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074B1 - 무선호출기(pager)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기(pager)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074B1
KR950011074B1 KR1019920021677A KR920021677A KR950011074B1 KR 950011074 B1 KR950011074 B1 KR 950011074B1 KR 1019920021677 A KR1019920021677 A KR 1019920021677A KR 920021677 A KR920021677 A KR 920021677A KR 950011074 B1 KR950011074 B1 KR 95001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ine
key
input
mod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895A (ko
Inventor
김동연
Original Assignee
텔슨전자주식회사
김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슨전자주식회사, 김동연 filed Critical 텔슨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074B1/ko
Priority to JP5224812A priority patent/JP2529080B2/ja
Priority to CN93118897A priority patent/CN1038094C/zh
Publication of KR94001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호출기(PAGER)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기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기의 전체적인 동작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전화기 모드 루틴의 상세한 흐름도로서,
제3(a)도는 전화번호 메모리시의 동작흐름도.
제3(b)도는 전화번호 자동단축 다이얼링의 동작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계산기 모드 루틴의 상세한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기능모드 루틴의 상세한 흐름도로서,
제5(a)도는 진동 오버라이드 기능 모드 동작시의 흐름도.
제5(b)도는 스톱워치 기능모드 동작시의 흐름도.
제5(c)도는 비밀번호 기능모드 동작시의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호출기 자동 온/오프 모드루틴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수신부
3 : 주파수변환회로 4 : 중간주파수 제어부
5 : DC/DC콘버터 6 : 디코더
7 :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MPU) 8 : LCD
9 : 조작부 10 : 램프부
11 : 스피크 12 : 이이피롬(EEPROM)
13 : 부저회로 14 : 진동모터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PAG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메모리 기능 및 메모리된 정보의 자동단축 다이얼기능, 그리고 계산기, 스톱위치기능, 또한 휴대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에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온, 오프 기능 및 비밀번호호출(SECURITY CALL) 기능을 갖는 무선호출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기능은 외축 및 출장중인 무선호출기를 휴대한 사람에게 일반전화를 사용하여 용무가 있음을 알리는 것으로써, 호출자가 고유호출번호를 누르면 휴대자가 지닌 무선호출기에서 호출음을 발신한 후 액정 표시판에 수신된 정보 즉,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제1도에 도시된 일반적인 무선호출기의 블럭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를 통해 메세지 정보인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의 출력단에는 중간주파수로 전환하는 주파수 변환회로(3)를 통해 중간주파수 제어부(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주파수 제어부(4)는 수신된 데이타를 해독하는 디코더(6)와 접속된다.
또한 상기 디코더(6)는 상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7) 및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이피롬(12)과 데이타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7)에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8)와 각종 상태를 알리는 램프부(10), 스피커(11), 부저회로(13), 진동모터(14) 및 조작부(9)가 접속되어 있고 DC/DC콘버터(5)에 의한 안정된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무선호출기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메세지는 수신부(2)에 인가되어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주파수 변환회로(3)로 전송되어 고주파를 중간 주파수로 만들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 주파수는 중간주파수제어부(4)에서 안정된 신호로 만들고 메세지를 디코더(6)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디코더(6)는 메세지를 해독한 다음 수신된 정보와 EEPROM(12)에 저장된 호출기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7)에 일치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전송함으로써 