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21B1 -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21B1
KR960001021B1 KR1019920022273A KR920022273A KR960001021B1 KR 960001021 B1 KR960001021 B1 KR 960001021B1 KR 1019920022273 A KR1019920022273 A KR 1019920022273A KR 920022273 A KR920022273 A KR 920022273A KR 960001021 B1 KR960001021 B1 KR 96000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etergent
weight
starting materi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168A (ko
Inventor
헨드리쿠스 엠. 악커만스 요하네스
오이저 휴이그
즈와이에 크리스토프
레오나르두스 제이. 스윈켈스 페트루스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7052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10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 브이
Publication of KR93001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53Layer silicates, e.g. talcum, kaolin, clay, bentonite, smectite, montmorillonite, hectorite or attapulg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11D11/0082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one or more of the detergent ingredients being in a liquefied state, e.g. slurry, paste or melt, and the process resulting in solid detergent particles such as granules, powders or b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11D17/065High-density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8Aluminium silicates, e.g. 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벌크 밀도가 높고 분말 특성이 우수한 과립형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세제 조성물, 특히 세제 활성도가 높은 세제 조성물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과립형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세제 산업 분야에 있어서 벌크 밀도가 비교적 높은, 예를 들면 600g/ι이상인 세제 분말의 제조에 상당한 관심이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세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주요한 두 가지 형태의 방법이 있다. 첫 번째 유형의 제조 방법은 분무 건조탑 내에서 수성 세제 슬러리를 분무 건조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 유형의 제조 방법은 여러 가지 성분을 건식 혼합시킨 후, 임의로 액체 물질, 예를 들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함께 응집시키는 것이다.
세제 분말의 벌크 밀도를 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건식 혼합 공정의 경우는 출발 물질의 벌크 밀도이고, 분무 건조 공정의 경우는 슬러리의 화학적 조성이다. 두 인자 모두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벌크 밀도의 실질적인 증가는 세제 분말의 밀도를 높이는 추가의 공정 단계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밀도화를 가져오는 몇가지 공정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특히, 분무탑 공정 이후의 처리에 의한 분무 건조 분말의 고밀도화에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세제 활성 성분으로서의 알킬 술페이트를 함유하는 고밀도 세제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러한 형태의 활성 세제 물질이 신속히 생분해되므로 환경보호상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공개 제337 330호(헨켈)에는 음이온계 및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물질을 상당량 함유하는 고벌크 밀도의 세제 분말의 연속식 제조 방법으로서, 분무 건조된 세제 물질을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물질을 첨가하면서 고속 혼합기 내에서 혼합기내 평균 체류 시간 10 내지 60초로 처리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는 알킬 술페이트에 대한 언급이 없다.
유럽 특허 공개 제265 203호(유니레버)에는 음이온계 및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 문헌에는 상기 조성물을 고체 미립자 흡수 물질에 분무시키는 것인, 상기 물질의 사용법도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에는 알킬 술페이트가 흡수 물질에 분무되는 계면 활성제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 분명히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점정은 이러한 방식으로 혼입될 수 있는 활성 세제 물질의 양이 제한적이라는 것과,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이 가해지는 미립자 고체 물질이 반드시 흡수성 물질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활성 세제 물질의 함량이 높을 때 분말 특성이 저하된 점착성 세제 분말이 제조되기가 쉽다는 것이다.
