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41B1 -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41B1
KR960000441B1 KR1019910701353A KR910701353A KR960000441B1 KR 960000441 B1 KR960000441 B1 KR 960000441B1 KR 1019910701353 A KR1019910701353 A KR 1019910701353A KR 910701353 A KR910701353 A KR 910701353A KR 960000441 B1 KR960000441 B1 KR 96000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nd rate
sensor
blend
ra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645A (ko
Inventor
마사또 요시다
다까나오 요꼬야마
무네요시 난바
요시히꼬 가또
가즈마사 이이다
가쯔히꼬 모또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히로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히로까즈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5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 F02D19/087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with determination of densities, viscosities, composition, concentration or mixture ratios of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7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Mixers
    • F02D19/0678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Fuel metering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4Blends of gasoline and alcohols, e.g. E8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5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 F02D19/087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with determination of densities, viscosities, composition, concentration or mixture ratios of fuels
    • F02D19/088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with determination of densities, viscosities, composition, concentration or mixture ratios of fuels by estimation, i.e. without using direct measurements of a corresponding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015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haust gas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29Mixtures of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11Fuel type, fuel composition or fuel qua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11Fuel type, fuel composition or fuel quality
    • F02D2200/0612Fuel type, fuel composition or fuel quality determined by esti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성명하는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브렌드율 산출맵이다.
제3도는 연료 분사 벨브와 브랜드율 센서 사이의 브랜드율의 벗어남을 설명하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채용한 엔진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5a도 내지 제5e는 제4도의 엔진 제어 장치 내부의 각 특성치에 대한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제4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의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혼합연료의 브렌드율을 검출할 수 잇는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최근 저공해 연료로서 메탄올이 주목되어 있으며 메탄올 엔진의 개방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자동차의 사용 연료를 즉시 가솔린에서 메탄올로 전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전환시기에서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메탄올 연료와 가솔린 연료가 혼재하여 사용되는 상황이 예상된다.
그러한 사태에 대처하기 위하여 가솔린 연료나 매탄올 연료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한 즉, 사용연료에 자유도가 있는 차량(이하, 간단히 FFV라고 한다)의 도입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FFV에서는 엔진의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하고, 항시 연료인 가솔린과 메탄올의 혼합비인 브렌드율을 검출하여두고 기관의 각종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브렌드율 검출 수단으로서 연료 공급계에 직접 설치되어 직접 브렌드율을 검출할 수 있는 브렌드율 센서가 있으며 이것이 연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엔진배기의 산소농도 정보, 즉, 공연비정보를 출력하는 O2센서를 사용하여 브렌드율을 검출하는 방법도 있다.
여기서, 종래의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한 브렌드율 센서는 광학계의 시간 변화에 따른 오손 대책이나 시동 직후의 불활성 상태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로 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O2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O2센서에 의한 피이드백 학습치로부터 브렌드율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피이드백 학습제어는 어느정도 안정된 주행상태로 되지 않으면 행할 수 없으므로 브렌드율을 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렌드율 센서 및 O2센서의 출력에 의한 브렌드율이 구해 지지않을때, 엔진 정지시의 메모리 브렌드율을 제어 브렌드율로서 채용할 수 있는 연료 브렌드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중의 공연 비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O2센서와, 상기 브렌드율 센서의 브렌드율 정보 또는 상기 공연비 정보를 기초로하여 산출되는 브렌드율 제어 브렌드율로서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사용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제어 브렌드율의 산출과 함께 상기 엔진의 정지시에 그때의 상기 제어 브렌드율을 메모리 브렌드율로서 백업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엔진의 재시동시 소정시한이 경과함과 동시에 브렌드율 센서 또는 O2센서중 적어도 어느 한편이 비활성인 때에 상기 메모리 브렌드율 상기 제어 브렌드율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 시한이 경과함과 더불어 브렌드율 센서 또는 O2센서중 적어도 어느 한편이 활성화한 때에는 산출된 상기 브렌드율을 상기 제어 브렌드율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통상시에 브렌드율 센서 및 O2센서의 출력에 의해 제어 브렌드율을 산출하고 엔진의 정지시에 그때에 제어 브렌드율을 메모리 브렌드율로서 백업 메모리에 저장하고, 엔진의 재시동시에 소정시간의 사이에 메모리 브렌드율 제어 브렌드율로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
이하, 본 발명으로서의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제1도에 나타나듯이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중의 가솔린과 메탄올의 브렌드율 신호(VOUT)를 출력하는 브렌드율 센서(1)와, 엔진 배기중의 공비 신호 (V o)를 출력할 수 있는 O2센서(2)와, 브렌드율 센서(1)의 브브렌드율 신호 (VOUT)와 O2센서(2)의 공연비 신호(Vo)에 의해 제어 브렌드율(B)을 산출하는 제어 수단(3)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우선, 브렌드율 센서(1)가 연료 공급계의 연료의 브렌드율 신호 신호 (VOUT)를 제어수단(3)에 출력하고, O2센서(2)가 배기중의 공연비 신호(Vo)를 풍부화와 희박화의 판정전압(배기가스의 공연비가 화학량론에 있다고 간주하는 값)(Vs)를 중심으로 시간 흐름에 따라 증감되어 제어 수단(3)에 출력하는 것이다(제5b도 참조).
