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446B1 - 칩 조절 절삭용 인서트 - Google Patents

칩 조절 절삭용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446B1
KR950012446B1 KR1019890700792A KR890700792A KR950012446B1 KR 950012446 B1 KR950012446 B1 KR 950012446B1 KR 1019890700792 A KR1019890700792 A KR 1019890700792A KR 890700792 A KR890700792 A KR 890700792A KR 950012446 B1 KR950012446 B1 KR 950012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insert
flat
end wal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256A (ko
Inventor
케네츠 엘 니이바우어
토마스 에이 록카드
Original Assignee
케나메탈 아이엔씨
데이비드 티. 코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나메탈 아이엔씨, 데이비드 티. 코퍼 filed Critical 케나메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89070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22Cutting tools with chip-break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23B27/045Cutting-off tools with chip-break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68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7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cut of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Drilling Too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칩 조절 절삭용 인서트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전술된 특징 및 또다른 특장점이 첨부도면에 관한 후술설명의 고찰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칩 조절용 인서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를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홀더 및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인서트의 측변도.
제5도는 제1도의 인서트 단부영역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인서트의 단부 영역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인서트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인서트를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확대 및 연장 랜드를 지닌다.
제9도는 제8도의 선Ⅸ-Ⅸ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선Ⅹ-Ⅹ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 인서트의 변형 실시예의 단부 영역을 예시하는 부분 확대평면도이며, 인서트는 확대 및 연장 평탄 랜드와 결합되는 비대칭 배치 랜드를 지니는바, 평탄 랜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인서트를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절삭용 인서트 특히 칩이 조절되는 금속 절삭용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그러한 절삭용 인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발명의 배경]
절삭용 인서트는 잘 알려져 있으며 그들 중 상당수는 소모성 설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인서트는 홀더(holder)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마모되거나 무디어지면 폐기된다. 소모성 인서트는, 보통 인댁스가 가능하며 때로는 역전 장착이 가능하도록 인서트에 절삭 위치선정에 따라 최소 두 개의 절삭날이 제공될 수 있다.
인서트에 둘 내지 그 이상의 절삭날이 제공되면 경제적인 사용을 가능케 하며, 특히 소모성 인서트에 관해서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바 이는 인서트를 생산하는 재료가 예를들어 초경합금 일 때 비용이 매우 고가로 소요되기 때문이다.
인서트는 절삭 작업동안 인서트 홀더내에 확고하고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점은 인서트가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사용될 때 중요한 바, 이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정확도가 인서트의 정확한 배치 및 확고한 지지작용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인서트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인서트에는 중앙 구멍(hole)이 공구홀더에는 핀형 고정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인서트를 공구홀더의 푸켓(pocket)내에 정확하고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경우에서는, 인서트가 상부 고정구(top clamp)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이같은 홀더의 예는 미국 특허 제3,754,309호, 제3,399,422호 및 제3,762,005호와 영국 특허 명세서 제 1,363,542 호에 개시되어 있다.
금속 가공의 주목적은 새로운 가공면을 형성하는데 있다. 가공 과정 중에는 비록 칩이 부차적인 생산물이라 할지라도 칩의 형성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왜냐하면 에너지의 소비가 주로 칩의 형성과 이동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떠한 금속절삭 작업에서도 필수적인 특성이 되는 것은 효과적인 칩의 조절이다. 칩의 주종을 이루는 젓은 불연속성 칩이며 이것은 절삭 영역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실용상 이점을 지닌다. 일부의 금속과 합금이 절삭 작업동안 불연속 칩을 발생시키는 반면 많은 경우에서는 그러하지 못하다. 따라서 공작물이 금속이든 합금이든 상관없이 절삭작업중에 불연속 칩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요구되는 사항이다.
절삭 작업중에 최소한 어느 정도의 칩 조절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서트와 이 인서트를 공구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사이에 기계적인 칩 절단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조는 주어진 공구로 금속 절삭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유효면적을 증가시키는 명백한 결점이 나타난다.
