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257B1 -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57B1
KR960001257B1 KR1019870011826A KR870011826A KR960001257B1 KR 960001257 B1 KR960001257 B1 KR 960001257B1 KR 1019870011826 A KR1019870011826 A KR 1019870011826A KR 870011826 A KR870011826 A KR 870011826A KR 960001257 B1 KR960001257 B1 KR 960001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ing
holder
lever
center core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276A (ko
Inventor
다카시 히시누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1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257B1/ko
Publication of KR89000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기록디스크 장진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그 일부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부분의 동작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메카샤시와 캠슬라이더부분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홀더와 패드플레이트부분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기록디스크자켓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디스크 2 : 센터코어
3 : 자켓 11 : 메카샤시
12 : 캠슬라이더 12d, 12e, 12f, 12g : 캠편
13 : 홀더 14 : 패드플레이트
20 : 센터코어 누름레버 20a, 20b : 축돌출자
21 : 록레버 23 : 밀어올림레버
24a, 24b, 24c, 24d : 롤러 25 : 밀어내기레버
30 : 판스프링부재 30b : 스프링편
30c, 30d : 탄성지지편 31 : 걸어맞춤돌출자
본원 발명은 회전자기디스크(시트)등의 기록디스크를 사용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이며, 기록디스크를 삽입 지지하는 홀더부재의 회전구동부에 대한 접촉격리동작과 홀더부재에서 기록디스크를 밀어내는 밀어내기부재의 동작을 조작부재에 의하여 타이밍을 잡아 행하도록 하므로써, 기록디스크의 언로딩시의 이젝트동작이 확실하고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것이다.
종래, 기록재생장치 예를 들면 회전자기시트를 사용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자기시트 장진장치로서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소59(1984)-17777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장치는 센터코어에 고착된 자기시트의 수용자켓을 삽입지지하는 홀더가 스핀들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대응되고, 이 홀더에 대응하여 앞끝에 센터코어에 당접하는 굴곡끝부를 가진 암이 샤시에 축지지되어서 연동부재를 통해 홀더의 하강에 수반하여, 아래쪽으로 회전되어서 굴곡끝부에서 센터코어를 누르고, 스핀들에 끼위 맞추며, 이 끼워맞춘 다음 암은 샤시와의 사이에 팽팽히 걸쳐진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홀더에서 격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진장치에 있어서, 자기시트의 기록 또는 재생동작의 종료후, 이 자기시트를 수용하는 자켓을 꺼내는 경우에 홀더를 스핀들에 대하여 상승시키는 동작과 홀더에서 자켓을 밀어내는 동작의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자켓을 꺼냄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고장원인이 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홀더부재의 회전구동부에 대한 접촉격리동작과 홀더부재에서 자켓을 밀어내는 동작의 타이밍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기록디스크가 삽입 지지되는 홀더부재(실시예에서는 홀더(13))와. 이 홀더부재를 회전구동부(실시예에서는 스핀들 (8))에 대하여 접촉격리 동작시키는 조작부재(실시예에서는 캠슬라이더(12)와, 홀더부재에서 기록디스크를 밀어내는 밀어내기부재(실시예에서는 레버(25))와 를 구비하고, 홀더부재의 격리동작과 밀어내기부재의 밀어내는 동작을 작동부재에 의하여 타이밍을 잡아 연동해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록디스크를 지지하는 홀더부재의 회전구동부에 대한 접촉격리동작과 홀더부재에서 기록디스크를 밀어내는 밀어내기부재의 밀어내는 동작이 조작부재만의 조작에 의해 타이밍을 잡아 연동해서 행하여짐으로써 기록디스크의 언로딩시의 이젝트가 확실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본 설명에 앞서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기록디스크의 일례로서의 자기디스크자켓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자기디스크(시트), (2)는 자기디스크(1)가 고착되는 센터코어, (3)은 자기디스크(1)가 수용되는 자켓이고 납작한 상자체로 이루어지며, 양면 중앙부에는 센터코어(2)와 대응하여 후술하는 회전구동부로서의 스핀들 및 센터코어 누름레버의 돌출자가 삽입되기 위한 원형개구(4a), (4b)가 형성되며, 또한 양면측부에는 후술하는 자기헤드와 패드부재가 삽입되는 창구멍(5a), (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구멍(5a), (5b)는 자기디스크(1)의 일부를 표출하고, 셔터(6)에 의해서 개폐된다. 그리고 자기디스크(1)는 자켓(3)에 수용된 상태로 후술하는 장진장치에 의하여 기록재생장치에 장진되어서 공지된 바와 같이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1도 내지 제7도에 따라서 본원 발명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예 장치는 메카샤시(11)에 그 윗면쪽에서 윗쪽으로 캠슬라이더(12), 홀더(13), 패드플레이트(14)가 차례로 배설되어 양 측판(15), (16)에 의해 지지되므로써 구성된다.