LCD(8)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고, 현재 상태를 알리는 램프부(10)의 점등, 그리고 부저회로(13)를 통해 발신음을 송출하거나 진동모터(14)를 동작시켜 호출됨을 휴대자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무선호출기는 정보 수신시 단순히 호출음과 정보만을 디스플레이 시킴에 따라 휴대자에게 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없게 되어 무선호출기의 기능다양화 추세와 고급화추세에 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정보와 키버튼을 사용하여 최대 16숫자인 전화번호를 18개까지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 메모리기능과, 전화번호 메모리에 기억된 10개의 전화번호를 단축 다이얼 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되어 메모리된 정보인 전화번호도 자동 단축다이얼링 되는 자동단축 다이얼 기능과, 호출시에 호출번호가 동일하고 수신되는 정보가 기억된 18개의 전화번호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면 호출기가 진동모드 일지라도 특별한 정보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에 의해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예약 정보 수신시 진동 오버라이드(SILENT OVERRIDE) 기능과, 계산기 및 스톱위치 기능과 매일 자동으로 사용 시작 시간이 되면 호출기가 동작하고 사용종료 시간이 되면 무선호출기의 동작이 종료되는 호출기의 자동 온, 오프 기능과, 호출시 호출번호가 동일하고 수신된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동일하면 호출기가 진동모드 일지라도 특별한 경보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에 의해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비밀번호(SECURITY CALL) 기능을 부과하여 무선호출기의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무선호출기의 기능다양화와 고급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조작부를 갖는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다수의 숫자키와 연산키등을 부가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는 전화번호 메모리 및 단축 다이얼링, 계산기, 스톱위치, 진동 오버라이드, 비밀번호,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기 조작부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호출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다수의 숫자키 및 연산키를 갖는 조작부가 포함된 무선호출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 상태에서 호출신호의 여부에 따라 현재시간을 표시 및 호출음을 발신하고, 호출중으로 판단될때 호출기가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PAGE"라고 디스플레이 하는 호출 모드루틴(L1)과, 상기 호출 모드루틴 실행후 현재 상태가 호출중이 아닐 경우 키의 입력 상태를 체크하는 기능키 입력 판단 루틴(L2)과, 상기 기능키 입력판단 루틴(L2)실행후 입력된 키가 리드키로 판단되면 메모리된 정보를 읽는 읽기 모드루틴(L3)과, 상기 기능키 판단 루틴(L2)실행후 입력된 키가 전화기 키일 경우 임의의 전화번호를 메모리시키는 전화번호 데이타 입력루틴(L4-1) 및 메모리된 전화번호를 자동 단축 다이얼링는 단축 다이얼 루틴(L4-2)을 갖는 전화기 모드루틴(L4)과, 상기 기능키 입력 판단 루틴 실행후(L2)입력된 키가 연산키일 경우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계산기 모드루틴(L5)과, 상기 기능키 입력판단 루틴(L2)실행후 입력키의 종류에 따라 진동 오버라이드 기능 및 스톱위치 기능 및 비밀번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모드루틴(L6) 과, 상기 기능키 입력 판단 루틴(L2)실행후 설정된 시간에만 동작되도록 하는 자동 온/오프 루틴(L7)과, 상기 기능키 입력판단 루틴(L2) 실행후 입력된 키가 테스트키일 경우 호출기의 자체 테스트를 진행하는 테스트 모드루틴(L8)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호출기의 제어방법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기의 전체적인 동작 흐름도로서 먼저 대기(stand-by) 모드상태(스텝 101)에서 호출 신호여부를 판단(스텝 102)한 후 호출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현재 시간을 표시(스텝 103)히고, 호출신호가 존재할때는 호출신호음을 발신(스텝 104) 한다음 현재 상태가 호출중으로 판단될 경우(스텝 105) 호출기가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PAGE"라고 디스플레이 하는(스텝 106) 호출모드루틴(L1)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호출 모드 루틴(L1)실행 후 현재의 상태가 호출중이 아닐경우에는 각 기능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스텝 107)하는 기능키 입력판단 루틴(L2)을 실행하고, 입력된 키가 리드(Read)키로 판단(스텝 108)되면 읽기모드(스텝 109)을 실행하여 메모리된 정보를 읽는 읽기모드 루틴(L3)을 실행한다.
그다음 입력된 키가 전화기 키일경우(스텝 110) 전화기 모드(스텝 111)로 전환되는 전화기 모드 루틴(L4)을 수행하고, 연산키가 입력됨이 판단(스텝 112)될때는 계산기 모드(스텝 113)를 실행하는 계산기 모드루틴(L5)으로 전환시키며, 진동 오버라이드루틴(L6-1), 스톱위치루틴(L6-2), 비밀번호루틴(L6-3) 등 기능키의 입력이 체크될때(스텝 114) 기능모드로 전환하는 기능 모드루틴(L6)을 실행한다.
