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921B1 - 과붕산염 표백제를 함유하는 액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과붕산염 표백제를 함유하는 액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921B1
KR950013921B1 KR1019880007036A KR880007036A KR950013921B1 KR 950013921 B1 KR950013921 B1 KR 950013921B1 KR 1019880007036 A KR1019880007036 A KR 1019880007036A KR 880007036 A KR880007036 A KR 880007036A KR 950013921 B1 KR950013921 B1 KR 95001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borate
sodium
added
enhance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653A (ko
Inventor
1995년11월18일
얍 챠이용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188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139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89000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7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붕산염 표백제를 함유하는 액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미립자, 즉 0.5 내지 20㎛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입자 형태의 과붕산염 표백제를 함유하는 수성 액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립자는 바람직하게는 과붕산염 알수화물을 동일반응계 내에서 재결정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현재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소위 강력 액상 세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표백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과산화 수소와 같은 용해된 과산소 화합물은 액상 세제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들면 효소 및 향료와 상호작용한다.
불용성 과산소 표백제 화합물은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현탁액의 불량한 물리적 안정성 문제를 나타낸다. 1985년 10월 17일에 공개된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 35 11 515 호에는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 및 과붕산염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비-수성 액상 세제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1986년 10월 3일에 공개된 프랑스공화국 특허원 제2,579,615호에는 카탈라제(catalase)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사한 비-수성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두가지 특허에 에시된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문헌[J. Dugua and B. Simon "Crystallization of Sodium Perborate from Aqueous Solutions", Journal of Crystal Growth 44(1978), 265-286]에는 과붕산 나트륨 사수화물의 핵형성 및 결정 성장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역할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균 입자 직경 0.5㎛ 내지 20㎛의 과붕산염 입자를 함유하는 수성 액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목적하는 입자크기 범위의 입자를 동일반응계내에서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pH가 8이상인 본 발명의 수성 액상 세제 조성물은 5% 이상의 비-비누계(non-soap) 음이온성 유기 계면활성제, 5% 이상의 증강제 및 수평균 입자 직경 0.5㎛ 내지 20㎛의 입자 형태의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의 과붕산염 표백제를 함유하며, 여기서 상기 입자는 동일반응계내의 재결정화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과붕산염 입자는 과붕산염 일수화물(예 : 광분산나트륨 일수화물)의 동일반응계의 재결정화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한 액상 세제 조성물을 5% 내지 70%의 수-혼화성 유기용매를 추가로 함유한다. 바람직한 수-혼화성 유기용매는 저분자량 일가 알콜이며, 이들 용매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에탄올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세제 조성물은 pH 9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9.5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은 과붕산염 표백제의 미립자가 현탁된 수성 액상 세제 조성물을 제형화시키는데 따른 문제점을 제시한다. 물리적 안정성 때문에, 과붕산염 입자는 0.5 내지 20㎛의 수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미립자를 예를들면 제분에 의해 만드는 것은 경제적으로 유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우기, 무수 상태에서 상기 미립자는 심각한 산업 위생 및 안전 문제를 제거한다.
또한, 제분에 의해 수득된 과붕산염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이 동일반응계내의 결정화에 의해 수득된 상기와 동일한 직경의 과붕산염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보다 더 불량한 물리적 안정성을 가짐도 밝혀졌다. 상기 현상이 완전히 이해되지 않을지라도, 입자 형태가 상기 현상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5% 이상의 비-비누계 음이온성 유기 계면활성제 및 5% 이상의 세제 증강제 존재하에서, 동일반응계내의 재결정화에 의해 목적하는 과붕산염 미립자를 형성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는 액상 세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과붕산염의 중량%는, 입자가 조성물중에서 상이할 수도 있지만(예 : 사수화물), 과붕산염 일수화물로서 계산된다.