제어 수단(3)은 그 브렌드율 연산부(4)가 엔진을 구동하는 통상시에, 소정의 산출처리에 의하여 브렌드율 신호(VOUT)에 의한 브렌드율(BFCS)을 산출한다.
소정의 시간에 도달하면 공연비 신호(Vo)에 의하여 브렌드율 보정계수(KB)를 산출하고 그 브렌드율 보정계수 (KB)에 의하여 브렌드율(BO2)을 산출하고 있다. 그리고, 브렌드율 (BO2)을 구하고 있을때는 그 값을 제어 브렌드율(B)로 하고, 구하고 있지 않을때는 브렌드율(BFCS)를 제어 브렌드 제율(B)로 한다.
그리고, 엔진의 정지시에는 그때의 제어 브렌드율(BMEM)로서 백업 메모리(5)에 저장하고, 엔진의 재시동시에는 소정시한 사이의 메모리 브렌드율(BMEM)을 제어 브렌드율(B)로서 판독하여 출력한다.
이 때문에, 엔진의 저온 시동시등에는 O2센서(2) 및 브렌드율 센서(1)가 불활성 상태에 있으면 제어 브렌드율(B)로서 메모리 브렌드율(BMEM)을 채용하여 출력하고 소정 시한을 빼면 브렌드율(BO2) 또는 브렌드율(BFCS)을 채용할 수 있고 항시, 신뢰성 있는 제어 브렌드율(B)을 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인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을 채용한 FFV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에 제4도에 따라 설명한다.
여기서, 엔진(10)의 연소실(11)은 흡기로(12)와 배기로(13)에 적시에 연통된다. 흡기로(12)는 에어 크리니(14), 제 1 흡입관(15), 확장관(16), 제 2 흡기관(17)에 의하여 형성되고, 배기로(13)는 제 1 배기관(18) 촉매(19), 제 2배기관 (20) ,머플러 (21)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에어크리너(14)내에는 통과 공기량 정보를 출력하는 에어프로세서(22), 대기압 정보를 출력하는 대기압 센서(23), 에어온도 정보를 출력하는 대기 온도 센서 (24)가 설치되고 이들은 엔진 조절 유니트(이후, 간단히 제어기라고 한다)(25)에 접속되어 있다.
확장관(16)내에는 드로틀 밸브(26)가 장치되고, 동밸브에는 드로틀 포지션 센서(27)가 설치되며, 이 드로틀 밸브(26)는 그 공회전 위치를 공회전 속도 조절 모터(ISC 모터)(28)를 거쳐 제어기(25)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흡기관(17)의 일부에는 워터 자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거기에는 수온 센서(29)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배기관(18) 도중에는 배기중의 공연비 정보를 출력하는 O2센서(30)가 장착되어 있다.
흡기로(12)의 단부에는 연료 분사 밸브(3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연료 분사 밸브(31)는 기관(32)을 거쳐 연료관(33)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연료관(33)은 연료 펌프(34)와 연료 탱크(35)를 잇고, 그 도중에는 브렌드율 센서(43)와 연료압 조정용 연료압 조정기(36)가 장치되어 있다.
