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247B1 - 많은 매수의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製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많은 매수의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製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247B1
KR950013247B1 KR1019920022238A KR920022238A KR950013247B1 KR 950013247 B1 KR950013247 B1 KR 950013247B1 KR 1019920022238 A KR1019920022238 A KR 1019920022238A KR 920022238 A KR920022238 A KR 920022238A KR 950013247 B1 KR950013247 B1 KR 95001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head
staples
bookbin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364A (ko
Inventor
메이어 야쿠에스
Original Assignee
페락 아게
겔트 라우/야쿠에스 메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락 아게, 겔트 라우/야쿠에스 메이어 filed Critical 페락 아게
Publication of KR93001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4/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by discontinuous stitching with filamentary material, e.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4/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by discontinuous stitching with filamentary material, e.g. wire
    • B42B4/02Rotary type stitch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많은 매수의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製本)하는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제 2 도에서의 분할선 I-I에 의한 단면도로서 수집기 드럼(drum)에 대한 제본장치를 보이며,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보이는 제본장치의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며,
제 3 도는 제 2 도에서의 분할선 Ⅲ-Ⅲ에 의한 단면도이며,
제 4 도는 제 1 도에서 보이는 제본구역에서 보다 크게 확대한 제본장치를 보이며,
제 5 도는 제본과정의 개략적인 설명이며,
제 6 도는 제 3 도와 같은 제본하는(실을 엮는) 두부(頭部)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를 보이며,
제 7 도는 보다 크게 확대한 제 6 도에서의 분할선 Ⅶ-Ⅶ에 의한 단면도이며,
제 8 도는 제본하는 두부가 궤도를 그리는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집기 드럼 2 : 지지대
3,4 : 제본하는 두부(stiching head)
5 : 제본 시스템 6,23' : 궤도축
7,8,22,23 : 받침대 9 : 안내볼트
10,46,47 : 스프링 11,12 : 지지판
16,27 : 피치원 31 : 펀치(punch)
44,45,52,56 : 템플레이트(template) 48 : 플런저(plunger)
55 : 와이어 분배기
57,58 : 스테이블 벤더(staple bender)
60 : 인쇄물 61 : 스테이플
66 : 베어링 볼트 c : 제본구역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서의 상위개념에 따라 많은 매수의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하는 (엮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제본하는 두부(head)가 제본될 인쇄물 지지대의 통로의 직경보다 더 작은 원형의 통로를 따라 궤도를 그리는 EP-A-0 339 317과 대응하는 미국특허출원 07/527 749(제 3 도)로부터 공지되어있다. 제본구역에서 제본하는 두부는 지지대 윗쪽으로 안내되며 제본 공정을 위해 각 두부는 각 지지대의 바깥쪽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공지된 실시에서 제본하는 두부가 스테이플을 밀어넣고 닫기 위해 각 지지대와 함께 작용할 수 있는 동안의 이용가능한 시간은 상당히 짧다. 더구나 지지대와 제본하는 두부사이에서처럼 각이진 위치는 스테이플이 인쇄물로 밀려들어가서 닫히는 동안에 변하게 된다.
EP-A-0 205 144와 대응하는 S-A-4,750,661에 기술된 장치에도 같은 것이 적용된다.
상기한 공지된 해결방법에서는 제본하는 두부는 원형통로를 따라 움직이고 그들이 절단 와이어 공급장치를 통과할 때 절단 와이어 공급장치로부터 금속 와이어를 취하는 4개의 회전구동 아암의 단부에 주어진다. 두부가 움직이면 이 금속와이어는 그때 스테이플로 구부러진다. 제본 구역에서 제본하는 두부는 구동 회전 실린더안의 지지대위에 놓인 제본될 인쇄물과 만난다. 이런한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금속 스테이플을 밀어넣고 닫기 위한 시간이 거의 없다. 더욱이 지지대와 제본하는 두부 사이에서처럼 각도 위치는 스테이플이 인쇄물에 밀어 넣어져서 닫히는 동안에 계속해서 변한다.
이외에도 회전하는 제본 두부와 스테이플 벤더에 맞추어져 있는 카운터 실린더에 의해 제본이 이루어지는 회전 스테이플러(stapler)가 공지되어 있다. 제본구역에서 제본하는 두부 내에서의 움직이는 플런저가 마찬가지로 원형 통로에서 궤도를 그리는 스테이플 벤더와 함께 작용한다. 스테이플을 밀어넣기 위해 플런저는 스테이플 벤더에 대해 거의 방사형 방향으로 전진되어 있다. 그러한 회전 스테이플은 마찬가지로 스테이플을 밀어넣고 구부리기 위한 단지 짧은 시간만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플런저가 스테이플 벤더에 대한 각도 위치를 계속해서 변화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플런저가 스테이플 벤더에 일직선으로 정렬되어서 스테이플을 알맞는 각도로 인쇄물에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제본 진행동안 플런저를 선회시키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DE-PS 21 16 734 및 DE-PS 10 55 499).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언급된 형태의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나 또한 높은 작업속도에서도 인쇄물의 알맞고 정확하게 위치하는 제본을 가능하게 한다.
제본 구역에서 제본하는 헤드는 그들의 원형궤도의 내부쪽으로 돌아와 있게 되고 이것은 그 구역에서 원형통로를 평평하게 한다. 이것은 제본구역을 돌출시켜 스테이플이 인쇄물에 밀려들어가서 적당하게 닫히도록 정확한 위치에 있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제본과정중에 제본하는 두부는 바람직하게는 관련 지지대와 정확하게 또는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위치에서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서 스테이플이 놓여지는 조건이 더욱 개선된다.