또한, 고활성 알킬 술페이트 함유 과립을 미리 제조하고, 이러한 과립을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농축 기재 분말에 차후에 첨가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고활성 알킬 술페이트 함유 세제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제조 방법은 관심을 끄는 방법은 아니다. 그 이유는 이러한 방법은 별도로 상당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수성 알킬 술페이트 페이스트의 개별 건조 단계를 요하거나, 또는 유럽 특허 공개 제402 112호(P&G)에 게재된 바와 같이, 상기 고활성 세제 입자에 9개 이상의 에틸렌 옥사이드기를 갖는 에톡실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물질과 같은, 생분해성이 낮은 첨가물인 비-세제 활성 물질을 배합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벌크밀도가 650g/ι 이상이고, 활성 세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고벌크 밀도의 과립형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 세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고벌크 밀도의 과립형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경 보호상 바람직하고 또한 에너지가 적게 드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활성 세제 성분의 하나로서 알킬 술페이트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 및 또다른 목적이, 고속 혼합기/고밀도화기 내에서 미립자 출발 물질을 처리하는 중에 알킬 술페이트 및 알콕실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계면 활성제계를 상기 미립자 출발 물질과 친밀히 혼합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국면으로서, (a) 5 내지 60중량%의 나트륨 또는 칼륨 알킬 술페이트 ; (b) 40 내지 95 중량%의 알콕실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및 (c) 그 나머지로서 0 내지 20중량%이하의 물로 이루어지는, 과립형 세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0중량%의 계면 활성제 조성물을 미립자 출발 물질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혼합기/고밀도화기 내에서 미립자 출발 물질을 처리하여 650g/ι이상의 벌크 밀도를 갖는 과립형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국면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입자 공극율이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인 과립형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 세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고벌크 밀도의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조 방법의 중요한 특징은 세제 물질이 전공정을 통하여 입자 또는 과립 현태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케이킹(caking) 및 덩어리를 형성하는 현상(balling)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최종 제품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의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 공정중에, 알킬 술페이트 및 알콕실화,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을 고속 혼합기/고밀도화기 내에서 미립자 출발 물질과 친밀히 혼합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응집화 공정으로서, 미립자 출발 물질이 액체 계면 활성제 물질에 의해 응집되어 미립자 출발 물질 및 계면 활성제상을 함유하는 세제 입자가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이 계면 활성제상은 미립자 출발 물질에 대한 결합제로서 작용한다.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이 미립자 출발 물질내로 흡수되는 공정에 비하면 이러한 응집한 공정은 이러한 응집에 의해 훨씬 더 많은 양의 액체 계면 활성제 물질이 제조될 세제 분말에 혼입될 수 있으며 동시에 우수한 분말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응집화 공정은 연속식 공정으로서 또는 배치식 공정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경제적인 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의 공정은 고속 혼합기/고밀도화기 내에서 연속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평균 체류시간은 약 5-30초이다.
또한, 중요한 것은 응집화 공정이 잘 조절된 견고한 공정이므로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입자 크기를 가지며 현재 시판중인 세제 분말에 필적할만한 분말 특성을 갖는 세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분말 특성을 갖는 세제 분말을 얻기 위해서는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에 생성되는 총액체 조성물의 점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1종 이상의 성분을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성분을 첨가하므로써 일반적으로 상기 점도를 인자 5 이상까지, 바람직하게는 인자 10이상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자 100 이상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0.1 내지 20 S-1사이의 전단 속도에서 하크 점도계 (Haake Viscometer)로 측정]. 점도가 증가한 결과, 응집화 공정을 보다 잘 조절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세제 물질은 보다 우수한 분말 특성을 가졌다.
상기한 점도 증가 성분의 예로는 물 및 특히, 지방산을 중화시켜 결과적으로 비누를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화학량론적인 양의 알칼리성 물질(예, 가성 소다)과 혼합된 지방산이 있다.
벌크 밀도가 매우 높은 분말을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세제 분말을 변형가능한 상태로 되거나 그 상태로 유지되며 평균 체류 시간이 1 내지 10분인, 중간 속도의 과립화기/고밀도화기 내에서의 제2단계로 처리한 후, 유럽 특허 공개 제367,339호 기재된 바와 같이 건조 및 (또는) 냉각 장치 내에서의 제3단계로 더 처리할 수 있다.
