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349B1 - 편향 요크 장치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349B1
KR960000349B1 KR1019920010538A KR920010538A KR960000349B1 KR 960000349 B1 KR960000349 B1 KR 960000349B1 KR 1019920010538 A KR1019920010538 A KR 1019920010538A KR 920010538 A KR920010538 A KR 920010538A KR 960000349 B1 KR960000349 B1 KR 96000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yoke device
coil separator
deflection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사쿠 시로
다케시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에이 .브이 .이.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시마 고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에이 .브이 .이.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시마 고타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 요크 장치
제1a도는 편향 요크 장치의 외관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편향 요크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크로스암 설명도.
제1c도 및 제1d도는 미스 콘버전스의 설명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편향 요크 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
제2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편향 요크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
제3a도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크로스암의 자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3b도는 편향 요크 장치에 의한 편향 일그러짐 패턴을 나타낸 설명도.
제3c도 및 제3d도는 편향 요크 장치에 의한 미스 콘버전스의 설명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의 요크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영구 자석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명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도.
제5b도는 제5a도의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낸 구성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 편향 코일 2 : 수직 편향 코일
3 : 크로스암 3a : 자계 형성부
11 : 코일 세퍼레이터 11a : 프론트측 플랜지부
12 : 수평 편향 코일 13 : 코일
14 : 수직 편향 코일 15 : 네크측 자성편
16 : 크로스암 17a~17d : 영구자석
161~164 : 자계형성부
본 발명은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용의 음극선관 장치(이하 CRT라고 함)는 광(廣) 편향각화 및 패널면의 플래트화가 진척되고, 동시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CRT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 시스템에서는 큰버전스 프리시스템이 일반적이며, 편향 일그러짐 보정 회로가 불필요한 핀쿠션(pincushion) 프리 시스템도 많이 볼 수 있다.
콘버전스 프리 시스템 및 핀쿠션 프리 시스템의 편향 요크 장치는 콘버전스 프리 달성을 위해 수평 편향 코일을 핀쿠션 타입의 자계 분포를 형성하고, 수직 편향 코일은 배럴(barrel) 타입의 자계 분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pincusion distortion) 보정을 주목적으로 하여 프론트축에는 좌우 한쌍의 자성편(이하 크로스암이라고 부름)이 배치되어 있다.
잔자빔의 편향 각도가 더욱 광(廣)각도화 하고, 또, 패널면이 더욱 플래트화하면, 상하 핀쿠션 일그러짐 및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이 증대된다. 일반적으로 핀쿠션 일그러짐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편향 요크 장치의 프론트축 자계 분포를 더욱 강하게 핀쿠션 타입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핀쿠션 타입의 자계 분포를 하기 위해, 수평 편향 코일이나 수직 편향 코일 자체의 권선 분포 등으로 대처하려고 하면, 화면 좌우단의 상하 중간부의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M-PQV)가 증대해 버린다. 이 세로 방향미스 콘버전스(M-PQV)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를 조정함으로써 어느 정도까지 대응가능하지만 한계가 있고, 화면의 코너부의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PQV)와 반으로 나누는 모양으로 대응하고 있다. 즉,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를 조정하여,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M-PQV)를 작게 하면, 코너부의 세로방향 미스 콘버전스(PQV)가 커진다.
