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365B1 - 발판용 세움틀 - Google Patents

발판용 세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365B1
KR950011365B1 KR1019910018190A KR910018190A KR950011365B1 KR 950011365 B1 KR950011365 B1 KR 950011365B1 KR 1019910018190 A KR1019910018190 A KR 1019910018190A KR 910018190 A KR910018190 A KR 910018190A KR 950011365 B1 KR950011365 B1 KR 950011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engaging
connecting pin
engaging pro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774A (ko
Inventor
슌사꾸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아루 잉꼬 가부시끼가이샤
슌사꾸 이노우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801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07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801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0774B2/ja
Application filed by 아루 잉꼬 가부시끼가이샤, 슌사꾸 이노우에 filed Critical 아루 잉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4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wo-dimensional frame-like elements, e.g. of rods in L- or H-shape, with or without br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1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bars or members which are parallel or in end-to-end r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판용 세움틀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동 사시도.
제3도는 동 주요부 정면도.
제4도는 동 종단정면도.
제5도는 동 주요부 사시도.
제6도는 동 주요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정면도.
제7도는 동 주요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정면도.
제8도는 동 주요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정면도.
제9도는 동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움틀 본체 a, b : 발판용 세움틀
2 : 연결핀 3 : 걸어맞춤돌기
4, 7 : 스프링 5 : 미끄럼면
6 : 걸어 맞춤구멍 8 : 연결용 돌기
9 : 연결구멍 10 : 세로파이프
13 : 연간부 14 : 레버간
15 : 일체구조물 16 : 걸어맞춤단부
17 : 레버구멍 18 : 끼워통하기 구멍
19 : 연결핀의 내주면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점차 윗쪽으로 조립하여 가는데 적합한 가설용 발판용 세움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건물의 건축현장에 있어서, 발판용 세움틀을 순차 윗쪽으로 조립하여 가는데는 당연이 상하로 대항하는 발판용 세움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필요로 한다.
종래는 이 연결수단으로서 아래쪽측의 발판용 세움틀 좌우 상단부에 연결핀을 돌출설치하고 여기에 윗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의 좌우 하단부를 찔러넣고, 그런후 양자간에 걸쳐서 대략 활형상의 빠짐방지용 록아암을 그의 측면에서 걸어서 양자를 서로 연결하는 타입의 것이나 예컨대 일본 공개공보의 실개평 1-131753호 공보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 사이에 연결핀을 이동가능하게 끼우고, 연결핀을 소요각도 회전조작함으로써 발판용 세움틀과 연결핀에 설치한 요철부를 서로 걸어맞춤시켜서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을 서로 연결하는 타입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어느것도 아래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의 연결핀에 윗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을 찔러넣는 작업과는 별개로, 이들의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을 유지하면서 양자간의 좌우에 록 아암을 거는 작업이나, 양자간의 좌우의 연결핀을 회전조작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연결작업을 행하기 위해 적어도 두사람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든지 연결작업이 번잡하여 비능률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의 난점을 불식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의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는 세움틀 본체의 좌우 상단부에 연결핀을 돌출설치하고, 이 연결핀에는 그의 측면에서 돌출함과 동시에 그의 측면에서 연결핀의 내부로 출입자유로운 걸어맞춤돌기와, 이 걸어맞춤돌기와 일체 형성되어서 연결핀의 측벽에서 돌출하는 걸어맞춤돌기 출입 조작용의 레버간을 설치함과 동시에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레버간을 연간부를 통해서 일체형성한 일체구조물을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걸어맞춤돌기에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결핀의 내부로 걸어맞춤돌기를 출입시키기 위하여 출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미끄럼면을 설치하고, 상기 레버간의 하면에는 이 레버간을 연결핀의 내부방향의 출입위치에 걸어맞춤하기 위한 걸어맞춤단부를 설치하고 한편 세움틀 본체의 좌우 하단부측면의 상기 걸어맞춤돌기의 돌출방향과 같은 부위에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구멍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세움틀이다.
