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5148B1 - 이중상 투시필름 및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상 투시필름 및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5148B1
KR950015148B1 KR1019930000625A KR930000625A KR950015148B1 KR 950015148 B1 KR950015148 B1 KR 950015148B1 KR 1019930000625 A KR1019930000625 A KR 1019930000625A KR 930000625 A KR930000625 A KR 930000625A KR 950015148 B1 KR950015148 B1 KR 95001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thermal transfer
ink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212A (ko
Inventor
이정훈
유병석
황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최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최영중 filed Critical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5148B1/ko
Publication of KR94001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중상 투시필름 및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제1a도는 본 발명의 이중상 투시필름 제조시에 사용되는 피인쇄 필름으로 투명한 내열성의 필름의 한면에 투명한 열가소성 패턴층을 인쇄한 구조의 단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피인쇄 필름의 이면에 투명 점착층을 형성한 구조의 단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이중상 투시필름 제조시에 사용되는 열전사지의 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이중상 투시필름 제조시에 사용되는 열전사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3a도는 제1a도의 피인쇄 필름과 제2a도의 열전사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이중상 투시필름의 단면도.
제3b도는 제1a도의 피인쇄 필름과 제2b도의 열전사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이중상 투시필름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이중상 투시필름을 롤(roll)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열전사기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인쇄 필름 또는 유리 2 : 패턴 잉크층
3 : 열전사지용 필름 4 : 표면 도안층
5 : 저명도의 전면층 6:금속층
7 : 고명도의 전면층 8 : 도안 잉크층
9 : 비 투시부위 10 :투시부위
11 : 접착롤러 12 : 열전사 롤러
13 : 압착롤러 14 : 인장력 조절장치
15 : 열전사지 공급롤러 16 : 피전사 필름 공급롤러
17 : 열전사지 권취롤러 18 : 이중상 투시필름 권취롤러
20 : 투명 점착제층 21 : 이형필름
A : 피전사 필름 B : 열전사지
본 발명은 이중상, 즉 양면에서 서로 다른 표식을 표출할 수 있는 미세한 중첩무늬 또는 형태를 인쇄하여 제조된 이중상 투시필름 및 동일한 원리를 이용한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광, 투시, 디자인등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필름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여, 이를 이용한 기능섬유리가 제품화되고 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한면 또는 양면에서 도안층을 볼 수 있도록 플라스틱 필름을 두장의 유리사이에 넣어 접합한 구조이거나 필름을 단판유리의 한면에 접착한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제품중 본 발명의 이중상 투시유리 제조용 투시필름의 구조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의 한쪽면에 은폐층, 반사층, 배경색층, 표면 디자인층이 차례대로 원점, 줄무늬등의 모양으로 규칙적이고 세밀하게 중첩 인쇄된 것이다. 이렇게 중첩인쇄된 지역은 불투명하고, 중첩층은 정확히 일대일 대응시켜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플라스틱 필름측)으로부터 표면(인쇄면측)의 디자인층을 볼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필름의 한쪽면은 반사율이 큰, 예를 들면 고명도의 백색잉크등이 인쇄된 반면, 이면은 반사율이 낮은 흑색잉크등을 사용하여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흑색잉크가 인쇄된 면을 통해서는 투시가 가능하나 반사율이 큰층. 즉 백색잉크등이 인쇄된 면을 통해서는 투시가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필름은,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반사층에 의한 차광효과, 은폐층에 의한 투시효과, 도안층에 의한 디자인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므로 주택의 창문유리, 차량의 창재 및 상점등의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곳에 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종래의, 이와 같은 이중상 투시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가) 수용성잉크와 비 수용성잉크의 물에 의한 용해차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무늬(비 수용성잉크의 사용부위)는 필름에 남게하고 나머지 부위(수용성 잉크의 노출부위)는 물세척으로 제거시켜 제조하는 방법 ;
나) 피인쇄물에 박리성 마스크층을 인쇄하고 그 위에 적층인쇄를 한 후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방법 ;
