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252B1 - 중량물(重量物)의 저장,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重量物)의 저장, 반송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252B1
KR960000252B1 KR1019890016696A KR890016696A KR960000252B1 KR 960000252 B1 KR960000252 B1 KR 960000252B1 KR 1019890016696 A KR1019890016696 A KR 1019890016696A KR 890016696 A KR890016696 A KR 890016696A KR 960000252 B1 KR960000252 B1 KR 96000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coil
trolley
rai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500A (ko
Inventor
쇼오지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노구치 미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노구치 미치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91000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량물(重量物)의 저장·반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저장·반송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제1대차와 제2대차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대차의 사시도.
제4도는, 코일 저장 설비의 배치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대차를 셔틀식 반송장치로서 사용한 때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대차를 위킹빔식 반송장치로서 사용한 경우의 사시도.
제7도 내지 제11도는 다른 코일 저장설비의 배치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반송장치 11 : 제1레일
11a : 짧은 제1레일 12 : 제2레일
12a : 짧은 제2레일 13 : 제3레일
14 : 고정 재치대 21 : 제1대차
22 : 제2대차 23 : 제3대차
25 : 저장소 30 : 차바퀴
31 : 승강 받는대 40 : 차바퀴
41 : 주행기구 42 : 제어장치
43 : 가요 지지구 44 : 코일 받는대
50 : 차바퀴 60 : 반입위치
80 : 셔틀식 반송장치 81 : 레일
82 : 제1코일 받는대 83 : 제2코일 받는대
90 : 워킹빔식 반송장치 91 : 레일
92 : 제1코일 받는대 93 : 제2코일 받는대
94 : 제3코일 받는대 95 : 제4코일 받는대
100 : 반입라인 101 : 도금라인
102,103:턴 테이블 125 : 저장소
143 : 가요지지구 225 : 저장소
243 : 가요지지구 W : 코일(중량물)
본 발명은, 예를들면, 제철소의 코일과 같은 중량물의 저장 및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철소에 있어서, 코일과 같은 중량물은, 천정을 주행하는 천정 크레인, 루프(Loop)형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대차(대차)가 순환 이동하는 루프대차, 또는, 바닥에 부설된 레일위를 주행하는 보기(Bogie)대차등의 운반장치에 의하여 운반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반송장치는, 어느것도 설치시의 배치의 자유도가 제약됨과 동시에, 실시후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으며, 커다란 설비공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천장크레인은 높은 곳을 주행하기 때문에, 건설비용이 들게되며, 안정성의 면으로부터 반송속도를 높일 수 없으므로 반송효율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평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된 재치대와의 사이에서 중량물을 주고 받도록 주행수단과 승강수단을 갖춘 대차를 연결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차는, 고정측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일정거리의 사이를 왕복하도록 되어 있는 중량물의 저장·반송장치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대차는 평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된 재치대의 사이에서 중량물을 주고 받도록 주행수단가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어떤 한정된 범위내에서 스스로 왕복 주행하여 인접하는 재치대 사이에서 중량물을 반송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제철소에 있어서, 코일저장설비의 배치도이다.
서로 간격을 두고 병렬 설치된 2셋트의 제3레일(13),(13)사이에는, 복수의 제2레일(12),(12)이 직교하여 부설되어 있다.
제2레일(12)의 양측에는 제2레일(12)과 직교하는 복수셋트의 제1레일 (11 ),(11)이 부설되어 있다.
각 제1레일(11)의 양측에는, 코일을 저장하여 놓기 위한, 1쌍의 고정된 재치대 (14),(14)가 설치되어 있다.
코일은 중량물이기 때문에, 고정된 재치대(14)는 평면적으로 배치된다.
저장·반송장치(10)는, 코일(W)을 저장소(25)까지 반송하는 것으로, 제1내지 제3레일(11),(12),(13)위를 각각 주행하는 제1내지 제3대차(21),(22),(23)를 가지고 있다.
제1대차(21)는, 저장소(25)에 부설된 제1레일 위를 주행하는 4개의 차바뤼 (30)와, 차바퀴(30)를 구동하는 주행용 유압 모우터로 이루어진 주행수단(도시생략)과, 코일(W)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승강수단을 갖춘 승강받는대(31)를 가지고 있다.
이 승강받는대(31)는, 제3도를 나타낸 바와같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제2대차(22)는, 제1대차(21)를 탑재하기 위한 짧은 제1레일(11a),(11a)과, 제2레일(12),(12)위를 주행하는 4개의 차바퀴(40)와, 차바퀴(40)를 구동하는 모우터를 갖춘 주행기구(41)와, 제어장치(42)를 가진다.
또한, 제2대차(22)는 제1대차(21)에 접속되는 유압호오스, 제어케이블 등을 지지하는 가요지지구(43),(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W)을 받기 위하여 대략 V자형상으로 하고 있는 코일받는대 (44),(44)가 착설되어 있다.
