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387B1 -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387B1
KR960001387B1 KR1019920006653A KR920006653A KR960001387B1 KR 960001387 B1 KR960001387 B1 KR 960001387B1 KR 1019920006653 A KR1019920006653 A KR 1019920006653A KR 920006653 A KR920006653 A KR 920006653A KR 960001387 B1 KR960001387 B1 KR 96000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electric
gears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499A (ko
Inventor
미노루 히라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93001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1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제1도는 주행용 미션케이스내의 전동구조를 도시하는 종단개략정면도.
제2도는 제1전동기어, 출력기어, 제3전동기어, 제4전동기어 및 제2전동기어 부근을 도시하는 종단정면도.
제3도는 좌우의 사이드기어용 유압실린더, 사이드브레이크, 제1 및 제2유입클러치에 대한 유압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클러치 13 : 변속기구
19 : 제1전동기구 21R, 21L : 사이드기어
24 : 주행장치 26R, 26L : 제2전동기어
27 : 전동축 40 : 제3전동기어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크로울러식이나 다륜식의 주변장치를 좌우한쌍씩 구비한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차의 1예로서 크로울러식 주행장치를 좌우한쌍씩 구비한 콤바인이 있고, 그 조항전동구조의 1예가 일본국특개평 3-204379호 공보에 개시되어있다.
이 구조에서는 좌우의 주행장치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우한쌍의 사이드기어를 비치하고, 좌우의 사이드기어에 대하여 제1전동기어와 제2전동기어를 배치하고, 좌우사이드기어를 제1전동기어에 맞물리는 위치와 제2전동기어에 맞물리는 위치에 걸쳐, 각각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장치(상기 공보 제2도의 11)를 통하여 정전동력으로서 제1전동기어에 전달하고 있고, 변속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전동축(상기 공보 제2도의 15), 체인감속기구(상기 공보 제2도의 17) 및 전동축(상기 공보 제2도의 16)을 통하여 감속된 정전동력으로서 제2전동기어에 전달하고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좌우의 사이드기어를 제1전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면, 좌우의 주행장치가 같은 속도로 정전구동되어 기체는 직진한다. 그리고, 예컨대 상기 공보의 제2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좌측이 사이드기어를 제2전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면, 좌측의 주행장치가 우측의 주행장치보다도 저속으로 정전구동되어, 좌우주행장치의 구동속도차에 의거하여 기체가 좌측으로 방향을 바꾸어서 선회해 간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이상과 같이 한쪽의 주행장치를 감속구동시켜 기체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한 종래 구조에서는 체인감속기구에 의해 감속된 정전동력을 제2전동기어에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연약한 지면이라도 확실하게 기체가 선회해 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좌우 주행장치의 구동속도차가 큰 쪽 즉, 한쪽의 주행 장치에의 정전동력을 충분히 감속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에서는 체인감속기구에서의 감속비가 상기의 감속된 정전동력에 대응하게 되고, 이 체인감속기구에 있어서의 위쪽의 스프로켓과의 아래쪽 스프로켓과의 기어 비율만에 의해, 전체의 감속비(감속된 정전동력)가 결정되고 만다. 그리고 체인감기용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이것 이외의 각 부로부터의 제약을 받아, 아래쪽 스프로켓의 바깥직경을 충분히 크게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체인감소기구에서의 감속비를 충분히 크게하기 어려운 구성, 즉 선회용 정전동력을 제2전동기어에 전달하는 경우, 충분히 감속된 정전동력을 전달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정전동력을 충분히 감속하기 위해서는 미션케이스 등의 바깥쪽을 크게 하여 체인감속기구에 있어서의 아래쪽의 스프로켓의 바깥직경을 큰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선회용의 정전동력을 한쪽의 주행장치에 전달하는 경우에, 기존의 미션케이스등을 특히 큰 것으로 하지 않아도 충분히 감속된 정전동력을 한쪽의 주행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좌우한쌍의 주행장치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우한쌍의 사이드기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동연결 가능한 제1전동기어와 제2전동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제1전동기어는 엔진으로부터의 전진용 정전동력을 변속하는 변속기구와 연결되어 있는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즉, 상기 제1전동기어의 보스부에 작은 직경의 출력기어가 형성되고, 이 상기 출력기어에 맞물리는 큰 직경의 제3전동기어가 전동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전동축에는 상기 제3기어와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와 상기 전동축의 동력을 상기 제2전동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작은 직경의 제4전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에 의해 상기 제3전동기어와 전동축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변속기구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좌우한쌍의 제4동전동기어로부터 감속되어 상기 제2전동기어에 전달된다.
