프해서 DC코일(36)을 드롭아웃하고, DC브레이크접점(38)을 온한다.
DZ메이크접점(37) 및 DC브레이크접점(38)이 온한것으로 DO코일(39)이 픽업해서 문호개방지령(b)이 출력된다.
또, 정규문호관제제어신호가 문호폐쇄이면, NCT메이크접점(34)이 온하고, DC코일(36)이 픽업해서 문호폐쇄지령(c)가 출력된다. 이때, DC코일(36)이 픽업의 상태에서, DC브레이크접점(38)이 오프되므로, DO코일(39)는, 드롭아웃해서 문호개방지령(b)은 출력되지 않는다.
다음에, 전자브레이크(6)가 고장일때를 설명한다. 이때는, 콘텍터코일이 카정지지령으로서 소자하고 콘텍터접점(9a)을 오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카(1)가 예를들어 2m/min이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마이크로컴퓨터(16)는 카속도검출기(10)의 출력에 의해 카속도(9)가 2m/min이상인 것을 검출해서 VTO메이크접점(30)을 온하고 콘텍터접점(9b)이 오프인 것을 검출해서 BB브레이크접점(31)을 온한다.
온딜레이타이머(32)는 VTO메이크접점(30)과 B브레이크접점(31)이 온의상태가 T초이상 계속하면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이로인해, SD코일(33)을 픽업한다. SD코일(33)이 픽업함으로써, SD메이크접점(35)이 온하고, DC코일(36)이 픽업하고, 문호폐쇄지령신호(c)가 출력된다.
또, DC코일(36)이 픽업한 것으로 DC브레이크접점(38)이 오프되고 DC코일(39)이 항상 드롭아웃의 상태가 된다. 이때문에 정규문호관제신호가 도어개방이고, NCT메이크접점(34)이 오프라도 무효가되고, 이것과는 관계없이 문호폐쇄지령(c)가 출력되어, 문호개방지령신호(b)는 저지된다.
따라서, 전자브레이크(6)의 고장에 의해 카(1)가 미끄러져서 느린속도로 상승 또는 하강하고 있을때는, 정지층에서 문호폐쇄지령신호(c)를 출력하고, 그대로 미끄러져서 느린속도로 다음층을 통과할때도 문호폐쇄지령신호를 출력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16)는 예를들면 50msec의 주기로 상기와 같은 연산을 실행한다.
또, 온딜레이타이머(32)를 사용한 것은, 카(1)의 예를들어 급정지후 또는 승강으로 인한 진동에 의한 오검출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실시예 1은, 브레이크콘텍터(B)의 콘텍터코일이 소극되어서 카정지지령이 나가있는 것은 검출하게 되면, BB브레이크접점(31)은 온하고, 카속도(d)가 예를들어 2m/min이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고 있는 상태가 T초이상 계속했을때, VTO메이크접점(30)을 온하고, VTO메이크접점(30)과 BB브레이크접점(31)가 온의 상태가 T초이상 계속했을때 릴레이 SD를 동작시켜서 카(1)의 미끄러짐을 검출했다고해 이 미끄러짐검출시에, 정규문호관제신호가 있어도 이것을 유효로하고, 문호개방지령신호(b)를 정지하고, 문호폐쇄지령신호(c)를 유호로해서 출력함으로써 전자브레이크(6)가 고장이나서 카(1)가 미끄러지고 있을때는 카의 도어 및 승강장 도어는 열리지 않는다. 이때문에 카(1)내의 승객과 승강장의 대기승객이 문에끼어서 사고가 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2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의 모의도이다. 동도면에서 31∼33은 제2도와 같고, 도어개방기능 엘리베이터검출기(14)의 출력에 따라 카(1)가 문호개방가능영역밖에 있을때 온하는 DZ브레이크접점(40)과, 카속도(d)가 예를들어 2m/min이상일때 온하는VTO메이크접점(41)과 SD메이크접점과의 직렬 접속회로가 병렬로 접속되고, 이 병렬접속회로가 제2도의 VTO메이크접점(30)으로 대치되서 접속된다.
또, 제4도에서는, 제2도의 NTC메이크접점 34∼DO코일(39)이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2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는 브레이크콘텍터(B)의 콘텍터코일이 소자한 것을 콘텍터접점(9b)의 온상태로부터 검출해서 BB브레이크접점(31)을 온하고, 문호개방가능영역검출기(14)의 출력에 따라 카(1)가 문호개방가능영역밖인 것을 검출했을때 DZ브레이크접점(40)을 온한다.
이 상태가 T초 이상계속되면, SD코일(33)이 픽업해서 카(1)의 미끄러짐이 검출되고, SD메이크접점(42)이 온한다.
일단 SD코일(33)이 픽업해서 SD메이크접점(42)이 온하면, 카속도(d)가 약 2m/min이상이면, 마이크로컴퓨터는 VTO메이크접접(41)을 온하고, SD코일(3)이 픽업상태를 계속한다.
즉 카의 미끄러짐을 계속 검출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끄러짐을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고, 문호개방지령신호를 저지해서 문호폐쇄지령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2에서는 문호개방가능영역내에서의 층상과 카의 밑면을 맞추는 동작을 미끄러짐이라고 오검출을 하는 일이 없다.
또, 문호개방가능영역밖에서 카가 정지(카속도 d가 0m/min)했을때도, 문호개방지령을 저지해서 문호폐쇄지령을 출력하므로 더욱 안전성을 증대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카속도(d)를, 카속도검출기(14)로 직접검출하나, 모터의 도시하지 않을 회전 속도검출기를 대용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온딜레이타이머를 사용했으나, 카속도검출기(14)로 로패스필터를 걸어서 그 출력을 마이크로컴퓨터가 검출했을때 VTO메이크접점(30) 및 (41)을 온하게 되면, 보다 정확하게 카(1)의 미끄러짐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 1∼3은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유압식 엘리베이터에도 적용된다.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는, 로프식엘리베이터의 전자브레이크에 밸브의 개폐가 상당하고, 밸브가 고장나서 전폐가 안되면, 카가 낙하한다. 이와같은 밸브고장시에 대책으로도 유용한 것은 물론이다.
이 발명은 이상설명한 바와같이 카속도를 검출하는 카속도검출수단과, 카를 구동하는 모터에의 정지지령을 검출하는 카정지지령검출수단과, 상기 정지지령검출시에 상기 카속도가 소정속도이상일때, 카의 미끄러짐을 검출하는 카 미끄러짐검출수단과, 상기 카미끄러짐검출시에 문호폐쇄지령을 출력하는 문호개폐지령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카가 미끄러지고 있는 상태에서 문이열리는 일이 없으므로, 카내의 승객과 승강장의 대기승객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 카 미끄러짐 검출수단은, 문호개방가능영역밖에서 상기 카정지지령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에의 정지지령을 검출했을때 카의 미끄러짐을 검출함으로써, 문호개방가능영역안에서의 층맞춤동작때에 카 미끄러짐으로 오동작하는 일이 없고, 문호개방가능영역밖에서 카가 정지(카속도 d가 0m/min)했을때도 문호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카내의 승객과 승강장의 대기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낸다.

