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130B1 -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130B1
KR950013130B1 KR1019900017246A KR900017246A KR950013130B1 KR 950013130 B1 KR950013130 B1 KR 950013130B1 KR 1019900017246 A KR1019900017246 A KR 1019900017246A KR 900017246 A KR900017246 A KR 900017246A KR 950013130 B1 KR950013130 B1 KR 950013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con
data
control
addr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621A (ko
Inventor
강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130B1/ko
Publication of KR92000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Input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 Detection And Correction Of Err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에 있어서, 메모리부와 버퍼부의 상세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에 있어서, 버퍼 콘트롤부 및 어드레스 발생부의 상세 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디지탈(A/D) 변환부의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메모리부 3,4,5,6 : 버퍼부
7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8 : 어드레스 발생부
9 : 버퍼 콘트롤부 101∼106,111∼116 : 버퍼
201,202 : 뱅크 메모리 301 : 디코더
302∼305 : 오아게이트 306 : 플립플롭
307,308 : 노아게이트 309 : 낸드게이트
310 : 어드레스 발생기
본 발명은 데이타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뱅크(Bank) 메모리의 이용으로 고속으로 발생되는 대용량의 데이타를 수집하여 이미지 데이타 수집에 적당하도록 한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퍼스널 컴퓨터(PC)로 데이타를 수집하려 하면 입출력콘트롤러의 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수집하거나 중앙처리장치(CPU)의 입출력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수집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은 입력되어지는 데이타의 속도가 입출력 어드레스나 포트등에서 데이타를 가져와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간보다 빠르게 되면 데이타를 잃어버리게되며, 특히 입력되어지는 데이타의 성질상 입력속도를 느리게 할 수 없을때는 이 방법을 쓸 수 없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입력 데이타의 속도를 입출력 어드레스나 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줄여 주어야 한다.
따라서 입력 데이타의 양에 해당하는 외부램을 준비하여 고속으로 발생되는 데이타를 이램에 임시 수집한후 PC의 입출력장치가 받아들일 수 있는 속도로 이 외부램의 데이타 발생속도를 느리게하여 PC의 입출력장치가 데이타를 하나씩 받아서 메모리나 화일로 저장하게 된다. 즉 입력 되어지는 데이타가 아날로그 신호일때는 아날로그/디지탈(A/D)변환기를 통해 디지탈신호를 바꾸어 주며 이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입출력장치를 통한 입력시간보다 빠를때에는 이 디지탈 신호를 외부램에다 임시 저장하게 된다. 이때 램의 총양은 입력데이타의 총양보다 같거나 커야 되고 입력되는 데이타의 주파수와 동기시켜 외부램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게 됨에 따라 어드레스발생속도와 데이타입력속도가 동기되어 입력 데이타가 외부램에 저장되어지며, 이의 저장된 데이타를 콘트롤 포트나 입출장치를 이용하여 1바이트의 PC단의 메모리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입력데이타의 량이 640K보다 적을시에는 모두 전송시킨 후 화일로 저장하고 640K이상의 대용량 데이타 일때는 입력데이타를 블럭화시켜 640K의 메모리로 일단 전송한 후 1M이상의 확장메모리로 다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모든 데이타가 확장 메모리로 전송되면 이 확장 메모리의 내용을 화일로 저장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데이타 수집장치에 있어서는 입력데이타가 중앙처리장치의 입출력포트를 통하여 데이타를 받아들이는 시간보다 더 빨리 들어오면 데이타를 잃게되고 입력데이타의 속도가 빨라지면 외부램을 부가 접속하여 속도를 줄이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램에 저장하는 작업과 다시 입출력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등의 이중의 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램은 입력 데이타의 양만큼의 준비가 되어야 하는데 1M이상의 대용량 데이타를 수집할 때는 1M이상의 램을 구성하기도 번거롭고 가격도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뱅크램으로 입출력포트를 대체하여 블럭단위로 데이타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속으로 발생되는 대용량의 데이타를 수집하도록한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를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의 블럭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와 메모리부(1,2) 사이의 데이타를 전송하는 버퍼부(3,4)와, 외부로부터의 데이타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7)와, 상기 A/D변환부(7)와 메모리부(1,2) 사이의 데이타를 전송하는 버퍼부(5,6)와, 상기 버퍼부(5,6)를 통해 메모리부(1,2)의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부(8)와, 제어신호로 상기 버퍼부(3,4,5,6)의 구동을 제어하여 메모리부(1,2)와 PC, 외부로의 데이타전송을 교호로 수행하는 버퍼콘트롤부(9)로 구성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에 있어서, 메모리부와 버퍼부의 상세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를 블럭단위로 처리하여 메모리부(1,2)를 구성하는 뱅크 메모리(201,202)와, 버퍼콘트롤부(9)로 부터의 제어신호(BCON1,BCON2,BCON5,BCON6)를 수용하여 PC데이타버스, PC어드레스버스, PC콘트롤버스를 상기 뱅크 메모리(201,202)에 연결하는 버퍼(101∼103,104∼106)로된 버퍼부(3,4)와, 버퍼콘트롤부(9)로 부터의 제어신호(BCON3,BCON4)로 버퍼 (111∼113,114∼116)를 각각 제어하여 A/D변환부(7)의 데이타(BDA), 어드레스발생부(8)의 어드레스신호(BAA) 및 제어신호(BCA)를 상기 뱅크 메모리(201,202)에 전송하는 버퍼부(5,6)로 구성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에 있어서, 버퍼 콘트롤부 및 어드레스발생부의 상세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데이타속도클럭으로 PC인터럽트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어드레스발생기(310)를 구동하여 어드레신호(BAA)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부(8)와, PC어드레스버스에 연결된 디코더(301)의 출력을 오아게이트(302,303)의 일측에 인가하고, 상기 어드레스신호(BAA)를 오아게이트(301,308), 낸드게이트(309)를 통해 오아게이트(304,305)의 일측에 인가하며, 상기 외부 데이타속도 클럭으로 출력()측 및 입력(D)측을 접속한 플립플롭(306)을 구동한 후 그의 출력(Q,)으로 제어신호(BCON1,BCON2)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오아게이트(302∼305)의 타측에 인가하여 제어신호(BCON6∼BCON3)를 발생하는 버퍼콘트롤부(9)로 구성한다.