미립자 출발 물질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미립자 출발 물질의 화학적 조성면에서 매우 융통성이 있다. 이러한 물질에는 빌더 및 세제 활성 물질과 같이, 세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함유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 뿐만 아니라 인산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리고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활성 세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도 미립자 출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출발물질에 존재하는 세척력 빌더는 세탁액중 유리 칼슘 이온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어느 물질이라도 무방하며, 조성물에 기타 이로운 특성, 예를 들면 알칼리성 pH의 형성, 직물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의 현탁 및 직물 연화 점토 물질의 현탁 등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빌더의 예로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 중탄산염, 오르토인산염과 같은 침전성 빌더, 알칼리 금속 트리폴리인산염 또는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염과 같은 봉쇄제 빌더 또는 무정형 알칼리 금속 알루미노규산염이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이온 교환 빌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방해석/탄산 나트륨으로 형성된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빌더 물질은 미립자,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가 10미크론 미만인 입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벌크밀도가 매우 높은 세제 분말을 제조하는 경우, 총 과립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10중량%에 달하는 빌더 물질의 일부를,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중간 속도의 과립화기/고밀도화기 내에서 세제 분말이 추가로 처리되는 제2단계중에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대해서는 유럽 특허 공개 제390215호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출발 물질에 존재하는 빌더 물질의 양은 과립형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7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발 물질에 존재하는 세제 활성 물질은 음이온계, 양쪽성, 쯔비터이온계, 비이온계 세제 활성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합성 음이온계 세제 화합물의 예로는 나트륨 및 칼륨(C9-C20) 알킬벤젠 술포네이트, 특히 나트륨 선형 2급(C10-C15)알킬벤젠 술포네이트; 및 나트륨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술페이트, 특히 탤로우 또는 코코넛유로부터 유도된 고급 알콜 및 석유로부터 유도된 합성알콜의 에테르 물질 등이 있다. 미립자 출발 물질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비이온계 세제 화합물은 특히 소수성기와 반응성 수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예, 지방족 알콜, 산, 아미드 또는 알킬 페놀)과 알킬렌 옥사이드(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단독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계 세제 화합물로는 분자당 보통 5 내지 25단위의 에틸렌 옥사이드, 즉 5 내지 25EO를 갖는, (C6-C22) 알킬 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및 지방족(C8-C18) 1급 또는 2급 선형 또는 분지쇄 알콜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일반적으로 5 내지 40EO)이다. 출발 물질에 존재하는 세제 활성 물질의 농도는 0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이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미만이다.
미립자 출발 물질에 존재하는 물질의 또다른 예로는 형광제 ;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재침착 방지제 ; 지방산 ; 황산나트륨과 같은 충전제 ; 및 카올린 또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점토 물질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미립자 출발 물질은 분무 건조법 또는 건식 혼합법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출발 물질의 성분들은 혼합기/고밀도화기내에 개별적으로 가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 제조 방법의 장점중 하나는, 값비싼 분무 건조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건식 혼합된 또는 비처리된 출발 물질로부터 고벌크 밀도의 고활성 세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편, 출발 물질중 1종 이상의 성분은 고속 혼합기 내에서 분무 건조, 과립화 또는 동일 반응기내 중화에 의해 제조되는 고체 성분상으로 흡수되는 액체의 부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계면 활성제계
혼합기/고밀도화기 내에서 미립자 출발 물질내로 혼합되는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은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나트륨 또는 칼륨 알킬 술페이트), 알콕실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및 물로 이루어진다. 사용되는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의 양은 제조될 과립형 세제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계면 활성제 조성물은 알킬 술페이트를 30중량% 이하로 함유하며 물을 가능한 한 적게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알킬 술페이트 대 알콕실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중량비가 0.125 : 1 내지 0.5 : 1인 조성물이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는 에톡실화되거나 혼합 에톡시-프로폭실화 1급 또는 2급 지방족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는 에톡실화 1급 알콜, 특히 알콜 분자당 2 내지 25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C8-C151급 알콕이다.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중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성분은 나트륨 또는 칼륨 알킬 술페이트 염이다. 적합한 알킬 술페이트는 나트륨 C12-C18알킬 술페이트, 특히 1급 알킬 술페이트이지만, 상기 탄소 사슬 길이 범위외의 다른 알킬 술페이트, 및 칼륨 알킬 술페이트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에 생성되는 총 액체 조성물의 점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조성물은 갖는 1종 이상의 성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의 총 첨가량은 총 액체 조성물의 20중량% 정도로 높을 수 있으며, 2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화 공정 및 최종 고밀도 분말
본 발명자들은 최적의 고밀도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유럽특허 제367,33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미립자 출발 물질에 3단계 고밀도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고밀도화 분말은 입자 공극율이 1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말은 자체로서 세제 분말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분말에 각종 추가 성분을 첨가하므로써 보다 효능있는 제품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나중에 첨가되는 물질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고밀도화 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200중량%이다.