또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의 구성과 같이 상기 연결핀(2)에는 상기 걸어맞춤돌기(3)의 설치위치보다 아래쪽의 부위에 있고, 연결핀(2)의 측면에서 스프링(7)에 가압되어서 돌출함과 동시에 스프링(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결핀(2)의 내부에 출입가능한 연결용 돌기(8)를 설치하고, 한편 세움틀 본체(1)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용 돌기(8)가 걸어맞춤하는 연결구멍(9)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는 청구항 제1항의 구성과 같이 걸어맞춤돌기(3)에 부하하는 외력을 레버간(14)과 레버간(14)이 끼워 통하는 연결핀(2)의 레버구멍(17)의 구멍벽(17a)으로 받아 저지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작용]
아래쪽측 발판용 세움틀에 있어서의 세움틀 본체(1)의 연결핀(2)에 위쪽측 발판용 세움틀에 있어서의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를 찔러넣음으로써 그 찔러넣기 도중에서 걸어맞춤돌기(3)의 미끄럼면(5)에 윗쪽측의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가 맞닿음으로써 걸어맞춤돌기(3)는 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결핀(2)의 내부로 출입시키도록 부하를 받고, 이 출입 가압력에 의해 걸어맞춤돌기(3)는 연결핀(2)의 내부로 출입하여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가 아래쪽측의 연결핀(2)에 끼워넣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하여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측면의 걸어맞춤구멍(6)에 아래쪽측 세움틀 본체(1)의 걸어맞춤돌기(3)가 면하는 위치까지 끼워넣어지면 걸어맞춤돌기(3)는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출입가압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걸어맞춤돌기(3)는 스프링(4)는 가압되어서 돌출하고 상기 걸어맞춤구멍(6)에 걸어맞춤하고,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a,b)은 서로 연결되게 된다. 즉,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를 아래쪽측 세움틀 본체(1)의 연결핀(2)에 찔러넣는 것만으로 양자는 자동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 아래쪽측 발판용 세움틀에 있어서의 세움틀 본체(1)의 연결핀(2)에 윗쪽측 발판용 세움틀에 있어서의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를 찔러넣고, 그의 찔러넣기 도중에서 걸어맞춤돌기(3)와 일체의 레버간(14)을 작업자의 발끝에서 아래쪽측으로 또한 출입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걸어맞춤돌기(3)는 연결핀(2)의 내부로 출입하게 되기 때문에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가 아래쪽측의 연결핀(2)에 끼워넣어지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하여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 측면의 걸어맞춤구멍(6)에 아래쪽측 세움틀 본체(1)의 걸어맞춤돌기(3)가 면하는 위치까지 끼워넣어지면, 걸어맞춤돌기(3)는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출입 가압력에서 개방되기 때문에 걸어맞춤돌기(3)는 스프링(4)에 가압되어 돌출하고 상기 걸어맞춤구멍(6)에 걸어맞춤하여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a,b)은 서로 연결되게 된다.
즉,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하단부를 아래쪽측 세움틀 본체(1)의 연결핀(2)에 찔러넣고, 그의 찔러넣기 도중에서 레버간(14)을 가볍게 가압하는 것만으로 양자는 자동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는 청구항 제1항의 작용과 같이, 연결핀(2)을 세움틀 본체(1)의 상단부에 부착하는 경우는 연결핀(2)을 세움틀 본체(1)의 상단부에 찔러넣는 것만으로 연결핀(2)에 돌출설치한 연결용 돌기(8)는 세움틀 본체(1)에 설치한 연결구멍(9)에 걸어맞춤하여 자동적으로 연결고정된다.
또한 걸어맞춤돌기(3)와 레버간(14)과는 연간부(13)를 끼우고 일체 구조물(15)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윗쪽측 발판용 세움틀에서의 외력을 강력하게 받아 저지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그리고 레버간(14)의 하면에는 이 레버간(14)을 연결핀(2)의 내부방향의 출입위치로 걸어맞춤하기 위한 걸어맞춤단부(16)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레버간(14)과 일체의 걸어맞춤돌기(3)를 연결핀(2)의 내부로 출입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고, 윗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을 아래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에서 간단하게 분해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제6항에 의하면, 걸어맞춤돌기(3)에 부하하는 외력을 레버간(14)과 레버간(14)이 끼워 통하는 연결핀(2)의 레버구멍(17)의 구멍벽(17a)으로 받아 저지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부하를 걸어맞춤돌기(3)와 레버간(14)으로 분산하여 받아 저지할 수가 있고, 유해한 국부하중을 될 수 있는대로 피할 수가 있다.