또한, 입력되는 키가 무선호출기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파워 선택키임이 판단(스텝 116) 되면 파워 온.오프 모드(스텝 117)로 되는 자동 온/오프 모드 루틴(L7)을 실행하고, 입력되는 키의 종류가 무선호출기를 자체 점검하는 테스트키로 판단(스텝 117)되면 테스트모드(스텝 119)로 전환하는 테스트모드루틴(L8)을 실행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전화기 모드루틴(L4)의 상세한 흐름도로서 (가)또는 사용자가 필요한 임의의 전화번호를 메모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순서도이다.
즉, 전화기 키가 입력되면(스텝 201) 전화기 모드가 되어 읽을 어드레스 번호의 표시 "RE Add-"를, 디스플레이(스텝 202)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키의 입력상태를 체크(스텝 203)하여 전화기 모드에서 키입력이 7초 동안 없을 경우에는 대시 상태모드로 자동전환(스텝 205)되고 키의 입력이 존재할때는 데이타 입력모드로 전환(스텝 204)된다. 이때 데이타 입력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0-9의 숫자키 또는 리드키가 입력되면(스텝 206,207) 저장된 정보(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읽기(Read)모드로 전환되고, 선택키가 입력됨이 판단(스텝 208)되면 입력될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번지수를 묻기 위해 "SA Add-"라고 8초동안 표시(스텝 210)하게 되며 선택키나 숫자키(0-9)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대기상태로 전환(스텝 209)되는 데이타 입력 초기루틴(L4a)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데이타 입력 초기 루틴(L4a)의 "SA Add-"표시(스텝 210) 후 키 입력이 인식될 경우(스텝 211)키 데이타를 입력(스텝 213)하고, 키데이타 입력이 리드키로 판단되면(스텝 214) 읽기모드 전환하고, 리드키의 입력이 아닐경우 다시 선택키의 입력여부를 체크(스텝 215)한 다음 선택키가 입력되면 읽을 어드레스 번호의 표시 "RE Add-"를 디스플레이(스텝 202)시킨다.
선택키의 입력이 아닐경우 다시 숫자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 다음 숫자키가 입력되면 지정 데이타 표시를 하고(스텝 216), 숫자키의 입력이 아닐경우 키 데이타를 지우고, 만일 키입력 판단(스텝 211)시에 키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7초를 경과하게 되면(스텝 212)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지정데이타 표시루틴(L4b) 실행 후 7초 동안 키데이타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7초이내에 키입력이 인식되면(스텝 217,218)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키데이타 출력모드 상태(스텝 219)가 된다.
따라서 0-9까지의 숫자키 입력이 체크되면(스텝 220)입력된 데이타의 숫자가 마지막자리인가를 판단(스텝 221)하여 마지막 끝자리가 아닐 경우에는 전화번호의 데이타를 한자리씩 저장하기 위해 자리수를 이동(스텝 222)하고, 마지막 끝자리로 판단되면 스텝 217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스텝 220과정에서 숫자키의 입력이 아닐 경우 선택키 또는 전화기키, 리드키를 체크하여 전화기키의 입력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전화번호 호출 명령 및 전화번호를 송출(스텝 226,227)하는 데이타 저장루틴(L4c)실행을 완료하게 된다.
제3도의 제3(b)도는 제3(a)도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전화번호를 저장시킨 상태에서 지정한 전화번호가 자동단축 다이얼링 되도록 하는 순서도로서, 먼저 전화기키가 입력되면(스텝 301) 전화기 모드로 되어 읽을 전화번호의 어드레스 번호를 표시하도록 "RE Add-"라고 디스플레이(스텝 302)시킨 다음 키입력 여부를 체크(스텝 303)하고, 7초 동안에 키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대시 상태 모드로 전환하게 되며 키입력이 존재하게 되면 키 데이타를 입력(스텝 305)하는 키인식 루틴(L4d)을 실행한다.