다) 피인쇄물에 직접 다층의 평면 및 디자인층 인쇄를 실시한 후에 망점등의 패턴을 천공(punching)하여 투시부분을 형성시켜 제조하는 방법 ;
라) 피인쇄물에 금속층을 증착하고 그 위에 그라비아 인쇄등을 실시한 다음에 금속층 부위만을 HF수용액으로 에칭하는 방법등이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안층, 저명도의 전면층(흑색층),금속층, 고명도의 전면층(백색층)등 여러층의 인쇄층을 일대일 대응시켜 적층인쇄하여야 하기때문에 고도한 인쇄정밀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불량 발생률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미세한 인쇄층을 용이하게 일대일 중첩시켜 인쇄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일례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1-2495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술을 들 수 있다. 동 공보에서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다층구조로된 열전사지를 준비한 후, 이 전사지를 피전사재에 열전사하여 이중상 투시필름 또는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전사용 기재필름상에, 이형층, 제1디자인층,전면인쇄층, 증착층, 전면인쇄층, 제2디자인층, 접착제층을 순차적으로 평면인쇄하고. 마지막으로 경화성수지를 사용하여 최종무늬 형태와 반대되는 음각패턴층(마스크 역활)을 형성하여 열전사지를 제조하고, 이 전사지를 투명필름, 판넬등의 투명기재에 열전사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열전사지를 투명기재상에 올려놓고 열전사를 행하면, 음각형 마스크층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화성 수지의 패턴층 사이로 접착제층 부위가 빠져나와 투명기재상에 접착되며, 해당 접착부위상에 인쇄되어 있는 제 2디자인층, 전면인쇄층, 금속증착층, 전면인쇄층. 제1디자인층이 접착층과 같이 투명기재상에 열전사되어 부착된다. 그러므로 접착층이 투명기재상에 견고히 접착되게 하기 위해서는 높은 열전사 온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의 일본특허 공개공보 평1-249500호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얇은 두께의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높은 열전사온도로 인해 필름이 열적으로 손상되어 변형되고, 제품의 투시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피전사필름 및 열전사지가 접히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품의 수율이 낮아진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깨끗한 중첩인쇄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경화성수지의 음각형 패턴층을 가능한한 얇고 균일하게 인쇄하여야 하는 고도의 인쇄정밀성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열전사지는 미리 전사지의 인쇄면에 음각형 열경화성 패턴층을 인쇄하여 놓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제품의 미세패턴을 변경시킬 경우, 기존의 열전사지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열전사지 전체를 다시 인쇄하여야 하므로 소량 다품종의 다양한 무늬의 제품생산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온도에서 한번의 열전사 작업을 통해, 간단히 제조되는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적 안정성이 있는 투명점착제를 처리하고 이형필름을 부착시킨 투명한 피전사재를 사용함으로써, 한번의 열전사과정을 통해 창문등에 바로 접착할 수 있는 점착형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조하며, 수율 또한 높은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열성의 피인쇄 필름상에, 최종 인쇄형태가 되는 연화점이 낮은 투명한 열가소성 패턴층을 인쇄하고 ; 열전사시 피인쇄 필름에는 전혀 접착되지 않으면서 상기 열가소성 패턴잉크층에만 가열, 접착되는 도안잉크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를 준비한 후 ; 이 두 재료를 가열. 압착시켜 열전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내열성의 기재유리상에, 최종 패턴부로되는 투명한 열가소성 패턴 잉크층에만 가열, 접착되는 도안잉크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를 준비한 후 ; 이 두 재료를 가열, 압착시켜 열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사지는, 기재필름의 한면에, 저명도의 전면층(흑색층)/금속층(알루미늄증착층)/고명도의 전면층(백색층)/도안잉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 또는 기재필름의 한면에 표면도안층/저명도의 전면층/금속층/고명도의 전면층/도안잉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이다. 이와같은 층들은 통상적인 인쇄방법 및 증착법에 의해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패턴잉크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한 변성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보조제로 사용된 PVC계, 경화제가 소량으로 첨가된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및 도안잉크층은 아크릴계, PVC계,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착색잉크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전사재의 내열성 피인쇄 필름위에 극히 가늘고 미세한 간격의 망점 및 줄무늬등의 패턴층을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하고, 그와 같이 패터닝한 투명 열가소성 패턴층위에 접착제층 및 이형층이 없는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를 덮고 100-150℃에서 열전사시킴으로써, 투명 패턴층 위에만 전사잉크층이 부착전사되고. 