[실시예]
제1도는 아래쪽측의 발판용 세움틀(a)과 윗쪽측 발판용 세움틀(b)과의 연결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발판용 세움틀은 세움틀 본체(1)와 이 좌우 상단부에 부착되는 연결핀(2)으로 이루어진다. 세움틀 본체(1)는 좌우의 세로파이프(10,10)와 양 파이프(10,10)를 연결하는 가로파이프(11)와 세로가로파이프(10,11)간에 걸쳐서 부착되는 보강비계(12,12)로 이루어지고, 세로파이프(10,10)의 하단부의 측면에는 걸어맞춤구멍(6)이 설치되고, 연결핀(2)에는 상기 걸어맞춤구멍(6)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돌기(3)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2)의 하단부 부근에는 그의 측면에서 돌출하는 연결용 돌기(8)가 설치되고, 세움틀 본체(1)의 세로파이프(10,10)의 상단부 부근에는 상기 연결용 돌기(8)가 걸어맞춤하는 연결구멍(9)이 설치되어 있다.
제3도는 연결핀(2)에 상하의 세움틀 본체(1,1)의 세로파이프(10,10)가 찔러넣어진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고, 제4도는 연결핀(2)의 내부구조를 도시한다.
연결핀(2)은 전체가 상하로 관통하는 관상재로부터 이루어지고, 그의 핀중앙부(2a)가 살부분을 눌러서 형성되어서 핀상부(2b)와 핀하부(2c)와의 사이에 외주단부(2d,2e)가 형성되고, 판상부(2b)에 찔러넣어지는 윗쪽 세움틀 본체(1)의 세로파이프(10)와 핀하부(2c)에 찔러넣어지는 아래쪽측 세움틀 본체(1)의 세로파이프(10)와는 각각의 단면이 외주단부(2d,2e)에 맞닿아서 위치결정되고 그의 위치에서 세로파이프(10) 하단부의 걸어맞춤구멍(6)에 연결핀(2)의 걸어맞춤돌기(3)가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세로파이프(10) 상단부의 연결구멍(9)에 연결핀(2)의 연결용 돌기(8)가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돌기(3)는 특히 제5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그의 상면이 평탄한 또는 약간 둥근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루는 미끄럼면(5)을 가지고 또 이 걸어맞춤돌기(3)는 그의 기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뻗어 연간부(13)와 연간부(13)의 하단부에서 걸어맞춤돌기(3)와 같은 방향으로 이 돌기(3) 보다 길게 뻗는 레버간(14)을 일체로 형성하여 대략 ㄷ자상의 두께인 금속제의 일제 구조물(15)로 이루어지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배면측으로 대략 U자상의 판스프링(4)의 일단부를 코우킹 방지 또는 스포트 용접에 의해 고착하든지, 또는 그의 배면측에 설치한 돌기에 판스프링(4)에 설치한 작은 구멍을 걸어맞춤하는 등하여 양자를 연결하고, 판스프링(4)의 타단부를 핀상부(2b)의 내부면에 고정하는 일없이 맞닿게 하여 이것에 의해 금속제 일체 구조물(15)을 구성하는 걸어맞춤돌기(3)와 레버간(14)과는 판스프링(4)에 가압되어서 각각 핀상부(2b) 또는 두께부(2a)의 측면에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레버간(14)의 하면측에는 후술한 바와 같이 중요한 작용을 가지는 걸어맞춤단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연결핀(2)의 핀하부(2c)측의 연결용 돌기(8)는 좌우로 한쌍 설치되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연결용 돌기(8)는 같이 단면이 대략 U자상의 판스프링(7)에 의해 그의 양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착 또는 걸어맞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양 연결용 돌기(8)는 판스프링(7)에 의해 핀하부(2c)의 측면에서 돌출 가압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우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2)의 핀하부(2c)를 그의 측면에서 돌출하는 연결용 돌기(8)를 판스프링(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결핀(2)의 내부로 출입시킨 상태로 아래쪽측 세움틀 본체(1)의 세로파이프(10)의 상단부에 찔러넣고, 연결용 돌기(8)를 세로파이프(10)의 연결구멍(9)에 걸어맞춤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결핀(2)은 세로파이프(10)의 상단부에 부착되고, 이후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땔 필요는 없다.