메카샤시(11)에는 중앙부에 중앙구멍(11a)을 형성하여 디스크회전모터(7)의 스핀들(8)을 표출시키고, 또한 중앙구멍(11a)의 근방에 창구멍(11b)을 형성하여 자기헤드(9)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고, 후부에는 후술하는 연동기구부재의 축지지핀(17), (18)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캠슬라이더(12)에는 앞가장자리의 한측부에 누름편(12a)이 앞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뒤가장자리에는 한옆에 치우쳐서 혹형상의 밀어누름편(12b)이 앞쪽을 향해서 고단(高段)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근방에 걸림돌출자(19)가 돌출설치되고, 또한 중앙부에 치우쳐서 돌출편(12c)이 뒤쪽을 향하여 저단(低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의 각기 전후부에는 뒤가장자리를 뒤쪽으로 낮게 경사진 경사가장자리 (12d1), (12e1), (12f1), (12g1)로 한 캠편(12d), (12e), (12f), (12g)가 직립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평면부에는 메카샤시(11)의 중앙구멍(11a)과 창구멍 (11b)에 각기 대응하는 중앙구멍(12h)와 (12i)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13)에는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양 측면부(13a), (13b)의 아래가장자리를 안쪽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양 측면부 및 아래가장자리 절곡부의 앞가장자리부를 넓게 열린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경사굴곡하여, 자기디스크(1)의 수용자켓(3)을 삽입하는 삽입틀부(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의 중앙부에서 한측부에 걸쳐서, 메카샤시(11)의 중앙구멍(11a)과 창구멍(11b)에 연속해서 대응하는 창구멍(13d)이 형성되어서, 이 창구멍(13d)의 안끝쪽 근방에는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베어링편 (13e), (13f)가, 창구멍(13d)의 뒤쪽에는 록레버(21)의 축지지핀(22)이 각기 설치되며, 또한 뒤가장자리부에는 밀어올림레버(23)의 베어링편(13g), (13h)가 형성되고, 또한 양측부의 앞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축삽통구멍(13i1), (13j1)을 가진 베어링편(13i), (13j)가 세워 설치되고, 후부에는 훅(13k), (13ι)이 형성되어 있다.
