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169B1 -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3169B1 KR950013169B1 KR1019920020297A KR920020297A KR950013169B1 KR 950013169 B1 KR950013169 B1 KR 950013169B1 KR 1019920020297 A KR1019920020297 A KR 1019920020297A KR 920020297 A KR920020297 A KR 920020297A KR 950013169 B1 KR950013169 B1 KR 9500131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computer
- port
- remote control
- mode
- buck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 Control For Bath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급탕기의 원격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제 2 도는 그 시스템에 있어서의 충돌회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3 도는 종래의 급탕기의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외 충돌회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리모콘(주컨트롤러) 2 : 욕조리모콘(부컨트롤러)
3 : 급탕기 본체(기기) 4 : 접속선
12,22,45 : 마이크로컴퓨터 13,23 : 표시기
121,221,451 : 발신 포트 122,222,452 : 수신 포트
A : 원격제어 시스템 Hq : 반송파(기기측 버킷신호)
H1 : 반송파(컨트롤러측 버킷신호)
본 발명은 기기를 하나이상의 컨트롤러로 원격조작하는 수신통신방식을 채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급탕기의 원격제어 시스템에서는 급탕온도의 설정이나, 욕조에의 저탕 운전등을 행하는 컨트롤러 안에, 급탕기로부터 접속선을 매개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급탕기의 제어기도 급탕기 액츄에이터 운전상태나 설정탕온도등의 운전정보를 컨트롤러에 송출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를 탑재하고 있다. 더욱이, 컨트롤러의 수를 증가시켜도 접속선의 개수가 많아지지 않도록, 통상 접속선은 2심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수시통신방식이 체용되고, 직렬 비트의 통신용 데이터를 버킷화한 버킷신호가 제어기와 컨트롤러 사이를 왕래한다. 그리고, 제어기와 컨트롤러의 송신 타이밍, 혹은 컨트롤러가 복수개 있는 것에서는, 한쪽 컨트롤러와 다른쪽 컨트롤러의 송신타이밍이 합치하여도 충돌이 회피될 수 있도록,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두번째의 버킷의 앞부분까지의 시간에 차이를 둠과 동시에, 버킷신호를 소정시간 마다 복수회(예컨대 6회 -12회) 반복하여 송신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금후 전송하는 데이터량은 증대하는 경향이 있고, 직렬 비트의 통신용 데이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1버킷의 송신시간이 길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반복하여 송신하는 구성이면 컨트롤러의 조작시에 있어서 응답이 둔화되고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를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로 원격조작하는 수시 통신방식을 채택한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목표나 운전정보를 많게 하여도 응답성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정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신포트와 송신포트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갖추며, 수신모드시에는 접속선상의 컨트롤러측 버킷신호를 복조하여 최신의 운전목표에 기하여 운전을 행하고, 송신모드시에는 운전정보를 버킷화하여 접속선에 송출하는 기기와, 수신포트와 발신포트를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갖추며, 송신모드시에는 운전목표를 버킷화하여 접속선에 송출하고, 수신모드시에는 접속선상의 기기측 버킷신호를 복조하여 운전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하나이상의 컨트롤러로 구성되고, 각 마이크로컴퓨터는, 송신모드시에 그 마이크로컴퓨터의 발신포트로부터 출력하는 버킷신호와 수신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접속선상의 버킷신호를 1비트마다 비교하고 다를시에는 바로 송신을 중지하여 수신모드로 바꿈과 동시에, 소정시간 경과후 다시 송신모드로 바꾸어 송신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각 마이크로 컴퓨터가 송신모드시에 그 마이크로컴퓨터의 발신포트로부터 출력하는 버킷신호와 수신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접속선상의 버킷신호를 1비트마다 비교하고, 다를시에는 바로 수신 모드로 교체하여 그 소정시간후에 다시 송신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최초의 버킷의 도중에 버킷신호 끼리의 충돌이 회피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같은 버킷을 반복하여 송신할 필요가 없게되고, 1버킷만 송신하면 되고, 직렬비트의 통신용 데이터가 많으며(전송할 데이터량이 많다). 1버킷의 송신시간이 길더라도 컨트롤러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응답이 빠르고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1 도 및 제 2 도에 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급탕기의 원격제어 시스템(A)은 부엌에 배설된 주리모콘(1), 욕실내에 배설된 욕조리모콘(2)과, 급탕기 본체(3)와, 주리모콘 및 욕조리모콘(2)과 급탕기 본체(3)를 접속하는 2선식의 접속선(4)으로 구성된다.