다음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세로파이프(10)를 연결핀(2)의 핀상부(2b)에 찔러넣음으로써 그의 찔러넣기 도중에서 걸어맞춤돌기(3)의 선단부 경사면인 미끄럼면(5)에 상기 세로파이프(10)의 하단부가 맞닿고,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돌기(3)는 판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결핀(2)의 내부에 출입시키는 부하를 받고, 이 출입 가압력에 의해 걸어맞춤돌기(3)는 연결핀(2)의 내부로 출입하여 세로파이프(10)의 하단부가 연결핀(2)의 핀상부(2b)에 단부(2d)에 맞닿기까지 끼워넣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하여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파이프(10)의 하단부가 단부(2d)에 맞닿음으로써 세로파이프(10) 측면의 걸어맞춤구멍(6)에 연결핀(2)의 걸어맞춤돌기(3)가 면하게 되고, 걸어맞춤돌기(3)는 세로파이프(10)의 출입가압력에서 개방되기 때문에 걸어맞춤돌기(3)는 판스프링(4)에 가압되어서 돌출하여 상기 걸어맞춤구멍(6)에 걸어맞춤하고,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a,b)은 서로 연결되게 된다.
즉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세로파이프(10) 하단부를 아래쪽측 세움틀 본체(1)의 연결핀(2)으로 찔러넣는 것만으로 양자는 자동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 걸어맞춤돌기(3)는 상술과 같이 두께인 금속제 일체물(15)에 의해 형성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것이 걸어맞춤하는 세로파이프(10)의 걸어맞춤구멍(6)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약간 여유를 가지고 같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덜컹거리기 방지에서도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상하의 세움틀 본체(1,1)는 걸어맞춤돌기(3)에 걸어맞춤되어서 서로 빠지는 것이 저지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 빠짐방지력을 연결핀(2) 측에서 유지하는 것은 걸어맞춤돌기(3)가 아니고, 이것과 일체물의 레버간(14)이 담당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동력이나 진동 및 그외의 외력을 받아서 윗쪽측 세움틀 본체(1)의 세로파이프(10)가 연결핀(2)에서 빠져나갈려 하는 힘이 걸어맞춤돌기(3)에 부하하면 이것을 저지하는 빠짐방지력은 걸어맞춤돌기(3)를 지지하는 연결핀(2)측으로 절단되게 되지만, 이 빠짐방지력은 레버간(4)이 끼워통하는 연결핀(2)의 레버구멍(17)의 구멍벽(17a)을 받아 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어맞춤돌기(3)와 레버간(14)은 연간부(13)를 통하여 강체인 금속제의 일체구조물(15)에 형성되어 있고, 레버간(14)은 연결핀(2)의 두꺼운 중앙부(2a)를 레버구멍(17)에서 걸어맞춤돌기(3)보다도 길게 뻗어 돌출하여 있고, 레버간(14)의 연결핀(2)에 대한 접촉면적을 걸어맞춤돌기(3)보다도 넓게 취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세로파이프(10)측에서 걸어맞춤돌기(3)에 부하하는 외력을 레버간(14)이 레버구멍(17)의 구멍벽(17a)에 맞닿음으로써 받아 저지하도록 한 것이고, 이것에 의해 안정된 빠짐방지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3)가 세로파이프(10)의 걸어맞춤구멍(6)에 걸어맞추고 있는 상태로는 연결핀(2)측에 끼워통하기 구멍(18)에 대하여 걸어맞춤돌기(3)가 상하로 여유를 가지고 끼워 통하게 되어 있고, 여기에 대하여 레버간(14)은 그의 윗면(14a)이 레버구멍(17)의 구멍벽(17a)에 맞닿기 상태로 끼워통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지만 상기 빠짐방지력을 걸어맞춤돌기(3)가 끼워통하는 연결핀(2)의 끼워통하기 구멍(18)의 구멍벽으로 직접 받아 저지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윗쪽측 발판용 세움틀(a)을 아래쪽측 발판용 세움틀(b)에서 떼는 경우에 그의 떼기작업이 대단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간(14)의 하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단부(16)가 형성되어 있고, 레버간(14)을 예컨대 작업자가 발끝에 의해 판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와 같이 아래쪽측에 또한 출입방향으로 가압하면, 걸어맞춤돌기(3)는 레버간(14)과 같이 연결핀(2)의 내부에 출입함과 동시에 레버간(14)의 걸어맞춤단부(16)는 연결핀(2)의 내주면(19)에 걸어맞춤하고, 그후 레버간(14)에 대한 가압력을 개방하여도 레버간(14)은 걸어맞춤단부(16)의 걸어맞춤작용에 의해 걸어맞춤돌기(3)와 같이 그의 출입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윗쪽측 세로파이프(10)는 그의 걸어맞춤구멍(6)이 걸어맞춤돌기(3)의 걸어맞춤에서 개방되기 때문에 이 파이프(10)를 연결핀(2)에서 빼내면 좋아지게 된다. 