제3대차(23)는, 제2대차(22)를 탑재하기 위한 짧은 제2레일(12a),(12a)과 제3레일(13), (13)위를 주행하는 4개의 차바퀴(50)와, 차바퀴(50)를 구동하는 주행기구(도시생략)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W)을 반입위치(60)로부터 저장소(25)까지 반송하려면, 먼저, 제1대차 (21)와 제2대차(22)를 포개어 탑재한 제3대차(23)를 반입위치(60)에 정지시키고, 제2대차(22)의 코일받는대(44)에 코일(W)을 적재한다.
제3대차(23)는 제1대차(21)와 제2대차(22)를 탑재한 채로 선택된 제2레일 (12)의 위치까지 제3레일(13)위를 스스로 주행하고, 정지한다.
그러면, 제2대차(22)가 제3(23)상의 짧은 제2레일(12a),(12a)에서 제2레일 (12)상으로 이행하고, 제1대차(21)를 탑재한 채로의 상태에서 선택된 제1레일(11)의 위치까지 스스로 주행하고, 정지한다.
그후, 제1대차(21)는, 승강받는대(31)를 상승시켜, 코일(W)을 코일받는대 (44)에서 승강받는대(31)로 옮겨 바꾸고, 1쌍의 코일재치대(14)까지 스스로 주행하고, 승강받는대(31)를 하강시켜 코일(W)을 코일재치대(14)상에 내린다.
코일(W)을 내리고 빈 제1대차(21)는, 제2대차(22)상으로 돌아오고, 또한, 제2대차(22)는 제3대차(23)상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제3대차(23)는 반입위치(60)로 돌아오고, 다음의 반입동작에 대비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반입시 코일(W)을 처음부터 승강받는대(31)에 적재하여 반송하는 경우는, 제2대차(22)의 코일받는대(44)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코일저장설비에 따라서는, 제3레일이 없는 것도 있으며, 이 경우는, 제3대차(13)는 필요없게 되어, 제1대차(21) 제2대차(22)로 반송한다.
제2대차(22)는 제1대차 및 제3대차보다 긴거리를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대차(21)는 스스로 주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독으로 제5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방법도 가능한 것이다.
제5도는, 레일(81),(81)의 양측에 설치된 2셋트의 제1,제2코일 받는대 (82),(83)[(83)은 한쪽 도시생략함] 사이에서의 제1대차(21)의 왕복운동과, 승강받는대(31)의 승강의 반복에 의하여, 코일(W)을 제1코일받는대(82)로부터 제2받는대 (83)로 옮겨바꿔 반송하는, 수위 셔틀시 반송장치(80)로서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제1대차(21)에는 유압호오스, 제어캐이블등을 지지하는 가요지지구(143)가 형성되어 있다.
제6도는, 레일(91),(91)의 양쪽에 같은 간격(L)으로 설치된 4셋트의 제1내지 제4코일받는대 (92),(93),(94),(95)(어느것도 한쪽 도시생략함)에 대하여, 상기 간격(L)과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접속된 3대의 제1대차(21)의 간격(L)으로 같은 거리의 왕복운동과, 승강받는대(31)의 승강의 반복에 의하여, 복수의 코일(W)을 제1코일받는대(92)로부터 제4받는대(95)로 동시에 차례로 옮겨 반송하는 수위 워킹빔심 반송장치(90)로 하여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중앙의 제1대차(21)에는 유압호오스, 제어 케이블등을 지지하는 가요지지구 (243)가 형성되어 있다.
앞뒤의 대차(21)에는, 대차(21)사이의 연결로드를 통하여 동력, 신호를 공급하면 좋다.
이 위킹빔식 반송장치(90)는, 각 제1대차(21)에 단독으로 승강하는 승강받는대 (3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W)이 불규칙하게 보내지고 있어도, 앞에 채워놓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저장·반송장치(10)와, 셔틀식 반송자치(80)와, 워킹빔식 반송장치 (90)를 조합시키면, 제7도 내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여러 가지 코일 저장설비의 배치를 실현 할 수 있다.
어느것도, 코일에 도금을 시행하는 것과 같은 2차 가공을 행할 때, 일시적으로 코일을 저장하여 놓는 것이며, 제7도는, 반입라인(100)으로부터 반입된 코일을, 셔틀식 반송장치(80)에 의하여 제2대차(22)에 탑재된 제1대차(21)(제2도와 같은 상태)로 보내고, 그 제2대차(22)의 주행에 의하여 저장소(125)로 반송하며, 또한 제1내지 제3대차(21),(22),(23)에 의하여 저장소(125)내의 소망위치에 저장가능하도록 한 경우의 배치도이다.
코일(W)의 반출은 제1대차(21)와 제2대차(22)의 조합에 의하여 셔틀식 반송장치(80)로 반송하여 도금라인(101)으로 반출된다.
제8도는, 제7도에 있어서, 저장소(125)의 모서리에 턴 테이블(102),(103)을 설치하여, 코일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의 배치도이다.