고밀도화 분말에 차후에 첨가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효소, 표백제, 표잭제 전구물질, 표백 안정화제, 거품 억제제, 향료 및 염료가 있다. 액체 및 페이스트상 성분은 일반적으로 무기물인 고체 다공질 입자에 흡수시킨 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밀도화 분말에 첨가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제조 방법은 다음의 비한정적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모든 부 및 퍼센트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에 사용된 약어는 다음과 같다.
PAS: 1급 알킬 술페이트, C12-C181급 알킬 황산의 나트륨염
NI: C12-C14비이온계 계면 활성제[평균 5개의 EO기를 함유하는 에톡실화 알콜, 콜브(Kolb)사 제품]
카르보네이트:탄산나트륨, 아크조(AKZO)사 제품
실리케이트 : 나트륨 알칼리성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 제올라이트 A4[웨살리쓰(Wessalith : 상표), 데구사(Degussa)사 제품]
비누 : C16-C22지방산의 나트륨염, 유니케마(Unichema)사 제품
중합체 : 소칼란(Sokalan) CP5/7(상표) 형태의 중합체, BASF사 제품
술페이트 : 황산 나트륨
비교 실시예 A, B
수성 슬러리를 분무 건조시켜 다음과 같은 제올라이트 함유 세제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다공질 과립의 조성(중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과립은 자유로이 유동되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약 300미크론이다.
이 과립을 연속식 저속 혼합기내에 직접 공급하였다. 두 조성물의 경우 회전 속도는 약 30rpm이었으며, 혼합기 내에서의 과립의 평균 체류 시간은 약 2분이었다. 이 장치 내에서, 20중량%의 PAS와 80중량%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혼합물을 과립의 거의 포화될 때까지 과립상에 분무시켰다. 이 단계에서 과립형 세제 물질의 자유 유동성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세제 과립의 조성 및 물질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표 2]
수득가능한 분말 특성의 면에서 분무될 수 있는 세제 활성 물질의 최대량은 25중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혼합기 내에서의 처리 이전과 이후의 세제 과립의 입자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응지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고체 물질의 입자 크기가 200미크론 이하인 몇가지 세제 성분을 배치식 고속 혼합기/고밀도화기내에 공급하였다. 배치식 혼합기/고밀도화기 내에서의 과립 세제 혼합물의 평균 체류 시간은 약 3분이었다. 배치식 혼합기/고밀도화기로부터 유출되는 과립형 세제 분말의 조성을 표3에 나타내었다.
[표 3]
이렇게 하여 제조된 과립형 세제 조성물은 우수한 분말 특성(DFR이 101ml/s임)과 약 770g/ι의 벌크 밀도를 가졌다.
이로부터 제조된 세제 분말에 존재하는 활성 세제 물질의 양(즉, 26.8중량%)은 비교 실시예에서 얻어진 양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3
고체 물질이 입자 크기가 200미크론 이하인 몇가지 세제 성분을 연속식 고속 혼합기/고밀도화기인 뢰디게 리사이클러 CB30(Lodige Recycler CB30, 상표명) 내에 공급하였다. 회전 속도는 1600rpm이었다. 뢰디게 리사이클러 내에서의 과립 혼합물의 평균 체류 시간은 약 10초였다.
뢰디게 리사이클러로부터 유출되는 과립상 물질의 조성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이렇게 하여 제조도니 과립형 세제 조성물은 우수나 분말 특성을 가졌으며, 벌크 밀도가 약 700g/ι이고 입자 크기가 500 내지 600미크론이다.