또,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 장치에서는, 예를들어 특공평 1-29018호와 같이 보정 회로를 부가하여 미스 콘버전스(M-PQV, PQV)를 보정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지만 보정 회로의 몫만큼 고가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장치에 의하면 미스 콘버전스(PQV, M-PQV)가 크거나, 또 보정 회로를 부가하여 이 미스 콘버전스를 보정하는 방법을 채용하면 원가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미스 콘버전스(PQV, M- PQV)의 더욱 작은 콘버전스를 실현한 핀쿠션 프리 타입의 편향 요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상관의 네크(neck) 측과 퍼넬(funnel)측의 경계 부근 둘레와 대략 일치하도록 성형된 중앙 구멍을 가지며 상기 퍼넬측에서는 프론트축 플랜지부를 갖는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내주의 상하측으로 각각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안장형 수평 편향 코일(12a, 12b)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외주에 배치되며 보빈(bobbin) 형상의 코어(13)에 환상(toroidal)으로 감긴 수직 편향 코일(14a, 14b)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와의 사이 또는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측에 배치된 상하 한쌍의 네크측 자성편(15a, 15b)을 갖는 편향 요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프론트축 플랜지부(11a)에 배치되며, 좌우 한쌍으로 되는 제1 및 제2의 크로스암(자성편, 16a, 16b) (상기 제1 및 제2의 크로스암(16a, 16b)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외주를 따라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며, Y축 방향의 각 단부가 서로 접근하고, 각각의 단부에는 자계 형성부(161~164)가 설치됨)과 ; 4개의 영구자석(17a~17d) (이 영구자석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프론트측 플랜지부(11a)에 배치되는데, 관축을 중심으로 하여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X축에서 각기 약 10도 정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대략 상기 관축 방향으로 자석 부착 방향을 가짐)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에 따르면, 크로스암의 자계 형성부를 Y축측에 편의시켰기 때문에 상하 핀쿠션 일그러짐이 수정되고, 반대로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이 증대된다. 이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을 수정하기 위해 수직 편향 요크에 의한 자계 분포를 핀쿠션 자계 분포쪽으로 치우치게 하면서, 콘버전스 맞춤을 위해서 네크측 상하의 자성편에 의해 수직 편향 자계 분포를 종합적으로는 배럴 타입의 자계 분포를 하게 된다. 또 4개의 영구자석에 의해 미스 콘버전스(M-PQV)를 수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향 요크 장치의 전제로 되는 장치를 제1도에 나타내서 설명한다. 제1(a)도에 나타낸 편향 요크 장치는 콘버전스 프리 시스템 및 핀쿠션 프리 시스템의 장치이다. 이 편향 요크 장치에 있어서, 콘버전스 프리 달성을 위해 수평 편향 코일(1)은 핀쿠션 타입의 자계 분포를 형성하고, 수직 편향 코일(2)은 배럴 타입의 자계 분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 보정을 주목적으로 하여 프론트축에는 좌우 한쌍의 자성편(이하 크로스암이라고 부름) (3)이 배치되어 있다.
제1(b)도는 크로스암의 형상을 나타내는 X-Y축 평면도, 및 Y-Z축 평면도이다. X축은 화면의 가로(수평)방향에 대응하고, Y축은 화면의 세로(수직)방향에 대응하며, Z축은 음극선관의 관축 방향에 대응한다. 크로스암(3)의 자계 형성부(3a)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프론트축에 부착되며,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 보정을 위해 화면(음극선관의 패널면)의 상하좌우, 즉 4개의 코너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략 위치하고 있다. 전자빔의 편향 각도가 광(廣)각도화 하고, 다시 패널면이 플래트화하면 상하 핀쿠션 일그러짐 및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이 증대된다. 핀쿠션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편향 요크 장치의 프론트축의 자계 분포를 더욱 강한 핀쿠션 타입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핀쿠션 타입의 자계 분포를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해,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 자체의 권선 분포 등으로 대처하려고 하면 제1(c)도에 나타낸 것처럼 화면 좌우단의 상하 중간부의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M-PQV)가 증대해 버린다(도면에 있어서 실선은 R(적색), 파선은 B(청색)의 빔궤0적). 이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핀쿠션)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어느 정도까지 대응 가능하지만 한계가 있고, 제1(d)도의 패턴처럼 코너부의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PQV)와 절반으로 하는 모양으로 대응하고 있다. 제1(d)도의 패턴처럼 코너부의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PQV)와 절반으로 하는 모양으로 대응하고 있다. 즉, 수평 편향 코일의 군선분포를 조정하여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M-PQV)를 작게 하면, 코너부의 세로 방향 미스 콘버전스(PQV, M-PQV)를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밸런스를 취한 모양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화면의 플래트화, 편향 각도의 광각도화가 더욱 진척되면 상기 권선 분포를 조정만으로는 한도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미스 콘버전스(PQV, M-PQV)의 더욱 작은 콘버전스를 실현하도록 도모되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다. 제2(a)는 X-Y축 평면도, 제2(B)는 Y-Z축 평면도이다. 코일 세퍼레이터(11)는 절연재로된 보빈이며, 그것의 중앙 구멍은 수상관의 네크축과 퍼넬측의 경계 부근 둘레에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일 세퍼레이터(11)의 상하 내측에는 한조의 안장형 수평 편형 코일(12a, 12b)이 대향해서 장치되어 있다. 또 코일 세퍼레이터(11)의 외측에는 코어(13)에 환상으로 감겨 있는 한조의 수직 편향 코일(14a, 14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세퍼레이터(11)와 수직 편향 코일(14)의 사이에 있는 수상관의 네크측 근방에는 상하(Y축) 방향으로 한쌍의 네크측 자성편(15a, 15b) (!5b는 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코일 세퍼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다. 또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프론트축 플랜지부(11a)에는 X축에는 약 10˚의 위치에 대략 관축(Z축) 방향으로 자석 부착 방향을 갖는 4개의 영구자석(17a, 17b, 17c, 17d)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A)에 나타낸 N극, S극은 영구자석의 바로 앞쪽의 극성을 나타내고 있다. 영구자석(17a, 17d)은 X축의 윗쪽에 있는데, 영구자석(17a)은 프론트축이 N극, 영구자석(17d)은 프론트축이 S극이다. 영구자석(17b, 17c)은 X축의 아래쪽 있는데, 영구자석(17b)은 프론트축이 S극, 영구자석(17c)은 프론트축이 N극이다.