본 공개의 목적의 전형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관해서 아주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순전히 개략적으로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다음은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언급하므로서 수집기설비에 대한 제본장치의 일반구조를 우선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 부분적으로 보이는 수집기드럼(1)은 회전축(도면에 나타나지 않음)에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그리고 간격을 가지고 놓여있는 많은 수의 지지대(2)를 가진다. 지지대(2)는 그들의 회전축으로 길게 뻗혀있다. 수집기드럼(1)은 그 구조가 공지된 바와같으며 근본적으로 EP-A-0 399 317에서 기술된 수집기 드럼과 일치한다.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하는 장치는 이 수집기 드럼 윗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근본적으로 구조가 똑같은 두 개의 제본 시스템(3,4)를 갖추고 있으며 수집기, 드럼(1)(제 2 도)의 종축의 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놓여있다.
각각의 제본 시스템(3,4)은 구조가 같은 많은 수의 제본하는 두부(5)를 갖고 있으며 그 구조와 작용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제본하는 두부(5)는 수집기 드럼(1)의 회전축에 평행되게 또는 궤도축(6)에 원형의 궤도를 가지고 그들의 선회하는 방향(B)에서 차례로 일정간격으로 놓여있으며 제 1 도에서 보이는 바와같이 그들의 간격은 수집기 드럼(1)의 새들(saddle)형태의 지지대(2)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제본하는 두부(5)는 아래에 매우 상세히 설명된 바와같이 지지대(2)와 함께 제본 구역(c)에서 작용한다.
각 쌍의 제본하는 두부(5)는 궤도축(6)에 평행되게 뻗혀있는 받침대(7)에 붙어 있다. 각 받침대(7)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궤도축(6)에 같은 평행인 2차 받침대(8)로 안내된다. 각 받침대(7)는 각 받침대(8)를 통해 아래로 돌출하는 안내볼트(9)를 갖는다. 이 안내볼트(9)에서의 압축스프링(10)은 각 받침대(7)가 그것의 각 받침대(8)에 가장 근접하게 가장 낮은 위치로 각 받침대(7)를 유지시킨다. 각 받침대(8)는 그것의 끝단에 아랫쪽이 열린 V형태의 절단부분 (11a)(제 3a 도)이 있는 지지판(11,12)를 갖는다. V형태의 절단 부분(11a)옆에는 안내바퀴(13,14)가 지지판(11,12)위의 베어링에서 자유럽게 회전한다. 절단부분(11a)의 반대편인 상부에는 지지판(11,12)이 편심 선회핀(15)에 연결되어 있다. 각 받침대(8)에서의 선회핀(15)은 받침대(8)을 위한 회전축(15')을 한정한다. 이러한 회전축(15')은 중심이 궤도축(6)(제 3 도)에 있는 반경(R)을 가지는 피치원(16) 상에 놓인다. 선회핀(15)은 축수판(20,21)에서 자유롭게 돌 수 있는 지지바퀴(19)로 지지되는 베어링 링(17,18)에서 선회한다. 베어링 링(17,18)은 궤도축(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축수판(20,21)은 수집기 드럼(1)의 선회축에 평행이고 중심이 서로로부터 수평거리(a)인 받침대(22,23)에 지지되어 있다. 받침대(22)의 길이방향의 축은 궤도축(6)이 된다.
선회핀(15)은 베어링 링(17,18)을 통과한다. 각 선회핀(15)은 조절아암(24)이 나사로 고정되는 두꺼운 외측단부(15a)를 갖고 있다. 선회핀(15)의 두꺼운 외측단부(15a)와 그것의 각 조절아암 사이의 연결은 조정 가능하며 그러나 조정 후에는 고정된다. 각 조절아암은 추가로 베어링 링(25,26)에서 지지되며 조절아암 회전축(24a)를 회전할 수 있다. 조절아암(24)의 조절아암 회전축(24a)은 반경(R')이 회전축(15')의 피치원(16)의 반경(R)과 같고 중심이 길이방향의 축(23')에 놓여있는 피치원(27)상에 놓인다. 피치원(16)과 (27)의 중심은 서로 거리(a)만큼 떨어져 있다. 피치원(27)에서 회전축(24a) 사이의 간격(d1)은 피치원(16)(제 3 도)에서 선회핀 회전축(15')사이의 거리(d2)와 같다. 베어링 링(25,26)은 축수판(20,21)에서 자유롭게 같이 회전할 수 있고 지지바퀴(19)(참조 제 2 도)의 반대편에 있는 지지바퀴(28)에 지지된다. 이렇게 해서 베어링 링(25,26)은 설명된 대로 받침대(23)의 길이 방향축이 되는 받침대축(23')을 회전할 수 있다.
조절시스템은 베어링 링(25,26)에서 회전축(15')을 도는 조절아암(24)으로 형성되며 궤도축(6)에 대해 궤도를 그리는 것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받침대(8)를 선회시킬 있고 그들은 평행되고 직선으로 안내한다. 이렇게 해서 제본하는 두부(5)는 그들이 궤도축(6)에 대해 궤도를 그릴 때 기본적으로 비슷하게 수직위치를 유지할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각 제본하는 두부(5)는 제본구역(c)안에 있으며 수집기 드럼(1)의 각 지지대(2)에 대체로 정렬이 되게 유지된다.