제 4 도는 본 발명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에 있어서, A/D변환부의 상세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퍼콘트롤부(9)의 제어신호(BCON1,BCON2)를 합성하여 제어신호(BCA)를 발생하고 A/D변환기(401)를 통해 외부입력 데이타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데이타(DBA)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작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즉 뱅크 메모리(201)가 PC메모리의 빈공간에 붙고 뱅크메모리(202)가 A/D변환기(401)에 붙는 동작과, 반대로 뱅크 메모리(202)가 PC메모리에 붙고 뱅크 메모리(201)가 A/D변환기(401)에 붙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와같이 상기 동작이 반복되는 이유는 만일 뱅크 메모리(201)가 버퍼(111)를 통해 A/D변환기(401)에 붙었다며 외부의 데이타가 A/D변환기(401)를 통해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된 후 뱅크 메모리(201)에 저장되고 이때 저장되는 단위는 보통 이미지 데이타 중의 1라인 데이타를 단위로 한다.
이와같이 저장이 끝난 후 외부데이타클럭신호가 플립플롭(306)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되면 플립플롭(306)의 출력(Q)()이 반전되어 제어신호(BCON1,BCON2)로 출력됨과 아울러 오아게이트(302∼305)를 통해 제어신호(BCON6∼BCODN3)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신호(BCON1,BCON4,BCON5)에 의해 버퍼(101∼103,114∼116)을 인에이블시키고 지금까지 인에이블 상태였던 버퍼 (111∼113,104∼106)를 디스에이블시킴에 따라 A/D변환기(401)에 붙어있었던 뱅크 메모리(201)는 퍼스널 컴퓨터(PC)메모리에 붙게되고 반대로 PC메모리에 붙어있었던 뱅크 메모리(202)는 A/D변환기(401)에 붙게 된다.
따라서 뱅크 메모리(202)에는 새로운 라인 데이타들이 저장되게 되고 PC메모리에 붙게된 뱅크 메모리(201)는 버퍼(101∼103)의 동작으로 PC메모리의 일부가 되었으므로 입출력포트를 통해 입력시킨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된 것이다.
즉 다시말하면 기존에는 1라인 데이타를 입출력포트를 통하여 1바이트씩 받아들여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지만 본 발명은 버퍼에 토글신호 하나만으로 직접 1라인 데이타가 PC메모리에 전달되는 것이다.