금속절삭 작업에서 칩의 조절은 중요한 사안이므로 절삭용 인서트의 향상된 설계뿐만 아니라 공구와 함께 사용되는 향상된 칩 절단 부재를 개발하는 것이 금속 절삭 분야의 오랜 숙원 사항이었다. 칩 절단 기능을 지닌 절삭용 인서트의 일예로써 ISCAR로 부터 구입가능한 컷-그립(cut-grip)인서트 "GIP"가 있다. 이 ISCAR인서트에는 칩이 공작물로부터 제거될 때 이 금속 칩을 변형시키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방으로 경사진 한쌍의 부재를 지닌 랜드(land)가 있다. 칩 조절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구성요소를 지니는 절삭 인서트의 다른 예로 발레나이트사에서 제조된 에콘-오-그루브(Econ-o-grove)인서트가 있다. 칩 절단 스타일인 절삭용 인서트의 또 다른 예로 샌드빅(Sandvik)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며 불연속전방면(front face)을 특징으로하는 인서트가 있으나, 그 불연속전방면은 공작물내의 절삭홈을 평탄하게 마무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서트에 향상된 칩 조절 특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향상된 칩 조절 기능을 가진 인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서트 공구 홀더의 고정 요소와 공조하도록 형성된 향상된 칩 조절 인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향상된 칩 조절 특성을 결과로하는 독특한 형상을 지닌 절삭용 인서트와 이 인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칩 조절 특성을 지닌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는 단부벽 및 측부, 이 측부와 수직을 이루는 상부면 및 저부면을 지니는 인서트 본체를 포함한다. 인서트 본체는 홀더내의 포켓에 장착되는데 적합하며, 이때 일단부가 노출된다. 인서트 본체는 측면에 수직한 축에 대해 역전 가능하며 또한 일단부에서 절삭날을 지님으로써, 인서트 본체의 각각의 역전된 위치에서 각각의 절삭날이 인서트 본체의 동일단부의 최상부에 제공된다.
인서트 본체의 상부면 및 저부면, 또는 장착표면은 대각선형 노치를 형성하며, 이 노치들은 최상단부에 위치할 때 인서트의 측부에 대해 같은 각도를 형성하는 일정각으로 교차연장된다.
인서트의 각각의 단부벽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공작물에 제공되는 절삭날이 형성된다. 랜드는 단부벽으로부터 각각의 상부면 또는 저부면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되며 예정된 폭 및 면적을 지니는 표면을 형성한다. 하방 경사면(descending wall)은 랜드의 일부분에서 시작되어 평탄면(planar floor)에서 종결되는바, 이 평탄면은 전방 모서리, 후방 모서리 및 마주보는 측방 모서리를 지닌다. 경사면은 평탄면의 전방 및 마주보는 축방 모서리에서 종결되며, 후방 램프(ramp)는 평탄면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상부면 또는 저부면에서 종결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랜드, 경사면, 후방램프 및 평탄면은 단부벽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며 그 단부벽은 또한 최소한 하나의 평탄 랜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인서트 제조의 개선된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평탄 랜드 또는 인서트 본체 단부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폐기가능한 단부벽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단부벽의 전체 폭은, 적어도 폐기가능한 부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감소 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칩 조절 특성을 지닌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참조번호(10)로 표시된다. 인서트(10)는 제1플랭크(flank), 즉, 제1단부벽(end wall ; 14), 제2플랭크, 즉, 제2단부벽(16), 제1측부(18) 및 제2측부(20) 및 상부면(22) 및 저부면(24)을 지니는 인서트 본체(12)를 포함한다. 인서트 본체(12)는 텅스텐 또는 티타늄 카바이드 또는 텅스텐 티타늄 카바이드 또는 Tic-TiN과 같은 초경합금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1단부벽(14)과 상부면(22)의 연접부에 하나의 절삭날(26)이 형성된다. 제2단부벽과 저부면(24)의 연접부에 제2절삭날(28)이 형성된다.
인서트(10)의 본체(12)에는, 상부면(22)에 대각선형 노치(30)가 또한 저부면(24)에 대각선형 노치(32)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노치(30,32)는 "V"형단면을 지녀 후술될 공구홀더 조립체에 결합되는데 적합하다.