다음에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프론트축에서, 좌우(X축 방향)에는 세퍼레이터(11)의 외주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크로스암(16a, 16b)이 배치되며, 코일 세퍼레이터(11)에 부착되어 있다. 즉 크로스암(16a, 16b)의 Y축 방향의 단부는 서로 근접해 있다. 또한 크로스암(16a)의 상하 단부는 각기 전방으로 연장하는 자계 형성부(161, 162)가 설치되며, 크로스암(16b)의 상하 단부에도 각기 전방으로 연장하는 자계 형성부(164, 16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개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편향 요크장치는 상기의 구성이지만, 다음에 설명하는 작용의 설명에서는 각 부품이 가해질 때마다 단계적으로 순차 설명하고, 종합적인 작용을 마지막으로 정리하기로 한다.
먼저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 및 상하 핀쿠션 일그러짐인 편향 일그러짐이 수정되는 것을 설명한다.
수평편향 자계는, 수평 편향 코일(12)의 네크측이 프론트축에 비해 약간 배럴 타입의 자계 분포의 경향이며, 종합적으로는 핀쿠션 자계 분포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수직 편향 코일(14)은 약간 피쿠션 타입의 자계 분포로 되는 소정의 감는 각도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편향 코일만에 의한 편향 일그러짐은 제3(b)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피쿠션 일그러짐을 생기게 한다. 이 피쿠션 일그러짐에 대해서는, 제3(a)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특히 자계 형성부(161~164)가 Y축 방향의 단부에 근접해서 있는 크로스암(16a, 16b)이 추가되면, 제3(b)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상하 핀쿠션 일그러짐이 크게 수정되고, 또 좌우 핀쿠션 일그러짐도 수정된다. 즉, 제3(b)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일그러짐의 정도가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수정된다. 제3(a)도는 전자빔이 윗쪽으로 편향될 때의 수직 편향 자계의 방향(화살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자계 형성부(161~164)가 Y축에 근접할수록, Y축 근방의 전자빔이 크게 편향되고, 그만큼 상하 핀쿠션 일그러짐이 더욱 가해져서 개선된다. 단 이 보정분만큼 좌우 핀쿠션의 수정량이 감소하므로, 양자를 보아 자계 형성부(161~164)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미스 콘버전스가 수정되는 결과를 설명한다.
이상에 의해 편향 일그러짐은 수정되지만, 이때의 콘버전스는 제3(c)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패턴으로 되어 있다(전자총은 패널면을 향해 B-G-R로 병렬로 있고, 실선에 동그라미를 붙인 라인이 R(적색), 점선에 X표를 붙인 라인이 B(청색)이다). 이것에 대해 네크측 자성편(15a, 15b)이 배치되면, 그 부분의 수직 편향 방향의 자계가 일부 차폐되고, 배럴 타입의 자계로 수정되기 때문에, 수직 편향 자계 분포는 종합적으로는 배럴 타입의 자계 분포로 되어 편향 일그러짐에 그다지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콘버전스를 제3(d)도의 패턴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이르러서는 미스 콘버전스(M-PQV)만이 문제로서 남는다.
제4도에서는 프론트측에 배치되는 영구자석(17a, 17b, 17c, 17d)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4(a)도는 X-Z축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R, G, B 빔과 영구자석(17a)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며, 제4(b)도는 X-Y축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영구자석(17a~17d)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자빔에 작용하는 영구자석(17a~17d)의 힘은 X, Y, Z축 방향의 각각에 미치지만, 자계의 방향 및 편향 전류의 방향에 의해 화면 우측 상부에서는 상향의 힘이 가장 크다. 제4(b)도에는 영구자석(17a)의 자계가 전자빔에 작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의 우측 상부 영역에서는 화살표(3a)로 나타낸 것처럼, 영구자석(17a)의 자계가 전자빔에 대해 상향으로 작용한다. 또, 이때 영구자석(17a)에 가장 가까운 것은 R(적색)빔이며, 이것이 가장 큰 상향의 힘을 받기 때문에, 제3(d)도의 우측 상부 미스 콘버전스(M-PQV)가 수정되게 된다. 화면 우측 하부 및 좌측의 미스 콘버전스(M-PQV)에 대해서도 같은 원리이며, 각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는 영구자석(17a~17d)의 배치 위치인데, 현행 텔레비젼 화면(종횡비 4 : 3)에서는 미스 콘버전스(M-PQV)의 위치는 X축보다 약 18˚상하의 위치이지만, 이 위치에 도달하는 전자빔이 영구자석(17a~17d)의 어느 하나의 근방을 통과할 때는 X축과의 각도는 18˚보다 작다.