제9도는, 반입라인(100)에서 반입되어온 코일(W)을, 셔틀식 반송장치(80)에 의하여 제2대차(22)에 탑재된 제1대차(21)로 바꿔 옮기고, 저장소(225)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의 배치도이다.
코일(W)의 반출은, 제1대차(21)와 제2대차(22)의 조합에 의하여, 셔틀식 반송장치(80)로 반송되고 도금라인(101)으로 반출된다.
이 배치는 제2대차(22)가 고속으로 주행할수 있는 특징을 살리고, 반입라인 (100)과 도금라인(101)과의 사이가 크게 떨어져 있을 때 유효하다.
제10도는, 제9도에 있어서, 도금라인(101)쪽에, 셔틀식 반송장치(80)와, 워킹빔식 반송장치(90)를 설치한 배치도이다.
제11도는, 반입라인과 도금라인이 다른 건물(A),(B)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건물 사이에 제2대차(22)에 탑재된 제 1대차(21)에 코일을 적재하여 코일을 반송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의 배치도이다.
본 발명의 중량물의 저장·반송장치에 의하면, 제1, 제2, 제3대차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스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좁은 설치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여러방향으로 중량물을 반송하여 평면적으로 배치된 재치대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레일의 부설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저장소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대차는 보통 바닥을 주행하므로, 크레인의 경우와 같은 위험성은 없으며,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대차는 단독으로 스스로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2대차에 제1대차를 보내는 기구나, 제1레일쪽으로 제1대차를 끌어오는 기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코일 저장설비의 구조가 간소화 됨과 동시에, 특허청구의 범위의 구성에 의하면, 제1대차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다른 반송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레일(91)과, 상기 레일(91)의 양측에, 상기 레일(91)을 따라 상호 대향하여 각각 등간겨(L)으로 설치된 중량물 받는대(92∼95)와, 상기 중량물 받는대(92∼95)의 간격(L)과 동일한 간격으로 연결로드를 개재하여 상호 접속되고, 상기 레일(9)위를 상기 간격(L)과 같은 거리만큼 왕복 주행하는 동시에, 중량물(W)을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받는대(31)를 각각 가지는 대차(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저장·반송장치.
KR1019890016696A 1989-06-09 1989-11-17 중량물(重量物)의 저장, 반송장치 KR960000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6720 1989-06-09
JP1989066720U JPH037113U (ko) 1989-06-09 1989-06-09
JP89-66720 1989-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500A KR910000500A (ko) 1991-01-29
KR960000252B1 true KR960000252B1 (ko) 1996-01-04

Family

ID=1332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696A KR960000252B1 (ko) 1989-06-09 1989-11-17 중량물(重量物)의 저장, 반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7113U (ko)
KR (1) KR960000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569B1 (ko) * 2010-01-08 2012-02-14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데릭 크레인
KR101986111B1 (ko) 2018-10-23 2019-09-30 (주)기흥기계 유니버셜 밀링머신의 각도 분할장치
KR102015241B1 (ko) * 2019-01-29 2019-08-27 고민희 외조기 모듈의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806A (ja) * 1984-08-02 1986-03-05 Tsubakimoto Chain Co ストリツプコイル貯蔵設備
JPS63282004A (ja) * 1987-05-11 1988-11-18 Kawasaki Steel Corp 物品搬送保管設備
JPS6478624A (en) * 1987-06-29 1989-03-24 Tsubakimoto Chain Co Storing and carrying device for heavy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500A (ko) 1991-01-29
JPH037113U (ko) 199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5098B2 (ja) 仕分けシステムと仕分け方法
US4459078A (en) Conveyor device for a storage plant
JP6521063B2 (ja) 自動倉庫及び懸垂式スタッカクレーン
KR20170044727A (ko) 피킹 시스템과 피킹 방법
CN107428480B (zh) 用于将货柜仓库的货柜入仓及出仓的方法及货柜转运设施
JP6291228B2 (ja) 自動保管設備及び自動倉庫
KR960000252B1 (ko) 중량물(重量物)의 저장, 반송장치
JPH0581328B2 (ko)
KR20180045810A (ko) 현수식 스태커 크레인
JP653162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CN216470134U (zh) 一种立体仓库调度系统
JP7135243B2 (ja) 立体自動倉庫
CN114056818A (zh) 穿梭车货物一体化提升机、存取系统及一体化系统
JPH06156630A (ja) 自動倉庫
KR950008504B1 (ko) 중량물(重量物)반송장치
JP2792297B2 (ja) 棚設備
JPH061587A (ja) 吊下式搬送装置
JP2913492B2 (ja) 棚設備
JP2751708B2 (ja) 棚設備
JPH10218315A (ja) 鋼片保管設備
JPH05213442A (ja) パレット積み被搬送物の積込み装置
JPH0565773A (ja) 駐車装置
JPH0649369Y2 (ja) コイル移載搬送装置
SU1058839A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о-замкнутый тележечный конвейер
JPH01187111A (ja) 被搬送物の保管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