전술된 인서트의 형상에 있어서, 인서트 본체(12)의 각각의 역전위치에서 각각의 절삭날이 인서트본체의 동일단부의 최상부에 제공된다. 인서트 본체를 횡당 연장하는 대각선형 노치(30,32)는 각각의 노치가 최상부에 있을때 인서트 본체(12)의 측부(18,20)에 대해 동일 각도를 형성하도록 일정각으로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역전 위치에서, 인서트 본체(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작물에 대한 절삭날(26,28)을 형성하는 인서트의 단부벽을 제공한다.
제1도와 관련하여 제3, 제4 및 제5도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12)는 각각의 단부영역에서 각각의 단부벽(14,16)으로부터 각각의 상부면(22) 및 저부면(24)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되며 경사지는 랜드(34,36)를 포함한다. 각각의 랜드는 예정된 폭과 면적을 지닌 표면(38)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인서트(10)는 역전이 가능하므로, 인서트의 일측부 또는 단부 영역에 관련되어 기술된 상세 특징들이 타측부 또는 타단부 영역에도 나타남이 자명하다. 단부벽(14)을 고찰하면, 하방 경사면(40)은 랜드(34)와의 연접부(42)에서 시작되어 평탄면(44)에서 종결된다. 경사면(40)은 전방부(46) 및 대향 측부(48,50)를 지닌다. 평탄면(44)은 전방 모서리(52), 후방 모서리(54) 및 대향 측방 모서리 (56,58)를 지닌다. 경사면(40)은 평탄면에서 전방 모서리(52) 및 대향 측방 모서리 (56,58)로 종결된다. 후방 램프(60)는 평탄면의 후방 모서리(5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면(22)에서 종결된다.
후방 램프(60)는 평탄면(44)의 후방 모서리(54)로부터 상부면(22)을 향해, 상부면에 대해 약 35°내지 45°, 바람직하게는 40°의 각도로 상방으로 경사진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면(44)의 전방 모서리(52)에 근접한 경사면(40) 부분은, 평탄면(44)에 대해 약 15°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8°의 각도로 평탄면(44)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다. 절삭날(26)에 근접한 랜드(34)는 인서트 본체(12)의 상부면(22)에 대해 약 5°내지 15°, 바람직하게는 8°내지 12°,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의 각으로 연접부(42)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다. 절삭날(26)은 상부면(22)보다 높지 않게 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40)의 측부(50)는 랜드(34)로부터 평탄면(44)를 향해 약 15°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8°의 각도로 하방으로 경사진다. 일반적으로 측부(50)는 제조 공정에서 프레스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된 경사각을 지닌다.
본 발명의 인서트로 금속을 절삭할때 공작물을 저속으로 공급하면 그 공작물로부터 벗어나는 칩은 인서트의 랜드를 벗어나 후방 램프(60)에 부딪치는바, 램프에서 칩이 공작물을 향해 후방으로 향할 때 후방 램프 또는 칩 자체와의 칩의 충격력에 의해 파괴가 발생된다. 공작물을 고속으로 공급하면 칩 자체의 역방향 이동 뿐 아니라 및 이 평탄면(44) 및 후방 램프(60)에 부딪치므로써 파괴가 달성된다. 공작물로부터 나오는 칩은 일반적으로 인서트(10)의 칩 조절 특성의 결과로서 "U"형 단면을 형성한다.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20)와 측부(48)사이에 배치된 랜드는 경사측부(50)를 향해 미세각으로 하방으로 경사지지만, 그같은 하방 경사각의 부족의 칩의 조절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하방 경사각은 절삭을 위한 동력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믿어지며 따라서 바람직한 특성으로 나타난다.