주리모콘(1)은 운전지령(급탕온도, 저탕온도, 저탕량)을 입력하는 스위치군으로 된 조작부(11)와, 마이크로컴퓨터(12)와, 운전정보(급탕온도, 저탕온도, 저탕량)을 표시하는 표시기(13)와, 표시기(13)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4)와, 변,복조회로(15)를 구비한다.
마이크로컴퓨터(12)는 운전지령을 예컨대 충돌회피용 데이터, 발신원, 급탕온도, 저탕온도, 저탕량의 순서로 배열하여 소정시간(예컨대,30mS)의 직렬비트의 버킷화된 디지털 신호(Dm)를 송신 모드시에 발신포트(121)로부터 출력함과 동시에 발신포트(121)로부터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Dm)과 수신포트(12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Dq)를 1비트마다 비교하고, 다를시에는 바로 디지털 신호(Dm) 및 반송파(H1)의 송출을 중지시켜 수신모드로 바꾼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2)는 수신 모드시에는 디지털 신호(Dm) 및 반송파(H1)의 송출을 행하지 않고, 반송파(Hq)를 복조한 디지털 신호(Dq)가 수신포트(122)에 입력된다. 더욱이, 마이크로컴퓨터(12)는 수신모드로 바꾸어지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송신 모드로 바꾸어 송신을 행한다.
변,복조회로(15)는 운전정보에 대응한 디지털 신호(Dq)를 반송파(Hq)로부터 복조하고, 또한, 운전 목표에 대응한 디지털 신호(Dm)을 400kHz로 변조하고 이 반송파(H1)을 접속선(4)에 송출한다.
욕조리모콘(2)는 주리모콘(1)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조작부(21)와, 마이크로컴퓨터(22)와, 표시기(23)와, 구동회로(24)와, 변,복조회로(25)를 구비한다.
마이크로 컴퓨터(22)는 마이크로 컴퓨터(12)와 마찬가지로, 송신 모드시에 운전지령을 에컨대, 충돌회피용 데이터[마이크로컴퓨터(12)의 것과 다름], 발신원, 급탕온도, 저탕온도, 저탕량의 순서로 배열하여 소정시간의 직렬비트의 버킷화한 디지털신호(Df)를 발신포트(221)로부터 출력함과 동시에 발신포트(221)로부터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Df)와 수신포트(22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Dq)를 1비트마다 비교하고, 다를시에는 바로 디지털 신호(Df) 및 반송파(H1)의 송출을 중지시켜 수신모드로 바꾼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2)는 수신모드시에는 디지털신호(Df) 및 반송파(H1)의 송출을 행하지 않고 반송파(Hq)를 복조한 디지털신호(Dq)가 수신포트(222)에 입력된다. 더욱이, 마이크로컴퓨터(22)는 수신모드로 교체되고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송신모드로 교체되어 송신을 행한다.
변,복조회로(25)는 반송파(Hq)로부터 운전정보에 대응한 디지털신호(Dq)를 복조하고, 또한, 운전목표에 대응한 디지털신호(Df)를 400kHz로 변조시켜 이 반송파(H1)를 접속선(4)에 송출한다.