패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내열성 피인쇄 필름 부위에는 전혀 전사잉크층이 부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최종 5-7층의 인쇄층이 정확히 일대일 중첩된 이중상 투시필름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피전사재의 열가소성 투명 패턴층 및 전사지상의 착색잉크층에는 연화점이 낮고, 상호 접착력이 강한 재료의 것이 사용되어야 하지만 전사잉크층은 피인쇄 필름에 전혀 접착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이 이중상 투시필름의 제조원리이며, 중첩(핀트)의 정확성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손쉽게 이중상 투시필름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피전사재인 내열성 피인쇄 필름위에 투명 패턴층을 인쇄한 후. 이 필름의 이면에 투명점착제층, 이형성 필름층의 적층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자체 점착성이 있는 이중상 투시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유리등의 두꺼운 피전사재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동일한 이중상 투시효과가 발휘되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그라비아 인쇄 대신에 스크린 인쇄기술을 이용하며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잉크로 패턴층을 인쇄하고, 상기와 같은 특수한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를 패턴층상에 덮고 열전사함으로써 이중상 투시 단판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이중상 투시 단판유리위에 한장의 접합필름만 개재시킨 후 유리를 덮고 접합함으로써 접합유리 형태의 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이 제품은 인쇄면의 보호 및 안정성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시판되고 있는 기존 제품의 경우에는 두장의 유리사이에 이중상 투시필름과 함께, 두장의 접합필름을 개재시켜 접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유리위에 직접 스크린 인쇄 및 열전사 기술을 실시함으로써 한장의 접합필름만으로 이중상 투시 접합유리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이중상 투시 접합유리보다는 유리 두장의 접합력도 강한 제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합필름 1장 및 인쇄용 플라스틱필름(폴리에스테르 필름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단가가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단계 : (피전사재의 제조공정)
제1a도는 본 발명의 이중상 투시필름 제조에 사용되는 피전사재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부호(1)은 피인쇄 필름이고, (2)는 그 위에 인쇄된 패턴잉크층이다. 피인쇄 필름(1)으로는 내열성면에서 양호한 폴리에스테르(PET등) 필름등이 사용되고, 그의 한면에는 세밀한 망점 또는 줄무늬 모양의 투명패턴층(2)이 인쇄된다. 만일, 이중상 투시 단판유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피인쇄 필름 대신에 유리를 사용하면 된다. 이 경우 부호(1)은 유리를 나타내게 된다. 이 패턴층(2)은 피인쇄 필름(1)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잉크중에서도, 전사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연화점이 낮은 것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이때 열가소성 수지의 패턴층(2)의 인쇄두께는 통상 2-2O㎛이면 충분하고, 패턴층 잉크(2)로는 반투명 또는 투명성을 갖는 잉크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투명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전사잉크의 색상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 열가소성 잉크에서 요구되는 또 다른 특성은, 자외선에 대한 황변현상이 없어야 하고, 상온에서 접착성(tacky)이 없는 핫-멜트형의 것이어야 한다. 접착성이 있는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쇄과정에서 불균질한 패턴층이 얻어질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사시 피전사재 필름 전면에 걸쳐 열전사지를 완전히 밀착시키기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사용 가능한 패턴층 잉크의 종류는 피인쇄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내열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피인쇄물로 사용할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보조제로 첨가된 폴리우레탄계 또는 PVC계 잉크, 카르복실기가 함유된 아크릴계 잉크 및 경화제를 소량으로 첨가시킨 에폭시계 잉크등이 이용될 수 있다. 만일 유리와 같이 두꺼운 피인쇄물상에 직접 패턴층을 인쇄하고자 할 때는 스크린 인쇄방법등이 이용가능하며,이때에는 경화제를 소량 첨가시킨 에폭시계 잉크가 유리에 대한 접착성 및 열전사성면에서 바람직하다. 