그런데 보통 이미지 데이타는 1M바이트보다 크므로 PC메모리에 붙은 데이타를 다시 확장메모리로 전송시켜 주고 다시 버퍼는 토글하여 뱅크 메모리(201,202)의 위치를 바꿔준후 이번에는 뱅크 메모리(202)의 데이타를 확장메모리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같은 식으로 두 뱅크 메모리(201,202)의 바뀜작용으로 확장메모리에는 1이미지 데이타가 1라인씩 차곡차곡 쌓이게 되고 1이미지 데이타가 다 저장되면 이것을 1개의 화일로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뱅크 램으로 입출력포트를 대체시키므로 기존에는 외부 데이타를 1바이트밖에 전송할 수 없었던 것을 1블럭단위로 전송이 가능하게 해주고 기존에는 1바이트를 전송하는데도 수 μs가 걸려 1블럭단위를 전송하려면 수 ms가 걸리지만 본 발명은 버퍼가 스위칭 되는 시간 즉 수 ns동안에 전송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하드웨어 구성상 모든 이미지의 양만큼의 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간편하고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3)

  1. 외부 데이타 속도 클럭에 의해 어드레스(BAA)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부(8)와, 퍼스널 컴퓨터 어드레스, 외부 데이타 속도 클럭 및 상기 어드레스(BAA)에 의해 제어신호(BCON1∼BCON6)를 발생하는 버퍼 콘트롤부(9)와, 상기 제어신호(BCON1,BCON2,BCON5,BCON6)의 제어를 받아 퍼스널 컴퓨터와 뱅크메모리(201)(202) 사이에 데이타, 어드레스 및 콘트롤 신호를 각기 전송하는 버퍼부(3)(4)와, 외부로 부터의 데이타를 디지탈 신호 데이타(BDA)로 변환하는 A/D변환부(7)와, 상기 제어신호(BCON3,BCON4)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탈 신호 데이타(BDA), 상기 어드레스(BAA) 및 상기 제어신호(BCON1,BCON2)의 합성 제어신호(BCA)를 상기 뱅크 메모리(201)(202)에 각기 전송하는 버퍼부(5)(6)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버퍼 콘트롤부(9)는 퍼스널 컴퓨터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디코더(301)와, 어드레스 발생부(8)의 어드레스(A11∼A15)를 노아 조합하여 노아게이트(307,308) 및 그의 출력신호를 낸드 조합하여 낸드게이트(309)와, 외부 속도 클럭을 클럭신호로 인가받음과 아울러 그의 출력단자()신호를 입력신호로 인가받아 그의 출력단자(Q)()신호를 제어신호(BCON1)(BCON2)로 출력하는 플립플롭(306)과, 상기 디코더(301)의 출력신호를 상기 플립플롭(306)의 출력단자(Q)()신호와 각기 오아 조합하여 제어신호(BCON5)(BCON6)로 출력하는 오아게이트(303)(302)와, 상기 낸드게이트(309)의 출력신호를 상기 플립플롭(306)의 출력단자(Q)()신호와 각기 오아 조합하여 제어신호(BCON4)(BCON3)로 출력하는 오아게이트(304)(305)로 구성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버퍼부(3,4,5,6)는 퍼스널 컴퓨터 및 뱅크 메모리(201) 사이에 제어신호(BCON5)의 제어를 받아 데이타를 전송하는 버퍼(101) 및 제어신호(BCON1)의 제어를 받아 어드레스 및 콘트롤신호를 전송하는 버퍼(102)(103)와, 퍼스널 컴퓨터 및 뱅크 메모리(202) 사이에 제어신호(BCON6)의 제어를 받아 데이타를 전송하는 버퍼(104) 및 제어신호(BCON2)의 제어를 받아 어드레스 및 콘트롤 신호를 전송하는 버퍼(105)(106)와, 제어신호(BCON3)의 제어를 받아 디지탈 신호 데이타(BDA), 어드레스(BAA) 및 합성제어신호(BCA)를 상기 뱅크 메모리(201)에 각기 전송하는 버퍼(111)(112)(113)와, 제어신호(BCON4)의 제어를 받아 디지탈 신호 데이타(BDA), 어드레스(BAA) 및 합성 제어신호(BCA)를 상기 뱅크 메모리(202)에 각기 전송하는 버퍼(114)(115)(116)로 각기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KR1019900017246A 1990-10-26 1990-10-26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KR950013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246A KR950013130B1 (ko) 1990-10-26 1990-10-26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246A KR950013130B1 (ko) 1990-10-26 1990-10-26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621A KR920008621A (ko) 1992-05-28
KR950013130B1 true KR950013130B1 (ko) 1995-10-25

Family

ID=1930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246A KR950013130B1 (ko) 1990-10-26 1990-10-26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1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621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2780A (en) Serial to parallel and parallel to serial architecture for a RAM based FIFO memory
KR100694440B1 (ko) 반도체기억장치
CN110569204B (zh) 基于fpga和ddr3 sdram的可配置图像数据缓存系统
KR950013130B1 (ko) 뱅크 메모리를 이용한 고속 대용량 데이타 수집장치
JP3429994B2 (ja) セルバッファ回路
JP4493164B2 (ja) データ・バースト転送回路、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回路および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回路、発振回路
CN101267459B (zh) 采用异步fifo寄存器输出数据的方法及寄存器
JP2786170B2 (ja) フレームデータ変換回路
US5524183A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for the thermal print head of high density
JP2770375B2 (ja) 伝送遅延位相補償回路
JP2570986B2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及び方法
JPS62126435A (ja) 速度変換バツフア回路
KR100295745B1 (ko) 에이티엠통신단말의비디오데이터송신장치
JPH0744580B2 (ja) データ長変換回路
JP2567428B2 (ja) データ転送速度変換装置
JPH0318143A (ja) エラスティックバッファ
KR19990086532A (ko)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JP2597041B2 (ja) Fifoメモリ装置
JPH01162925A (ja) 非同期式速度変換回路
JPS6347373B2 (ko)
JPS60261094A (ja) メモリ構成変換回路
JPH05191473A (ja) Ramを用いたセル分解装置
KR19980034149A (ko) Atm 셀 맵핑장치
JPS6261976B2 (ko)
JPH0277857A (ja) メモリアクセス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