패드플레이트(14)는 평면부에 메카샤시(11)의 창구멍(11b)과 대응해서 패드부착부(14a)와 대형 창구멍(14b)이 형성되고, 또한 양 측면부의 전후에는 캠슬라이더(12)의 캠편(12d), (12e), (12f), (12g)에 대응하여 롤러(24a), (24b), (24c), (24d)가 축지지되어 있으며, 앞가장자리의 대략 중앙부에는 걸어맞춤받이편 (14c)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측판(15) 및 (16)의 전후부에는 메카샤시(11)에 고정되는 고정부 (15a,), (15b) 및 (16a), (16b)가 형성되며, 또한 롤러(24a), (24b) 및 (24c), (24d)의 상하방향의 안내부(15c), (15d) 및 (16c), (16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카샤시(11)의 축지지핀(17)에는 자켓(케이스)(3)의 밀어내기레버 (25)가 캠슬라이더(12)의 윗면쪽에 위치하여 축지지되고, 이 밀어내기레버(25)는 관형(管形) 축지지부(25a)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ㄱ자형으로 절반부의 끝부분에 캠슬라이더(12)의 걸어맞춤돌출자(19)에 슬라이드접촉하는 원호형 슬라이드접촉면 (25b)과, 이 슬라이드접촉면(25b)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바깥쪽에서 당접하는 걸림돌출부(25c)가 형성되며, 다른 절반부는 메카샤시 중앙근방에 이르도록 연장되어서 그 끝부분에 누름돌출자(25d)가 세워 설치되고, 또한 중심축지지부(25a)에는 토션스프링(26)의 코일부가 끼워지고, 그 한끝(26a)은 걸림돌출부(25c)쪽에 형성된 걸어맞춤부(25e)에 걸어맞추는 동시에, 다른끝(26b)을 한쪽의 측판(15)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5e)에 걸어맞춤으로써, 밀어내기레버(25)는 다른 절반부가 항상 앞쪽 즉 메카샤시(11)의 중앙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편의(偏倚)되어 있다. 또한 축지지핀(18)에는 대략 T자형의 누름레버(27)가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수평변부(水平邊部)의 한끝에는 당접돌출자(27a)가 아래쪽으로 세워 설치되어서 캠슬라이더 (12)의 돌출변(12c)에 대응되고, 다른끝의 앞가장자리에는 돌기(27b)가 형성되어서 홀더(13)에 축지지되는 밀어올림레버(23)에 대응되어 있으며, 또한 수직변부(27c)는 축지지핀(18)의 근방에 위치하는 스프링지지핀(28)에 형성된 돌출가장자리(28a)에 당접하여 회전범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지지핀(28)에는 토션스프링(29)의 코일부가 끼워져서 한끝(29a)을 캠슬라이더(12)의 뒤끝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2h)에 걸어맞추고, 다른 끝부분(29b)를 다른쪽의 측판(16)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6e)에 걸어맞춤으로써 캠슬라이더(12)를 항상 앞쪽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편의되어 있다.
또한 메카샤시(11)에는 캠슬라이더(12)의 앞쪽 및 뒤쪽의 슬라이드를 규제하기 위해서 앞끝 및 후부에 규제핀(11c) 및 (11d)를 돌출 설치해 놓았다.
그리고 홀더(13)에는 베어링편(13e), (13f)에서 센터코어 누름레버(20)가 창구멍(3a)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이 레버(20)는 기부(基部)의 양측면에 후부에 테이퍼면(20a1), (20b1)을 가진 축돌출자(20a), (20b)가 돌출설치되는 한편, 자유단부(自由端部)측 아래면에는 자켓(3)의 개구(4a)에서 표출되는 센터코어(2)에 당접하는 돌출자(20c), (20d)가 돌출설치되며, 또한 자유단부에서 앞쪽으로 암부(20e)가 연장설치되어서 그 앞끝에 밀어올림면부(面部)(20f)가 형성되고, 이 밀어올림면부(20f)의 옆가장자리에 다시 밀어올림암(20g)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판스프링부재(30)에의해 항상 밑으로 눌리운다.