원래 열경화성 특성을 나타내는 에폭시계 잉크는 경화제의 양을 소량으로 첨가시켜 사용하게 되면 열가소성 성질을 나타내므로 전사잉크층의 열전사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현상을 이용하여 에폭시계 잉크층의 패턴층 위에 전사지 잉크층을 열전사함으로써 이중상 투시단판유리의 제조가 가능하지만, 패턴층과 유리에 대한 접착성은 이중상 투시단판유리의 제조가 가능하지만, 패턴층과 유리에 대한 접착성은 다소 떨어지므로 직접 실외용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접합유리 형태로 만들면 실외용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정밀한 인쇄패턴을 얻기 위해서, 스크린 인쇄의 경우에 #300 이상의 고밀도의 메쉬의 스크린을 사용해야 하고, 그라비아 인쇄의 경우에는 #200 이상의 실린더를 사용하여야 바람직하다. 한편, 이중상 투시효과는, 제3a,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잉크층이 입혀진 비 투시부위(9)와, 전사잉크층이 마련되지 않은 투시부위(10)의 면적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패턴층(2)의 크기 및 간격을 적당히 설계하여 인쇄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중상 투시필름을 창문등에 점착 및 이형이 가능한 제품형태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인쇄 필름(1)의 이면에 투명점착층(20)을 형성하여 놓을 수 있다. 창문등에 부착할 수 있는 투명점착제 재료는,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이 있고, 열전사 후 투명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아크릴계와 실리콘 수지계 점착제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21)으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실리콘계 이형제를 도포한 것이 양호하다. 이와 같이 피인쇄 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통상의 인쇄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제2단계 : (다층구조의 열전사지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는 약 16-25㎛의 얇은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3)의 한면에 표면도안층(4), 저명도의 전면층(5), 금속층(6), 고명도의 전면층(7) 및 도안층(8)을 순차적으로 제2a도와 같이 인쇄한 것이다. 통상, 저명도의 전면층은 흑색잉크로, 또한 고명도의 전면층은 백색잉크로 인쇄된다. 이는 접착제층 및 이형제층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열전사지의 층구조와는 다른 형태이다. 열전사시 전사잉크층의 선택적인 박리성의 완벽함은 플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전사잉크층과의 부착력, 착색잉크내의 수지의 성질 및 안료함량등에 영향을 받는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전사지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각각의 층을 인쇄한 후 건조시켰을 때, 박리강도가 높게 부착되는 성질을 갖는 전사잉크층을 적층인쇄함으로써 이형제층의 역할을 대신하게 하였다. 만일, 접착제층이 있는 경우에는 깨끗한 선택적인 박리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미세한 줄무늬 또는 망점등의 패턴층 사이의 간격에도 접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착제층이 없는 형태로 열전사지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전사지의 전사잉크층에 사용되는 착색잉크로는 100-l50℃의 온도에서 열전사시,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피전사재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부위에는 전혀 접착되지 않으면서, 피전사재상에 형성된 투명패턴층에만 용이하게 가열접착되는 특성의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는,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PVC계 착색잉크등을 들 수 있으나, 피전사재의 패턴층과 같은 계열의 수지로 된 착색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패턴층과의 접착성 면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전사지의 인쇄는 통상 그라비아 인쇄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지만 플렉소, 옵셀, 스크린 인쇄방법등도 가능하다. 한편, 금속층은 은폐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통상 진공증착한다. 즉, 종래의 열전사지는 열전사시 잉크층의 연화에 의해 한 잉크층이 다른 잉크층으로 확산되므로 표시면의 밝은 색의 명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많은 바, 은폐층의 역할을 하는 금속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사지는 도안층(4) 및 도안층(8)을 제외한 저명도의 전면층(5), 금속층(6) 및 고명도의 전면층(7)이 무모양으로 평면인쇄된다. 즉, 기재필름(3)상에 여러가지 모양의 도안층(49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적층되는 저명도의 전면층(5), 금속층(6) 및 고명도의 전면층(7)을 무모양으로 평면인쇄하고 바로 위에 도안층(8)을 무늬인쇄하여 열전사지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는, 양면에서 서로 다른 디자인층을 볼 수 있는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열전사지이다. 한편, 제2b도와 같이, 전사지의 층구성을 저명도의 전면층(5), 금속층(6),고명도의 전면층(7), 도안층(8)순으로 하여 제조한 경우에는, 한면에서 도안된 무늬를 볼 수 있고 반대면에서는 그 무늬가 보이지 않아 시야장애 없이 투시해 볼 수 있는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열전사지가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사지의 도안층은 단색뿐만 아니라 다색의 그림형태이며, 옵셋, 그라비아, 플렉소 및 스크린 인쇄방법등으로 인쇄할 수 있다.