그다음 상기 키인식 루틴(L4d) 실행후 0-9까지의 숫자키를 눌러 자동 다이얼링 할 전화번호가 기억된 어드레스가 지정되면(스텝 306) LCD에 어드레스로 지정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스텝 310) 한 후 11자리 숫자가 초과되는지 판단(스텝 310)한 후 11자리 숫자가 초과되는지 판단(스텝 311)하고, 초과될 경우 초과 심볼을 표시하며(스텝 312) 이후 7초동안에 키입력이 체크(스텝 313,314)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모드로 돌아가게 되는 제1디스플레이 루틴(L4f)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디스플레이 루틴(L4f) 실행시 데이타를 디스플레이 시킨다음 키의 입력의 인식(스텝 313)되고, 키데이타를 입력(스텝 315)하게 되면 송출키 입력을 체크(스텝 316)하여 송출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DTMF 데이타를 콘트롤 하고(스텝 317), DTMF론을 인에이블시켜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데이타 송출루틴(L4g)된다. 이때 자동 다이얼링은 호출기의 스피크 부분을 전화기의 송화기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송출버튼을 누르면 호출기에서 발신되는 송신 신호음에 의해 자동 다이얼링 된다.
만일, 키 데이타가 입력(스텝 315)되고 송출키가 입력(스텝 316)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리드키가 입력(스텝 319)되면 다시 선택되어진 데이타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 루틴(L4h)을 실행한다.
한편, 제1디스플레이 루틴(L4f)실행시 스텝 306에서 어드레스 지정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리드키 또는 선택키의 입력을 체크(스텝 307,308)하여 리드키일 경우 읽기모드로, 그리고 선택키가 입력되면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모드로 전환되고 어떠한 키도 입력되지 않을 때에는 키데이타를 클리어(스텝 309)시키게 됨으로써 자동단축 다이얼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호출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읽어내어 자동단축 다이어링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계산기 모드 루틴(L5)의 상세한 흐름도로서 계산기 모드키 선택시 연산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계산기 모드로 전환(스텝 401)되면 "CAL"심볼이 표시되고 초기 상태의 "0"을 표시(스텝 402)한 후 키의 입력을 체크(스텝 403)하여 2분동안 키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대기 상태(스텝 405)로 전환되며, 2분이내에 키의 입력이 검출(스텝 404)되면 키데이타를 입력(스텝 406)하는 계산 초기루틴(L5a)을 수행한다.
상기 계산 초기 루틴(L5a) 후 0-9의 숫자키가 입력됨을 체크(스텝 407)하여 숫자키가 입력될 경우 자리수를 판단(스텝 408)하여 11자리를 초과하지 않을때 숫자를 LCD에 표시하고 자리수를 증가시키게 되며, 숫자키가 인가되지 않으면 리드키의 입력유무를 다시 판단하여 리드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읽기모드로 전환되는 수치표시루틴(L5b)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치표시 루틴(L5b)실행 후 동호("=")키의 입력이 판단(스텝 412)되면 연산을 실행하고 연산결과를 디스플레이(스텝 420)시키며, 동호키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다시 연산키의 입력여부를 체크(스텝 413)하여 연산키가 입력될대는 연산전의 데이타 존재유무를 판단(스텝 415)한 후 이전의 데이타가 있을 경우에는 연산후 데이타를 저장(스텝 417)하고, 이전의 데이타가 없을 때에는 단순히 연산결과만을 디스플레이(스텝 416)시킨 다음 연산된 결과의 데이타가 11자리수를 초과하면 에러를 표시하는 연산처리 루틴(L5C)을 실행하며 계산기모드를 완료하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다른 제2도의 기능모드 로틴(L6)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즉 무선호출기가 갖는 다수의 기능에 해당하는 동작순서도로서 제5(a)도는 호출시에 호출번호가 동일하고 수신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18개의 전화번호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면 호출기가 진동모드일지라도 특별한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진동 오버라이드 루틴(L6-1)도로서, 호출모드상태(스텝 501)가 되면 호출모드로 인식하고 수신된 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스텝 502)한 다음 건전지의 방전상태를 점검(스텝 503)한 후 경보음 모드상태를 판단(스텝 504)하여 경보음 모드일때는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고, 진동모드일 경우에는 모터를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는 호출인지 