이 판스프링부재(30)는 기단부(基端部)(30a)의 중앙부에서 누름스프링편 (30b)이 연장되고, 또 양 옆부분에서 절곡탄성지지편(30c), (30d)가 연장되어 있고, 이 절곡탄성지지편(30c), (30d)의 앞끝은 바깥쪽으로 넓게 열린 형상으로 굴곡하고, 중앙부의 아래가장자리 쪽에는 절삭오목부(30e), (30f)를 형성해 놓았다. 그리고 이 판스프링부재(30)는 기단부(39a)를 홀더(13)의 베어링편(13e), (13f)의 뒤쪽에 위치하여 고정하고, 양 절곡탄성지지편(30c), (30d)를 베어링편(13e), (13f)의 측면에 당접시켜, 이 상태로 양 베어링편(13e), (13f)에 앞쪽으로 개방하여 형성한 걸어맞춤오목부(13e1), (13f1)와 절곡탄성지지편(30c), (30d)의 절삭오목부 (30e), (30f)에 의해 축구멍이 형성된다. 이 축구멍에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축돌출자 (20a), (20b)를 끼워 걸어맞추는데, 이 끼워걸어맞춤은 베어링편(13e), (13f)의 앞쪽에서 양 축돌출자(20a), (20b)를 판스프링부재(30)의 절곡탄성지지편 (30c), (30d)의 앞끝이 넓게 열린 굴곡부에 당접하고, 이 상태에서 밀어넣으면 양 절곡탄성지지편(30c), (30d)는 밀리어 열려져서, 양 축돌출자(20a), (20b)는 양 베어링편(13e), (13f)의 걸어 맞춤오목부(13e1), (13f1)에 삽입되고, 이 안끝까지 삽입되면 절곡탄성지지편(30c), (30d)의 절삭오목부(30e), (30f)에 대응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절곡탄성지지편(30c), (30d)는 그 편의력(偏倚力)에 의해 베어링편 (13e), (13f)에 당접하여 축돌출자(20a), (20b)를 베어링편(13e), (13f)와 함께 지지, 즉 절삭오목부(30e), (30f)와 걸어맞춤 오목부(13e1), (13f1)의 축방향의 겹쳐져서 축구멍이 형성되므로써, 축돌출자(20a), (20b)는 축지지되고,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베어링편 (13e), (13f)에 대하여 기복회전 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판스프링부재 (30)의 누름스프링편(30b)에 의해 탄성적으로 밑으로 눌리어 항상 밑으로 움직여 편의된다.
그리고 홀더(13)에 축지지핀(22)에서 축지지되는 록레버(21)는 훅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중앙부가 축지지되고, 한끝부(21a)는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밀어올림면부(20f)에 대응되어서 걸어맞춤돌출자(31)가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끝부(21b)에는 상술한 밀어내기레버(25)의 다른 절반부의 앞쪽에의 회전시에 누름돌출자(25d)가 맞닿는 당접부(21b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록레버(21)는 한끝부 (21a)가 항상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밀어올림면부(20f)의 아래쪽으로 이동편의되도록 토션스프링(32)에 의해 회전편의되어 있으며, 이 회전은 한끝부(21a)의 옆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편(21a1)이 홀더(13)의 윗면에 설치된 규제창구멍(13m)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홀더(13)의 뒤가장자리부의 베어링편(13g), (13h)에 축지지되는 밀어올림레버(23)는 축지지부(23a)에서 앞쪽으로 대략 수평으로 밀어올림편(23b)이 연장설치되어서, 앞끝부가 상술한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밀어올림암(20g)의 아래쪽에 위치되고, 또한 축지지부(23a)의 뒷부분에서 아래쪽으로 대략 수직으로 한쪽방향으로 연장되어 당접편(23c)이 형성되어서 그 뒷면이 상술한 누름레버(27)의 돌기(27b)와 캠슬라이더(12)의 밀어누름편(12b)에 대응된다. 그리고 이 경우, 당접편(23c)에 대하여 캠슬라이더(12)의 밀어누름편(12b)은 홀더(13)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강된 상태에서 대응된다.
