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67Y1 - 반도체 팩키지의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반도체 팩키지의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67Y1
KR960000467Y1 KR2019930013799U KR930013799U KR960000467Y1 KR 960000467 Y1 KR960000467 Y1 KR 960000467Y1 KR 2019930013799 U KR2019930013799 U KR 2019930013799U KR 930013799 U KR930013799 U KR 930013799U KR 960000467 Y1 KR960000467 Y1 KR 960000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unch
back heel
die
g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832U (ko
Inventor
곽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금형
곽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금형, 곽노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금형
Priority to KR2019930013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467Y1/ko
Publication of KR950004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팩키지의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제 1 도는 종래 펀치와 다이의 구성을 일부 확대한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중 펀치의 구성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이드 가이드 펀치를 낱개로 도시한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와 다른 구성 예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 6 도는 리이드 프레임 댐바(DAMBAR)부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펀치 12 : 다이
14 : 엣지(Edge) 16 : 리이드 프레임
18 : 댐바(Dambar) 20 : 백힐(Back Heel)
22 : 백힐홈
본 고안은 반도체 팩키지를 만들기 위한 전단계로서 수지봉입시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댐바(Dambar)를 제거하는 경우에 리이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리이드 가이드펀치와 다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댐바를 제거하기 위한 펀치(10)와 다이(12)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서, 다이(12)상의 댐바(18)를 펀치(10)로 타격하여 리이드 프레임(16)으로부터 제거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펀치(10)의 하단 엣지(14)는 제 2 도의 점선원내에서 처럼 수평면이기 때문에 타격시에 리이드의 밀림현상이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고, 이는 반도체 생산시 리이드끼리의 합선등으로 불량품이 되는 등 그 개선책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펀치후면에 백힐(Back Heel)을 형성시켜서, 이 백힐이 리이드 프레임의 리이드 사이에 먼저 끼워짐에 따라 펀치엣지가 타격시에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키도록 한 것이며, 이와 대응되는 다이에도 백힐홈이 형성되고, 이 경우 백힐은 펀치와 일체형이거나 분리형이어도 상관없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펀치(10)후부를 연장하여서 백힐(20)을 형성시키고, 이 백힐(2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다이(12)상에도 백힐홈(22)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리이드 가이드 구조이다.
제 3 도는 낱개로 표시된 본 고안에 따른 펀치(10)에 백힐(2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며, 제 4 도는 펀치(10)와 백힐(20)을 분리체로 형성시켜서 접합시킨 것으로 그 기능은 동일하다.
제 5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예시도로써, 백힐(20)형성부분에 대응하여 다이(12)상에도 백힐홈(22)이 형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펀치(10)가 하강하면 리이드 프레임(16)사이에 백힐(20)부분이 먼저 끼워지면서 펀치(10)의 엣지(14)가 타격하게 되고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켜 타격되는 펀치는 리이드 프레임의 변형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백힐(20)을 각 펀치(10)마다에 형성시키고, 백힐홈(22)도 이에 대응되게 형성시켜도 좋지만, 라이드 격간 위치로 백힐(20)을 형성시켜도 리이드의 변형은 없으며,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반도체 팩키지 리이드 성형시에 백힐과 백힐홈을 형성시킴에 따라 리이드의 변형없는 정위치 안착이 가능하므로 불량없는 팩키지 제조가 가능해진다.

Claims (3)

  1. 리이드 프레임의 리이드 성형을 위한 펀치와 다이에 있어서, 상기 펀치(10) 후부에 백힐(20)을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다이(12)상에 백힐홈(22)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팩키지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펀치(10)와 백힐(20)은 단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팩키지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펀치(10)와 백힐(20)은 분리체로 형성시켜 결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팩키지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KR2019930013799U 1993-07-23 1993-07-23 반도체 팩키지의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KR960000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799U KR960000467Y1 (ko) 1993-07-23 1993-07-23 반도체 팩키지의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799U KR960000467Y1 (ko) 1993-07-23 1993-07-23 반도체 팩키지의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832U KR950004832U (ko) 1995-02-18
KR960000467Y1 true KR960000467Y1 (ko) 1996-01-10

Family

ID=1935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799U KR960000467Y1 (ko) 1993-07-23 1993-07-23 반도체 팩키지의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4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832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467Y1 (ko) 반도체 팩키지의 금형의 리이드 가이드 구조
KR970024071A (ko) 수지봉합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Improved plastic encapsulate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wing lea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422936B2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161646A (ja) 半導体装置用リ−ドフレ−ム
JP2648353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H0661398A (ja) リードフレーム
JP3207586B2 (ja) 半導体装置及びこれを製造する樹脂モールド金型
JPH04246847A (ja) 半導体集積回路のパッケージ
JP3262823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樹脂モールド金型
JPH04180664A (ja)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03929B1 (ko) 돌출형 리드 컷팅 날을 갖는 리드 성형 장치
JPH05267520A (ja) リードフレームの成形方法
JPS63228656A (ja) 半導体装置用リ−ドフレ−ム
JP2710515B2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
KR200161905Y1 (ko) 아웃 리드 쇼트 방지용 반도체 장치
JPH05211264A (ja) 半導体用リードフレーム
KR930007174Y1 (ko) 리드 프레임
KR960002552Y1 (ko) 와이어 본딩머신의 히팅블럭구조
KR920008360Y1 (ko) 리드프레임
JPS61204955A (ja) リ−ドフレ−ム
KR940001857Y1 (ko) 리드프레임의 구조
JPH03152964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
JP2560194B2 (ja) パッケージ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555281A (ja) 半導体装置の樹脂封止用金型
JPH053266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