제 3단계 : (이중상 투시필름의 제조)
상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피전사재의 투명패턴층 부위위에, 상기 제 2단계에서 제조된 다층구조의 열전사지의 최종 인쇄층부위를 밀착시킨 후, 가열, 압착될 수 있는 롤러 사이에 통과시켜 열전사하면, 패턴층과 접촉된 부위에만 열전사지의 잉크층이 부착, 전사된다. 그 다음 이형공정을 거쳐 열전사지를 제거하면. 최종 이중상 투시필름이 완성된다. 제1a도의 피전사재와 제2a도의 열전사지를 사용하여 상기 공정을 실시하면 제3a도의 이중상 투시필름이 제조되고, 제1a도의 피전사재와 제2b도의 열전사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3b도의 이중성 투시필름이 제조된다. 종래의 열전사지는 전사온도가 150℃ 이상이 되어야만 전사잉크층이 피전사재에 잘 접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얇은 필름위에 접착성이 강하면서 연화점이 낮은 핫-멜트형의 투명 패턴잉크층이 인쇄된 구조이기 때문에 100-l5O℃의 가열된 롤러 사이에 수초 동안 통과시켜도 패턴층의 표면이 연화되어 전사잉크층과 융착된다. 이러한 이중상 투시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피전사재 필름이 열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어 최종제품의 투시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내열도가 강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피인쇄필름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극소화 하였다.
제4도에는 상기한 본 발명의 투시필름을 롤(roll)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인-라인 장치를 나타내었다. 피전사재(A) 및 열전사지(B)를 각각의 공급롤러(16,15)에 장착시키고 필름들을 이동시켜 열전사 롤러(12) 및 압착롤러(13)에 통과시켜 열전사한 후, 열전사지 권취롤러(17) 및 투시필름 권취롤러(18)에서 자동으로 권취함으로써 폭 1m 이상의 대형 롤형태의 투시필름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이때, 열전사시 먼지가 유입되면 이중상 투시필름의 인쇄면에 치명적인 결함을 야기시키므로 피전사 필름을 접착롤러(11)에 통과시키고, 코로나 방전처리함으로써 먼지 및 정전기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에는 본 발명의 이해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50㎛ 두께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투명한 열가소성 변성 아크릴계(카르복실산 함유) 잉크를 사용하여, 폭 0.5㎜, 간격 0.5㎜의 줄무의 패턴층을 약 4㎛의 두께로 그라비아 인쇄하였다. 이때 투명 줄무늬의 모양 및 인쇄면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200의 헬리오 조각제판방법으로 제판된 그라비아 인쇄용 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흑색층, Al층, 백색층 및 청색 꽃무늬 도안층을 순서대로 적층인쇄하여 열전사지를 제작(제2b도 참조)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착색잉크는 모두 아크릴계 그라비아 잉크였으며, 백색잉크의 경우에는 이형시의 선택적인 박리성 및 백색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 루틸구조의 TiO2안료가 고형분에 대해 약 55중량%까지 함유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흑색층, Al층 및 백색층은 약 4㎛ 두께로 각각 평면인쇄하였고, 청색꽃무늬층만 무늬인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피전사재 및 다층 구조의 열전사지를, 패턴층 및 도안층이 서로 밀착되게 한 후 120℃로 가열된 열전사기에 약 1m/분의 속도로 통과시키고 이형함으로써 한면에서만 디자인층을 볼 수 있는 점착형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작하였다. 