패드플레이트(14)의 패드부착부(14a)의 내면쪽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카샤시(11)측의 자기헤드(9)와 대응하여 패드부재가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각 부재가 구비된 메카샤시(11), 캠슬라이더(12), 홀더(13) 및 패드플레이트(14)는 메카샤시(11)에 양 측판(15), (16)을 고착한 상태에서 상술한 각 부재와의 대응관계로 설정하여 차례로 배치하며, 이 배치에 있어서 홀더(13)의 양 측면의 앞부분에 세워 설치한 베어링부(13i), (13j)를 패드플레이트(14)의 앞쪽부분의 슬릿구멍(14d), (14e)에 삽통하고, 또 후부의 훅(13k), (13l)을 뒷쪽부분의 받이편(14f), (14g)에 걸어맞추고, 그리고 홀더(13)의 베어링편(13i), (13j)의 축삽통구멍(13i1), (13j1)에 중앙부에 굴곡부(33a)를 가진 연결축(33)을 삽통하여 굴곡부(33a)에 패드플레이트(14)의 앞가장자리의 걸어맞춤편(14c)를 아래쪽에서 걸어맞추므로써 홀더(13)와 패드플레이트(14)를 상하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된 홀더(13)와 패드플레이트(14)를 메카샤시(11)에 대하여 상술과 같이 전후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슬라이드가능한 캠슬라이더(12)상에 얹어놓고 패드플레이트(14)의 양 측면의 롤러(24a), (24b) 및 (24c), (24d)를 캠편(12d), (12e) 및 (12f), (12g)상에 대응시키는 동시에, 각 캠축을 양 측판(15) 및 (16)의 상하방향의 안내부(15c), (15d) 및 (16c), (16d)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양 측판(15), (16)의 앞부분의 하부와 홀더(13)의 양측부에 돌출설치한 걸어맞춤편 (13n), (13o)와의 사이 및 뒷부분의 하부와 패드플레이트(14)의 양측부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 (14h), (14i)와의 사이에 텐션코일스프링(34a), (,34b) 및 (34c), (34d)를 팽팽히 걸쳐서 하강편의시키고, 롤러(24a), (24b) 및 (24c), (24d)를 캠슬라이더(12)의 캠편(12d), (12e) 및 (12f), (12g)에 전접(轉接)시킨다.
그리고, 패드플레이트(14)의 측부에는 하강조절나사(35a), (35b)가 나사식으로 끼워져서 메카샤시(11)의 측부에 돌출설치한 기준핀(36a), (36b)에 축방향으로 대응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메카샤시(11)에 대하여 캠슬라이더(12), 홀더(13), 패드플레이트(14)를 맞붙이고, 이 상태로 도시하지 않으나 바깥상자체에 수납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기디스크(1)를 수용한 자켓(케이스)(3)의 비장진상태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켓 밀어내기레버(25)는 토션스프링(26)의 편의력에 의해 앞쪽으로 회전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토션스프링(29)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뒤쪽으로 슬라이드되고 있는 캠슬라이더(12)는 걸어맞춤돌출자(19)가 밀어내기레버(25)의 슬라이드접촉면(25b)과 걸림돌출부(25c)와의 사이에 걸어 맞추어져서 록되고 있다. 이 상태로 누름레버(27)는 한끝의 당접돌출자(27a)가 캠슬라이더(12)의 돌출편 (12c)에 의해 토션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회전되어서 다른 끝의 돌기(27b)가 밀어올림레버(23)의 당접편(23c)을 누르고, 이 때문에 밀어올림레버(23)는 축지지부(23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밀어올림편(23b)가 위로 들린다. 이에 따라서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밀어올림암(20g)을 통해 판스프링부재 (30)의 누름스프링편(30b)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들어올려져 회전되고, 이 상태로 밀어올림면부(20f)의 아래쪽에 토션스프링(32)에 의해 회전편의되어 있는 록레버(21)의 한끝부(21a)가 삽입되고 걸어맞춤돌출자(31)가 옆가장자리에 당접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캠슬라이더(12)가 뒤쪽으로 슬라이드되어서 록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캠편(12d), (12e), (12f), (12g)가 패드플레이트(14)의 롤러(24a), (24b), (24c). (24d)에 높은 위치의 가장자리에서 당접되며, 이 때문에 패드플레이트(14)는 홀더(13)와 일체적으로 인장코일스프링(34a), (34b), (34c), (34d)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들어올려져 있으며, 이 상태로 홀더(13)의 자켓 삽입틀부(13c)내에 자켓 밀어내기레버(25)의 누름돌출자(25d)가 면하고 있다.