급탕기 본체(3)는 반송파(H1)로부터 운전지령에 대응한 디지털신호(Dm) 또는 디지털신호(Df)를 복조함과 동시에 운전정보에 대응한 디지털신호(Dq)를 400kHz로 변조시켜 이 반송파(Hq)를 접속선(4)에 송출하는 변,복조회로(41)와, 전원스위치(도시안됨)를 투입시켜 전원회로가 작동하여 소정시간(예컨대 1.5초)후, 접속선(4)에 작동용 전력(DC-12V)의 급전을 행하고 이 급전개시로부터 1초후에 변,복조회로(41)에 반송파(H1,Hq)의 입출력을 행하게 하는 스위칭회로(43)와, 복조한 디지털 신호(Dm,Df)에 기하여 급탕기 액츄에이터(도시안됨)를 조작하는 구동회로(44)와, 마이크로컴퓨터(45)를 구비한다.
마이크로컴퓨터(45)는 마이크로컴퓨터(12,22)와 마찬가지로 송신모드시에 운전정보를 소정의 순서로 배열하여 직렬비트의 버킷화한 디지털신호(Dq)를 발신포트(451)로부터 출력함과 동시에, 발신포트(451)로부터 출력하는 디지털신호(Dq)와 수신포트(45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Dm,Df)를 1비트마다 비교하고, 다를시에는 바로 디지털신호(Dq) 및 반송파(Hq)의 접속선(4)에의 송출을 중지시켜 수신모드로 바꾼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5)는 수신모드시에는 디지털신호(Dq) 및 반송파(Hq)의 송출을 행하지 않고, 반송파(H1)를 복조한 디지털신호(Dm, Df) 가 수신포트(452)로부터 입력된다. 더욱이, 마이크로컴퓨터(45)는 수신모드로 교체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송신모드로 바꾸어 송신을 행한다.
변,복조회로(41)는 반송파(H1)로부터 운전목표에 대응한 디지털신호(Dm,Df)를 복조하고, 또한, 운전정보에 대응한 디지털신호(Dq)를 400kHz로 변조하여 이 반송파(Hq)를 접속선(4)에 송출한다.
다음에, 급탕기의 원격제어 시스템(A)을 설명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컨대 욕조리모콘(2)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송신모드로 되면, 마이크로컴퓨터(22)는 운전지령에 대응한 디지털신호(Df)를 출력하고, 디지털신호(Df)를 400kHz로 변조한 반송파(H1)가 접속선(4)에 송출된다. 여기에서, 동시에 주리모콘(1)의 마이크로컴퓨터(12)가 송신모드로 되면, 마이크로컴퓨터(12)는 운전지령에 대응한 디지털신호(Dm)를 출력하고, 디지털신호(Dm)를 400kHz로 변조한 반송파(H1)가 접속선(4)에 송출된다. 이 때문에, 접속선(4)에는 욕조리모콘(2)에 의한 반송파(H1)와 주리모콘(1)에 의한 반송파(H1)가 충접한 파형이 존재한다.
그리고, 제 2 도의 경우는 2비트째(5)(충돌회피용 데이터 부분)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12)의 발신포트(121)로부터 출력하는 디지털신호(Dm)(버킷신호)와 수신포트(12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Dq)(버킷신호)가 일치하지 않게 되고, 이 시점에서 마이크로컴퓨터(12)는 모드를 수신모드로 변경한다. 더욱이, 마이크로컴퓨터(22)는 계속 1버킷이 송신 종료하기까지 송신모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2의 경우는 2비트째(5) 이후, 주컴퓨터(1)의 송신이 정지하므로 욕조리모콘(2)의 운전지령이 1버킷째에서 급탕기 본체(3)에 전송된다.
급탕기의 원격제어 시스템(A)은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a) 급탕기본체(3)와 각 리모콘 사이, 또는 주리모콘(1)과 욕조리모콘(2) 사이에서 동시에 송신이 행해지더라도, 버킷화된 신호를 복수회 반복함이 없이, 운전지령 또는 운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b) 반응속도를 그다지 저하시킴이 없이 운전지령이나 운전정보의 데이터량을 많게할 수 있고, 급탕기를 정도가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급탕기의 운전상태를 정보가 양호하게 파악할 수 있다.