제2도에 본 발명의 인서트(10)를 합체하여 사용하는데 이상적으로 적합한 공구홀더(70)가 도시되어 있다. 공구홀더(70)는 어떤 적합한 형태의 공구지지체에 고정되는데 적합한 바(bar) 모양의 강철부재(72)의 형태이다. 부재(72)의 일단부에는, 저면(76), 측면(78) 및 후면(80)을 지니는 인서트 포켓(74)이 제공된다. 저면과 후면의 연접부에 언더 컷(82 ; under cut)이 제공되어 인서트(10)의 각각의 고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인서트(10)의 절삭날(26,28)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 포켓의 저면 및 측면(76,78)은 상호 직각을 이루는 반면 후방(80)은 측면(78)에 대해 직각이지만 포켓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저면(76)에 수렴한다. 이러한 인서트 포켓(74)은 인서트(10)를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서트(10)에는 "V"자형의 홈, 즉, 노치(30,32)가 제공된다. 이 노치(30,32)는, 역 "U"자형 형태의 고정 부재(86)의 한쪽 다리의 일단부상의 구형 노즈(nose ; 84)와 교합되는데 적합하다.
고정 부재(86)의 다른 하나의 다리(88)는 홀더(70)의 상부에 형성된 홈(90)에 수용되는데 적합하다. 고정 나사(92)는 체결 부재(86)의 양다리 사이의 구멍을 통해 홀더의 상부면에 제공된 나사 구멍(94)내로 연장한다.
인서트가 포켓내에 배치되면, 고정 부재(86)가 제위치에 놓여지고, 고정 나사(92)가 조여지며, 인서트가 포켓의 저면(76)에 대해 확고하게 가압됨과 동시에 측면(78) 및 후면(80)을 향해 당겨진다. 따라서 인서트는 홀더의 포켓내에 확고히 고정되어 포켓의 측면에 대한 강제됨으로써 그 포켓에 정확히 배치된다.
포켓의 측면(78)은, 홀더(70)의 종축에 대해 약 3°의 미세각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인서트의 양단부는 홀더(70)의 종축에 대한 측면(78)의 작은 모남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형상화 된다.
절삭용 인서트와 관련하여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몇가지 다른 고정 장치 및 공구 홀더 뿐만 아니라 이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 "절삭용 인서트 및 이것의 고정 장치"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제 3,754,309 호에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특허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그 내용이 참조를 위해 본원에 인용되었다.
본 발명의 또한 칩 조절 특성을 지닌 절삭용 인서트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8도, 9도, 10도를 참조하며, 제8도에는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인서트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확대 및 연장 랜드를 지니는 인서트(110)의 단부영역이 확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인서트(110)는, 다양한 사이즈의 인서트를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확대 및 연장된 랜드를 지닌다. 다른 모든 사항에 있어서 인서트(110)는 인서트(10)와 동일 특성 및 구성요소를 지니므로, 이같은 동일 특성 및 구성요소들이 다시 상세하게 기술되지는 않으나 인서트(10)를 설명하는 명세서부분이 참조될 것이다. 인서트(110)의 인서트 본체(112)는 연장 또는 평탄 랜드(135) 및 경사랜드(134)를 지닌다. 인서트 본체(110)는 단부벽(114), 측부(118, 120) 및 절삭날(126)을 지닌다. 경사 랜드(134)는 단부벽의 절삭날(126)로 부터 상부면(122)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되며 예정된 면적을 지닌 경사 랜드 부분(138) 및 평탄 랜드 부분(139)을 형성한다. 경사 랜드(134)의 경사 랜드 부분(138)은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서트의 실시예에 관련되어 설명된 각도의 하방 경사를 지닌다. 평탄 랜드(135)의 평탄 랜드 부분(139)의 반대편의 경사 랜드 부분(138)의 모서리는 절삭 높이 선(cutting height line ; L)을 형성한다. 경사면(140), 평탄면(144) 및 후방 램프(160)의 특징들은 전술한 경사면(40), 평탄면(44) 및 후방 램프(60)와 유사하므로, 상세히 후술되지 않을 것이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랜드 부분(138)과 평탄 랜드 부분(139)이 결합되어 단부벽 영역(114)의 전체 폭 "A"를 형성한다. 경사 랜드 부분(138)은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폭의 2/3정도를 차지하는 반면 평탄 랜드 부분(139)은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약 1/3을 차지한다. 평탄 랜드 부분(139)은 원하는 최종치수의 인서트를 생산하는 연마공정후 인서트의 단부 영역의 전체 폭의 1/3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평탄 랜드 부분(139)이 상기 바람직한 비율보다 크게되면 절삭작업동안 칩이 적절히 변형되지 않아서 본 발명의 개선된 칩 파괴 특징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평탄 랜드(135)는 부분적으로 인서트 본체(112)의 단부벽(114)중 선택적으로 폐기 가능한 부분을 형성한다.