또한, 브렌드율 센서(43)은 앰프(44)를 거쳐 제어기(25)에 접속되어 있다.
제4도중, 도면 부호 37은 크랭크각 정보를 출력하는 크랭크각 센서, 도면 부호 38은 제 1 기통의 상사점 정보를 출력하는 상사점 센서, 도면 부호 45는 엔진온 신호를 출력하는 키이 스위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어기(25)는 제어 회로(39)와 기억 회로(40)와 입출력 회로(41) 및 밸브 구동 회로(42)를 갖고 있다.
제어회로(39)는 각 센서류로부터 각 입력 신호를 받고, 이들을 제 6 도 등에 나타낸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밸브 구동 회로(42)를 거쳐 출력한다.
기억 회로(40)는 제6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난 메인, 브렌드율 연산처리, 키이온시 및 키이오프시의 브렌드율 설정 처리의 각 제어 프로그램이나, 브렌드율 연산맵(제 2 도 참조)을 기억 처리시키고 제어중에 사용하는 브렌드율 보정계수(KB)나 브렌드율 (B) 그외의 값을 저장하는 구역을 갖추고, 특히 전원전압을 항시 받아, 키이오프시에도 이들 데이타를 유지할 수 있는 지속성 백업 메모리(401)를 가진다.
입출력회로(41)는 상술한 각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적절히 저장하도록 작동하고 각종 제어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를 거쳐 또는, 연료 분사 밸브(31)를 소정시에 밸브를 개방시키는 구동 신호를 밸브 구동 회로(42)를 거쳐 출력한다.
한편, 앰프(44)도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며, 검출광을 출력함과 동시에 브렌드율 센서내에서 브렌드율 정보를 포함하는 굴절광이 광전 변환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전류 신호를 받고, 이 신호에 의하여 브렌드율 신호(VOUT)를 출력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여기서, 제어기(25)의 작동을 제 6 도 내지 제 9 도의 제어 프로그램과 함께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키이스위치가 온됨으로서, 제어기 및 각 센서가 구동을 개시한다.
우선, 제어기(25)는 제6도의 주루틴 스템(al)에서, 제7도에 나타내는 키이온시 브렌드율 설정루틴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스텝(b1)에서 브렌드율 불명플랙온이 백업 메모리(401)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불명인 경우에는 스텝(b2)으로 진행하고, 제어 브렌드율(B)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상 브렌드율(Bx)로서 리턴한다.
또한, 이 값은 실브렌드율이 제로, 즉 가장 노크하기 쉬운값(M=100%)이고 엔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브렌드율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 백업 메모리(401)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b2)으로 진행하고, 기억되어 있으면 스텝(b4)에 도달하며, 그 스텝(b4)에서 제어 브렌드율(B)을 메모리 브렌드율(BMEM)로서 산출하고, 스텝(b5)에서 메로리 브렌드율 사용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리턴한다.
제6도의 주루틴 스텝(a2)으로 돌아가면 각 설정치, 측정치 등을 초기치에 유지하고 스텝(a3)의 브렌드율 연산루틴으로 들어간다.
제8도의 브렌드율 연산루틴에서는 우선 스텝(c1)에서, 앰프에서의 브렌드율 신호(VOUT)에 의하여 브렌드율(BFCS)이 주루틴으로 산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알지못하면 스텝 c2에서 메로리 브렌드율 사용 타이머(TBM)가 TMAX를 초과했는지 아닌지, 즉, 메모리 브렌드율(BMEM)을 사용하는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경과전에서는 스텝(c3)에서, 메모리 브렌드율(BMEM)을 제어 브렌드율(B)로 하고 리턴하며 경과후에는 스텝(c4)로 진행한다.
스텝(c4)에서는 O2센서(30)의 활성판단을 아래판정 요건에 따라 행한다. 즉, 1엔진이 정지시에 있으면 불활성으로 간주한다. 2엔진 정지와 시동후, 15초경과한 후에 센서 출력이 소정치(예를들면 0.6V)를 넘으면 활성으로 간주한다. 3피드백 제어중에 센서 출력이 소정치(예컨데, 0.6V)를 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어 소정시간(예를들면, 0초) 이상 계속되면 불활성으로 간주한다.