이로써, 상기 좌우의 사이드기어를 제1전동기어에 연결하면, 좌우의 주행장치가 같은 속도로 정전구동하여 기체가 직진하고, 또한 한쪽의 사이드기어를 제2전동기어에 연결하면 한쪽의 주행장치가 다른 쪽의 주행장치보다 저속으로 정전구동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예컨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쪽의 변속기구(13)로부터의 직진용 정전동력이 제1전동기어(19), 제1전동기어(19)의 보스부의 작은 직경의 출력기어(38), 큰 직경의 제3전동기어(40), 전동축(27), 작은 직경의 제4동전동기어(29)를 통하여 충분히 감속되어 제2전동기어(26R, 26L)에 전달된다.
이 경우, 작은 직경의 출력기어(38)에서 큰 직경의 제3전동기어(40)에의 전동시 및 작은 직경의 제4동전동기어(29)에서 제2전동기어(26R, 26L)에의 전동시의 2회의 전동시에 정전동력이 감속된다.
또한 종래 구조와 같은 비교적 큰 공간을 필요로 하는 전동용의 체인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것이외의 각부로부터의 계약이 적어지고, 제3전동기어를 큰 직경의 기어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제3전동기어가 다른 부분에 제약을 주는 것도 적고, 제3전동기어용으로 하여 특히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좌우의 사이드기어를 제1전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면, 제1전동기어에 전달되어오는 정전동력이 좌우의 주행장치에 전달되고, 좌우의 주행장치가 같은 속도로 구동되어 기체는 직진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기어를 제1전동기어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제2전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면, 상기와 같이 충분히 감속된 정전동력이 제2전동기어에 전달되어 있으므로, 이 감속된 정전동력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장치가 저속으로 정전구동되어 좌우주행장치의 구동속도의 차에 의해 기체가 우측 또는 좌측에 방향을 바꾸어 선회해간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선회용으로서 감속된 정전동력을 한쪽의 주행장치에 전달하는 경우에, 너무 큰 공간을 사용함이 없이 충분히 감속된 정전동력을 한쪽의 주행장치에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에 의해 바깥쪽의 미션케이스등을 크게 한다고 하는 구조적인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며 구조적인 면에서 유리한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직진용의 정전동력으로 구동되는 다른 쪽의 주행장치와 감속된 정전동력으로 구동되는 한쪽의 주행장치에 있어서, 좌우 주행장치의 구동속도차를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특히 연약한 지면이라도 확실히 기체의 조향 및 선회조작을 행할 수 있게되고, 작업차의 조향, 선회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작업차의 1예인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계의 미션케이스(8) 내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고, 엔진(도면외)으로부터의 동력이 텐션클러치를 구비한 벨트전동기구(도시않음)를 통하여 정유압식(精油壓式)무단변속장치(1)의 입력풀리(2)에 전달되는 동시에,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1)의 출력축(3)으로부터의 동력이 제1전동축(4)을 통하여 기체앞부분의 예취부(도시않음)에 전달된다.
제1전동축(4)으로부터의 동력은, 제1기어(9) 및 제2기어(10)를 통하여 제2전동축(11)에 전달된다. 이 제2전동축(11)에는 시프트기어(14)가 스프라인구조로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바깥끼움 되어있고, 이것에 대한 제3전동축(15)에는 고속기어(16), 중속기어(17) 및 저속기어(6)가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시프티기어(14)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고속기어(16)에 맞물리는 고속기어(7), 중속기어(17) 또는 저속기어(8)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직진용 정전동력을 고중저의 3단으로 변속할 수 있으며, 이 정전동력은 중속기어(7)에 맞물리는 제1전동기어(19)에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시프트기어(14) 및 고속기어(7) 등에 의해 기어변속기구(13)(본 발명 주행용의 변속기구에 상당)를 구성하고 있다. 제1전동기어(19)를 지지하는 지지축(20)에는 우측의 사이드기어(21R) 및 좌측의 사이드기어(21L)가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바깥끼움 되어 있고, 좌우의 차축(22)의 입력기어(23)가 좌우의 사이드기어(21R, 21L)에 항상 맞물려있다.