다음은 제 1 도, 2도 그리고 제 4 도를 참고하여 제본하는 두부(5)의 구조와 작업을 설명한다.
제본하는 두부의 모양은 EP-A-0 339 322와 대응 미국특허출원 07/528 735의 제 1 도 내지 제 9 도에 나타나 있는 제본하는 두부의 것과 같다. 제본하는 두부(5)의 구조와 작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 상기 공보를 참조하라.
각각의 제본하는 두부는 그것의 각 받침대(7)에 고정된 이송체 요소(30)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30a)은 각 이송체요소 (30)의 하부 단부구역이다.
이송체 요소(30)는 길이가 각 받침대(7)와 같은 방향으로 평행이고 그것의 측면으로 돌출한(제 2 도) 축(32,33)위에 고정되어 있으나 회전하지는 않는 피봇트 선회가능한 펀치(31)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축(32,33)은 내부 부품인 과부하 방지기구(34)를 갖는다. 받침대(7)을 돌출하는 단부에서 기어(35,36)는 원호를 이루는 기어 세그멘트(37,38)과 맞물리는 각 축(32,33)에 연결된다. 각 기어 세그멘트(37,38)는 이송체 요소(30)에서 회전하는 축(41)에 조립되어 레버(39,4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레버(39,40)는 받침대(22,23)에 고정된 스테이틱 템플레이트(static template)(44,45)와 함께 작용하는 조절바퀴(42,43)를 이송한다. (44a, 45a)는 각각 템플레이트(44,45)의 조절캠(cam)이다. 리세트(reset)스프링(46,47)(제 2 도)은 레버(39,40)를 원위치로 돌려보낸다.
이송체 요소(30)은 또한 거의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플런저(plunger) (48)의 각 단부에 각각 조절바퀴(50,51)가 차례로 놓여있는 작동아암(49)를 가진다. 리세트 스프링(54)(제 4 도)은 플런저(48)를 원위치로 돌려보내기 위해 제공된다.
절단 와이어 분배기(55)가 제 1 도에는 단지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제본하는 두부(5)의 궤도 바깥쪽에 조립되어 있다. 제본하는 두부(5)가 절단 와이어 분배기(55)를 통과할때 그 본래 위치에 있는 선회펀치(31)는 절단와이어 분배기(55)로부터 직선 길이의 절단와이어를 취한다. 선회펀치(31)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벤딩 템플레이트(56)는 일정길이의 와이어를 U자형태의 스테이플(staple)로 구부린다. 벤딩 템플레이트(56)는 축(32)위에 지지되며 각 선회펀치(31)의 선회구역안에 놓인다. 삽입후 스테이플을 구부리기 위해서 지지대(2)는 제 2 도에서 단지 개략적으로 표시된 스테이플 벤더(57,58)을 갖는다. 적당한 순간에 작동하는 기계장치(59)는 스테이플의 끝을 구부리기 위해 스테이플 벤더(57)를 윗쪽과 안쪽위치(상세히 나타나 있지 않음)로 선회시킨다.
일정길이의 절단 와이어는 U자형태의 스테이플로 구부려지고 이렇게 만들어진 스테이플은 이미 언급했던 EP-A-0 339 322와 대응하는 미국특허출원 07/528 735에서 기술된 장법으로 지지대(2)를 크게 버텨주는 인쇄물(60)속으로 강제로 밀려넣어지고 그래서 다음은 제본공정에 대해서 아주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된 바와같이 제본하는 두부(5)는 궤도측(6)에 대한 원형의 통로위에서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며 그들의 궤도운동에서 제본하는 두부(5)는 거의 수직위치로 유지한다. 수집기 드럼(1)은 베어링 링(17,18)과 베어링 링(25,26)을 다음과 같이 구동시키는 바 제본구역(c)에서 그들에 얹혀져 있는 지지대(2)가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 그들은 베어링 링(17,18)에 올려진다. 제본구역(c)의 단부에서 지지대(2)는 안내바퀴(13,14)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제본하는 두부(5)의 윗부분에서 그들의 선회펀치(31)은 제 1 도에서 실선으로 보이는 본래위치에 있으며, 이 위치에서 선회펀치는 회전방향으로 위쪽 그리고 앞쪽으로 비스듬이 향해 있다. 선회펀치(31)가 절단 와이어 분배기 (55)를 통과시 그들은 설명된대로 직선길이의 절단와이어를 취한다.
조절바퀴(42,43)가 템플레이트(44,45)의 조절캠(44a,45a) 위에서 움직이기 시작하면 선회펀치(31)는 제 4 도의 점선으로 보이는 바와같이 본래 위치에서 스테이플을 놓는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선회운동 동안에 일정길이의 절단 와이어는 벤딩 템플레이트(56)로 보내져서 U자형의 스테이플로 구부러진다.
제본하는 두부가 제본구역(c)에 달하면 이송체 요소(30)의 하단구역(30a)은 지지대(2) 즉, 지지대(2)위에 놓이는 인쇄물(60)(특히 제 1 도와 제 4 도에서 보이는 바와같은)과 접촉하게 된다. 지지대(2)의 단부가 움직이는 원통통로와 이송체 요소(30)의 하단구역(30a)이 움직이는 통로는 교차된다. 즉 그들은 서로에 대해 조정되기 때문에 제본하는 두부(5)가 지지대(2)와 접촉하게 되었을 때 그들과 그들의 각각의 받침대들(7)은 압축 스프링(10)과 이들이 복원력(P)에 대향하여 뒤로 그리고 위로 밀려진다. 이것은 제본구역(c)에서 제본하는 두부(5)의 원의 궤도를 평형하게 하여 이렇게 해서 제본하는 두부(5)와 지지대(2)가 함께 작용하는 시간을 연장한다.