그리고 빼낸 후에 작업자는 그의 발끝으로 레버간(14)을 차서 올리면 레버간(14)의 걸어맞춤단부(16)는 연결핀(2)의 내주면(19)에서 이탈하고, 판스프링(4)의 가압력에 의해 레버간(14)과 걸어맞춤돌기(3)와는 당초의 돌출상태로 복귀하고, 이후의 사용에 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a,b)의 분해작업도 한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일체 구조물(15)의 배면측으로 단면 대략W자 모양의 판스프링(4)을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이 실시예에 의하면 일체구조물(15)인 걸어맞춤돌기(3)와 레버간(14)을 또한 안정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스프링(4)의 구조는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예컨대 나선상의 스프링을 일체 구조물(15)의 배면측으로 부착하여도 좋다. 연결핀(2)의 내부에 일체 구조물(15)을 수용하기 위하여는 미리 일체 구조물(15)의 배면측으로 상기 스프링(4)을 연결시킨 것을 유니트로서 제작하여도 두고, 이 유니트를 연결핀(2)의 내부에 그의 일단개구부에서 끼워넣고 스프링(4)에 가압되는 걸어맞춤돌기(3)와 레버간(14)을 각각 끼워통하기 구멍(18)과 레버구멍(17)에서 돌출시키는 것만으로 좋고 그의 제조가 극히 용이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청구한 제1항에 의하면, 윗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의 하단부를 아래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의 연결핀을 찔러넣는 것만으로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은 자동적으로 연결되게 되기 때문에 연결작업이 극히 간단하고, 최소한의 작업자로 능률적으로 발판용 세움틀의 조립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윗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의 하단부를 아래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의 연결핀을 찔러넣을 때에 작업자가 그의 발끝으로 레버간을 가볍게 가압하는 것만으로 양 발판용 세움틀을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해할 수도 있어 연결분해작업이 극히 간단하고, 최소한의 작업자로 능률적으로 발판용 세움틀의 조립과 분해를 행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제3항에 의하면, 청구항 제1항의 효과와 같이 연결핀을 세움틀 본체의 상단부에 부착하는 경우는 연결핀을 세움틀 본체에 찔러넣는 것만으로 양자는 자동적으로 연결고정되고 그의 연결작업이 극히 용이하고, 발판용 세움틀의 제조 코스트를 경갑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제1항 및 제3항 기재의 연결핀을 사용하면 종래 기존의 세움틀 본체의 세로파이프로, 연결핀용 연결구멍과 걸어맞춤돌기용 걸어맞춤구멍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그만치 한층 염가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걸어맞춤돌기와 레버간과는 연간부를 끼워서 일체구조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종의 강체구조에 의해 윗쪽측 발판용 세움틀에서의 외력을 강력하게 받아 저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작업자가 상하의 발판용 세움틀을 분해할 때에는 발끝으로 가볍게 레버간을 가압하는 것만으로 걸어 맞춤돌기를 연결핀의 내부에 출입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고 이것 때문에 작업자는 종래와 같이 허리를 굽히는 등과 같은 자세를 낮추는 일없이 윗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을 아래쪽측의 발판용 세움틀에서 간단하게 분해할 수가 있고작업성이 극히 양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항 제6항에 의하면 걸어맞춤돌기에 부하하는 외력을 레버간과 레버간이 끼워통하는 연결핀의 레버구멍의 구멍벽으로 받아 저지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부하를 걸어맞춤돌기와 레버간으로 분산하여 받아 저지할 수가 있고, 유해인 국부하중을 될 수 있는대로 피할 수가 있고, 또 레버간이 끼워 통하는 연결핀의 레버구멍부분을 구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층 