여기서, O2센서(30)가 활성화되지 않는 사이에는 스텝(c5)으로 진행하고, 활성화되면 스텝(c6)에 도달하고, O2센서(30)의 출력과 판정전압(VRef)의 다소관계가 역전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으로 들어간다. 이경우, 전회의 센서 출력을 VN-1금회의 센서 출력을 VN, 풍부화, 희박화의 판정전압을 VRef로 하고 이들 값은 순차 경신되어 소정구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NN-1-VRef)와 (VN-VRef)의 부호가 비교되고, 다르면 반전, 즉 여기서는 대소관계가 역전한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스텝(c6)에서 O2센서(30)의 출력이 반전하지 않을 동안은 스텝(c5)으로, 반전하면 [예를들면, 제5b도의 판정전압 Vs(=0.5V)을 횡절하는 시점] 스텝(c8)에 도달한다.
O2센서(30)가 반전하지 않는 것으로 스텝(c5)에 도달하면 여기서는 브렌드율 센서(43)의 활성판단을 수행한다. 그리고, 브렌드율 센서 활성플랙온에서는 스텝(c7)에서 브렌드율 센서의 브렌드율(BFCS)을 제어 브렌드율(B)로서 출력하고 리턴한다.
O2센서(30)가 반전한 것으로 간주되어 스텝(c8)에 도달하면 O2센서로부터의 공연비에 따른 출력(Vo)과 반전 전압(Vs)의 대소관계에 의해 비례이득, 적분이득을 비례척분 처리하여 얻어지는 피이드백 보정계수(KFB)의 피크값(Pn)(예를들면, 제5c도의 각 대소 수치 P1,P2,P3…)를 소정 에러어에 저장한다.
그리고, 스텝(c9)에서, 전회의 피크값(Pn-1)과 금희의 피크값(Pn)의 평균치는 피크평균치(KPEAN) [=(Pn-1+Pn)/2]로서 산출한다. 스텝(c10)에서는 피크값(Pn)을 전회의 피크값(Pn-1)으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연료의 브렌드율(B)이 가솔린 100%로부터 메탄올 85%로 변화한 것으로 한다(제5a도 참조).
이경우, 가솔린보다 메탄올의 이론공연비가 작으므로(연료부족임) 신서 출력(VO)이 희박화로 게속기운다(제5b도 참조). 그러면, 전술한 대로 얻어지는 피이드백 보정계수(KKB)는 연속하여 풍부화측에서 증감을 계속하게 된다(제5c도 참조).
이후, 스텝(c11)으로 나아가면 브렌드율 보정계수(KB)를 소정구역으로부터 호출하여, 이 값에 피크 평균치(PPEAN)를 승산하여 (KB)의 경신 (KB← KB× KPEAK)를 행한다(제5d도, 제 5도e도 참조).
스텝(c12)으로 진행하면 제어기(25)는 브렌드율 맵(제3도 참조)을 사용하고, 제2도에 나타나듯이 이것을 역독하고, 경신된 브렌드율 보정계수(KB)로부터 브렌드율 (BO2)을 산출하고, 스텝(c13)으로 나아간다.
스텝(c13)에서는 브렌드율(BO2)이 알려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알려져 있으면 스텝(c14)으로 진행하여 브렌드율(BO2)을 제어 브렌드율(B)로서 출력하고, 불명에서는 스텝(c5)으로 진행하여 브렌드율(BFCS) 또는 메모리 브렌드율(BO2)을 선택하여 리턴하게 된다.
스텝(c1)에서 브렌드율(BFCS)을 이미 알고있는 것으로서 스텝(c15)으로 진행하면 브렌드율 센서 활성 플랙은 처리를 하고 계속하여 스텝(c16)에서 브렌드율 급변판정을 행한다. 이경우, 전희의 제어 브렌드율과 금희의 제어 브렌드율의 제어 브렌드율의 차이가 규정폭을 초과하고 있으면 급변의 판정을 하게된다.