경사 랜드(134)가 제8도와 같이 절삭 높이선(L)에 근접되게 위치한 반면, 경사랜드(134), 이에 연관된 경사면, 평탄면 및 후방 램프는 인서트본체(112)의 양측부(118)에 인접하거나 그보다 더 중앙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200)는, 인서트 본체(212)의 단부벽(214)에서 더 중앙쪽으로 배치된 경사 랜드(234)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탄 랜드(235)는 경사 랜드(234)를 중심으로 양측에 분리된 2개의 부분을 포함하는바, 분리부분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제조중 연삭 작업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경사 랜드(234)가 단부벽(214)에 배치된 형상에 있어서, 분리된 평탄 랜드 부분(239)들이 결합된 전체 폭에 대한 경사 랜드 부분(238)의 폭의 비율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되어, 본 발명의 완제품인 절삭용 인서트(200)의 분리된 2개의 평탄 랜드 부분(239)의 결합 폭이 단부벽(214)폭의 약 1/3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벽의 잔여 부분 또는 약 2/3부분이 경사 랜드(234)를 이룬다.
적어도 한쪽의 평탄 랜드 부분이 연삭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어, 절삭날의 전체 폭이 예정된 크기로 선택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연결 됐다. 제8도 및 11도에서 도시된 인서트 본체의 경사 랜드 및 평탄 랜드로 이루어진 연장된 폭의 랜드는 보다작은 독특한 인서트의 제조 및 평탄 랜드 부분의 일부의 연삭을 허용함으로써 특정 스타일의 인서트에 대한 원하는 치수를 획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다른 치수를 지니는 매우 많은 수의 인서트를 제조하는데 보다적은 수의 다이(die)만이 필요하게 된다.
본원에 기술된 칩 조절 특성을 지니는 금속 절삭용 인서트는 매우 광범위한 금속 절삭 조건에서 현저히 향상된 칩 조절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새로운 인서트의 형상은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이제까지 기술된 내용은 칩 조절 특성을 지니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및 그러한 절삭용 인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23)

  1. 예정된 폭을 지니며 절삭날(26,28)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부벽(14,16; 114; 214), 측부(18,20), 및 상기 측부(18,20)에 수직한 상부면(22) 및 저부면(24)을 지니는 인서트 본체(12)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본체(12)는 상기 측부(18,20)에 수직한 축에 대해 역전 가능하고 상기 각각의 단부벽(14,16; 114; 214)의 일평면내에 각각 형성된 절삭날(26,28)을 지니며, 상기 인서트 본체(12)의 각각의 역전된 위치에서 각각의 절삭날(26,28)이 인서트 본체(12)의 동일 단부의 최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인서트 본체(12)의 상기 상부면(22) 및 저부면(24)에 노치(30)가 형성되어 있는 홈가공을 위한 칩 조절 특성을 지니는 개선된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부벽의 절삭날(26,28)로 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예정된 폭의 표면(38)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날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랜드(land; 34; 134; 234) ; 전방부(46) 및 대향측부(48,50)를 지니며, 상기 랜드(34)의 일부에서 시작되어 전방 모서리(52), 후방 모서리(54) 및 대향 측방 모서리(56,58)를 지니는 평탄면(44)으로 종결되며, 평면으로 볼 때 랜드(34)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하방 경사면(40) ; 및 상기 평탄면의 후방 모서리(54)로 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각각의 상부면(22) 또는 저부면(24)에서 종결되는 백램프(back ramp; 60)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조절 특성을 지니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114; 214)중 단부벽(114)은 상기 경사 랜드(134)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평탄 랜드(13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 랜드(134)는 예정된 폭(B)의 표면을 지니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탄 랜드(135)는 예정된 폭(C)을 지녀 상기 폭들이 결합되어 상기 단부벽(114)의 폭(A)을 형성하며, 상기 평탄 랜드(135)의 폭은 상기 단부벽(114)의 폭의 약 1/3이하로 되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214)은 상기 경사 랜드(234)에 인접한 평탄 랜드(23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 랜드(234)는, 상기 경사 랜드(234)의 한쪽 측방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평탄 랜드(235)의 폭이 상기 랜드(234)의 다른쪽 측방 모서리에 인접한 평탄 랜드(235)의 폭과 다르도록 하방 경사면의 전방부(46)에 대해 단부벽(214)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4. 