강력하게 발판용 세움틀에 부하하는 외부하중을 받아 저지할 수가 있고, 장기간에 걸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세움틀 본체의 좌우 상단부에 연결핀을 돌출설치하고, 이 연결핀에는 그의 측면에서 돌출함과 동시에 그의 측면에서 연결핀의 내부로 출입자유로운 걸어맞춤돌기와, 이 걸어맞춤돌기와 일체형성되어서 연결핀의 측벽에서 돌출하는 걸어맞춤돌기 출입조작용의 레버간을 설치함과 동시에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레버간을 연간부를 통해서 일체형성한 일체구조물을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걸어맞춤돌기에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결핀의 내부로 걸어맞춤돌기를 출입시키기 위하여 출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미끄럼면을 설치하고, 상기 레버간의 하면에는 이 레버간을 연결핀의 내부방향의 출입위치에 걸어맞춤하기 위한 걸어맞춤단부를 설치하고 한편 세움틀 본체의 좌우 하단부 측면의 상기 걸어맞춤돌기의 돌출방향과 같은 부위에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구멍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세움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에는 상기 걸어맞춤돌기의 설치위치에서 아래쪽의 부위에 있고, 연결핀의 측면에서 가압되어서 돌출함과 동시에,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결핀의 내부에 출입가능한 연결용 돌기를 설치하고, 한편 세움틀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용 돌기가 걸어맞춤하는 연결구멍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세움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돌기에 부하하는 외력을 레버간의 레버간이 끼워통하는 연결핀의 레버구멍의 구멍벽으로 저지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세움틀.
KR1019910018190A 1991-06-24 1991-10-16 발판용 세움틀 KR950011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80153 1991-06-24
JP3180153A JP2530773B2 (ja) 1991-06-24 1991-06-24 足場用建枠
JP91-180154 1991-06-24
JP3180154A JP2530774B2 (ja) 1991-06-24 1991-06-24 足場用建枠の連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74A KR930000774A (ko) 1993-01-15
KR950011365B1 true KR950011365B1 (ko) 1995-10-02

Family

ID=2649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190A KR950011365B1 (ko) 1991-06-24 1991-10-16 발판용 세움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00870A (ko)
KR (1) KR950011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6337A (en) * 1993-04-21 1994-07-05 Pardella Eugene C Gymnastic assembly for small children
US5810114A (en) * 1997-03-04 1998-09-22 Wcm Development Company, Llc Scaffolding
US6119810A (en) * 1997-06-09 2000-09-19 Harder; Willard J. Foldable scaffold
FR2781242B1 (fr) * 1998-07-15 2001-01-12 Sgb Comabi Garde-corps d'echafaudage et son dispositif de fixation
US6405830B1 (en) * 2000-06-28 2002-06-18 Deltak Manufacturing, Inc. Scaffold toeboard system
US20030226714A1 (en) * 2002-06-05 2003-12-11 Masino Michael D. Plank securing assembly for scaffold constructions
US20040222043A1 (en) * 2003-05-09 2004-11-11 Fortner Benjamin Arthur Multi-configurable segmented ladder
US7229128B2 (en) * 2004-09-15 2007-06-12 North Pole Limited Collapsible chair with safety lock
US20060076191A1 (en) * 2004-10-12 2006-04-13 Safway Services, Inc Walk-through scaffold and hoist frame