그래서 자기디스크 자켓(3)의 홀더(13)의 자켓 삽입틀부(13c)에 대한 삽입을 개시하면, 자켓(3)의 뒤끝면이 밀어내기레버(25)의 누름돌출자(25d)에 맞닿고, 더욱 삽입을 지속하므로써 밀어내기레버(25)는 토션스프링(26)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회전되며, 자켓(3)이 속끝까지 삽입되면 밀어내기레버(25)는 크게 회전되어서, 이 때문에 슬라이드접촉면(25b)이 캠슬라이더(12)의 걸어맞춤돌출자(19)에서 격리되며 캠슬라이더(12)의 록이 해제된다.
또한 이 자켓(3)의 삽입시, 자켓(3)에 구비된 셔터(6)가 개방되어서 창구멍 (5a) 및 (5b)로부터 수용자기디스크(1)의 일부가 표출되고, 이 표출부의 아래면쪽은 캠슬라이더(12)의 창구멍(12b)을 통하여 메카샤시(11)의 창구멍(11b), 즉 자기헤드(1)에 대응되며, 또한 노출부의 윗면쪽은 홀더(13)의 창구멍(13d)을 통하여 패드플레이트(14)에 부착된 패드부재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캠슬라이더(12)는 록이 해제되므로써 토션스프링(29)의 편의력으로 앞쪽으로 슬라이드되고, 이 슬라이드에 의해 누름레버(27)는 돌출편(12c)에 의한 누름이 해제되어서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회전되어서 밀어올림레버(23)에서 격리되고, 이 때문에 밀어올림레버(23)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서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밀어올림을 해제, 즉 록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누름스프링편(30b)의 편의력에 의해 밑으로 움직여서, 돌출자(20c), (20d)가 창구멍(13d)을 통하여 자켓(3)의 개구(4a)에서 센터코어(2)를 누른다.
이 동작시, 즉 캠슬라이더(12)의 앞쪽에의 슬라이드에 의해 캠편(12d), (12e), (12f), (12g)는 패드플레이트(14)의 롤러(24a), (24b), (24c), (24d)에 그 뒤쪽 경사가장자리(12d1), (12e1), (12f1), (12g1)가 대응하게 되므로, 홀더(13)와 패드플레이트(14)는 일체적으로 인장코일스프링(34a), (34b), (34c), (34d)의 편의력에 의해 하강되고, 자켓(3)도 함께 하강되어서 센터코어(2)가 캠슬라이더(12)의 중앙구멍(12h)에서 돌출상태에 있는 스핀들(8)에 대응되며, 이 센터코어(2)는 상술과 같이 센터코어 누름레버(20)에 눌리어지므로써 스핀들(8)에 밀어 넣어진다.
이 홀더(13)와 패드플레이트(14)의 하강은 조절나사(35a), (35b)와 메카샤시 (11)측의 기준핀(36a), (36b)와의 당접에 의해 규제되어서 이 당접후에는 캠슬라이더(12)의 앞쪽에의 슬라이드에 관계없이 소정위치에 지지된다.
그리고 캠슬라이더(12)가 더욱 앞쪽으로 슬라이드되므로써 밀어누름편(12b)이 밀어올림레버(23)의 당접편(23c)을 앞쪽으로 크게 밀고, 이 때문에 밀어올림레버(23)는 회전되어서 밀어올림편(23b)이 위로 들리며, 이 기상량은 상술한 초기 기상량보다 크고, 이에 따라서 센터코어 누름레버(20)도 밀어올림암(20g)을 통해서 높이 들어올려져서 아래쪽으로 록레버(21)가 더욱 깊이 파고 들어가며, 밀어올림면부(20f)의 아래면쪽에 걸어맞춤돌출자(31)가 대응되어서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록상태에 있고, 이 상태로 캠슬라이더(12)를 뒤쪽으로 중도 반끝에 슬라이드, 즉 후술하는 이젝트동작에 이르지 않는 범위로 슬라이드시켜도 록레버(21)가 회전되지 않는한 록상태는 지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센터코어 누름레버(20)가 높이 들어올려지면 돌출자(20c), (20d)가 센터코어(2)에서 격리되고, 센터코어(2) 즉 자기디스크(1)는 아무런 저항을 받지않고 스핀들(8)에 의해 회전되며, 자기헤드(9)의 슬라이드접촉에 의하여 기록재생이 행하여진다.