제3항에 있어서, 다른쪽 평탄 랜드(235)보다 큰 폭을 지니는 한쪽 평탄 랜드(235)는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제거됨으로써 폭이 감소될 수 있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램프(60)는 상기 각각의 상부면(22) 또는 저부면(24)에 대해 약 35°내지 45°의 각도로 평탄면(44)의 후방 모서리(54)로부터 각각의 상부면(22) 또는 저부면(24)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램프(60)는 각각의 상부면(22) 또는 저부면(24)에 대해 약 40°의 각도로 평탄면(44)의 후방 모서리(54)로부터 각각의 상부면(22) 또는 저부면(24)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44)의 전방 모서리(52)에 근접한 하방 경사면(40)은 평탄면(44)에 대해 약 15°내지 21°의 각으로 하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44)의 전방 모서리 (52)에 근접한 하방 경사면(40)은 상기 평탄면(44)에 대해 약 18°의 각도로 하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26)에 인접한 랜드(34)는 상기 인서트 본체(12)의 상부면(22)에 대해 약 5°내지 15°의 각도로 하방 경사면(40)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26)에 인접한 랜드(34)는 상기 인서트 본체(12)의 상부면(22)에 대해 약 10°의 각도로 하방 경사면(40)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노치(30)는, 상기 각각의 노치가 최상부에 있을 때 인서트 본체(12)의 상기 측부(18,20)에 대해 상기 상부면(22) 또는 저부면(24)상에 동일각을 형성하도록 일정각으로 인서트 본체(12)의 상부면(22) 및 저부면(24)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V"형단면을 지니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26)은 상기 각각의 상부면(22) 또는 저부면(24)보다 낮게 되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3. 칩 제어 특성을 지니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110)에 있어서, 단부벽(114; 214), 측부(118, 120) 및 상기 측부(118,120)에 수직한 상부면(122) 및 저부면(24)을 지니며, 홀더(70)내의 포켓(74)에 장착되어 단부벽(114)이 노출되며, 상기 측부(118,120)에 수직한 축에 대해 역전 가능한 인서트 본체(112)로서, 상기 인서트(110)는 상기 상부면(122)과 저부면(24)의 연접부에서 절삭날(126)을 지니며, 상기 인서트 본체(112)의 각각의 역전 위치에서 각각의 절삭날(126)이 인서트의 동일 단부에서 최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인서트의 상기 상부면(122)과 저부면(24)이 대각선형 노치(30)를 형성하며, 상기 노치(30)는 각각의 노치(30)가 최상부에 있을 때 인서트(110)의 상기 측부(118,120)와 동일각을 형성하도록 일정각으로 횡단연장하는 인서트 본체(112); 상기 단부벽(114)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상부면(122) 또는 저부면(24)을 향해 연장되며 예정된 폭(B)의 표면을 형성하는 경사 랜드(134;234); 상기 경사 랜드(134)의 일부에서 시작하여 전방 모서리, 후방 모서리 및 양측방 모서리를 지니는 평탄면(144)으로 종결되는 하방 경사면(140)으로서, 상기 경사 랜드(134)가 상기 단부벽 영역(114)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단부벽이 상기 경사 랜드(134)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평탄 랜드(135)를 더 포함하는 하방 경사면(140); 및 상기 평탄면(144)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상부면(122) 또는 저부면(24)에서 종결되는 후방 램프(160); 로 구성되며, 상기 평탄 랜드(135)는 부분적으로 상기 단부벽(114)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단부벽(114)의 전체 폭이 상기 단부벽(114)의 선택적으로 배치가능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랜드(134)는 예정된 폭(B)의 표면을 지니고 상기 하나의 평탄 랜드(135)는 예정된 폭(C)을 지니며, 상기 각각의 폭이 결합되어 상기 단부벽(114; 214)중 단부벽(114)의 폭(A)을 형성하며, 상기 평탄 랜드(135)의 폭(C)은 상기 단부벽(114)이 폭의 약 1/3이하로되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214)은 상기 경사 랜드(234)에 인접한 평탄 랜드 부분(239)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 랜드(234)는 상기 경사 랜드(234)의 한쪽 측방 모서리에 인접한 평탄 랜드(235)의 부분이 상기 경사 랜드(234)의 다른쪽 측방 모서리에 인접한 평탄 랜드(235)의 부분과 다른 크기로 되도록 단부벽(214)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백램프(160)는, 상기 각각의 상부면(122) 또는 저부면(24)에 대해 약35°내지 45°의 각도로 상기 평탄면(144)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기 각각의 상부면(122) 또는 저부면(24)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램프(160)는, 상부면(122) 또는 저부면(24)에 대해 약 40°의 각도로 상기 평탄면(144)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각각의 상부면(122) 또는 저부면(24)을 향해 상방을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8. 