루틴(L6a)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호출인식루틴(L6a) 실행후 수신된 메세지와 호출기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동일한지를 판다(스텝 507)하여 메세지와 저장번호가 일치할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에서는 진동발생 모드일지라도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스텝 516)하게 되며, 사용자는 이의 발신음을 청취한 후 소정키를 입력(스텝 507)하고, 이때의 입력된 키가 리드키로 판단(스텝 518)될 경우에는 읽기 모드로 전환되며, 또한 7초 동안 키가 입력(스텝 519)되지 않을때에는 자동적으로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스텝 507에서 수신된 메세지가 호출기의 저장된 번호가 일치하지 않을시에는 18개의 기억된 전화번호를 계속 읽어들여(스텝 508) 저장된 전화번호중의 하나와 수신된 정보가 서로 동일함이 판단(스텝 509)되면 진동모드일지라도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에서 부저를 동작시켜 호출음이 발신되도록 하는 보조경보 발신 루틴(L5b)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된 메세지가 저장된 전화번호와 일치할 경우 진동모드라도 호출음이 발신되어 수신정보의 중요성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경보루틴(L6b) 실행시 스텝 509단계에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수신된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지정전화번호 종료되었는지를 판단(스텝 510)하여 종료되지 않았을때는 지정전화번호를 이동(스텝 511) 시킨다음 키입력 인식 및 키데이타를 입력(스텝 513,514)하고, 입력된 키가 리드키로 판단(스텝 515)될 경우 읽기모드로 전환시키는 지정 전화번호이동루틴(L6c)을 실행한다.
따라서 수신된 메세지가 저장된 전화번호와 일치할 경우 진동모드라도 호출음이 발신되어 수진정보의 중요성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제5도의 제5(b)도는 무선호출기가 갖는 스톱위치 기능의 동작 흐름도이다.
즉, 스톱워치 모드로 전환되면 LCD에 "00-00"을 디스플레이 한 다음(스텝 601)키의 입력을 체크(스텝 602)하여 7초이내에 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네는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스텝 603)하고, 7초이내에 키의 입력이 이루어지면(스텝 604)입력된 키가 리드키 또는 설정키 또는 선택키인지를 판단(스텝 605,606,607)하여 각 입력키에 따라 해당되는 모드로 진행하는 스톱워치 초기루틴(L6d)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스톱워치 초기루틴(L6d) 실행후 입력되는 키가 선택키일 경우에는 초시간을 증가(스텝 608)시키며, 특정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스텝 609)하여 상기 입력되는 키가 리드키, 설정키, 선택키의 입력상태를 체크(스텝 611,612,613)하여 초시계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드키가 입력되면 초시간을 지우고(스텝 614) 읽기모드로 전환시키고, 입력된 키가 설정키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다음에 설정된 모드로 전환되며, 또한 입력되는 키가 선택키이면 초시간을 정지시키는 스톱위치 실행루틴(L6e)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톱워치 실행루틴(L6e) 진행후 스톱워치가 정지(스텝 615)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의 입력의 체크(스텝 616)하고, 입력된 키가 리드키일 경우(스텝 618)에는 읽기모드로 전환되고, 설정키이면(스텝 619) 설정된 모드로 진행되고, 선택키가 입력되면(스텝 620) 초시간을 클리어시키고 "00-00"를 디스플레이(스텝 621)시키는 모드전환루틴(L6f)을 완료함으로서 스톱워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5도의 제5(c)도는 제2도의 기능 모드루틴(L6)에서 호출시 호출번호가 동일하고 수신된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부저음이 발생되는 비밀번호 호출모드(L6-3)의 순서도이다.
먼저 비밀번호 입력과정을 설명하면 비밀번호 설정모드에서 비밀번호 호출 온, 오프 및 비밀번호 입력모드로 되어 현재 상태를 "SECU ON" 또는 "SECU OFF"라고 LCD에 디스플레이(스텝 701)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드키가 입력(스텝 702)되면 읽기 모드로 전환되고 설정키가 입력(스텝 703)되면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선택키가 입력됨이 판단될때(스텝 704) 선택키를 1초이내로 누를때마다 "SECU ON" 또는 "SECU OFF"를 반복 표시(스텝 707)하게 되며, 선택버튼을 1초이상 누르면 "SECU SET"라고 2초동안 표시(스텝 708)된 후 "0"가 디스프레이 되면서 첫번재 숫자의 위치에서 숫자(0-9)가 점멸되고, 이때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는 지워지게 되는 비밀번호 입력 대기상태(스텝 709)가 되는 입력대기루틴(L6h)을 실행한다.