"동일반응계내의 재결정화"라는 용어는 물/음이온성 계면활성제/세제 증강제 매트릭스의 존재하에서 보다 큰 입자로부터 과붕산염 입자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용어는 화학양론적 양의 과산화수소 및 나트륨 메타붕산염 및 붕사를 반응시켜 과붕산 나트륨을 생성시키는 바와같은, 화학반응을 수반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과붕산염 일수화물의 용해 및 연이은 과붕산염 사수화물의 생성에서와 같이 용해 및 재결정화를 수반하는 공정도 포함한다. 재결정화는 또한 과붕산염 일수화물에 결정수를 흡수시킬 수 도 있으며, 이로써, 일수화물이 용해 단계없이 직접 사붕산염으로 결정화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태양에 있어서, 과붕산염 화합물(예 :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 또는 과붕산 나트륨 일수화물)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세제 증강제를 함유하는 수성액에 가한다. 생성되는 슬러리를 교반한다. 상기 교반하는 동안에, 과붕산염 화합물은 용해/재결정화 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세제 증강제의 존재로 인하여, 상기 융해/재결정화는 목적하는 입자 직경을 갖는 입자를 생성시킨다.
일수화물이 재결정화에 대해 보다 민감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태양용으로 일수화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입자 직경은 다른 지시가 없는한 수평균 입자 직경이다. 물리적 안정성의 이유 때문에, 입자크기 분포가 비교적 좁은 것이 바람직한데, 즉 과붕산염의 10% 미만이 25㎛초과의 직경을 갖는 입자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이 10㎛ 초과의 입자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두번째 태양에 있어서, 과붕산염 화합물은 화학 반응에 의해 동일반응계내에서 생성된다. 예를 들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세제 증강제를 함유하는 수성액에 나트륨 메타붕산염을 가한다. 이어서, 화학량론적양의 과산화수소를 교반하면서 가한다. 화학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교반을 계속한다.
메타붕산염 대신에, 예를들면 붕사 및 붕산을 포함하는 다른 붕산염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붕사를 붕소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화학양론적 양의 염기(예 : 수산화나트륨)를 가하여 붕사 대 메타붕산염의 반응을 안전케 한다. 이어서, 메타붕산염 전환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을 수행한다. 과산화수소 대신에,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과산화물(예 : 과산화 나트륨)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과붕산염 사수화물이 생성된다. 약 40℃ 이상의 온도에서, 이는 열역학적으로 보다 안정한 삼수화물로 서서히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전환 반응 자체를 사용하여 사수화물의 큰입자로부터 삼수화물의 미립자를 제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액상 세제 조성물은 물 이외에, 수-혼화성 유기용매를 함유한다. 용매는 액상중에서 과붕산염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며, 이로써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증강시킨다.
유기용매를 물과 완전히 혼합시킬 필요는 없으나, 단, 액상중의 과붕산염 화합물의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용매를 조성물의 물과 혼합시킨다.
물론, 수-혼화성 유기용매는 사용된 pH에서 과붕산염 화합물과 잘 혼화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인접한 하이드록시 그룹(예 : 1,2-프로판디올 및 글리세롤)을 갖는 폴리알콜이 덜 바람직하다.
적절한 수-혼화성 유기용매의 예는 저급 지방족 모노알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 및 저급 모노 지방족 모노알콜의 에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1-메톡시-2-프로판올 및 부틸디글리콜 에테르이다.
다른 성분의 존재 또는 부재가 영향을 줄지라도, 용액중의 유용한 산소의 양은 주로 물 : 유기용매의 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비가 적으면 적을수록(즉, 용매계 내에 더 많은 유기용매가 사용된 경우) 용액중의 유용한 산소의 양은 더욱더 적어진다. 이 사실은 표백계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유효할지라도, 다른 성분(예 : 전해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호한 용해도를 위해서는 덜 바람직하다.
실제에 있어서, 대부분의 계에 대한 물 : 유기용매의 비는 8 : 1 내지 1 : 3, 바람직하게는 5 : 1 내지 1 : 2의 범위이다. 세제 조성물중의 물의 양을 계산함에 있어서,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화학적 및 물리적 방법에 의하여 방출되거나 흡수된 물은 감안해야만 한다. 예를들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화반응중에는 물이 생성될 수 있는 반면에, 과붕산염 일수화물의 과붕산염 사수화물로의 전환 및 메타 붕산염의 과붕산염 사수화물로의 전환반응중에는 물이 흡수될 수도 있다. 물은 또한 대부분의 세제 원료물질중에 존재하며, 이는 고려되어야 한다.
조성물의 이온강도가 용해/재결정화 공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조성물은 적어도 0.8몰/ℓ,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5몰/ℓ의 이온강도를 갖는다.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과붕산염 이외의 모든 이온성 물질이 완전 해리된다는 가정하에 이온강도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액상 세제 조성물은 비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유기 계면활성제를 액상 세제 조성물의 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함유한다. 세제 조성물의 5% 이상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어야 한다.