제14항에 있어서, 평탄면(144)의 전방 모서리에 인접한 하방경사면(14)부분이 평탄면(144)에 대해 약 15°내지 21°의 각도로 하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평탄면(144)의 전방 모서리에 근접한 하방경사면(140) 부분이 평탄면(144)에 대해 약 18°의 각도로 하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126)에 인접한 경사 랜드(234)는 상기 인서트 본체(112)의 상부면(122)에 대해 약 5°내지 15°의 각으로 하방 경사면(140)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126)에 인접한 경사 랜드(234)는 상기 인서트 본체(112)의 상부면(122)에 대해 약 10°의 각으로 하방경사면(140)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노치(30)는 V형 단면을 지니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126)은 상기 각각의 상부면(122) 또는 저부면(24)보다 낮게되는 개선된 절삭용 인서트.
KR1019890700792A 1987-09-04 1988-07-26 칩 조절 절삭용 인서트 KR950012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93,348 US4834592A (en) 1987-09-04 1987-09-04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US093348 1987-09-04
PCT/US1988/002531 WO1989001836A1 (en) 1987-09-04 1988-07-26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256A KR890701256A (ko) 1989-12-19
KR950012446B1 true KR950012446B1 (ko) 1995-10-18

Family

ID=2223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792A KR950012446B1 (ko) 1987-09-04 1988-07-26 칩 조절 절삭용 인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34592A (ko)
EP (2) EP0616867B1 (ko)
JP (1) JP2532936B2 (ko)
KR (1) KR950012446B1 (ko)
AT (2) ATE178824T1 (ko)
CA (1) CA1299851C (ko)
DE (2) DE3856325T2 (ko)
WO (1) WO1989001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5052A1 (de) * 1986-09-10 1988-03-24 Reika Werk Gmbh Maschf Werkzeug zur spanabehbenden metallbearbeitung wie anfasen, stechen, plandrehen und fraesen
US5088862A (en) * 1987-09-04 1992-02-18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US5032050A (en) * 1987-09-04 1991-07-16 Kennametal Inc. On-edge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US4963060A (en) * 1987-09-04 1990-10-16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US4957396A (en) * 1988-09-30 1990-09-18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JP2519801B2 (ja) * 1989-07-18 1996-07-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突切り用工具
US4993893A (en) * 1990-01-08 1991-02-19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US5651295A (en) * 1993-03-29 1997-07-29 Kennametal Inc. Method of machining of aluminum
SE505526C2 (sv) * 1994-11-08 1997-09-15 Sandvik Ab Avsticksskär
US5704737A (en) * 1995-04-20 1998-01-06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US5638728A (en) * 1995-05-11 1997-06-17 Kaiser Tool Company, Inc. Replaceable tool support with arcuately curved surface portion
US6026719A (en) * 1996-10-09 2000-02-22 Li; Xiao Ping Method of breaking chips and apparatus therefor
US6000885A (en) * 1998-07-22 1999-12-14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suitable for mounting in different toolholder pockets and associated toolholder assembly
FR2847838B1 (fr) * 2002-12-02 2006-01-06 Safety Plaquette de coupe etagee
AT502061A1 (de) * 2005-06-24 2007-01-15 Boehlerit Gmbh & Co Kg Reibahle mit schneidplatte
DE102010016234B4 (de) * 2010-03-30 2015-07-09 Volker Neumann Halter für eine Schneidplatte beziehungsweise Halter mit Schneidplatte sowie zugehörige Schneidplatte