이때, 록레버(21)의 다른끝부(21b)의 당접부(21b1)는 밀어내기레버(25)의 누름돌출자(25d)의 이동궤적상에 면하고 있으며, 또한 캠슬라이더(12)의 걸어맞춤돌출자(19)는 밀어내기레버(25)의 절반부의 안쪽가장자리에 당접된 상태에 있다.
이 기록재생동작후, 자켓(3)을 꺼내는 이젝트동작은 캠슬라이더(12)를 그 누름편(12a)에 부착한 버튼(37)을 세게 누르고, 토션스프링(29)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캠편(12d), (12e), (12f), (12g)가 롤러(24a), (24b), (24c), (24d)를 통해서 홀더(13)와 일체적으로 패드플레이트(14)를 인장코일스프링 (34a), (34b). (34c), (34d)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밀어올리며, 한편 밀어누름편 (12b)이 밀어올림레버 (23)의 당접편(23b)에서 뒤쪽으로 격리되므로 밀어올림레버 (23)는 회전자유롭게 되며, 밀어올림편(23b)에 의한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밀어올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밀어올림면분(20f)의 아래면쪽에 록레버(21)의 걸어맞춤돌출자(31)가 위치하여 밀어올리고 있기 때문에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록된 상태에 있으며, 센터코어(2)에 대하여 밑으로 누르는 힘은 작용되지 않고, 센터코어(2)는 홀더(13)의 밀어올림동작에 의하여 스핀들(8)에서 용이하게 격리된다.
그리고 캠슬라이더(13)가 뒤쪽 종단까지 슬라이드되면 걸어맞춤돌출자(19)는 밀어내기레버(25)의 절반부의 안쪽 가장자리에서 떨어지고, 이 때문에 밀어내기레버(25)는 토션스프링(26)의 편의력에 의해 앞쪽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이때 캠슬라이더(13)의 돌출편(12c)이 누름레버(27)를 눌러서 회전시키고, 밀어올림레버(23)의 밀어올림편(23b)를 위로 들려진 상태로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밀어내기레버(25)가 회전하므로써 누름돌출자(25d)가 자켓(3)을 밀어 홀더(13)의 삽입틀부(13c)내를 앞쪽으로 이동시키고, 이 밀어내기레버(25)의 회전도중에, 록레버(21)의 당접부(21b1)에 누름돌출자(25d)가 맞닿고, 이 때문에 록레버(21)는 토션스프링(32)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회전되어서 걸어맞춤돌출자(31)가 센터코어 누름레버(20)의 밀어올림면부(20f)의 아래면쪽에서 격리된다. 이 동작에 의하여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록이 해제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밀어올림레버 (23)는 밀어올림편(23b)이 위로 들리도록 회전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밀어올림편 (23b)에 밀어올림암(20g)이 당접하여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지지되고, 즉 초기스트록으로 되돌아가 돌출자(20c), (20d)가 자켓(3)에서 격리되어서 자켓(3)의 밀어내기 이동은 지장없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밀어내기레버(25)는 회전되고 걸림돌출부(25c)가 캠슬라이더 (12)의 걸어맞춤돌출자(19)에 맞닿으므로써 회전이 정지되며, 이 상태에서 자켓(3)을 밀어내게 되며, 한편 캠슬라이더(12)는 뒤끝까지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걸어맞춤돌출자(19)가 밀어내기레버(25)의 슬라이드접촉면(25b)과 걸림돌출부 (25c) 사이에 걸어맞추어지므로써 록되어서 전체적으로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자켓(3)의 장진전에 있어서는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소요위치까지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되어서 자켓(3)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 자켓(3)의 삽입완료시점부터, 즉 캠슬라이더(12)의 앞쪽 슬라이드에 의하여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밑으로 움직이기 시작하여 센터코어(2)에 당접하고, 이 자켓(3)을 삽입지지한 홀더(13)의 하강에 의하여 센터코어(2)에 대한 당접력이 증대하여 최하강위치에서는 당접력이 최대로 되어서 스핀들(8)에 압접된다. 그리고 센터코어 (2)가 스핀들(8)에 확실하게 끼워 맞추어 지지되고, 캠슬라이더(12)가 더욱 앞쪽으로 슬라이드하므로써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들어올려져서 센터코어(2)에서 격리되고, 자기디스크(1)는 지장없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자기디스크(1)의 장진동작은 자켓(3)을 지지한 홀더(13)의 하강과, 센터코어(2)의 센터코어 누름레버(20)에 의한 스핀들(8)쪽에의 눌러 끼워맞춤 및 그 끼워맞춘 다음의 누름해제의 타이밍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어서 자기디스크 (1)의 기록재생동작으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자기디스크(1)의 이젝트동작은 캠슬라이더(12)의 밀어넣음 슬라이드에 의한 홀더(13)의 상승동작에 있어서, 그 상승개시로부터 소정의 동안에는 센터코어 누름레버(20)는 큰 스트록으로 들어올려지고, 또 그 후에는 스트록은 작아지나 들어올려진 상태를 지속하며, 센터코어(2)에는 아무런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고 상승된 홀더(13)에서 자켓(3)이 원활하게 밀어내어진다.