조절바퀴(50,51)가 템플레이트(52,53)의 조절캠(52a, 53a)위에서 움직이기 시작할 때 플런저(48)는 스테이플을 밀어넣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로 수직운동한다. 각 펀치(31)에 의해 제위치에 놓여지도록 준비가 된 스테이플은 이렇게 해서 각 지지대(2)에 걸쳐지는 인쇄물의 속으로 밀어넣어진다. 스테이플 벤더(57,58)는 스테이플을 닫는 위치를 향해 위로 선회한다.
제본하는 헤드(5)가 제본구역을 떠난 후 조절바퀴(50,51)는 그들의 각 템플레이트(52,53)를 벗어난다. 결과적으로 리세트 스프링(54)은 플런저(48)를 그들의 본래 위치로 되돌려 놓는다. 선회펀치(31)는 마찬가지로 조절바퀴(42,43)가 그들의 각 템플레이트(44,45)를 떠날 때 그들의 본래 위치로 다시 선회한다.
다음은 제 5 도에 관한 것으로 단지 제본하는 두부(5)의 플런저(48)와 작동아암(49)을 보이며 스테이플의 놓여지는 공정의 순서를 매우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고 제 5 도에서 횡좌표는 시간(T)를 종좌표는 플런저 스트로크(H)를 나타낸다. 제 5 도에서 스테이플을 놓는 위치에 있는 펀치(31)는 보이지 않는다(註). 제 5 도에서 플런저(48)의 운동방향(B)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이며, 즉 제 1 도, 제 2 도, 제 4 도에서의 경우와 반대이다.
제 5 도에서 위치(T1)부터 제본하는 두부는 플런저(48)의 조절바퀴(50)가 템플레이트(52)의 조절캠(52a)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T2)로 움직인다. 이것은 플런저(48)의 하향운동의 출발이며 스테이플(61)이 인쇄물(60)로 밀려들어가는 동안의 기간(t1)의 시작이다. 이 밀려들어가는 공정은 플런저(48)가 위치(T3)에 도달할 때 끝난다. 밀려들어가는 공정중에 플런저(48)는 스트로크(h)를 만든다.
스테이플이 제 위치에 밀려들어간 다음에 스테이플을 닫는 단계가 시작된다. 여기서 플런저(48)는 스테이플을 밀어넣기 위한 위치로 내려와 있으며 반면에 스테이플 벤더(57)의 쌍은 선회하여 스테이플의 끝을 구부린다. 스테이플을 닫는 공정은 플런저가 위치(T4)에 도달할 때 끝나며 스테이플 벤더(57)는 다시 선회하고 조절바퀴는 템플레이트(52)의 조절캠(52a)를 떠난다.
이것은 플런저(48)가 위치(T5)에 도달할 때 그것의 본래 위치로 다시 되돌아가도록 하며, 여기서(b)는 스테이플 밴드(57)의 스트로크이다.
제 5 도는 스테이플을 믿어넣는 단계(t1)과 닫는 단계(t2)로 구성되는 전공정이 플런저(48)가 본래 위치로부터 스테이플을 밀어 넣는 위치로 움직여서 다시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는 동안의 시간보다 짧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스테이플을 삽입해서 닫는 시간에 플런저(48)는 다음의 제본하는 헤드의 플런저가 그것의 본래 위치로부터 스테이플을 밀어넣는 위치로 움직이기 전에 본래 위치로 되돌아오고 있거나 되돌아와 있다.
또한 제 5 도는 제시간의 주어진 시점에서 연속되는 제본하는 두부의 관련위치를 표시하므로 또다른 방법으로 이것을 나타내는 바 즉(T6)에서 첫 번째의 제본하는 두부가 이미 제본구역(c)를 떠났고 (T3)에서 다음의 제본하는 두부(5')의 플런저(48)가 스테이플을 밀어넣는 위치에 있으며, (T1)에서 세 번째의 제본하는 두부(5'')가 제본구역(c)로 막 들어가려하고 있다. 세 제본하는 두부(5,5',5'')의 플런저들(48)은 실선으로 그려져 있고 중간위치는 점선으로 나타나있다. 제 5 도에서는 (S)는 두 이어지는 제본하는 두부의 간격이다.
기간(t) 다음에 제본하는 두부(5'')는 (T3)에 있고, 제본하는 두부(5')는 (T6)에 있다. 제본하는 두부(5'')가 (X)량 만큼 움직여서 (T2)에 도달하면 그것의 앞에 있는 제본하는 두부(5')는 마찬가지로 (X)량만큼 움직인 후에 (T3)에 있게 된다.
각 제본하는 두부(5)는 스테이플을 놓는 공정의 동안에 각 지지대(2)와 거의 일적선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스테이플을 놓는데 사용가능한 시간이 상당히 짧지만 스테이플을 정확한 위치로 밀어넣는 것이 가능하다. 본 보기에서 제본하는 두부는 거의 수직으로 유지되며 어떤 특정시간에 대비하여 지지대(2)와 함께 움직인다. 설명된 바와같이 이것은 각 지지대(2)가 그것의 각각의 제본하는 두부(5)를 다시 뒤로 보내고 제본하는 두부(5)의 궤도를 평평하게 하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 6 도 내지 제 8 도는 궤도축(6)에 대한 그들의 궤도에서 두부(5)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제 3 도의 것과 같은 구성품은 같은 참고 번호를 갖는다.
