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703088A - 직물 중공체 및 그 제조 방법(hollow textile body and process for making it) - Google Patents

직물 중공체 및 그 제조 방법(hollow textile body and process for mak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703088A
KR950703088A KR1019950700557A KR19950700557A KR950703088A KR 950703088 A KR950703088 A KR 950703088A KR 1019950700557 A KR1019950700557 A KR 1019950700557A KR 19950700557 A KR19950700557 A KR 19950700557A KR 950703088 A KR950703088 A KR 95070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yers
woven
fabric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거 요한
Original Assignee
베르거 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24226954 external-priority patent/DE4226954A1/de
Priority claimed from DE4324487A external-priority patent/DE4324487B4/de
Application filed by 베르거 요한 filed Critical 베르거 요한
Publication of KR95070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08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4Sack- or bag-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개 또는 6개층의 웨브로 직조된 자루형 직물체에 관한 것이다. 중앙의 사용 가능한 영역 외측에 있는 각각의 층은 공통층으로 들어간다. 공통층의 외부 가장자리 영역 절단된 후 자루형 직물체는 뒤집어진다.

Description

직물 중공체 및 그 제조 방법(HOLLOW TEXTILE BODY AND PROCESS FOR MAKING IT)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취입 팽창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백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직조된 에어 백을 가진, 다수의 층으로 수어된 직물 피륙의 평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직물 피륙의 개개의 층의 III-III선을 따른 간략한 횡단면도이며,
제4도는 2개의 개개의 층이 하나의 공통층으로 이행하는 곳에서 날실을 가로질러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며,
제5도 및 제6도는 실마다 도시한 상태로 하나의 상부군 내지 2개의 상부군으로 구성된 날실군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Claims (14)