급변하지 않을 때에는 스텝(c2)으로 나아가고 급변하면 스텝(c17)측으로 나아가며 연료 분사 밸브(분사기)(31)와 브렌드율 센서(43)사이의 용량에 의한 브렌드율 센서의 브렌드율(BFCS)과 실브렌드율의 벗어남(제3도 참조)을 보정하는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c17)에서는 브렌드율 센서(43)에서의 브렌드율(BFCS)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스텝(c18)에서는 n회전의 제어 브렌드율 B(t-n)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스텝(c19)에서는 전희의 제어 브렌드율 B(t-1)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스텝(c20)에서는 소정의 필터계수(K), 연료 수송 지체에 의한 헛된시간(n), 전희의 제어 브렌드율 B(t-1)및 n회전의 제어 브렌드율 B(t-n)을 저장하고 이들 값에 의하여 아래식을 산출하고 금희의 필터 브렌드율(BFILT)을 산출한다 BFILT=K×B(t-1)+(1-K)×B(t-n).
이후, 스텝(c21)에서 전희의 제어 브렌드율 B(n-1)을 금희의 필터 브렌드율 (BFILT)에 경신하고 리턴한다.
브렌드율 연산 루틴이 종료하여 제6도의 주루틴 스텝(a4)으로 돌아가면, 여기서는 엔진 회전수(NE)를 저장하고 이것이 엔진 작동 판정회전수(NESTOP)를 상회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엔진 회전시에 스텝(a5)에 도달하면 메로리 브렌드율 사용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스텝(a6)으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제어 브렌드율(B)이나 브렌드율 보정계수(KB)를 적절히 판독 저장하고 연료 분사량 제어처리, 브렌드율 신호(VOUT)로부터 브렌드율 (BFCS)을 산출하는 그 외의 각 제어를 행하고 스텝(a7)으로 진행한다.
스텝(a6)에서, 예를들면 연료 분사량인 연소 분사 밸브 구동시간(Tinj)의 산출에서는 우선, 흡입공기량당 기본 구동시간 TB(=A/N(n)×KB×K)을 산출한다. 여기서의 브렌드율 보정계수 (KB)는 소정 흡입 공기량 A/N(n)당 기본 구동시간(TB)(기본 연료량)을 공급되는 연료의 브렌드율에 따른 양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K는 그외의 보정계수이다. 연료 분사 밸브 구동시간(Tinj)을 기본 구동 시간(KB)과 피이드백 보정계수(KFB) 및 대기온도 보정계수(Kt), 대기압 보정계수(Kb)수온 보정계수(Kwt), 가속 보정계수(Kac) 등의 각 보정치를 사용하여 산출(Tinj =TB×KFB×Kt×Kb×Kwt ×Kac)하게 된다.
스텝(a7)에 도달하면, 여기서는 키이오프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키이오프가 아닌동안에는 스텝(a3)으로 돌아가고, 키이오프에서는 스텝(a8)으로 진행하고 제9도의 키이오프시 브렌드율 기어루틴을 실행한다.
제9도에 나타나듯이 스텝(d1)에서는 제어 브렌드율(B)이 알려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알려져 있으면, 스텝(d2)으로 나아가고 사용하고 있던 그 제어 브렌드율(B)을 메모리 브렌드율(BMEM)로서 백업 메모리(401)에 저장하고 알려져 있지 않을때에는 스텝(d3)으로 나아가고 브렌드율 불명 블랙온을 백업 메모리(401)에 기억하고 리턴한다.
제6도의 주 루틴의 스텝(a9)으로 돌아가면, 여기서는 키이오프 시점에서의 각종 처리가 이루어져 종료한다.
스텝(a4)에 의하여 엔진 정지로 판정하여 스텝(a10)에 도달하면, 여기서는 스타터 스위치의 온에 도달하며 오프시에는 스텝(a11)에 도달한다. 스텝(a11)에서는 메모리 브렌드율 사용 타이머를 정지로 유지하고 스텝(a12)에서 엔진 정지에 따른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a7)으로 진행하게 된다.