음이온성 합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식 R1SO3M로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에서, R1은 탄소수 약 8 내지 약 2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 및 알킬 그룹에 탄소수가 약 9 내지 약 15인 알킬 페닐 라디칼로 이루어 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탄화수소 그룹을 나타내며,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전형적으로 선택된 염-형성 양이온성 이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합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그룹에 탄소수가 9 내지 15인 알킬벤젠 설폰산의 수용성 염이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합성 계면활성제의 또다른 하나의 알킬 설페이트 또는 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 에테르 설페이트(여기에서, 알킬 그룹은 탄소수 약 8 내지 약 24,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8이며, 에톡시 그룹 0 내지 약 20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약 12개를 갖는다)의 수용성 염이다. 기타의 적절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979년 10월 9일에 플레셔(Flesher)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170,565 호에 기술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를 산성 또는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성 수소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예 : 하이드록실, 카복실, 또는 아미도 그룹)와 축합반응시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생성하며, 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식 RA(CH2CH2O)nH(여기에서, R은 소수성 잔기를 나타내며, A는 반응성 수소원자를 함유하는 그룹을 나타내며, n은 에틸렌 옥사이드 잔기의 평균수를 나타낸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R은 전형적으로 탄소수 약 8 내지 22이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저분자량 화합물과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n은 통상적으로 약 2 내지 약 24로 다양하다.
비이온성 화합물의 소수성 잔기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24,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20의, 바람직하게는 일급 또는 이급, 직쇄 또는 측쇄 지방족 알코올이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보다 완전한 기술내용은 미합중국 특허 제 4,111,855 호에서 찾을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족 잔기가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으며 지방족 치환체중 하나가 탄소수 약 8 내지 약 24이고 또 다른 치환체는 음이온 수-용성 그룹 히나 이상을 함유하는 지방족 4급 암모늄, 포스포늄 및 설포늄 화합물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양쪽 이온성 물질은 미합중국 특허 제 3,925,262 호[참조 ; Laughlin 등, 1975년 12월 9일 허여] 및 제 3,929,678 호[참조 ; Laughlin, 1975년 12월 30일 허여]에 기술된 에톡시화 암모늄 설포네이트 및 설페이트이다.
반-극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28의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 잔기 하나와 환구조에 임의로 결합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약 3의 알킬 그룹 및 하이드록시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두개의 잔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민 옥사이드가 포함된다.
적합한 음이온성 합성 계면활성제의 염은 설포네이트 및 설페이트의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이와 유사한 음이온성 세제는 세제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용 세제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합성 수용성 설포네이트 또는 설페이트 염은 그의 분자구조중에 탄소수 약 8 내지 약 22의 알킬 라디칼을 갖는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염의 예로는 우지 및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도된 C8내지 C18지방산 알코올을 황산으로 처리하여 수득한 반응생성물 : 알킬 그룹이 탄소수 약 9 내지 약 15인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 나트륨 알킬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 우지 및 코코넛 오이로부터 유도된 지방산 알코올의 에테르 설페이트 ; 코코넛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 ; 및 알킬쇄가 탄소수 약 8 내지 약 22인 파라핀 설포네이트의 수용성염이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 3,332,880 호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설폰화된 올레핀 계면활성제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합성 설포네이트 및/또는 설페이트를 중화시키는 양이온은 나트륨 및 칼륨과 같이 세제 공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양이온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특히 바람직한 음이온성 합성 계면활성제, 성분은 알킬벤젠 설폰산,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알킬벤젠 설폰산, 바람직하게는 알킬그룹이 탄소수 약 10 내지 13인 나트륨 알킬벤젠 설포네이트의 수용성염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에톡시레이트류는 탄소수 12 내지 15의 지방산 알코올과 지방산 알코올을 몰당 약 4 내지 1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축합반응생성물로 나타낼 수 있다.
에톡시레이트류의 적합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C12내지 C15옥소-알코올과 알코올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7 또는 9몰과의 축합반응 생성물 ; C14내지 C15옥소-알코올과 지방산(옥소) 알코올 몰당 에틸렌옥사이드 7 또는 9몰과의 축합반응생성물 ; C12내지 C13지방산(옥소) 알코올과 지방산 알코올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6.5몰과의 축합반응생성물 ; 및 5 내지 8범위의 에톡시화도(EO몰/지방산몰)를 갖는 C10내지 C14코코넛 지방산 알코올의 축합생성물, 지방산 옥소 알코올은 주로 선형이지만, 공정 조건 및 원료물질 올레핀에 따라, 어느정도 측쇄화, 특히 메틸측쇄와 같은 단쇄를 가질 수 있다.