상기 입력대기루틴(L6h) 실행후 7초 동안 키의 입력이 없으면 대기모드로 전환(스텝 710)되고 선택키를 눌러서 원하는 첫번째 숫자를 입력시킨다음 설정키를 다시 누르게 되면 두번째 숫자의 위치에 커서가 점멸상태가 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최대 3자리까지 비밀번호를 메모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설정키가 입력될때(스텝 711)마다 비밀번호의 자리수가 마지막인지를 판단(스텝 714)한 후 끝자리이면 대기상태로 전환되고, 마지막 자리수가 아닌 경우에는 자리수 이동(스텝 715)을 실시한다.
또한 입력되는 키가 리드키로 판단될때(스텝 712)에는 읽기모드로 전환되고, 선택키의 입력이 체크되면 비밀번호를 맞추는 (스텝 716)과정을 반복하는 저장루틴(L6i)을 실행하여 비밀번호 세팅후 대기상태에서 호출되는 메세지와 기억된 비밀번호가 동일할 경우에 진동모드라도 호출음을 발신토록하여 수신된 정보의 중요성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제6도는 제2도에서 호출기의 자동 온/오프 모드루틴(L7)의 구체적인 흐름도로서 매일 자동으로 사용시작 시간이 되면 호출기가 동작하고, 사용종료 시간이 되면 호출기의 동작이 자동 정지되도록 한 것이다.
먼저 호출기의 자동 온, 오프 시간 설정방법을 설명하면, 호출기의 자동 온, 오프 모드에서 키입력을 검출(스텝 801)하여 입력된 키가 리드키이면 읽기모드로 전환(스텝 803)하고, 검출키의 종류가 설정키일 경우 해당 설정모드로 전환(스텝 804)하게 함과 동시에 7초 동안에 키의 입력이 없을 때에는 대기상태 모드로 전환(스텝 802)하는 모드전환루틴(L7a)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모드전환 루틴(L7a) 수행시 입력되는 키가 선택키로 판단(스텝 805)되고, 상기 선택키가 1초이상 눌러지지 않을 경우에는 LCD상에 "Pgr AUTO OB" 또는 "Par AUTO OFF"를 반복 점멸(스텝 807)시키게 되며, 선택키가 1초 이상 입력됨이 체크될(스텝 806) LCD에 "Pgr Auto SET"라고 2초 동안 표시(스텝 808)한 다음 "12-00A12-00A"가 표시(스텝 809)되면서 자동온되는 시간의 "시"가 점멸되는 자동 온/오프설정루틴(L7b)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동 온/오프 설정루틴(L7b) 실행 후 키의 입력을 체크하여(스텝 810) 리드키가 입력되면 읽기 모드로 전환(스텝 812)되고, 선택키가 입력될 경우에는 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키입력검출(스텝 810)시 7초 동안에 특정키의 입력이 없을때에는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스텝 811)하는 시간설정루틴(L7c)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시간설정루틴(L7c) 실행후 스텝 813에서 선택키가 입력되지 않고 설정키가 인가됨이 판단(스텝 815)되면 설정시간의 마지막 자리수인지를 다시판단(스텝 816)한 후 마지막자리수이면 다음모드로 전환하고 마지막 자리수가 아닐 경우에는 자리수를 이동하여 시간설정루틴(L7c)을 반복실행하는 자리수 이동루틴(L7d)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온/오프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지정된 시간에 자동적으로 호출기가 온,오프되어 원하는 시간에만 동작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된 정보를 키버튼을 사용하여 최대 16숫자인 전화번호를 18개가지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 메모리기능과 전화번호 메모에서 기억된 10개의 전화번호를 단축다이얼 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되어 메모리된 정보인 전화번호도 자동단축 다이얼링되는 자동단축 다이얼기능과, 호출시에 호출번호가 동일하고 수신되는 정보가 기억된 18개의 전화번호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며 호출기가 진동모드 일지라도 특별한 경보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에 의해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예약정보 수신시 진동 오버라이드(SILENT OVER RIDE)기능과, 계산기 및 스톱위치 기능과, 매일 자동으로 사용시작 시간이 되면 호출기가 동작하고 사용종료 시간이 되면 무선호출기의 동작이 종료되는 호출기의 자동 온, 오프 기능과, 호출시 호출번호가 동일하고 수신된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동일하면 호출기가 진동모드일지라도 특별한 