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248B1 -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248B1
KR950012248B1 KR1019920023291A KR920023291A KR950012248B1 KR 950012248 B1 KR950012248 B1 KR 950012248B1 KR 1019920023291 A KR1019920023291 A KR 1019920023291A KR 920023291 A KR920023291 A KR 920023291A KR 950012248 B1 KR950012248 B1 KR 950012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value
counte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721A (ko
Inventor
이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248B1/ko
Publication of KR94001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제1도는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상기의 동기신호 발생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
제4a도 내지 제4j도는 제2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운터 20 : 계산기
30 : 래치 40 : 비교기
50 : 계수신호 논리조합부 51, 54 : 가산기
52, 53 : 스위치
본 발명은 더블스캔(Double Scan)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더블스캔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표준 신호에서 수평 1개 주사선의 주사기간이 변동하여도 수평동기신호를 능동적으로 발생하는데 적당하도록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2배속 편향동기신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상기의 동기신호 발생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iN)와 분주되어 귀환되는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차에 해당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비교기(1)와, 상기 위상비교기(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역필터링하는 저역필터(2)와, 상기 저역필터(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에 상응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해내는 전압제어 발진기(VCO)(3)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3)의 출력신호를 2/N분주하는 2/N분주기(4)와, 상기 2/N분주기(4)의 출력신호를 다시 2분주하여 이를 상기 위상비교기()의 일측 입력신호로 공급하는 1/2분주기(5)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 주파수(fH)의 입력신호(iN)는 위상 비교기(1)에서 1/2분주기(5)에서 출력되고 있는 소정 주파수 신호와 위상이 비교되어 이로부터 두입력신호의 위상차이에 해당되는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위상비교기(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저역필터(2)에서 저역필터링되어 이로부터 전압제어 발진기(3)에 직류성분만이 공급되며, 그 전압제어 발진기(3)는 입력되는 직류전압의 레벨에 따른 주파수를 갖는 신호(N . fH)를 생성하게 되고, 이는 2/N분주기(4)에서 소정의 분주비로 분리되어 출력단자(Out)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2/N분주기(4)의 출력신호가 한편으로는 1/2분주기(5)에 공급되어 여기서 다시 2분주되어 이로부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3)에서 출력되는 신호(N.fH)의 1/N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고, 이는 상기 위상 비교기(1)의 일측 입력으로 공급되어 그의 출력신호가 변화되는데, 즉, 그 위상비교기(1)의 두 입력신호의 위상차이가 이전의 위상차이에 비해 줄어드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이와 같은 과정이 몇번 진행되면 상기 위상 비교기(1)의 두 입력신호의 위상차가 정확하게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출력단자(Out)에는 입력신호(iN)의 주파수에 비해 2배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입력신호(iN)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자(Out)에서 그 수평동기신호(HSYNC)의 2배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어 이 신호를 배속 수평동기신호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피엘엘 방식의 종래 배속시스템은 아날로그적인 발진기 및 저역통과 여파기를 시용하여야 하는데 그 발진기 및 저역필터의 설계에 어려움이 따르고, 더욱이 전압제어 발진기가 자주 불안정해져 출력이 불안정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엘엘 방식에서의 저역필터나 전압제어 발진기를 사용하지 않고 디지탈적으로 배속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주파수의 입력신호(f1)에 대한 펄스를 카운트하는 카운터(10)와, 상기 카운터(1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값을 2로 나누는 제산기(20)와, 수평동기신호(HSYNC)의 고전위에 의하여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산기(20)에서 출력되는 값을 래치하는 래치(30)와, 상기 카운터(10)에서 출력되는 값과 래치(30)에서 출력되는 값을 비교하여 같아지는 순간 고전위를 출력하는 비교기(40)와, 상기 비교기(40)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CK)로 공급받고, 수평동기신호(HSYNC)를 리세트신호(RE)로 공급받아 그에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플립플롭(FF)과, 상기 플립플롭(FF)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운터(10) 및 래치(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오아 연산하는 계수신호 논리조합부(50)와, 상기 계수신호 논리조합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소정 영역에서 고전위 펄스를 출력하는 디코더(6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신호(f1)가 수평주파수의 소정배수(2000배수)로 공급되고, 카운터(10) 및 D형 플립플롭(FF)의 리세트 단자(RE), 래치(30)의 래치 인에이블단자(LE)에 수평동기신호(HSYNC)가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t1시점 이전에는 카운터(10)는 제4a도와 같은 입력신호를 클럭신호로 하여 "N-1"의 값을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값이 제산기(20)에 의하여 제산되어 이로부터 제4d도와 같이 (N-1)/2의 신호가 출력된다.