15% 내지 50%(중량%)의 측쇄화도가 상업용 옥소 알코올중에서 종종 발견된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에톡시화 성분도 또한 상이한 에톡시화도를 갖는 별개의 에톡시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개의 혼합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예를들어, 소수성 잔기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3 내지 7몰 및 소수성 잔기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8 내지 14몰을 갖는 제 2 의 에톡시화 화합물을 함유한 비이온성 에톡시레이트 계면활성제이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에톡시화 혼합물은 50%(중량) 측쇄화 이하의 C12내지 C15옥소-알코올과 지방산 옥소-알코올의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약 3 내지 7몰과의 축합반응생성물인 저급 에톡시레이트, 및 50%(중량) 측쇄화 이상인 C16내지 C19옥소-알코올과 측쇄화 옥소-알코올의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약 8 내지 14몰과의 축합반응생성물인 고급 에톡시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상 세제 조성물은 임의로 지방산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포화 지방산은 탄소수 10 내지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이다. 바람직한 불포화지방산을 올레산 및 팔미톨레산이다.
세제용 효소를 본 발명의 액상 세제 조성물중에 사용할 수 있다. 실제, 본 조성물의 목적하는 특징의 하나는 조성물이 상기 세제용 효소와 혼화될 수 있는 것이다. 적합한 효소는 세제용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리파제 및 셀룰라제를 포함한다. 수성 액상 세제중에 사용하기 위한 효소적 안정화제는 잘 알려져 있으며 포름산의 염, 예를들어 나트륨 포르메이트가 바람직하다. 이 안정화제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0.5% 내지 2%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무기 또는 유기 증강제를 함유한다. 무기 증강제의 예로는 포스포러스계 증강제, 예를들어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및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제올라이트)를 포함한다.
유기 증강제의 예는 시트르산, 나트릴로트리 아세트산 및 타르트레이트 모노숙시네이트와 타르트레이트 디숙시네이트와의 혼합물과 같은 폴리산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증강제는 시트르산 및 알크(켄)일-치환된 숙신산 화합물이며, 여기서 알크(켄)은 탄소수 10 내지 16이다. 이 화합물 그룹의 예는 도데세일 숙신산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말리에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중합체성 카복실레이트 증강제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개 첨가 농도, 통상 약 5% 미만으로 사용되는 일련의 임의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폴리산, 효소 및 효소 안정화제, 거품 조절제, 유백화제, 에나멜-피복표면에 대한 기계적 적합성-개량제, 살균제, 염료, 향료, 광택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은 0.05 내지 2% 농도의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첨가제로는 에틸렌디아미노테트라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미노펜트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미노 디숙신 산과 같은 폴리아미노-카복실레이트 또는 이의 수용성 알카리금속염이 포함된다. 기타 첨가제로는 유기-포스폰 산을 포함하며 ; 특히 에틸렌디아미노 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미노 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디에틸렌 트리아미노 펜타메틸렌포스폰산 및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이 적합하다.
조성물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종류의 표백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세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의 사용을 수반하는 공정을 사용하는 경우, 전형적인 표백 안정화제가 시판되고 있는 과산화 수소와 함께 도입됨으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적절한 표백 안정화제의 예로는 아스코르브산이 포함되며, 디피콜린산, 나트륨 주석산염 및 8-하이드록시퀴놀린도 또한 상기 조성물중에 0.01 내지 1%의 농도로 포함될 수도 있다.
다양한 사용조건하에서 청구된 조성물의 유용한 이용은 거품 억제제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세제 거품 억제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종종 실리콘 이라고 불리는 디메틸폴리실옥산과 같은 알킬화 폴리실옥산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실리콘은 종종 1.5%를 초과하지 않는 농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로 사용한다.