제 7 도와 8 도의 매우 상세히 보여지는 본 발명에 받침대(8)과 이에따라 제본하는 두부(5)는 제 1 도 내지 제 5 도의 실시예에서의 보여지는 것처럼 그들의 궤도운동 동안에 그들 자신에 대해 더 이상 평행되게 안내되지 않으나 그들의 선회축에 대해서는 어떤 양만큼 선회한다. 이것은 그들의 각 베어링 링(17,18)안의 지지판(11,12)를 위한 약간 다른 시스템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베어링 링(25,26)에 대한 다른 형태의 조절링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 6 도와 7 도는 두 베어링(17,25) 속의 지지판(11)의 지지시스템을 보인다. 이것은 또한 다른 두 베어링 링(18,26) 속의 다른 지지판(12)을 위한 베어링에 대하여도 역시 전형적인 것이다.
회전 슬리브(65)는 각 지지판(11)에 연결되지만 그 안에서 돌지는 못한다. 회전슬리브(65)는 베어링 링(17)을 통해 돌출해 있으며 그것을 돌도록 허용하는 베어링 볼트(66)에 지지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이것도 베어링 링(17)을 통해 돌출해 있다. 각 베어링 볼트(66)는 지지판(11)과 또한 받침대(7,8) 및 제본하는 두부(5)를 위한 회전축(66a)을 나타낸다. 회전축(66a)은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의 회전축(15')과 일치하며 회전축(15')과 같이 이것은 피치원(16)위에 있고 마찬가지로 간격은 (d2)이다. 더욱이 조절아암(67)이 마찬가지로 각 베어링 볼트(66) 위에서 회전할수 있고 다른 단부는 베어링 링(25)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 볼트(68)에서 회전할 수 있다. 각 베어링 볼트(68)는 각 조절아암(67)의 회전축(68')을 의미 한다. 조절아암(67)과 그들의 회전축(68')은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서 보이는 실시의 조절 아암(24)과 그들의 회전축(24a)과 같다. 회전축(24a)과 같이 회전축(68a)은 간격(d1)으로 피치원(2)위에 놓인다. 조절아암(67)의 길이 방향의 축(67')(제 6 도)은 항상 수평이다.
베어링 링 (17)과 접하는 단부에서 베어링 볼트(66)는 길이 방향축(69')과 베어링 볼트(68)에 대해 길이(e)로 편심되는 편심장부(eccentric tenon)(69)를 가지고 있다. 제 6 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장부(69)는 길이 방향의 축(69')이 또한 피치원(27)에 놓여지도록 위치한다. 장부(69)는 회전 슬리브(65)에 대해 연결은 되나 돌지는 않는 레버(71)에서 길이방향의 구멍(70)에 끼워지며 여기서 부호(71a)는 레버(71)(제 6 도)의 길이방향의 축이다. 레버(71)와 지지판(11)사이의 연결은 단단하게 고정되며 두 구성품이 서로에 대해 돌도록 허용하지를 않는다.
다음은 제 6 도와 7도에서 보이는 실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 8 도에 관한 것이다.
제 8 도에서 (L)은 지지판(11)의 길이방향의 축 즉 대칭이며 (Z0)내지(Z3)은 그들의 궤도에서 지지판(11)의 다양한 위치를 나타낸다.
설명된 대로 조절아암(67)은 그들의 궤도 진행중에 수평으로 유지된다. 베어링 볼트(68)와 장부(69)의 길이방향의 축(68')와 (69')는 각각 피치원(27)을 따라 움직인다.
지지판(11)이 그들이 저면위치(Z0)에 있을 때 레버(71)는 수평이며 즉 다시말해서 각 지지판(1)의 길이 방향의 축(L)은 수직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치(Z0)에서 제본하는 두부(5)의 위치는 마찬가지로 수직이며 즉 각각이 그것의 각 지지대(2)와 정확하게 직선 정렬된다. 제본하는 두부(5)가 계속해서 회전할 때 길이 방향의 구멍에 있는 편심 장부에 의해 안내되는 레버(71)는 그것의 수평위치로부터 시계반대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것은 해당 지지판(11)과 그것에 연결된 제본하는 두부가 마찬가지로 선회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본하는 두부(5)는 마찬가지로(Z0)에서 수직위치로부터 움직이는 각각의 지지대(2)와 직선정렬을 유지한다. 이미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지지판(11)과 그들의 안내바퀴(13,14)는 지지대로부터 분리된다.
9시위치(Z3)(제 6 도)에서 레버(71)들은 그들의 가장 낮은 선회 위치에 있게 된다. 이 레버들이 계속해서 방향(B)로 회전시 레버(71)와 제본하는 두부(5)는 다시 선회한다. 12시위치(Z2)(제 6 도에 나와있지 않음)에서 레버(71)는 다시 수평위치가 된다.
그들이 3시위치(Z3)에서 회전시 레버는 시계방향으로 올라간다. 이 위치(Z3)에서 레버(71)는 그들의 올려지는 끝단위치로 가게된다. 이 올려지는 끝단위치에서 레버와 이에의한 제본하는 두부(5)는 레버(71)가 6시위치(Z0)의 수평으로 다시 움직일 때까지 시계반대방향으로 다시 선회한다. 그들이 제본구역(C)에 도달할 때 지지판(11)과 그들 각각의 제본하는 두부는 지지판(11)이 길이 방향의 축을 가리키는 (L'')으로 보이는 것과 같이 수직에 대해 약간 기울어진다. 이렇게 해서 각 제본하는 두부는 회전운동의 위치에서 마찬가지로 수직에 약간의 각을 이루는 각 지지대(2)에 대해 직선 정렬을 하게 된다.