제4c, 4j도에서와 같이 t1의 시점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의 고전위가 입력되면, 그 고전위에 의하여 래치(30)가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산기(20)에서 출력되는 값이 그 래치(30)에 래치되는데, 이때 래치된 값은 (N-1)/2이다.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의 고전위에 의하여 D형 플립플롭(FF)이 리세트되어 그의 출력단자(Q)에 제4g도에서와 같이 소정시간동안 저전위가 출력되고, 그 저전위에 의하여 스위치(52)가 상기 카운터(10)의 출력측에 단락되므로 이때, 그 카운터(1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값이 디코더(60)의 입력으로 공급되며, 그 디코더(60)는 제4j도의 t2 구간에서와 같이 소정값(03)에서 고전위를 출력한다.
상기 카운터(10)가 수평동기신호(HSYNC)의 고전위에 의하여 리세트된후, 제4b도에서와 같이 "00"부터 카운트를 시작하고, 비교기(40)는 상기 래치(30)에 래치된 값(N-1/2)과 상기 카운터(10)에서 카운트되는 값을 카운트하여 서로 같아지는 시점(N-1/2)에서 제4e도와 같이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며, 이 고전위가 D형 플립플롭(FF)의 클럭신호(CK)로 공급되어 이때 그 플립플롭(FF)에 제4g도와 같이 소정시간동안 고전위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에 의하여 스위치(52)가 가산기(51)의 출력측에 단락된다.
상기 가산기(51)는 상기 카운터(10)의 출력값에서 래치(30)의 출력값을 감산하여 제4h도와 같이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플립플롭(FF)에서 고전위가 출력될때 그 고전위에 의하여 가산기(51)의 출력이 디코더(60)의 입력으로 공급되므로 이때, 그 디코더(60)는 제4j도의 t3구간에서와 같이 저전위(논리적 "0")를 출력하다가 t4구간에서와 같이 소정값(03)에서 고전위(논리치"1")를 출력하게 된다.
결국,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제4c, 4j도에서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SYNC)의 한주기(To)동안 상기 디코더(60)에서 2주기(T1+T2)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본 회로를 이용하여 수평동기회로(HSYNC)에 대해 2배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To의 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To 한주기에 상기 카운터(10)에서 카운트되는 값이 변경된 후, 1/2로 되어 상기 래치(30)에 래치되므로 그 To의 시간이 변경되는 것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동기신호(HSYNC)에 대해 2배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수신호 논리조합부(50)를 구성함에 있어서, 플립플롭(FF)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하여 래치(30)에서 출력되는 값을 선택하거나 논리치 "0"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53)와, 상기 카운터(10)의 출력값에서 상기 스위칭(53)의 출력값을 감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54)로 구성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에 의하여 D형 플립플롭(FF)이 리세트되어 그로부터 저전위가 출력되면, 그 저전위에 의하여 스위치(53)가 고정단자(b)에 단락되어 그 스위치(53)로부터 저전위(논리치"0")가 출력되고, 상기 플립플롭(FF)이 비교기(40)의 비교출력신호 및 수평동기신호(HSYNC)에 의하여 세트되어 그로부터 고전위가 출력되면, 그 고전위에 의하여 스위치(53)가 래치(30)의 출력측에 단락되어 그 스위치(53)를 통해 그 래치(30)에서 래치된 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가산기(54)는 상기 카운터(10)에서 출력되는 값에서 상기 스위치(53)를 통해 공급되는 값을 감산하여 이를 상기 디코더(60)에 출력하게되고, 그 디코더(60)는 상기 제2도의 설명에서와 같이 입력되는 값의 소정치("03")에서 고전위(논리치"1")를 출력하여 그 디코더(60)는 제2도의 설명에서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운터를 이용하여 수평동기신호의 1주기동안 고전된 높은 주파수의 입력신호를 카운트하고, 이를 2분주한 후, 다시 이 값을 카운트의 출력값과 비교하여 그 수평동기신호에 대하여 2배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저역필터나 전압제어 발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생산 공정을 간단히 하고, 출력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정 주파수의 입력신호(f1)에 대한 펄스를 카운트하는 카운터(10)와, 상기 카운터(1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값을 