그리고 이상의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원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재에 의하여 기록디스크의 수용자켓을 삽입지지하는 홀더부재를 회전구동부측에서 격리하는 동작과, 자켓을 홀더부재에서 밀어내는 밀어내기부재의 동작과의 타이밍을 잡고, 홀더부재가 회전구동부측에서 소정부위까지 격리된 후, 이 홀더부재에서 자켓을 밀어내기부재로 밀어내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기록디스크의 언로딩시의 이젝트가 항상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부재와 밀어내기부재와의 타이밍은 조작부재만으로 잡는 구성이고, 구조가 간단하다.

Claims (1)

  1. 기록디스크가 삽입지지되는 홀더부재와, 이 홀더부재를 회전구동부에 대하여 접촉격리 동작시키는 조작부재와, 상기 홀더부재에서 상기 기록디스크를 밀어내는 밀어내기부재와, 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재의 격리동작과 상기 밀어내기부재의 밀어내는 동작을 상기 조작부재에 의하여 타이밍을 잡아 연동하여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KR1019870011826A 1987-10-24 1987-10-24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KR960001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826A KR960001257B1 (ko) 1987-10-24 1987-10-24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826A KR960001257B1 (ko) 1987-10-24 1987-10-24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276A KR890007276A (ko) 1989-06-19
KR960001257B1 true KR960001257B1 (ko) 1996-01-24

Family

ID=1926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826A KR960001257B1 (ko) 1987-10-24 1987-10-24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2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276A (ko) 198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4585B1 (en) Magnetic tape cassette loading system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664821B2 (ja) 記録媒体の装着装置
KR100432600B1 (ko) 디스크카트리지의로딩장치
KR960001257B1 (ko)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KR960001256B1 (ko)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디스크 장진장치
JPH0580747B2 (ko)
EP0774755B1 (en) Magnetic recording-playback apparatus for cassettes of two different sizes
JP257647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US6487159B1 (en) Disc player
JP2707571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駆動装置
JP2616501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S63113961A (ja) 記録再生装置の記録デイスク装填装置
JP3127579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着脱装置
JP2001143339A (ja) カセットホルダー
JPH0633531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36267B2 (ja) 記録又は再生装置
JPH0430694Y2 (ko)
JPH064445Y2 (ja) デイスク用カセツト支持装置
JP3594408B2 (ja) 情報記録ディスクの記録再生装置
JPS63113964A (ja) 記録再生装置の記録デイスク装填装置
JP2967059B2 (ja) カートリッジのローディング機構
KR0155772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JP2521913B2 (ja) テ−プレコ−ダ
JPS60191465A (ja) 記録又は再生装置
JPS5828661B2 (ja) 記録円盤の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