얻어진 세제 분말에 존재하는 활성 세제 물질의 양은 각각 30.8중량% 및 30.0중량%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세제 물질 농도는 비교 실시예의 경우보다 훨씬 높으며,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활성 세제 물질 농도로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리사이클러에 공급되는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에 점도 증가물질로서 화학량론적인 양의 가성 소다와 함께 지방산을 혼입시킨 결과이다. 혼합/고밀도화 공정중에 이들 물질로부터 비누가 형성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0)

  1. (a) 5 내지 60중량%의 나트륨 또는 칼륨 알킬 술페이트; (b) 40 내지 95중량%의 알콕실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및 (c) 그 나머지로서 20중량% 미만의 물로 이루어지는, 과립형 세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0중량%의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을 미립자 출발 물질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혼합기/고밀도화기 내에서 미립자 출발 물질을 처리하여 650g/ι 이상의 벌크 밀도를 갖는 과립형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이 연속식으로 수행되며, 고속 혼합기/고밀도화기 내에서의 평균 체류 시간은 5 내지 3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출발 물질과 혼합되는 액체 계면 활성제계의 양이 20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 이외에도 1종 이상의 성분이 출발 물질과 혼합되며, 상기 성분은 생성되는 총 액체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 성분이 지방산과 함께 지방산을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화학량론적인 양의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 성분의 총량이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총액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2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미립자 출발 물질을 (i) 변형가능한 상태로 되게 하거나 그 상태로 유지시키고 평균 체류 시간이 약 1 내지 10분인, 중간 속도의 과립화기/고밀도화기 중에서의 제2단계, 및 (ii) 건조 및 (또는) 냉각 장치중에서의 제3단계로 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에 존재하는 성분 (a)가 나트륨 C12-C181급 알킬 술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액체 계면 활성제 조성물에 존재하는 성분 (b)가 일반식 R(OC2H4)nOH(여기서, R은 C8-C15알킬기이고, n은 2 내지 25임)의 에톡실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입자 공극율이 10% 미만인, 제1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한 과립형 세제 조성물.
KR1019920022273A 1991-11-26 1992-11-25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960001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25035.7 1991-11-26
GB919125035A GB9125035D0 (en) 1991-11-26 1991-11-26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168A KR930010168A (ko) 1993-06-22
KR960001021B1 true KR960001021B1 (ko) 1996-01-17

Family

ID=1070520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273A KR960001021B1 (ko) 1991-11-26 1992-11-25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92022274A KR950013924B1 (en) 1991-11-26 1992-11-25 Detergent composition
KR1019930000453A KR960001018B1 (ko) 1991-11-26 1993-01-15 세제 조성물
KR1019930000454A KR960001019B1 (ko) 1991-11-26 1993-01-15 세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274A KR950013924B1 (en) 1991-11-26 1992-11-25 Detergent composition
KR1019930000453A KR960001018B1 (ko) 1991-11-26 1993-01-15 세제 조성물
KR1019930000454A KR960001019B1 (ko) 1991-11-26 1993-01-15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544365B1 (ko)
JP (1) JP2837325B2 (ko)
KR (4) KR960001021B1 (ko)
AU (1) AU2854792A (ko)
BR (1) BR9204571A (ko)
CA (1) CA2083332C (ko)
DE (1) DE69203217T2 (ko)
ES (1) ES2075600T3 (ko)
GB (2) GB9125035D0 (ko)
IN (1) IN177135B (ko)
MY (1) MY108256A (ko)
SA (3) SA93130528B1 (ko)
TW (2) TW232704B (ko)
ZA (2) ZA929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9639B2 (en) * 1993-08-17 2010-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percarbonate bleaching agents
ATE188991T1 (de) * 1993-09-13 2000-02-15 Procter & Gamble Granulare waschmittelzusammensetzungen mit nichtionischem tensid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GB9323300D0 (en) * 1993-11-11 1994-01-05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IL108500A (en) * 1994-01-31 1998-06-15 Zohar Detergent Factory Fatty alcohol sulphates in granular form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W326472B (en) * 1994-08-12 1998-02-11 Kao Corp Method for producing nonionic detergent granules
CA2200856C (en) * 1994-09-29 2005-06-07 Feng-Lung Gordon Hsu High active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CA2208038C (en) * 1994-12-22 2004-01-27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GB9513327D0 (en) * 1995-06-30 1995-09-06 Uniliver Pl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detergent composition