2로 나누는 제산기(20)와, 수평동기신호(HSYNC)의 고전위에 의하여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산기(20)에서 출력되는 값을 래치하는 래치(30)와, 상기 카운터(10)에서 출력되는 값과 래치(30)에서 출력되는 값을 비교하여 같아지는 순간 고전위를 출력하는 비교기(40)와, 상기 비교기(40)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CK)로 공급받고, 수평동기신호(HSYNC)를 리세트신호(RE)로 공급받아 그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플립플롭(FF)과, 상기 플립플롭(FF)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운터(10) 및 래치(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오아 연산하는 계수신호 논리조합부(50)와, 상기 계수신호 논리조합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소정 영역에서 고전위 펄스를 출력하는 디코더(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계수신호 논리조합부(50)는 카운터(10)의 출력값에서 래치(30)의 출력값을 감산하는 가산기(51)와, 상기 플립플롭(FF)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운터(10)의 출력신호나 가산기(51)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5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계수신호 논리조합부(50)는 플립플롭(FF)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하여 래치(30)에서 출력되는 값을 선택하거나 논리치 "0"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53)와, 상기 카운터(10)의 출력값에서 상기 스위치(53)의 출력값을 감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5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KR1019920023291A 1992-12-04 1992-12-04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KR950012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291A KR950012248B1 (ko) 1992-12-04 1992-12-04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291A KR950012248B1 (ko) 1992-12-04 1992-12-04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721A KR940017721A (ko) 1994-07-27
KR950012248B1 true KR950012248B1 (ko) 1995-10-16

Family

ID=1934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291A KR950012248B1 (ko) 1992-12-04 1992-12-04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2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721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246B1 (ko) 디지털 표시 장치용 위상 동기 루프 회로
JP3520082B2 (ja) ビデオ処理のための表示ロックされたタイミング信号
JP3267260B2 (ja) 位相同期ループ回路及びそれを使用した周波数変調方法
JP3555372B2 (ja) 同期処理回路
KR95001224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배속 동기신호 발생 시스템
KR950001441B1 (ko) 자동 주파수 제어회로
KR890006059A (ko) 텔레비젼 수상기
KR100343078B1 (ko) 주파수신세사이저
US6597403B1 (en) System for generating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compatible with multi-scan
KR950007610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2배속 편향동기신호발생 시스템
KR100256160B1 (ko) 다중 주사 비율 동작을 위한 수평 블랭킹 신호 발생 장치
JP2748746B2 (ja) 位相同期発振器
JP3117046B2 (ja) Pll回路
JPH06276089A (ja) Pll回路
JPH06291644A (ja) Pll回路
JPH03228473A (ja) 同期信号発生回路
JP2713988B2 (ja) 水平afc回路
KR960010389B1 (ko) 펄스폭 변조 출력 회로
JPS59183591A (ja) テレビ信号用同期信号発生器
KR100207633B1 (ko) 위상동기루프회로
JPS63215265A (ja) 水平同期pll回路
JPH04326867A (ja) 位相同期回路
JPH09130237A (ja) Pll回路及び転送データ信号処理装置
KR100219516B1 (ko) 수평 동기 신호용 위상 동기 루프
JPH04319869A (ja) 位相同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