꽃무늬층만 무늬인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피전사재 및 다층 구조의 열전사지를, 패턴층 및 도안층이 서로 밀착되게 한 후 120℃로 가열된 열전사기에 약 1m/분의 속도로 통과시키고 이형함으로써 한면에서만 디자인층을 볼 수 있는 점착형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도안층, 흑색층, Al층, 백색층, 도안층을 차례로 적층인쇄하여 열전사지를 제작한 점을 제외하고는(제2a도 참조),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처리하여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작하였다. 즉, 약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에, 백색의 꽃무늬 도안층을 무늬인쇄한 다음, 흑색 아크릴계 잉크로 전면인쇄하고 은폐를 위해 흑색층위에 Al금속층을 증착하였다. 그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백색잉크를 사용하여 약 4㎛ 두께로 전면인쇄하고, 마지막으로 아크릴계 청색잉크를 사용하여 꽃무늬 도안층을 무늬인쇄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작된 다층구조의 열전사지의 경우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의 열전사기에서 전사함으로써 양면에서 서로 다른 무늬를 볼 수 있는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및 4]
실리콘 이형제가 처리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이형층면에 투명 아크릴계 점착제를 약 10㎛의 두께로 롤코팅하여 건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투명줄무늬의 패턴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면과 밀착시켜 피전사재필름을 제작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처리하여 점착형 이중상 투시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5]
투명한 3㎜ 두께의 유리를 절단 및 세척하여 준비한 후 이 유리의 한쪽면상에 잉크 : 경화제=50 : 1로 첨가시킨 투명 에폭시계 이액형 스크린 잉크를 조제하여. #300로 제판된 줄무늬 폭 0.5㎜, 간격 0.5㎜ 인쇄용 스크린을 사용하여 약 14㎛의 두께로인쇄하였다. 스크린 인쇄잉크는 대형인쇄시에도 인쇄적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고비점용제인 부틸카르비톨을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인쇄후 100℃에서 건조하였다. 이후 인쇄면 위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구조의 열전사지를 덮고 150℃로 조절된 가열 롤러형 열전사기에 약 1m/분의 속도로 통과시켜 한쪽면에서 디자인층을 볼 수 있지만, 반대면에서는 디자인층을 볼 수 없는 이중상 무늬 단판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얻은 다층구조의 열전사지 대신에 실시예 2에서 얻은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를 사응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처리하여. 양면에서 서로 다른 디자인층을 볼 수 있는 이중상 투시 단판유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및 8]
실시예 5 및 6에서 제작된 이중상 투시 단판유리의 인쇄면위에 접합필름 한장을 올려놓고 그 위에 또 다른 유리 한장을 덮은 다음 약 120℃로 조절된 진공접합기에서 접합하여 이중상 투시 접합유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및 10]
투명한 두께 3㎜의 유리를 절단, 세척하여 준비한 후, 그의 한쪽면상에 통상의 EVA계 접합필름을 을려놓고,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이중상 투시필름을 올려놓은 후, 다시 그 위에 EVA계 접합필름을 올려놓은 후. 그 위에 투명한 유리 한장을 덮은 다음 약 120℃로 조절된 진공접합기에서 접합하여 이중상 투시 접합유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및 12]
투명한 두께 3㎜의 유리를 절단세척하여 준비한 후. 그의 한쪽면상에 통상의 EVA계 접합필름을 올려놓고. 실시예 3 및 4에서 얻은 점착형 이중상 투시필름을 올려놓은 후, 투시필름상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그 위에 투명한 유리 한장을 덮은 다음 약 120℃로 조절된 진공접합기에서 접합하여 이중상 투시 접합유리를 제작하였다.