이것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기어(21R, 21L)를 제1전동기어(19)에 대하여 전동 및 전동차단조작을 행하며, 제1전동기어(19)에 설치한 안쪽톱니와 좌우의 사이드기어(21R, 21L)에 설치한 바깥톱니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25R, 25L)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한쪽의 주행장치(24)에 제동을 거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0)에 좌우한쌍의 제2전동기어(26R, 26L)가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는 동시에, 제4전동축(27)(본 발명의 전동축에 상당)에 뒤에 설명하는 작은 직경의 제4동전동기어(29)가 좌우한쌍이 고정되고, 이 제4동전동기어(29)가 좌우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려 있다. 또한 좌우의 사이드기어(21R, 21L)와 이것에 대응하는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려 클러치(50)가 형성되어 있다. 제4전동축(27)의 한쪽 끝에 다판유압조작식의 사이드브레이크(28)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측사이드기어(21R) 또는 좌측사이등기어(21L)를 제1전동기어(19)로부터 이간시켜,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리게 하는 동시에, 사이드브레이크(28)를 작동 조작함으로써 한쪽의 주행장치(24)에 제동을 걸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신지(信地)선회상태이다. 신지선회란 전차와 같이 좌우의 캐터필러구동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한쪽의 캐터필러를 정지시키고 또한 다른 쪽의 캐터필러를 구동시킴으로써 실현되는 차량의 선회주행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에 한쪽의 주행장치(24)를 역전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전동축(15)의 고속기어(16)에 맞물리는 제3기어(37)가 제4전동축(27)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바깥끼움되는 동시에, 제3기어(37)와 제4전동축(27)사이에 제2유압클러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측 사이드기어(21R) 또는 좌측사이드기어(21L)를 상기와 같이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리게 한 상태로 제2유압클러치(30)를 작동 조작하면, 고속기어(16)으로부터의 동력이 역전상태에서, 또한 1/2로 감속되어 한쪽의 주행장치(24)에 전달되어간다.
그리고 이것이 초신지선회상태이다. 초신지선회란, 전차와 같이 좌우의 캐터필러구동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한쪽의 캐터필러를 전진 구동시키고, 또한 다른 쪽의 캐터필러를 후진 구동시킴으로써 실현되는 차량의 선회주행을 뜻하고 있다.
다음에 한쪽의 주행장치(24)를 다른 쪽보다 저속으로 정전구동시키는 구조, 즉 기어변속기구(13)로부터의 정전동력을 감속시켜 좌우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전달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전동기어(19)의 보스부에 작은 직경의 출력기어(38)가 고정되는 동시에, 제4전동축(27)에 큰 직경의 제3전동기어(40)가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바깥끼움되고, 제3전동기어(40)가 출력기어(38)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제3전동기어(40)와 제4전동축(27)사이에 제1유압클러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기어(21R, 21L)를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제1유압클러치(12)를 작동 조작하면, 제1전동기어(19)에 전달되어오는 직진용의 정전동력이 출력기어(38) 제3전동기어(40), 제1유압클러치(12), 제4전동축(27), 제4동전동기어(29) 및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를 통하여 충분히 감속된 정전동력으로서 한쪽의 주행장치(24)에 전달되어간다.
그리고, 이것이 완만한 선회상태이다. 완만한 선회란, 전차와 같이 좌우의 캐터필러로 주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한쪽의 캐터필러 구동속도를 다른쪽 캐터필러 구동속도보다 다르게 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상기한 신지선회나 초신지선회보다 완만한 선회를 뜻하고 있다.