Claims (2)

  1. 복수의 층상을 써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속도를 검출하는 카속도검출수단과, 카를 구동하는 모터에의 정지지령을 검출하는 카정지지령검출수단과, 상기 정지지령검출시에 상기 카속도 소정속도이상일때, 카의 카미끄러짐을 검출하는 카미끄러짐검출수단과, 상기 카미끄러짐검출시에 문호폐쇄지령을 출력하는 문호개폐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의 미끄러짐검출수단은, 문호개방가능영역밖에서 상기 카 정지지령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에의 정지지령을 검출했을때 카 미끄러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19930000280A 1992-02-07 1993-01-11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960001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242692A JP3373220B2 (ja) 1992-02-07 1992-02-07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92-22426 1992-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802A KR930017802A (ko) 1993-09-20
KR960001527B1 true KR960001527B1 (ko) 1996-02-01

Family

ID=1208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280A KR960001527B1 (ko) 1992-02-07 1993-01-11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73220B2 (ko)
KR (1) KR960001527B1 (ko)
CN (1) CN1032053C (ko)
TW (1) TW2079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2509A1 (fr) * 2006-11-21 2008-05-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ôleur d'ascenseur
JP2011084355A (ja) * 2009-10-14 2011-04-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20170267488A1 (en) * 2014-12-02 2017-09-21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a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693A (zh) 1993-09-01
TW207983B (en) 1993-06-21
KR930017802A (ko) 1993-09-20
JPH05213555A (ja) 1993-08-24
CN1032053C (zh) 1996-06-19
JP3373220B2 (ja) 200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7035B2 (en) Elevator system which controls a value of overspeed
KR100899935B1 (ko) 승강로 접근 탐지 시스템
EP2772462B1 (en) Elevator safety device
KR10133139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US7849975B2 (en) Safety arrangement of an elevator having sensors limiting extent of elevator travel
KR101748475B1 (ko) 멀티 카식 엘리베이터
KR10092811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JP263525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96000152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201411415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541372B2 (ja)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強制減速装置
KR100809373B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S5837236B2 (ja)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4098961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方法
KR200429753Y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2008105797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装置
JPS6128592B2 (ko)
KR20000013366A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08912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625593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270752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H0318248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49771U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H05105347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318573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