진한 액상 세제 조성물의 균일한 외관을 생성시키는데 기열할만한 유백체를 사용함도 또한 바람직하다. 적합한 유백체의 예로는 몬산토 케미칼 코포레이션(MONSANTO CHEMICAL CORPORATION)에서 제조되어 리트론(LYTRON) 621로서 상업적으로 공지된 폴리스티렌을 포함한다. 유백제는 종종 0.3% 내지 1.5%의 함량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액상 세제 조성물은 추가로 세탁기 적합성, 특히 에나멜-피복면에 대한 적합성을 증진시킬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공지된 재침전 방지제 및/또한 상용제를 0.1 내지 5%로 가함도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첨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 하이드록시 C16-알킬셀룰로즈 ; 폴리말레산, 2 : 1 내지 1 : 2의 몰비로 말레산 무수물과 메틸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 카복실 단도-또는 공중합체 성분 ; 및 예를들어 (메티)-아크릴산과 같은 탄소수 5이하, 바람직하게는 3 또는 5이하의 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복실산 단량체 및 탄소수 6이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이하의 에틸렌계 불포화 디카복실산의 공중합체(여기서 단량체의 몰비는 1 : 4 내지 4 : 1의 범위이고, 상기 공중합체는 1982년 5월 17일 출원된 유럽 특허원 제 0 066 915 호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해 주며 이의 이해를 돕는다.
표에 기재된 성분들을 언급한 비율로 혼합하여 액상 세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Figure kpo00001
*)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
과붕산나트륨 화합물은 모든 다른 성분들을 혼합한 후에 첨가한다. 조성물을 하루밤동안 교반시킨다. 생성된 재결정화된 과붕산염 입자는 약 7㎛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다.
다음 조성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 타르트레이트 모노숙시네이트 및 타르트레이트 디숙시네이트의 80 : 20 혼합물
** 디에틸렌트리아미노 펜타메틸렌 포스폰산
유사한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물, 유기용매(들), 계면활성제(들), 및 증강물질(들)을 혼합시켜 액상 세제 매트릭스를 제조한다.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매트릭스를 정돈하여 pH 8.5 내지 9가 되게 한다. 교반하면서 메타붕산염 분말을 가한다. 밀크상 현탁액을 수득한다. 이어서 수용액으로 과산화 수소를 가한다. 과붕산염 사수화물의 소결정이 생성된다.
전형적으로, 과붕산염 사수화물 결정은 약 4㎛의 중량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다. 발열반응의 결과로서, 온도가 전형적으로 40℃까지 상승한다. 효소 및 향료와 같은 열-민감 성분을 가하기 전에 약 25℃까지 세제 조성물을 냉각시킨다.
상기 세제 매트릭스에, 메타 붕산염 대신에 붕사를 가할 수도 있다. 붕사를 메타붕산염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의 수산화 나트륨을 가한다. 이이서 과산화 수소를 가하여 메타붕산염을 과붕산염으로 전환시킨다. 약 25℃까지 냉각시킨 후, 조성물의 열-민감 성분을 가한다.

Claims (13)

  1. 동일반응계에서 과붕산염을 결정화시킴으로써 중량 평균 입자 직경이 0.5 내지 20㎛인 과붕산염 입자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비-비누계(non-soap) 음이온성 유기 계면활성제, 증강제 및 고체 과붕산염 표백제를 포함하는 pH가 8 이상인 수성 액상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 또는 일수화물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증강제를 포함하는 수성액에 첨가한 다음, 생성된 슬러리를 교반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과붕산염이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나트륨메타붕산염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증강제를 포함하는 수성액에 첨가한 다음, 화학량론적 양의 과산화물을 반응이 완결될때까지 교반하면서 첨가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과산화물이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나트륨인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우선 과산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붕사를 메타붕산염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붕산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증강제를 포함하는 수성액에 첨가한 다음, 화학량론적 양의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나트륨을 반응이 완결될때까지 교반하면서 첨가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성 액상 조성물이 또한 수-혼화성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수-혼화성 유기용매가 에탄올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증강제를 도데세닐 숙신산 ; 테트라데세닐 숙신산, 도데실 숙신산 ; 타르트레이트 모노숙시네이트 및 타르트레이트 디숙시네이트의 80 : 20 혼합물 ; 시트르산 ; 및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생성된 과붕산염 입자중 10중량% 미만이 입자 직경이 25㎛ 초과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생성된 과붕산염 입자중 10중량% 미만이 입자 직경이 10㎛ 초과인 방법.