다음에 좌우의 사이드기어(21R, 21L)의 슬라이드조작을 행하는 유압실린더(31R, 31L), 사이드브레이크(28), 제1 및 제2유압클러치(12, 30)에의 작동유 공급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32)로부터의 작동유가 제1전환밸브(33)를 통하여, 좌우의 사이드기어(21R, 21L)에 대한 유압실린더(31R, 31L)에 공급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31R, 31L)의 측면으로부터의 유로(34)가, 사이드브레이크(28), 제1 및 제2유압클러치(12, 30)에 대한 제2전환밸브(3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로(34)에는 사이드브레이크(28), 제1 및 제2유압클러치(12, 30)에 대한 가변 릴리이프 밸브(36)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1전환밸브(33), 제2전환밸브(35) 및 가변 릴리이프밸브(36)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레버(18)의 조작위치가 제어장치(5)에 입력되어 있고, 이 전환레버(18)의 조작위치에 의거하여 전자조작식의 제2전환밸브(35)가, 제어장치(15)에 의해 제1유압클러치(12)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완만한 선회위치(35a), 사이드 브레이크(28)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신지선회장치(35b) 및 제2유압클러치(30)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초신지선회위치(35c)에 전환조작된다. 그리고, 조작레버(39)와 제1전환밸브(33) 및 가변릴리이프밸브(36)가, 제1연계기구(41) 및 제2연계기구(42)를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계되어있다. 다음에, 조작레버(39)의 조작에 따른 조향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전환레버(18)를 완만한 선회위치에 조작하면, 제2전환밸브(35)가 완만한 선회위치(35a)에 전환 조작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에 조작하고 있으면, 제1전환밸브(33)도 중립위치에 조작되어 좌우의 유압실린더(31R, 31L)가 수축하고, 좌우의 사이드기어(21R, 21L)가 제1전동기어(19)에 맞물리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전동기어(19)에 전달되어오는 정전동력이 좌우의 주행장치(24)에 전달되고, 좌우의 주행장치(24)가 같은 속도로 구동되어 기체는 직진한다. 다음에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로부터 우측의 제1선회위치(R1) 또는 좌측의 제1선회위치(L1)에 조작하면, 제1전환밸브(33)만이 조작되어 유압실린더(31R 또는 31L)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의 조작부(46R, 46L)를 통하여 제1전동기어(19)에 맞물려있던 우측 또는 좌측의 조작부(46R, 46L)를 통하여 제1전동기어(19)에 맞물려있던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기어(21R, 21L)가 제1전동기어(19)로부터 떨어져서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린다.
이 경우, 가변릴리이프밸브(36)는 완전개방상태에 있고 제1유압클러치(12)가 비작동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장치(24)에의 전동이 단절상태(사이드 클러치 25R 또는 25L의 전동차단 단절상태)로 되고,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완만하게 방향을 바꾸어 간다. 그리고, 유로(34)에 설치된 시퀀스 밸브(47)는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완전하게 맞물리는데 필요한 압력을, 유압실린더(31R, 31L)에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의 제1선회위치(R1, L1)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선회위치(R2, L2)에 조작해 가면,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리고, 또한 제2전환밸브(35)가 완만선회위치(35a)에 조작된 상태로, 가변릴리이프밸브(36)가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서서히 폐쇄측에 조작되어간다.
이것에 의해 제2유압클러치(12)가 작용하기 시작하여 유측 또는 좌측의 주행장치(24)가 서서히 저속에서 정전구동되어가고,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완만하게 선회해간다. 그리고 조작레버(39)의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선회위치(R2, L2)에 있어서 완만한 선회속도가 최대로 된다.
다음에 전환레버(18)를 신지선회위치에 조작하면 제2전환밸브(35)가 신지선회위치(35b)에 전환조작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에 조작하고 있으면 상기와 같이 직진상태로 되며,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의 제1선회위치(R1, L1)에 조작하면 상기와 같이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클러치(25R, 25L)의 전동차단상태가 나타난다.
다음에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의 제1선회위치(R1, L1)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선회위치(R2, L2)에 조작해 가면,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 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리고, 또한 제2전환밸브(35)가 신지선회위치(35b)에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와 동일하게 가변릴리이프밸브(36)가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서서히 폐쇄측으로 조작되어 간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브레이크(28)가 작용하기 시작하여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장치(24)에 서서히 제동이 걸려가고,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에 신지선회해 간다. 그리고 조작레버(39)의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선회위치(R2, L2)에 있어서 사이드브레이크(28)의 제동력은 최대로 된다.
다음에 전환레버(18)를 초신지선회위치에 조작하면, 제2전환밸브(35)가 초신지선회위치(35c)에 전환 조작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에 조작하고 있으면 상기와 같이 직진상태로 되며,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의 제1선회위치(R1, L1)에 조작하면, 상기와 같이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클러치(25R, 25L)의 전동차단상태가 나타난다. 다음에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의 제1선회위치(R1, L1)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선회위치(R2, L2)에 조작해 가면,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전동기어(26R, 26L)에 맞물리고, 또한 제2전환밸브(35)가 초신지선회위치(35c)에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와 동일하게 가변릴리이스밸브(36)가 완전개방상태에서 서서히 폐쇄측으로 조작되어간다. 이것에 의해 제2유압클러치(12, 30)가 작용하기 시작하여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장치(24)가 서서히 역전 구동되고,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초신지선회해간다. 그리고 조작레버(39)의 우측 또는 좌측의 제2선회위치(R2, L2)에 있어서 역전속도가 최대로 된다.