스타터가 온하면 스팁(a13)으로 진행한다. 스텝(a13)에서는 메모리 브렌드율사용 타이머를 작동처리하고, 스텝(a14)에서는 시동에 따른 각종 처리를 행하고 스텝(a7)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4도의 엔진 제어 장치에 의해 실시된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에 의하면 O2센서의 브렌드율(BO2)이 구해져 있을 때에는 이것을 제어 브렌드율(B)로 하고, 브렌드율(BO2)이 알려져 있지 않는 때에는 브렌드율 센서의 브렌드율(BFCS)을 제어 브렌드율로 하고, 이 브렌드율(BFCS)도 알려져 있지 않을때는 가상 브렌드율로서의 메로리 브렌드율(BMEM)을 제어 브랜드율로 하고 메모리 브랜드율 사용 타이머(TBM)의 카운터중에는 메모리 브랜드율(BMEM)을 제어 브렌드율(B)로서 출력할 수 있다. 브렌드율의 급변시에는 브렌드율 센서(43)와 연료 분사 밸브(31) 사이의 브렌드율의 벗어남을 보정할 수 있는 필터 처리한 필터 브렌드율(BFILT)을 제어 브렌드율(B)로서 출력할 수 있고 운전 전역에서 항시 신뢰성이 높은 브렌드율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발명에서는 통상시 브렌드율 센서 및 O2센서의 출력에 의해 제어 브렌드율을 산출하고, 엔진의 정지시에는 그 시점에서의 사용 제어 브렌드율 메모리 브렌드율로서 백업 메모리에 저장하고, 엔진의 재시동시에 소정시한 동안에 메모리 브렌드율을 세어 브렌드율로서 채용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제어 브렌드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을 채용한 본원 발명의 장치에서는 브렌드율 정보 또는 공연비 정보를 기초로하여 산출된 제어 브렌드율을 엔진의 정지시에 기억함과 동시에, 엔진의 재시동시에 소정 시한동안 기억된 브렌드율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료 탱크로부터 엔진의 연료 통로, 연료 펌프 및 연료 분사 밸브 등에 잔존하는 연료 브렌드율과 기억되어 있는 브렌드율은 동일하므로, 엔진의 재시동시에 즈음하여 소정 시한을 연료 탱크로부터 엔진의 연료 통로, 연료 펌프 및 연료 분사 밸브 등에 잔존하는 연료가 사용되는 시한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시동성이 극히 양호한 엔진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

  1.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중 가솔린과 알콜의 브렌드율 정보를 출력하는 브렌드율 센서와, 상기 엔진의 배기중의 공연비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O2센서와, 상기 브렌드율 센서의 브렌드율 정보 또는 상기 공연비 정보를 기초로하여 산출되는 브렌드율을 제어 브렌드율로서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사용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제어 브렌드율의 산출과 함께 상기 엔진의 정지시에 그때의 상기 제어 브렌드율을 메모리 브렌드율로서 백업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엔진의 재시동시 소정시한이 경과함과 동시에 브렌드율 센서 또는 O2센서중 적어도 어느 한편이 비활성인 때에 상기 메모리 브렌드율을 상기 제어 브렌드율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 시한이 경과함과 더불어 브렌드율 센서 또는 O2센서중 적어도 어느 한편이 활성화한 때에는 산출된 상기 브렌드율을 상기 제어 브렌드율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KR1019910701353A 1990-02-16 1991-02-14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KR960000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5643 1990-02-16
JP2035643A JPH03242439A (ja) 1990-02-16 1990-02-16 燃料ブレンド率検出方法
PCT/JP1991/000178 WO1991012424A1 (fr) 1990-02-16 1991-02-14 Procede de detection du rapport de melange de carbur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645A KR920701645A (ko) 1992-08-12
KR960000441B1 true KR960000441B1 (ko) 1996-01-06

Family

ID=1244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353A KR960000441B1 (ko) 1990-02-16 1991-02-14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63407A (ko)
JP (1) JPH03242439A (ko)
KR (1) KR960000441B1 (ko)
WO (1) WO1991012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6599B2 (ja) * 1990-01-19 1998-1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ブレンド率検出方法
DE69225212T2 (de) * 1991-12-27 1998-08-13 Honda Motor Co Ltd Verfahren zum Feststellen und Steuern des Luft/Kraftstoffverhältnisses in einer Brennkraftmaschine
JPH0666186A (ja) * 1992-08-17 1994-03-08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US5255661A (en) * 1992-08-24 1993-10-26 Chrysler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fuel composition using oxygen sensor feedback control
FR2702009B1 (fr) * 1993-02-23 1995-05-19 Rhone Poulenc Chimie Procédé et dispositif d'injection automatique d'un additif dans le réservoir de carburant d'un véhicule automobile.