  13. a. 비-비누계 음이온성 유기 계면활성제 5% 이상 ; b. 증강제 5% 이상 ; c. 동일반응계에서 결정화에 의해 형성된, 중량 평균 입자 직경이 0.5 내지 20㎛인 입자 형태의 과붕산염 표백제 1 내지 40% ; 및 d. 수-혼화성 유기용매 5 내지 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H가 8이상인 수성 액상 세제 조성물.
KR1019880007036A 1987-06-12 1988-06-11 과붕산염 표백제를 함유하는 액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13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13756 1987-06-12
GB878713756A GB8713756D0 (en) 1987-06-12 1987-06-12 Liquid deterg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653A KR890000653A (ko) 1989-03-16
KR950013921B1 true KR950013921B1 (ko) 1995-11-18

Family

ID=1061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036A KR950013921B1 (ko) 1987-06-12 1988-06-11 과붕산염 표백제를 함유하는 액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294904B1 (ko)
JP (1) JP2505537B2 (ko)
KR (1) KR950013921B1 (ko)
CN (1) CN1026013C (ko)
AU (1) AU624328B2 (ko)
CA (1) CA1307714C (ko)
DE (1) DE3851096T2 (ko)
DK (1) DK318088A (ko)
EG (1) EG18526A (ko)
FI (1) FI90786C (ko)
GB (1) GB8713756D0 (ko)
MX (1) MX169404B (ko)
MY (1) MY103581A (ko)
NZ (1) NZ224980A (ko)
PH (1) PH25774A (ko)
PT (1) PT877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27503C (en) * 1988-06-14 1994-03-08 Charles Randolph Minns Carpet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GB8826458D0 (en) * 1988-11-11 1988-12-14 Ici Plc Bleach formulation & aqueous detergent compositions
GB8900496D0 (en) * 1989-01-10 1989-03-08 Procter & Gamble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enzyme and enzyme stabilization system
GB8904007D0 (en) * 1989-02-22 1989-04-05 Procter & Gamble Stabilized,bleach containing,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DE69033783T2 (de) * 1989-02-27 2002-04-18 Unilever Nv Flüssiges Reinigungsmittel
US5160655A (en) * 1989-02-27 1992-11-03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Aqueous structur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elected peroxygen bleach compounds
US4992194A (en) * 1989-06-12 1991-02-12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Stably suspended organic peroxy bleach in a structured aqueous liquid
EP0429124A1 (en) * 1989-11-21 1991-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hlorine-free liquid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s
EP0430330A3 (en) * 1989-11-24 1991-12-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spending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ATE145424T1 (de) * 1989-11-30 1996-12-15 Clorox Co Stabiles wässeriges oxidationswaschmittel
GB8928631D0 (en) * 1989-12-19 1990-02-21 Procter & Gamble Concentrated aqueous liquid bleach compositions
EP0514434B2 (en) * 1990-02-08 2002-08-14 Unilever N.V. Liquid bleach composition
KR950008566B1 (ko) * 1990-02-08 1995-08-03 유니레버 엔 브이 액체 표백조성물
DE4018039C2 (de) * 1990-06-06 1999-06-24 Solvay Interox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krokristallinen Perborat-Produkten und hierfür verwendete lagerstabile hochkonzentrierte wäßrige Lösungen
EP0476212A1 (en) * 1990-09-17 1992-03-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TW230784B (ko) * 1990-10-22 1994-09-21 Procter & Gamble
DE69027774T2 (de) * 1990-10-22 1997-02-20 Procter & Gamble Stabile, flüssige Reinigungsmittel enthaltend ein Bleichmittel
US5595801A (en) * 1991-07-30 1997-01-2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Laminated shie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shielding an enclosure therewith
GB9323634D0 (en) * 1993-11-16 1994-01-05 Warwick Int Ltd Bleach activator compositions
ES2128065T3 (es) * 1994-07-01 1999-05-01 Warwick Int Group Composiciones de blanqueo.