  1. 특히 자카드식 문직 장치 또는 이와 등가의 장치의 사용하에 절단 과정 및 필요한 경우의 봉제 과정을 개재한 체 거의 직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직물 중공체(″중공체″)에 있어서, a) 직조되는 중공체는 상부와 하부 직물층(외층 : 14, 15; 14a, 15a; 14b, 15b)을 구비하며, b) 중공체는 또한 상부와 하부 외층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특히 2개의 이음천(4)을 구비하며, c) 각각의 이음천은 상부와 하부 직물층(이음천층 ; 17, 18)을 구비하며, d) 상부와 하부 이음천층은 외측으로 상부 또는 하부 외층(14, 15 등)에 직조되며, e) 하나 이상의 이음천의 양 이음천층은 그 중공체 내측으로 향한 가장자리(내측 가장자리)에서 중앙 공통층(26)으로 서로에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중공체(제2도 및 제3도).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 공통층(26)은 각각의 이음천(4)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피륙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테두리줄(26′)의 폭만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체.
  3. 자카드식 문직 장치 또는 이와 등가의 장치를 가진 직조기의 사용하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직물중공체(“중공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4개의 날신군(31 내지 34)이 제공되며, b) 최외측의 양 날실군(31, 34)은 외층(14, 15)의 지조를 위해 사용되며, c) 다른 양 날실군(32, 33)은 상부 또는 하부 이음천층(17, 18)과 중앙 공통층(26)의 직조를 위해 사용되며, d) 이음천층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는 상부 외층(14)과 하나 이상의 상부 이음천층(17) 대신에 외층(14)을 상부(17)에 결합시키는 상부 공통층(20)이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외부로부터 직조되도록 소속 날실이 정향되며, e) 하부 공통층(21)으로 이행되는 가부 외층(15)과 하부 이음천층(18)에 대해서도 d)와 상응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중공체의 제조방버(제5도, 제6도 및 제3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은 상부와 하부 공통층(20, 21)이 외측으로 각각의 병합층(30)으로 이행되도록 정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제7도 및 제14도).
  5. 제3항에 있어서, 양 이음천(4)의 이음천층(17, 18)의 날실도 상응하게 중앙 공통층(26)으로 이행되도록 정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제3도, 제7도 및 제8도).
  6.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 백의 제조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상부와 하부 공통층(20, 21) 사이에 에어백에 적합한 윤곽선(6)을 가지는, 양 외층의 서로에 직조되지 않은 부분이 남게 되도록 상부와 하부 공통층(20, 21)의 폭이 평면도에서 볼 때 직물 조직의 피륙 길이 방향으로 변동되며, b) 외측(12)에 개구부(12)가 절취되며, c) 직물 중공체는 서로 떼어지며, d) 중앙 공통층(26)은 이음천(4)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서 절단되며, e) 개개의 중공체는 특히 개구부(12)를 통해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제2도, 제8도 및 제9도).
  7. 제6항에 있어서, 직조에 의해 생성된 직물 조직은 의장되고, 특히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 공통층(20, 21)은 젖혀지기 이전에 접함에 충분한 폭의 테두리 줄(20′, 21′)을 넘는 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3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조각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킨 채, 그 상부 중공체 부분(27a, b)과 하부 중공체 부분(28a, b) 및 외층(14a, b; 15a, b)이 상이한 폭을 가지는 직물 중공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피륙의 횡방향으로 서로 나란한 다수, 특히 3개의 중공체가 배치되며, b) 피륙의 횡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의 넓은 중공체 부분(27b, 28b) 및 좁은 중공체 부분(27b, 28a)이 교번되며, c) 피륙의 횡방향으로 좁은 중공체와 넓은 중공체가 서로 전치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특히 지카드식 문직 장치 또는 이와 등가의 장치의 사용하에 절단 과정을 개재한 채 거의 직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직물 중공체(“중공체”)에 있어서, a) 중공체의 형성을 위해 4개의 층으로 된 직물이 사용되며, b) 상기 직물은 중공체의 전방벽(50)의 임의의 폭에 가용되는 폭(피륙의 횡방향의 폭)을 가진 최하단층(A)를 구비하며, c) 상기 직물은 최하단층(A)의 폭의 일부만을 덮는 가용 폭을 가지고 측벽의 절편부(52B)에 해당하는 제2하단층(B)을 또한 구비하며, d) 상기 양층(A, B)은 그 외측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공통층(A-B)으로 직조되며, e) 최상단층(D)은 거의 전체 피륙 폭에 달하는 가용 폭을 가지고 하나의 측벽(60)을 형성하며, f) 제2상단층(C)은 최상단층(D) 보다 작은 가용 폭을 가지고 측벽의 절편부(52C)를 형성하며, g) 최상단층(D)과 제2상단층(C)은 우측에서 최하단층과 제2하단층(A, B)에 거의 동일하게 돌출하고 이곳에서 측벽(52, 60)의 개구부(58)을 생성하는 절편부를 형성하며, h) 최상단층과 제2상단층(D, C)은 우측에서 상부 공통층(C-D)으로 서로에 직조되며, i) 상부와 하부 공통층(C-D, A-B)은 우측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공통층(A-B-C-D)으로 직조되며, j) 제2하단층(B)은 그 내측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제2상단층(C)과 함께 중앙공통충(B-C)으로 직조되며, k) 최하단층, 최상단층 및 중앙 공통층(A, D, B-C)은 그 좌측 가장자리에서 좌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공통층(A-B-C-D)으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중공체.
  11. 특히 지카드식 문직 장치 또는 이와 등가의 장치의 사용하에 절단 과정을 개재한 채 거의 직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직물 중공체(“중공체”)에 있어서, a) 중공체의 형성을 위해 6개의 층으로 된 직물이 사용되며, b) 최상단층과 최하단층(F, A)은 중공체의 전방벽(50)의 대략 절반의 폭에 가용되는 폭(피륙의 횡방향의 폭을 가지며, c) 최상단층과 최하단층에서와 거의 동일한 가용 폭을 가지는, 제2상단층과 제2하단층(E, B)은 양 측벽의 절편부(52B)에 해당되며, d) 최상단층은 제2상단층과 함께, 최하단층의 제2하단층과 함께 그들의 외측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상부 또는 하부 외측 공통층(E-F, A-B)로 직조되며, e) 제2상단층과 제2하단층은 그 좌측 가장자리에서 제3상단층 또는 제3하단층(D, C)과 직조되며, f) 제3상단층과 제3하단층은 거의 전체 피륙 폭의 가용 폭을 가지고, 최하단층, 제2하단층, 최상단층 및 제2상단층(A, B, E, F)의 가용폭을 너머 우측으로 돌출하고, 측벽(52, 60)의 후방 절편부(52C)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g) 상기 양 층(C, D)은 우측에서 중앙 공통층(C-D)으로 직조되어 층(E-F, A-B)과 함께 공통 최외층(A 내지 F)으로 직조되며, h) 제2및 제3상단층(E, D)과 제2 및 제3하단층(B, C)은 좌측에서 각각의 공통 외층(E-D, C-B)으로 직조되어 최상단층과 최하단층(F, A)과 함께 단일의 공통 최외층(F 내지 A)으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중공체.
  12. 제1항, 제2항,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피륙의 전폭에 걸쳐 5자 회전식 날실과 Z자 회전식 날실이 서로 교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중공체.
  13. 제1항, 제2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실과 씨실은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중공체.
  14. 제1항, 제2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날실과 동일 무늬의 반복 마다의 하나 이상의 씨실은 잔여 직물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중공체.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700557A 1992-08-14 1993-08-13 직물 중공체 및 그 제조 방법(hollow textile body and process for making it) KR9507030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26954.7 1992-08-14
DE19924226954 DE4226954A1 (de) 1992-08-14 1992-08-14 Textiler Hohl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P4324487.4 1993-07-21
DE4324487A DE4324487B4 (de) 1993-07-21 1993-07-21 Textiler Hohl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PCT/EP1993/002161 WO1994004734A1 (de) 1992-08-14 1993-08-13 Textiler hohl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088A true KR950703088A (ko) 1995-08-23