CA2122867A1 (en) * 1993-05-04 1994-11-05 William D. Rotramel Boiloff for a flexible fuel compensation system
US5868117A (en) * 1997-10-29 1999-02-09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ethanol thresholds in a flexible fueled vehicle
FR2807474B1 (fr) * 2000-04-06 2002-09-20 Renault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e la composition d'un melange air/carburant d'alimentation d'un moteur recevant divers carburants
JP2003129896A (ja) * 2001-10-25 2003-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制御装置
US7945373B2 (en) * 2008-08-06 2011-05-17 Am Gener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gine capable of operating on more than one type of fuel
FR3009385A1 (fr) * 2013-08-01 2015-02-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diagnostic sur une mesure ou une estimation d'un taux d'alcool dans un carburant au cours d'une phase transitoire de charge ou de re-injection apres coupure
KR102348119B1 (ko) * 2017-07-17 2022-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타입 구분 제어장치, 그를 포함한 연료 펌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7453B1 (ko) * 2017-11-23 2019-04-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fv 차량의 에탄올 센서 고장 대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4746A (en) * 1966-02-02 1968-05-21 Honeywell Inc Ultraviolet gas analysis apparatus and detector circuit integrating means having both short and long constants
US4419212A (en) * 1981-02-07 1983-12-06 Robert Bosch Gmbh Combination gas oxygen concentration and combustion light sensor
US4706629A (en) * 1986-02-07 1987-11-17 Ford Motor Company Control system for engine operation using two fuels of different volumetric energy content
US4706630A (en) * 1986-02-07 1987-11-17 Ford Motor Company Control system for engine operation using two fuels of different volatility
JPS62192633A (ja) * 1986-02-19 1987-08-24 Ngk Spark Plug Co Ltd アルコ−ル混合燃料の混合比センサ
JPS634926A (ja) * 1986-06-26 1988-01-09 Japan Steel Works Ltd:The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H0777832B2 (ja) * 1986-10-03 1995-08-23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方法
JPH01224417A (ja) * 1988-03-02 1989-09-07 Japan Electron Control Syst Co Ltd 燃料噴射制御装置
JPH01271630A (ja) * 1988-04-21 1989-10-30 Mitsubishi Motors Corp 2種混合燃料の混合率検知装置
KR0121788B1 (ko) * 1988-12-10 1997-11-24 랄프 베렌스; 게오르그 뮐러 연료 제어 장치
JPH06100124B2 (ja) * 1989-01-09 1994-12-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ルコール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2256848A (ja) * 1989-03-29 1990-10-17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US4989570A (en) * 1989-04-19 1991-02-05 Japan Electronic Control Systems Co., Ltd. Fail detecting system for sensor monitoring concentration of a fuel in blended multi-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fail-safe system in lambda-control
US5044344A (en) * 1989-10-16 1991-09-03 Walbro Corporation Pressure-responsive fuel delivery system
US5007398A (en) * 1990-04-12 1991-04-16 Japan Electronic Control Systems Co., Ltd. Alcohol sensor failure det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995367A (en) * 1990-06-29 1991-02-26 Hitachi America, Lt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methane fuel m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645A (ko) 1992-08-12
JPH03242439A (ja) 1991-10-29
US5163407A (en) 1992-11-17
WO1991012424A1 (fr) 199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753B1 (ko) 연료혼합내연기관의 제어방법
KR960000441B1 (ko)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JP2826599B2 (ja) 燃料ブレンド率検出方法
JP3005818B2 (ja) エンジンの始動燃料供給量制御装置
JPH08158918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学習制御装置
KR950000915B1 (ko)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JPS59548A (ja) 内燃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H06614Y2 (ja) 燃料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JP3061277B2 (ja) 空燃比学習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1373B2 (ko)
JP3006304B2 (ja) 多種燃料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55433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H09177580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2505750B2 (ja) 多種燃料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方法
JPS6366436A (ja) 機関の制御装置
JP3453815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学習制御装置
JPS6360217B2 (ko)
JPH02256848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7166980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443833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H07180580A (ja)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278747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H04279747A (ja) 内燃機関の燃料性状検出装置
JPH01271630A (ja) 2種混合燃料の混合率検知装置
JPH01159434A (ja) 燃料噴射式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