제 6 도 내지 제 8 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지지판(11)과 또한 이에따른 제본하는 두부의 위치는 다소 수직으로 유지되나 그들은 설명된대로 수직으로부터 양 측면방향으로 약간 선회한다. 이러한 선회운동의 크기는 편심량(e)에 의해 한정된다. 결과로서 각 제본하는 두부(5)는 그것의 각 지지대(2)와 정확하게 직선으로 정렬되며 이렇게하여 와이어 스테이플(61)을 제위치에 놓기위해 인쇄물과 스테이플 벤더(57,58)에 관한 바람직한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많은 가능한 조합과 교체로부터 단지 몇 개의 특별한 형태만을 발취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예를들어 보여진 바와 같이 그들의 궤도 전체보다는 단지 제본하는 구역(C)에 있을때만 제본하는 두부를 수직으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보여진 바와 같이 제본하는 두부(5)가 수집기드럼(1)의 지지대(2)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있는 설계는 특히 간단하다. 그러나 제본하는 두부는 또한 그들 자신의 구동시스템에 의해 간접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그러나 그러한 경우 이것은 수집기드럼(1)의 구동과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제본하는 두부는 그러나 공지된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절단 와이어의 분배기(55)는 또한 미리 구부러진 U자형의 스테이플을 제본하는 두부(5)의 펀치(31)로 분배하는 종류의 것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에서 벤딩 템플레이트(56)는 생략될 수 있다.
세개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 스테이플(61)은 필요로 하는 인쇄물(60)을 위해서 두 개의 제본 시스템(3,4)보다 더많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본시스템(3,4)은 또한 수집기 드럼(1)의 원주의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옵셋트될 수 있다. (단을 이룰 수 있다.)
결국 수집기드럼 대신에 다른 실시의 콘베이어 시스템이 인쇄물이 와이어 제본되도록 준비될 수 있으며, 그것의 지지대(2)는 예컨대 EP-A-0 399 317과 대응 미국특허출원 07/527 749의 제 4 도에서 보여진 바와같이 회전축을 돌지는 않으나 기다란 통로를 갖는다.

Claims (18)

  1. 지지부들이 서로의 중간공정을 가지고 배열되며 그리고 그들의 회전방향(A)에 대하여 대체로 직각으로 뻗쳐있으며 그리고 그의 운동경로는 제본구역(C)을 통하여 뻗혀 있으며, 회전의 폐쇄통로를 따라서 서로에 평행하게 회전하는, 인쇄된 제품(80)에 대한 새들 형상으로 된 지지대(2)를 가지며, 인접하는 지지대(2) 사이의 중간공간에 상응하는 하나의 중간공간을 가지고 서로 차례로 역시 폐쇄되고 그리고 운동방향(B)으로 배열된 제본구역(C)의 외측에 원형의 운동경로를 따라서 지지대(Z)와 대략 같은 운동속에서 움직이는 와이어 제본기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2)를 가지는 제본구역(C)에 만나도록 되어있는 다수의 제본하는 두부(5)로 되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본집합체(3,4)를 가지는, 많은 매수의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본하는 두부들(5)이 제본구역(C)에서 결합된 지지대(2)와 만날 때 이들은 지지대에 의하여 이들의 다른 원형운동궤도로부터 복원력(P)의 작용에 대향하여 뒤로 밀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본하는 두부(5)는 제본과정중에 그들의 각 지지대(2)와 적어도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본하는 두부(5)는 리셋트 스프링(10)에 의해 발생하는 복원력(P)의 작용에 의해 제위치로 되돌아 오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본하는 두부(5)는 그들의 궤도축(6)에 평행한 베어링 링(17,18)에 의해 유지 및 회전되며 궤도축(6)에 평행한 회전축(15', 66a)을 돌도록 구동되고 조절시스템(24,25,26 및 65 내지 71)은 궤도내에서 제본하는 두부(5)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조절시스템(24,25,26 및 65 내지 71)은 궤도축(6)에 편심되는 회전축(23')을 회전하는 조절요소를 가지며, 베어링 링(17,18)과 동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본하는 두부(5)의 회전축(15',66a)을 선회하고 베어링 링(17,18)에 연결되는 조절아암(24,6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조절아암(26,67)의 회전축(24a, 68')은 반경(R')이 제본하는 두부(5)의 회전축(15',66a)의 피치원(16)의 반경(R)과 같은 피치원(27)위에 놓여 있으며 조절아암(24,67)의 회전축(24a,68')사이의 거리(d1)가 제본하는 두부(5)의 회전축(15',66a)사이의 거리(d2)와 같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조절아암(24)은 제본하는 두부(5)을 회전축(15')를 규정하는 선회핀(15)에 단단히 연결되며 선회핀(15)은 베어링 링(17,18)에 의해 유지되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각 제본하는 두부(5)는 회전축(66a)에 대한 베어링 링(17,18)에 의해 유지되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베어링 슬리브(65)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으며 베어링 슬리브(65)는 두 단부위치 사이의 제본하는 두부(5)를 선회하도록 조절요소 베어링 링(25,26)을 따르는 편심구동부(68 내지 7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베어링 시스템은 궤도축(6)을 회전할 수 있는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베어링 링(17,18)을 가지며 ; 선회핀(15)는 궤도축(6)에 평행한 1차 받침대(8)을 지지하며 ; 그리고 제본하는 두부(5)는 복원력(P)이 그들을 안으로 원위치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받침대(8)위에서 지지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3 항 또는 제 9 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차받침대(7)는 1차받침대(8)과 평행되게 연결되며, 리셋트 스프링(10)의 작동은 1차 받침대(8)와 관련해서 2차 받침대(7)를 이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본하는 두부(5)는 2차 받침대(7)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베어링 링(17,18)은 궤도를 그리는 지지대(2)의 