당사의 21˝CPT/DY 시스템
DPT : 칼라 픽쳐 튜브
DY : 편향 요크
을 통한 실험에서는, 관축을 중심으로 하여 X축에 대해 약 10˚의 점에 있어서 가장 양호한 콤버전스 특성이 얻어졌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17)의 배치 위치가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플랜지부(11a)의 외주면으로 되어 있지만, 플랜지부(11a)의 내주면이라도 좋으며, 내외 위치는 한정된 것이 아니다. 또한 상하 핀쿠션 일그러짐 보정을 위해,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프론트축 플랜지부(11a)에 상하 한쌍의 영구자석을 배치한 타입의 편향 요크 장치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영구자석(17a~17d)의 부착 위치를 X축에서 약 10˚로 한 것은 ±5˚, 즉 5˚에서 15˚의 범위의 위치이더라도 미스 콘버전스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영구자석(17a) (제2(a)도 참조)의 부착 위치 P가 10˚<P≤15˚로 선정되었을 경우, 제3(d)도의 화면상에서는 우측 상부 영역(A1)의 미스 콘버전스가 유효하게 저감된다. 또, 영구자석(17a) (제2(a)도 참조)의 부착 위치 P가 10˚<P≤15˚로 선정되었을 경우, 제3(d)도의 화면상에서는 영역(A2)의 미스 콘버전스가 유효하게 저감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17a~17d) 부착 위치가 플랜지부(11a)의 외주면이다. 그러나 영구자석(17a~17d) 부착 위치는 플랜지부(11a)의 내주측이라도 좋다.
제5도는 영구자석(17a~17d)이 플랜지부(11a)의 내주측에 부착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5(a)도는 편향 요크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며, 파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을 확대해서 제5(b)도에 나타내고 있다. 플랜지부(11a)의 내부에는 영구자석(17c, 17d)이 부착되어 있다. 영구자석(17c)은 플랜지부(11a)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21, 22)에 의해 끼워져서 유지되고 있다. 또, 영구자석(17d)은 플랜지부(11a)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23, 24)에 의해 끼워져서 유지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스 콘버전스(PQV, M-PQV)가 작은 콘버전스인, 핀쿠션 프리타입의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수상관의 네크측과 퍼넬측의 경계 부근 둘레와 대략 일치하도록 성형된 중앙 구멍을 가지며, 상기 퍼넬측에서는 프론트축 플랜지부를 갖는 코일 세퍼레이터(11)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내주의 상하측으로 각각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안장형 수평 편향 코일(12a, 12b)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외주에 배치되며, 보빈 형상의 코어(13)에 환상으로 감긴 수직 편향 코일(14a, 14b)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14a, 14b)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14a, 14b)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와의 사이 또는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측에 배치된 상하 한쌍의 네크측 자성편(15a, 15b)을 갖는 편향 요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플랜지부(11a)의 외주를 따라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되며, Y축 방향의 각 단부가 서로 근접하고 그 각각의 단부에는 자계 형성부(161~164)가 설치된, 좌우 한쌍의 이루어진 제1 및 제2의 크로스암(자성편 : 16a, 16b)과 :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프론트축 플랜지부(11a)에 배치되는데, 관축을 중심으로 하여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X축에서 각각 약 10˚정도 이격된 각 위치에 배치되며, 대략 상기 관축 방향으로 자석 부착 방향을 갖는 4개의 영구자석(17a~17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7a~17d)은 상기 프론트축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7a~17d)은 상기 프론트축 플랜지부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 장치가 부착되는 수상관은 영상 스크린면의 종횡비가 4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 장치가 부착되는 수상관은 영상 스크린면의 종횡비가 16 :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KR1019920010538A 1991-06-19 1992-06-18 편향 요크 장치 KR960000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47564 1991-06-19
JP3147564A JPH04370629A (ja) 1991-06-19 1991-06-19 偏向ヨー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349B1 true KR960000349B1 (ko) 1996-01-05

Family

ID=1543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538A KR960000349B1 (ko) 1991-06-19 1992-06-18 편향 요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78961A (ko)
EP (1) EP0519505B1 (ko)
JP (1) JPH04370629A (ko)
KR (1) KR960000349B1 (ko)
CN (1) CN1027844C (ko)
DE (1) DE6920292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46310A1 (en) * 1993-02-18 1998-02-20 Thomson Tubes & Displays Deflection yoke with a pair of magnets near its minor axis