EP2581157B1 (en) 2011-10-11 2020-04-01 VARGUS Ltd. Cutting tool for grooving and parting operations
DE102012111240A1 (de) * 2012-11-21 2014-05-22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Spanabhebendes Werkzeug
JP6059041B2 (ja) * 2013-02-28 2017-01-11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9427807B2 (en) 2013-05-13 2016-08-30 Dennis P. Flolo Clamp to hold a cutting insert on a tool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9442A (en) * 1966-09-27 1967-09-05 Korbet Stephen Harpsichord plucking mechanism
US3557416A (en) * 1968-08-16 1971-01-26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US3505715A (en) * 1969-01-21 1970-04-14 Valeron Corp Cutting toolholder and insert
GB1363441A (en) * 1970-06-22 1974-08-14 Deering Milliken Res Corp Yarn package and apparatus for procucing same
US3762005A (en) * 1970-08-28 1973-10-02 Ingersoll Milling Machine Co Indexable cutting insert
JPS4855476A (ko) * 1971-11-12 1973-08-03
US3754309A (en) * 1972-01-28 1973-08-28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clamping arrangement therefor
US4116576A (en) * 1977-04-25 1978-09-26 Newcomer Products, Inc. Cutting insert
JPS54126938A (en) * 1978-03-27 1979-10-02 Toshiba Corp Power board
US4360297A (en) * 1978-06-02 1982-11-23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T381262B (de) * 1982-05-18 1986-09-25 Ver Edelstahlwerke Ag Abstech- und einstechwerkzeug
DE3301919A1 (de) * 1983-01-21 1984-07-26 Werner 6967 Buchen Keller Vorrichtung zur klemmenden befestigung von schneideinsaetzen
GB2147528A (en) * 1983-10-03 1985-05-15 Gen Electric Cutting tool
US4626141A (en) * 1985-01-23 1986-12-02 Gte Valeron Corporation Chip control insert
SE452273B (sv) * 1986-05-07 1987-11-23 Seco Tools Ab Sker for avstick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0541B1 (en) 1994-11-02
ATE178824T1 (de) 1999-04-15
JPH02503771A (ja) 1990-11-08
EP0616867A2 (en) 1994-09-28
EP0380541A4 (en) 1991-01-30
DE3856325D1 (de) 1999-05-20
DE3852035D1 (de) 1994-12-08
JP2532936B2 (ja) 1996-09-11
KR890701256A (ko) 1989-12-19
US4834592A (en) 1989-05-30
EP0616867B1 (en) 1999-04-14
ATE113513T1 (de) 1994-11-15
EP0616867A3 (en) 1995-02-08
EP0380541A1 (en) 1990-08-08
WO1989001836A1 (en) 1989-03-09
DE3852035T2 (de) 1995-03-09
CA1299851C (en) 1992-05-05
DE3856325T2 (de) 199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446B1 (ko) 칩 조절 절삭용 인서트
US5032050A (en) On-edge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US5704737A (en)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JP3387556B2 (ja) 送り量が小さく且つ切込み量の浅い切削のためのインサート
US4854784A (en) Diamond tipped chip control insert
JP2595079B2 (ja) 切削工具の切削用差込体
KR950013506B1 (ko) 칩 제어부를 지닌 절삭 인서트
KR930002410B1 (ko) 칩 제어특징부를 지닌 절삭 인서트
JP2000237905A (ja) 切削用インサートアセンブリ、チップブレーカ、及び金属切削切除方法
EP0179033B1 (en) Cutting tool
US4963060A (en)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US5088862A (en)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JP2001310204A (ja) 溝入れ用の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バイトホルダ
US5037249A (en)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JP3292607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2658074B2 (ja) ターニングブローチ
JPH043680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