Claims (9)

  1. 내열성 및 투명성이 양호한 피인쇄 필름상에, 최종 패턴부로 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미세한 피턴잉크층을 인쇄하고 ; 열전사시 피인쇄 필름에는 전혀 접착되지 않으면서 상기 열가소성 패턴잉크층에만 가열, 접착되는 도안잉크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를 준비한 후 ; 이 두 재료의 잉크층이 상호대향되도록 하여 가열, 압착시켜 열전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 필름의 이면에 투명점착제가 처리되고 이형성 필름으로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지는 기재필름의 한면에, 저명도의 전면층/금속층/고명도의 전면층/도안잉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지는 기재필름의 한면에 표면도안층/저명도의 전면층/금속층/고명도의 전면층/도안잉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이중상 투시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패턴잉크층은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한 변성 아크릴계,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보조제로 사용된 PVC계, 경화제가 소량으로 첨가된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론계 점착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지의 도안잉크층과 상기 피인쇄 필름상의 패턴잉크층은 100 내지 150℃에서 가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층 및 전면잉크층은 아크릴계, PVC계.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착색잉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필름.
  9. 투명한 기재유리상에, 최종패턴부로 되는 투명한 열가소성 패턴잉크층을 인쇄하고 ; 열전사시 상기 기재유리에는 전혀 접착되지 않으면서 상기 열가소성 패턴잉크층에만 가열, 접착되는 도안잉크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구조의 열전사지를 준비한 후 ; 이 두 재료의 잉크층이 상호 대향되게 하여 가열, 압착시켜 열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KR1019930000625A 1993-01-19 1993-01-19 이중상 투시필름 및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KR95001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625A KR950015148B1 (ko) 1993-01-19 1993-01-19 이중상 투시필름 및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625A KR950015148B1 (ko) 1993-01-19 1993-01-19 이중상 투시필름 및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212A KR940018212A (ko) 1994-08-16
KR950015148B1 true KR950015148B1 (ko) 1995-12-23

Family

ID=1934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625A KR950015148B1 (ko) 1993-01-19 1993-01-19 이중상 투시필름 및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51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212A (ko) 199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2379A (en) Printed article
US5102497A (en) Transfer member with a metallic luster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467257B1 (en) Decorative film to be attached to outside surface of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5305763A (ja) レーザー照射によるマーク形成方法および当該方法用エンボスホイル
SK113893A3 (en) Preprinted highway sings reflectin the light rays and method of making these signs
EP2390687B1 (en) Reflectiv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ure and use thereof
JPS60247636A (ja) 表示画像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9793B1 (ko)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H08300798A (ja) 図案や標示の製作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50015148B1 (ko) 이중상 투시필름 및 이중상 투시유리의 제조방법
US4810320A (en) Method of selectively forming an aluminum evaporation face
CN106626678A (zh) 一种息屏显影保护膜、制备方法以及息屏显影方法
EP0660773B1 (en) Gold film for computer-aided sign making system
JPS6371385A (ja) 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01692A (ja) 金属薄膜層を有する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転写フィルム
JP2000351175A (ja) 生分解性アルミニウム転写蒸着薄葉体
JP2743659B2 (ja) 透視性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
KR20000017493A (ko) 열전사 호일
KR200265242Y1 (ko) 다색 재귀반사 열전사 호일
JP4334876B2 (ja) 情報記録媒体と情報記録媒体の層構成、および情報記録媒体用印刷インキ
JP2812354B2 (ja) エッチングホイ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05020A (ja) 微小球突出型着色等の被膜付き再帰反射体の製造方法
JP2890403B2 (ja) 装飾表示体の製造方法
JP4334882B2 (ja) 粘着シート
JP3141467B2 (ja) 透視性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