작용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중의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1차 받침대(8)는 제본구역(C)에서 지지대(2)에 맞물리게 되는 붙잡는 요소(11,12,13,1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베어링 링(17,18)과 그들의 각 조절요소에 베어링 링(25,26)은 내부의 지지대(19,10,21,28)위에 베어링에서 회전하는 고리로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제본하는 두부(5)는 제본구역(C)로 와이어 스테이플을 공급하기 위해 펀치(31)를 가지며, 조절시스템(42,43,44,45)은 그것의 본래 위치나 스테이플을 놓는 위치 사이에서 펀치(31)를 선회시키며, 플런저(48)는 와이어 스테이플(61)을 지지대(2) 위에 있는 인쇄물(60) 속으로 밀어 넣으며, 더 이상의 조절시스템(50,51,52,53)은 펀치(31)가 스테이플을 놓는 위치에 있을 때 그것의 본래의 위치와 와이어 스테이플(61)을 인쇄물(60)속으로 밀어넣는 위치 사이에서 플런저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고정된 절단 와이어 분배기(55)는 제본하는 두부(5)의 궤도 바깥쪽에 위치하여 분배기(55)를 통과할 때 그것의 본래위치에서 일정 길이의 와이어를 각 펀치(31)로 분배하며 ; 각 제본하는 두부(5)는 펀치(31)을 가지며, 일정길이의 각 절단와이어는 제본하는 두부(5)의 궤도방향에 약간 직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펀치(31)에 의해 운반되는 일정길이의 절단와이어로부터 U자형태의 스테이플(62)을 만들기 위해서는 벤딩요소 템플레이트(56)가 펀치의 선회통로상의 각 제본하는 두부(5)에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플런저(48)를 위한 조절시스템(50,51,52,53)은 그다음의 제본하는 두부(5)의 플런저(48)가 그것의 본래 위치로부터 그리고 스테이플을 밀어넣는 위치로 움직이기전에 제본하는 두부(5)의 플런저(48)의 스테이플을 밀어넣는 위치로부터 제자리로 움직이는 그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제본 시스템(3,4)으로 할당되는 스테이플을 닫는 시스템(57,58,59)는 삽입된 와이어 스테이플(61)을 닫기위해 제본구역(C)에서 제본하는 두부와 함께 작용하는 지지대(2)에 결합되는 많은 수의 부수적인 요소들(57,58)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20022238A 1991-12-13 1992-11-24 많은 매수의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製本)하는 장치 KR950013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69891 1991-12-13
CH03698/91-8 1991-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64A KR930012364A (ko) 1993-07-20
KR950013247B1 true KR950013247B1 (ko) 1995-10-26

Family

ID=426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238A KR950013247B1 (ko) 1991-12-13 1992-11-24 많은 매수의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製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342032A (ko)
EP (1) EP0546326B1 (ko)
JP (1) JPH0785949B2 (ko)
KR (1) KR950013247B1 (ko)
AT (1) ATE128076T1 (ko)
AU (1) AU655854B2 (ko)
BR (1) BR9204971A (ko)
CA (1) CA2083106C (ko)
DE (2) DE59203754D1 (ko)
ES (1) ES2077330T3 (ko)
FI (1) FI925542A (ko)
NZ (1) NZ2454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6078A5 (de) * 1992-11-30 1995-12-29 Grapha Holding Ag Vorrichtung zum Heften von auf sich folgenden Auflagen einer umlaufenden Fordereinrichtung rittlings ubereinander abgelegten, bogenartigen Druckprodukten.
EP0606555B1 (de) * 1993-01-11 1997-03-19 Ferag AG Sammelhefter für aus gefalteten Druckbogen bestehende Druckprodukte
DE4303503A1 (de) * 1993-02-06 1994-08-11 Kodak Ag Heftvorrichtung zum Zusammenheften von Blättern
US5570832A (en) * 1993-06-21 1996-11-05 Grafa-Holding Ag Apparatus for stapling sequential printed sheets positioned straddled one above the other
DE59405899D1 (de) * 1993-12-21 1998-06-10 Grapha Holding Ag Verfahren zur Beschickung von zu Druckprodukten gesammelten, mehrblättrigen Druckbogen mit Beilagen
EP0662440B1 (de) * 1994-01-10 1997-07-02 Ferag AG Vorrichtung zum Klebheften von Druckereierzeugnissen
EP0691215B1 (de) * 1994-07-06 1997-08-20 Ferag AG Vorrichtung zum Drahtheften von Druckereiprodukten
DE19518652C2 (de) * 1995-05-20 1999-08-12 Koenig & Bauer Ag Vorrichtung zum Heften von Signaturen
DK0981450T3 (da) * 1997-05-07 2002-11-25 Ferag Ag Anordning til hæftning på langs af flerdelte trykkeriprodukter
PT1245406E (pt) * 2001-03-29 2008-07-17 Grapha Holding Ag Dispositivo para a encadernação de lombadas, com agrafos, de produtos impressos constituídos por folhas de impressão dobradas
JP3973943B2 (ja) * 2001-06-07 2007-09-12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中折り綴じ装置
US6962280B2 (en) * 2002-07-05 2005-11-08 Goss International Americas, Inc. Rotary stitching device
US7581724B2 (en) 2002-11-09 2009-09-01 Ferag Ag Device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folded printed products
ITBG20050037A1 (it) * 2005-06-17 2006-12-18 Eugenio Madaschi Apparato per la foratura e la cucitura di porzioni di libri o riviste.