GB9526097D0 (en) * 1995-12-20 1996-02-21 Unilever Plc Process
GB9625066D0 (en) * 1996-12-02 1997-01-22 Unilever Pl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detergent composition
GB0111862D0 (en) 2001-05-15 2001-07-04 Unilever Plc Granular composition
GB0111863D0 (en) 2001-05-15 2001-07-04 Unilever Plc Granular composition
US7446085B2 (en) 2002-09-06 2008-11-04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particles
EP1832648A1 (en) 2006-03-08 2007-09-12 Unilever Plc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nd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4628A1 (de) * 1985-02-11 1986-08-14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ieselfaehigen granulats
JPS6262899A (ja) * 1985-09-13 1987-03-19 花王株式会社 高密度粒状洗剤組成物
GB8625104D0 (en) * 1986-10-20 1986-11-26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GB8810193D0 (en) * 1988-04-29 1988-06-02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 process for preparing them
JP2547444B2 (ja) * 1988-05-12 1996-10-23 旭電化工業株式会社 濃縮高比重衣料用粉末洗剤
EP0367339B1 (en) * 1988-11-02 1996-03-13 Unilever N.V. Process for preparing a high bulk density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GB8907187D0 (en) * 1989-03-30 1989-05-10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CA2017921C (en) * 1989-06-09 1995-05-16 John Michael Jolicoeur Formation of detergent granules by deagglomeration of detergent dough
GB8922018D0 (en) * 1989-09-29 1989-11-15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GB8924294D0 (en) * 1989-10-27 1989-12-13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JP2802450B2 (ja) * 1990-03-16 1998-09-24 ライオン株式会社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GB9008013D0 (en) * 1990-04-09 1990-06-06 Unilever Plc High bulk density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201059D0 (en) 1992-03-11
SA93130524B1 (ar) 2004-08-14
KR960001018B1 (ko) 1996-01-17
DE69203217D1 (de) 1995-08-03
SA93130598B1 (ar) 2005-11-23
GB9125035D0 (en) 1992-01-22
JPH0617098A (ja) 1994-01-25
CA2083332A1 (en) 1993-05-27
DE69203217T2 (de) 1995-11-30
JP2837325B2 (ja) 1998-12-16
EP0544365A1 (en) 1993-06-02
KR950013924B1 (en) 1995-11-18
ZA929185B (en) 1994-05-26
BR9204571A (pt) 1993-06-01
SA93130528B1 (ar) 2005-06-12
TW232704B (ko) 1994-10-21
IN177135B (ko) 1996-11-16
MY108256A (en) 1996-08-30
KR930010174A (ko) 1993-06-22
AU2854792A (en) 1993-05-27
ZA929184B (en) 1994-05-26
EP0544365B1 (en) 1995-06-28
KR930016531A (ko) 1993-08-26
KR930010168A (ko) 1993-06-22
ES2075600T3 (es) 1995-10-01
TW254966B (ko) 1995-08-21
KR960001019B1 (ko) 1996-01-17
CA2083332C (en) 1998-10-06
KR930016530A (ko) 199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67339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high bulk density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EP0390251B1 (en)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AU702808B2 (en) Granulation in a fluidised bed
EP0707632B1 (en) Detergent composition or component containing anionic surfactant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960001021B1 (ko)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H0649879B2 (ja) 洗剤組成物、その成分、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9599B2 (ja) 洗剤組成物
EP0637628B1 (en) Mix process for formulating detergents
DE2736903A1 (de) Unloesliche waschmittel-gerueststoffe, diese enthaltende waschmitt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5736502A (en)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compositions
CA2259535C (en) Process for making detergent compositions
EP0739977B1 (en) Process for producing granular detergent components or compositions
EP0870008B1 (en) Process for producing granular detergent components or compositions
EP0436240A1 (en) Process for preparing a high bulk density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dispensing properties
US6156718A (en) Process for making detergent compositions
US6140301A (en) Process for producing granular detergent components or compositions
US5925614A (en) Process for producing granular detergent components or compositions
EP0836640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detergent composition
JPH11509263A (ja) 改善された流動性を有する凝集洗剤組成物の製法
EP0290209A1 (en) Spray-dried material for deterge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