AU5690296A (en) * 1995-04-20 1996-11-07 Albright & Wilson Uk Limited Stabilised aqueous suspensions of bleach containing perborat e particles
US5681805A (en) * 1995-05-25 1997-10-28 The Clorox Company Liquid peracid precursor colloidal dispersions: microemulsions
US5776877A (en) * 1995-05-25 1998-07-07 The Clorox Company Liquid peracid precursor colloidal dispersions: macroemulsions
US5954998A (en) * 1995-05-25 1999-09-21 The Clorox Company Liquid peracid precursor colloidal dispersions: oil-core vesicles
US5792385A (en) * 1995-05-25 1998-08-11 The Clorox Company Liquid peracid precursor colloidal dispersions: liquid crystals
KR100469075B1 (ko) * 2002-04-03 2005-02-02 위아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토션바의 토크 감지장치
US20120172281A1 (en) * 2010-07-15 2012-07-05 Jeffrey John Scheibel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microbially produced fatty alcohols and derivativ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6178A (en) * 1951-02-10 1955-04-12 Du Pont Preparation of hydrated perborate products
NL207905A (ko) * 1955-06-11
BE577317A (ko) * 1958-04-28 1967-10-02
NL270367A (ko) * 1960-10-18
FR1535532A (fr) * 1966-06-08 1968-08-09 Henkel & Cie Gmbh Suspensions aqueuses stables contenant du perborate de sodium et utilisables comme oxydants et azurants
DE1567583A1 (de) * 1966-06-08 1970-09-10 Henkel & Cie Gmbh Lagerbestaendige,als Oxydations-und Bleichmittel brauchbare,Natriumperborat enthaltende waessrige Suspensionen
DE2004158C3 (de) * 1970-01-30 1979-04-05 Kali-Chemie Ag, 3000 Hannov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ieselfähigen abriebfesten Natriumperborattetrahydrats mit niedrigem Schüttgewicht
FR2140822A5 (en) * 1971-06-09 1973-01-19 Air Liquide Bleaching liquids - contg hydrogen peroxide or persalts in alkaline medium with stabilisers
JPS5122700A (en) * 1974-08-20 1976-02-23 Kao Corp Kohyokatansansooda mataha kahosansoodano seizoho
JPS5920397A (ja) * 1982-07-26 1984-02-02 ライオン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ZA852201B (en) * 1984-04-09 1986-11-26 Colgate Palmolive Co Liquid bleaching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ZA853573B (en) * 1984-06-01 1986-12-30 Colgate Palmolive Co Bleaching synthetic detergent composition
MX162823B (es) * 1985-03-29 1991-06-28 Colgate Palmolive Co Mejoras a composicion de detergente blanqueadora liquida para lavar ropa
GB8629534D0 (en) * 1986-12-10 1987-01-21 Unilever Plc Enzymatic detergent & bleaching composition
GB8712430D0 (en) * 1987-05-27 1987-07-01 Procter & Gamble Liquid deter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18088A (da) 1988-12-13
CN1030605A (zh) 1989-01-25
EP0294904A2 (en) 1988-12-14
MY103581A (en) 1993-08-28
GB8713756D0 (en) 1987-07-15
EP0294904B1 (en) 1994-08-17
PH25774A (en) 1991-10-18
PT87722B (pt) 1992-10-30
JPS6465200A (en) 1989-03-10
MX169404B (es) 1993-07-01
DK318088D0 (da) 1988-06-10
FI90786C (fi) 1994-03-25
DE3851096T2 (de) 1995-04-06
CA1307714C (en) 1992-09-22
KR890000653A (ko) 1989-03-16
AU1756088A (en) 1988-12-15
EP0294904A3 (en) 1989-06-14
FI882782A0 (fi) 1988-06-10
CN1026013C (zh) 1994-09-28
DE3851096D1 (de) 1994-09-22
NZ224980A (en) 1991-01-29
FI90786B (fi) 1993-12-15
PT87722A (pt) 1988-07-01
FI882782A (fi) 1988-12-13
EG18526A (en) 1993-04-30
AU624328B2 (en) 1992-06-11
JP2505537B2 (ja) 199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921B1 (ko) 과붕산염 표백제를 함유하는 액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0378261B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enzyme and enzyme stabilization system
EP0293040B2 (en) Liquid detergent containing solid peroxygen bleach
US5597790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 suspended peroxygen bleach
EP0482275B1 (en) Stable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bleach
US5275753A (en) Stabilized alkaline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nzyme and peroxygen bleach
CA2010036C (en) Stabilized bleach containing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KR970003069B1 (ko) 효소 및 효소 안정화 시스템을 함유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US5250212A (en) Liquid detergent containing solid peroxygen bleach and solvent system comprising water and lower aliphatic monoalcohol
EP0429124A1 (en) Chlorine-free liquid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s
WO1991009103A1 (en) Concentrated aqueous liquid bleach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