이상과 같은 사이드클러치(25R, 25L)의 전동차단조작에 의한 선회, 한쪽의 주행장치(24)를 저속으로 정전구동하는 완만한 선회, 한쪽의 주행장치(24)에 제동을 거는 신지선회 및 한쪽의 주행장치(24)를 역전 구동시키는 신시전회에 있어서, 그 선회반경은 사이드클러치(25R, 25L)의 전동차단조작에 의한 선회, 완만선회, 신지선회 및 초신지선회의 순서로 작아진다. 제2도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완만선회용의 제1유압클러치(12)에 있어서, 클러치 작동조작용의 피스톤(43)과 케이싱(44)사이에, 클러치 작동조작용의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로(45)가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43)과 케이싱(44) 사이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피스톤(43)으로 마찰판(48)을 가압하여, 제1유압클러치(12)를 작동 조작한다.
그리고 케이싱(44)을 지지하는 슬리이브(49)와 제4전동축(27) 사이에 유밀(油密)용의 0링(50), 피스톤(43)의 외주와 케이싱(44)사이에 유밀용의 0링(5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입하나, 이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좌우한쌍의 주행장치(24)의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우한쌍의 사이드기어(21R, 21L)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동연결이 가능한 제1전동기어(19)와 제2전동기어(26R, 26L)가 배치되고, 상기 제1전동기어(19)는 엔진으로부터의 전진용 정전동력을 변속시키는 변속기구(13)와 연결된 것과 같은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동기어(19)의 보스부에 작은 직경의 출력기어(38)가 형성되고, 이 상기 출력기어(38)에 맞물리는 큰 직경의 제3전동기어(40)가, 전동축(27)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전동축(27)에는 상기 제3기어(40)와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12)와, 상기 전동축(27)의 동력을 상기 제2전동기어(26R, 26L)에 전달하기 위한 작은 직경의 제4동전동기어(29)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12)에 의해 상기 제3전동기어(40)와 전동축(27)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변속기구(13)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좌우한쌍의 제4전동기어(29)로부터 감속되어서 상기 제2전동기어(26R, 26L)에 전달되고, 이로써, 상기 좌우의 사이드기어(21R, 21L)를 제1전동기어(19)에 연결하면, 좌우의 주행장치(24)를 같은 속도로 정전구동시켜 기체가 직직하고, 또한 한쪽의 사이드기어(21R, 21L)를 제2전동기어(26R, 26L)에 연결하면, 한쪽의 주행장치(24)가 다른 쪽의 주행장치보다도 저속으로 정전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사이드기어(21R, 21L)는 상기 제1전동기어(19)에 연결하는 위치와 제2전동기어(26R, 26L)에 연결하는 위치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KR1019920006653A 1991-12-26 1992-04-21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KR960001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43767 1991-12-26
JP3343767A JP2723732B2 (ja) 1991-12-26 1991-12-26 作業車の操向伝動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499A KR930012499A (ko) 1993-07-20
KR960001387B1 true KR960001387B1 (ko) 1996-01-26

Family

ID=1836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653A KR960001387B1 (ko) 1991-12-26 1992-04-21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23732B2 (ko)
KR (1) KR9600013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70129A (ja) 1993-07-09
JP2723732B2 (ja) 1998-03-09
KR930012499A (ko) 199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6371A (en) Hydraulic circuit for a hydraulically driven vehicle
US20090029607A1 (en) Propeller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1-engine, 2-shaft vessel
KR960001387B1 (ko)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RU2109650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воротом военной гусеничной машин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940009858B1 (ko) 작업차의 주행전동구조
JPH02256957A (ja) 作業車の変速装置
JP2721084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3580614B2 (ja) 走行車両の機体停止装置
JP2703152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3170394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574364Y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758318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555278Y2 (ja) 作業車の操向伝動構造
JP2987291B2 (ja) 作業車の操向制御装置
JPH01237266A (ja) コンバインの乾田・湿田用操向制御装置
JP2721085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H02158425A (ja) 4輪駆動型走行車輌の走行切換油圧回路
JP2000344128A (ja) コンバインの走行操向装置
JP2598160B2 (ja) 作業車
JP2945096B2 (ja) 走行車両の操向機構
JP3563514B2 (ja) 変速クラッチ操作用油圧装置
JPH03153479A (ja) 作業車
JPS6246603Y2 (ko)
JP2558893Y2 (ja) 操向機構の操作装置
JPH0754956A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