US20120061179A1 (en) * 2004-12-30 2012-03-15 Jody James English Telescoping ladder jack
EP1820920B1 (en) * 2006-01-24 2017-10-18 Combisafe International Ab Safety post
US20100186788A1 (en) * 2009-01-23 2010-07-29 Lu-Tsai Huang Automatically-collapsible multi-folded umbrella
US10441120B1 (en) * 2010-04-30 2019-10-15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Universal connecting members
US8668047B2 (en) 2011-07-11 2014-03-11 Francis A. Pedicone, JR. Toeboard system having telescoping, articulating and interlocking members
US8632056B1 (en) * 2011-11-23 2014-01-21 Michael L. Roberts Safety rail system
US9894964B2 (en) 2014-08-11 2018-02-20 Apple Inc. Consumer product attachment systems having a locking assembly
US10184506B2 (en) 2014-08-11 2019-01-22 Apple Inc. Captive elements of an attachment system
US10085523B2 (en) 2014-08-11 2018-10-02 Apple Inc. Attachment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302115B2 (en) 2016-10-18 2019-05-28 Whirlpool Corporation Spring clip upright connection for rack shelving
CN106592946A (zh) * 2016-12-23 2017-04-26 苏州飞华铝制工业有限公司 大型建筑用组合式模块化脚手架
CN110644773B (zh) * 2018-06-26 2023-03-21 山东九为新材料有限公司 连接器
DE202018104007U1 (de) * 2018-07-12 2018-07-25 Peri Gmbh Steckverbindung für Rahmenelemente eines Baugerüs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576A (en) * 1904-07-30 1905-06-27 Charles J Follmer Folding umbrella.
US1042417A (en) * 1911-03-25 1912-10-29 Walter M Jackson Adjustable rib-tip-holding umbrella-handle.
GB510938A (en) * 1939-03-10 1939-08-10 William Warren Trigg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caffold jacks
US2473388A (en) * 1945-03-08 1949-06-14 Safway Steel Products Inc Tubing coupler
JPH01131753A (ja) * 1987-08-10 1989-05-24 Toyo Linoleum Co Ltd 複合床材
US4891926A (en) * 1989-01-12 1990-01-09 Dwight Allenbaugh Walk-through scaffolding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00870A (en) 1995-03-28
KR930000774A (ko) 199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365B1 (ko) 발판용 세움틀
US5526898A (en) Leg extension assembly
US2678243A (en) Portable scaffolding
JP2530773B2 (ja) 足場用建枠
KR20210117824A (ko) 비계용 안전발판
JP4079931B2 (ja) 戸建住宅用足場の取付構造
JP2968700B2 (ja) 構築物用把持連結金具
KR950012109B1 (ko) 가설용 단관의 연결장치
JP2653975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H094216A (ja) 足場板
KR200392065Y1 (ko) 부재 고정구
JP4001285B2 (ja) 戸建住宅用足場
JP2854524B2 (ja) 梯子の伸縮脚固定装置
JP2530774B2 (ja) 足場用建枠の連結装置
JP2006161458A (ja) 足場用幅木
JP3631400B2 (ja) 足場建枠用連結具
JP2543644B2 (ja) 足場建枠用連結ピン
KR0123212B1 (ko) 발판 세움틀용 연결핀
JPH0453403Y2 (ko)
JP3878279B2 (ja) 足場用建枠又はパイプ等の連結装置
US20240117644A1 (en) Adjustable Toe Board
JP2002276151A (ja) 鋼管足場の連結部
KR100640817B1 (ko) 발판 조립식 사다리
JPH07150761A (ja) 足場建枠用連結ピン
JP2002004573A (ja) 組立式足場の支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