Family

ID=2591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557A KR950703088A (ko) 1992-08-14 1993-08-13 직물 중공체 및 그 제조 방법(hollow textile body and process for making it)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655094A1 (ko)
JP (1) JPH08500638A (ko)
KR (1) KR950703088A (ko)
AU (1) AU4947493A (ko)
BR (1) BR9306900A (ko)
CA (1) CA2142446A1 (ko)
CZ (1) CZ37795A3 (ko)
PL (1) PL307440A1 (ko)
RU (1) RU95109442A (ko)
WO (1) WO19940047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158A (ko) * 2020-03-26 2021-10-08 글로벌 세이프티 텍스타일즈 게엠베하 Opw 에어백
KR20210122159A (ko) * 2020-03-26 2021-10-08 글로벌 세이프티 텍스타일즈 게엠베하 Opw 에어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0221C1 (de) * 1994-06-10 1995-11-02 Johann Berger Hohlkörper beachtlicher Tiefe für einen Airbag
GB9502694D0 (en) * 1995-02-11 1995-03-29 Umist Weaving of preforms
JP3069601B2 (ja) 1996-10-03 2000-07-2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側部用エアバッグ
DE19861345B4 (de) * 1998-02-23 2007-03-08 Bst Safety Textile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irbags
DE19903361A1 (de) 1999-01-28 2000-08-03 Breed Automotive Tec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uftsackes und Luftsack
US6296276B1 (en) * 1999-09-01 2001-10-02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 bag
US8859774B2 (en) 2012-05-25 2014-10-14 Corcept Therapeutics, Inc. Heteroaryl-ketone fused azadecalin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NL2021851B1 (en) * 2018-10-22 2020-05-13 Evertex Beheer Bv Seamless one-piece woven textile 3D objec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7152A (en) * 1975-03-14 1978-04-12 Toray Industries Fabric material for producing woven air bags utilized for protecting riders in vehicles
JPH0692218B2 (ja) * 1987-12-11 1994-11-1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用バッグおよびその製造法
EP0458838B1 (en) * 1989-02-16 1996-05-08 Airbags International Limited Air bag
US5098125A (en) * 1990-06-08 1992-03-24 Stern & Stern Industries, Inc. Tube, air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9028173D0 (en) * 1990-12-28 1991-02-13 Airbags Int Ltd Air ba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158A (ko) * 2020-03-26 2021-10-08 글로벌 세이프티 텍스타일즈 게엠베하 Opw 에어백
KR20210122159A (ko) * 2020-03-26 2021-10-08 글로벌 세이프티 텍스타일즈 게엠베하 Opw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306900A (pt) 1998-12-08
PL307440A1 (en) 1995-05-29
AU4947493A (en) 1994-03-15
EP0655094A1 (de) 1995-05-31
JPH08500638A (ja) 1996-01-23
CA2142446A1 (en) 1994-03-03
RU95109442A (ru) 1997-03-20
WO1994004734A1 (de) 1994-03-03
CZ37795A3 (en) 199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0079T3 (es) Tejido de fabricacion de papel triple capa.
CN103857597B (zh) 编织包
US474900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loth particularly for paper-manufacturing machine
US4730942A (en) Flexible bulk containers
CZ196895A3 (en) Air ba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KR950703088A (ko) 직물 중공체 및 그 제조 방법(hollow textile body and process for making it)
ES2207224T3 (es) Tejido conformado de doble capa para fabricas de papel.
US2632480A (en) Two-ply fabric for mattresses or the like
PT1311723E (pt) Tecido composto
US2845069A (en) Diaper
JP2003513837A5 (ko)
US1423524A (en) Woven tubular fabric
CA2247720A1 (en) Laminated multi-layered seam product with formed loops
JPH07122229B2 (ja) 抄紙機のシート形成部用織物
US3286739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textile fabric for pocket materials having no stitched seam
US6685791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air bag having a three-dimensional form
JP2001234446A (ja) 多層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64526A (en) grauwiler
US3177873A (en) Diaper
US570174A (en) James e
US3602224A (en) Prefolded and sewn diaper and fabric therefor having improved wear-resistance and moisture-holding characteristics
PL173502B1 (pl) Wstęga tkaniny podwójnej tworząca półfabrykaty worków oraz sposób jej wytwarzania
KR101129356B1 (ko) 단추 결합형 직조 라벨 및 그 제조 방법
JPH10121347A (ja) 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3247872A (en) Di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