(c) 마이크로컴퓨터(12,22,45)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기만 하면 해결되므로 제조비용이 그다지 상승하지 않는다.
Claims (1)
- 수신포트와, 발신포트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비하고, 수신모드시에는 접속선상의 컨트롤러측 버킷신호를 복조하여 최신의 운전목표에 기하여 운전을 행하고, 송신모드시에는 운전정보를 버킷화하여 접속선에 송출하는 기기와, 수신포트와 발신포트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고, 송신모드시에는 운전목표를 버킷화하여 접속선에 송출하고, 수신모드시에는 접속선상의 기기 측 버킷신호를 복조하여 운전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하나이상의 컨트롤러로 구성되고, 각 마이크로컴퓨터는 송신모드시에 그 마이크로컴퓨터의 발신포트로부터 출력하는 버킷신호와 수신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접속선상의 버킷신호를 1비트마다 비교하고, 다를시에는 바로 송신을 중지하여 수신모드로 바꿈과 동시에, 소정시간 경과후 다시 송신모드로 바꾸어 송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2-2251 | 1992-01-09 | ||
JP4002251A JPH05191870A (ja) | 1992-01-09 | 1992-01-09 | 遠隔制御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7465A KR930017465A (ko) | 1993-08-30 |
KR950013169B1 true KR950013169B1 (ko) | 1995-10-25 |
Family
ID=1152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0297A KR950013169B1 (ko) | 1992-01-09 | 1992-10-31 | 원격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5191870A (ko) |
KR (1) | KR95001316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305746A (ja) * | 1988-06-03 | 1989-12-11 | Fujitsu Ltd | 通信チャネルテスト方式 |
JPH02149043A (ja) * | 1988-11-30 | 1990-06-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通信装置 |
-
1992
- 1992-01-09 JP JP4002251A patent/JPH05191870A/ja active Pending
- 1992-10-31 KR KR1019920020297A patent/KR9500131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5191870A (ja) | 1993-07-30 |
KR930017465A (ko) | 1993-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071367B1 (en) | Self-sequencing data bus allocation system | |
GB2265798B (en) | Automobile multiplex dat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fail-safe function for lan communication network | |
KR950013169B1 (ko) | 원격제어 시스템 | |
JPS58163004A (ja) | 複数シ−ケンサ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 |
EP0367392A2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
KR950015081B1 (ko) | 통신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 |
JPS62178840A (ja) | 給湯器の湯温設定装置 | |
JPH01240055A (ja) | 端末切替装置 | |
JP2506669Y2 (ja) | 遠方監視制御におけるアナログ設定装置 | |
JPH04207431A (ja) | 通信システム装置 | |
KR0127877Y1 (ko) | 알에스-485/알에스-232 컨버터를 구비한 피엘씨 통신 네트워크 | |
Davidson | The x-10 tw523 two-way power line interface | |
US5937180A (en) |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a telecommunications system | |
KR940006651Y1 (ko) | 모뎀 내장형 단말장치 | |
KR19980039808A (ko) | 데이타통신의 시리얼 송/수신 제어장치 | |
JPH08242494A (ja) | 信号通信方法 | |
JPH01140891A (ja) | 集中制御システム | |
KR970014927A (ko) |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 |
JPH05141652A (ja) | 燃焼装置 | |
JPS62178841A (ja) | 給湯器の湯温設定装置 | |
JPH0565145U (ja) | 電源制御装置 | |
JPS57203133A (en) | Power supply controller for terminal device | |
JPH077766A (ja) | 伝送装置 | |
JPH02280596A (ja) | 遠隔地設置装置の電源制御方式 | |
JPH0535624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