ATE517759T1 (de) 2005-11-11 2011-08-15 Ferag Ag Sammelhefter
CA2573175A1 (en) 2006-01-13 2007-07-13 Ferag Ag Method and installation for processing printed products during conveyan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890A (en) * 1901-04-08 1902-12-16 Smyth Machine Company Signature-gatherer.
DE754923C (de) * 1940-03-19 1954-03-29 Vomag Vogtlaendische Maschinen Vorrichtung zum selbsttaetigen Herstellen und Einschlagen von Heftklammern in fortlaufend bewegte, von Zylindern getragene Werkstuecke, insbesondere an Heftapparaten von Rotationsdruckmaschinen
DE1055499B (de) * 1955-05-02 1959-04-23 Western Printing & Lithographi Drahtheftmaschine
SE353673B (ko) * 1970-04-06 1973-02-12 Tolerans Ab
US3653570A (en) * 1970-05-15 1972-04-04 Strachan & Henshaw Ltd Stitching machine
US4098002A (en) * 1977-06-13 1978-07-04 Humphrey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for locating inter-pupilary of nose bridge mounted spectacles to lens meter
IT1185103B (it) * 1985-06-14 1987-11-04 Cerutti Spa Off Mec Cucitrice perfezionata per seganture
US4792077A (en) * 1987-04-27 1988-12-20 Custom-Bilt Machinery, Inc. Apparatus for stapling and creasing paper articles in transit
ATE98569T1 (de) * 1989-05-25 1994-01-15 Ferag Ag Einrichtung zum sammeln und heften von gefalteten druckbogen.
EP0399322B1 (de) * 1989-05-25 1993-07-28 Ferag AG Heftapparat
EP0399317B1 (de) * 1989-05-25 1993-12-15 Ferag AG Einrichtung zum Sammeln und Heften von gefalteten Druckbogen
US5137409A (en) * 1989-07-21 1992-08-11 Ferag Ag Joining together of printed partial products
DE59106663D1 (de) * 1990-08-06 1995-11-16 Ferag Ag Vorrichtung zum Drahtheften von mehrteiligen Druckereierzeugni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847092A (en) 1993-06-17
DE4238249A1 (ko) 1993-06-17
EP0546326A1 (de) 1993-06-16
DE59203754D1 (de) 1995-10-26
BR9204971A (pt) 1993-06-15
CA2083106C (en) 1996-09-17
EP0546326B1 (de) 1995-09-20
FI925542A0 (fi) 1992-12-07
ATE128076T1 (de) 1995-10-15
US5342032A (en) 1994-08-30
KR930012364A (ko) 1993-07-20
JPH0785949B2 (ja) 1995-09-20
FI925542A (fi) 1993-06-14
AU655854B2 (en) 1995-01-12
JPH0687281A (ja) 1994-03-29
ES2077330T3 (es) 1995-11-16
CA2083106A1 (en) 1993-06-14
NZ245442A (en) 199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247B1 (ko) 많은 매수의 인쇄물을 와이어로 제본(製本)하는 장치
JP2646191B2 (ja) 折った多葉印刷物をステープルで綴じる装置
JP2008062054A (ja) ミシン
US5105641A (en) Apparatus for forming wire
JP4542145B2 (ja) 被印刷製品を綴じるための綴じ装置及び方法
US4537342A (en) Binding machine for a signature machine
DE3933568C2 (ko)
RU21852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шивания в продоль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состоящих из многих частей типографских изделий
US4204626A (en) Wire stapling apparatus
EP1245406B1 (de) Einrichtung zum Heften des Rückens mit Klammern, von aus gefalzten Druckbogen gebildeten Druckerzeugnissen
EP1957287B1 (de) Sammelhefter
US4204627A (en) Staple closing mechanism
US20020194893A1 (en) Coil spring forming machine
US3021525A (en) Machine for forming and driving staples and for binding books thereby
US5620178A (en) Sheet post treatment apparatus for stapling having a sheet aligning member
US4513794A (en) Wire forming machine
EP0053803B1 (en) Straightening machine
EP0618865B1 (de) Vorrichtung zum heften von auf sich folgenden auflagen einer umlaufenden fördereinrichtung rittlings übereinander abgelegten, bogenartigen druckprodukten
DE39087C (de) Maschine zur Anbringung der Köpfe an Sicherheitsnadeln
SU12060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ки режущих головок на клепкофуговальном станке
JPH0732077A (ja) ばね製造機に対して設けられるピッチツールの作動装置
HU198275B (hu) Fémmegmunkáló berendezés huzal, vagy lemezsávok darabolására és hajlitására
DE1158029B (de) Vorrichtung zum Stanzen von kontinuierlich zugefuehrtem Metallband
DE4320437A1 (de) Nähmaschine mit Obertransportein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