ATE173561T1 (de) * 1994-07-01 1998-12-15 Thomson Tubes & Displays Elektronenstrahl-ablenksystem für kathodenstrahlröhren
JP3019141B2 (ja) * 1995-08-04 2000-03-1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偏向ヨーク
KR0164579B1 (en) * 1995-11-07 1999-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wide tv
US5747924A (en) * 1996-07-23 1998-05-05 Sony Corporation Picture distortion correcting apparatus
JP3543900B2 (ja) * 1996-12-27 2004-07-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陰極線管装置
US6958573B1 (en) * 1999-12-03 2005-10-25 Thomson Licensing S.A. Asymmetric shunt for deflection yoke for reducing diagonal symmetric defects
JP3410441B2 (ja) * 2000-03-06 2003-05-2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偏向ヨーク
EP1353515A1 (de) * 2002-04-12 2003-10-15 Matsushita Display Devices (Germany) GmbH Farbbildröhre und Ablenksystem für Farbbildröhren mit verbesserter Konvergenz
EP1378927A1 (de) * 2002-07-04 2004-01-07 Matsushita Display Devices (Germany) GmbH Farbbildröhre und Ablenksystem mit verbesserten Abbildungseigenschaften
JP2004039583A (ja) * 2002-07-08 2004-02-05 Hitachi Displays Ltd 投射形陰極線管装置
JP2007128830A (ja) * 2005-11-07 2007-05-24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623A (en) * 1977-06-08 1979-01-10 Toshiba Corp Color picture tube of beam-index type
JPS566357A (en) * 1979-06-27 1981-01-22 Hitachi Ltd Deflecting yoke
JPS56162455A (en) * 1980-05-21 1981-12-14 Toshiba Corp Color picture tube device
JPS5738545A (en) * 1980-08-20 1982-03-03 Toshiba Corp Deflection yoke device for color television set
JPS6074459U (ja) * 1983-10-07 1985-05-2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ビ−ム制御装置
JPS6380756A (ja) * 1986-09-22 1988-04-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平板状リニアパルスモ−タ
JP2635327B2 (ja) * 1987-05-19 1997-07-30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JPH0748652B2 (ja) * 1987-07-23 1995-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回路装置の入力保護装置
JPH01176639A (ja) * 1987-12-29 1989-07-13 Matsushita Electron Corp 偏向ヨーク
JPH0744016B2 (ja) * 1989-01-09 1995-05-1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偏向ヨーク
NL9000530A (nl) * 1990-03-08 1991-10-01 Philips Nv Schaduwmasker kleurenweergeefbu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19505A1 (en) 1992-12-23
DE69202924T2 (de) 1995-11-02
DE69202924D1 (de) 1995-07-20
US5378961A (en) 1995-01-03
JPH04370629A (ja) 1992-12-24
EP0519505B1 (en) 1995-06-14
CN1068216A (zh) 1993-01-20
CN1027844C (zh) 199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4308A (en) Deflection yoke with permanent magnet raster correction
KR960000349B1 (ko) 편향 요크 장치
KR100295085B1 (ko) 음극선관장치
US4429293A (en) Pincushion raster corrector distortion with improved performance
KR850001389B1 (ko) 컬러텔레비전 수상기의 편향 요오크장치
JP3950168B2 (ja) ラスタ歪みが低減された偏向ヨーク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US4369418A (en) Deflection yoke incorporating a permeable corrector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US6861793B2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improved horizontal resolution
US5514931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mages
JPH02204947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偏向ヨーク装置
JPH1064449A (ja) 偏向ヨーク
JPH0733361Y2 (ja) 偏向ヨーク装置
KR830002599B1 (ko) 편향(扁向)장치
GB2089116A (en)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used with a magnetically permeable corrector ring
KR200143631Y1 (ko) 편향요크의 컨버젼스 요크코일 장치
JPS6318836B2 (ko)
KR100361836B1 (ko) 편향요크
JPH0744016B2 (ja) 偏向ヨーク
JPH08129974A (ja) 偏向装置
JP2000149819A (ja) 偏向ヨーク
JP2001332189A (ja) 偏向ヨーク
JPH0797483B2 (ja) 陰極線管用偏向装置
JP2007128830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