경보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에 의해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비밀번호(SECURITYCALL)기능을 부가하여 무선호출기의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무선호출기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 및 조작부를 갖는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 및 수신부(2)와, 중간주파수로 전환하는 주파수변환회로(3) 및 중간주파수 제어부(4)와, 수신된 데이타를 해독하는 디코더(6)와, 디코더(6)의 출력에 의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며 전화번호 메모리 및 단축 다이얼링, 계산기, 스톱워치, 진동 오버라이드, 비밀번호,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7) 및 이이피롬(12)과, 전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7)에 연결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8)와 작동 상태를 알리는 램프부(10)와, 스피커(11)와 부저회로(13)와 진동모터(14) 및 조작부(9)가 접속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
  2.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다수의 숫자키 및 연산키를 갖는 조작부가 포함된 무선호출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 상태에서 호출신호의 여부에 따라 현지시간을 표시 및 호출음을 발생하고 호출중으로 판단될때 호출기가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PAGE"라고 디스플레이 하는 호출 모드루틴(L1)과, 상기 호출 모드루틴 실행후 현재 상태가 호출중이 아닐 경우 키의 입력 상태를 체크하는 기능키의 입력 판단루틴(L2)과, 상기 기능키 입력판단 루틴(L2) 실행후 입력된 키가 리드키로 판단되면 메모리된 정보를 읽는 읽기 모드루틴(L3)과 상기 기능키 판단 루틴(L2) 실행후 입력된 키가 전화기 키일 경우 임의의 전화번호를 메모리 시키는 전화번호 데이타 입력루틴(L4-1) 및 메모리된 전화번호를 자동 단축 다이얼링하는 단축 다이얼 루틴(L4-2)을 갖는 전화기 모드루틴(L4)과 상기 기능키 입력 판단 루틴 실행후(L2)입력된 키가 연산키일 경우 연산기능을 수행하는 계산기 모드루틴(L5)과 상기 기능키 입력판단 루틴(L2) 실행후 입력키의 종류에 따라 진동오버라이드 기능 및 스톱워치 기능 및 비밀번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모드루틴(L6)과, 상기 기능키 입력 판단 루틴(L2) 실행후 설정된 시간에만 동작되도록 하는 자동 온/오프 루틴(L7)과, 상기 기능키 입력판단 루틴(L2) 실행후 입력된 키가 테스트키일 경우 호출기의 자체 테스트를 진행하는 테스트 모드 루틴(L8)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호출기의 제어방법.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모드루틴(L4)의 전화번호 데이타 입력루틴(L4-1)은, 전화기키 입력시 저장된 전화번호를 읽을 어드레스를 요구하고, 키의 입력상태를 체크하여 선택키가 입력되면 저장시킬 전화번호의 어드레스를 요구하는 데이타 입력 초기루틴(L4a)과, 상기 데이타 입력 초기루틴 실행후 키의 입력을 체크하여 숫자키가 입력되면 지정된 데이타를 표시하는 지정데이타 표시루틴(L4b)과, 상기 데이타 소거루틴(L4b) 실행후 데이타 입력키가 인가되면 자기수를 이동하여 전화번호를 한자리씩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루틴(L4c)으로 이루어진 무선호출기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모드루틴(L4)의 자동 단축다이얼 루틴(L4-2)은, 전화기키 입력시 저장된 전화번호를 읽을 어드레스를 요구하는 키 인시루틴(L4d)과, 상기 키인식 루틴(L4d) 실행후 숫자키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드, 또는 선택키가 인가되면 읽기 모드, 전화번호 저장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 전환 루틴(L4e)과, 상기 키인식 루틴(L4d) 실행후 숫자키가 입력되면 지정하는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 루핀(L4f)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루틴(L4f) 실행후 키데이타가 입력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데이타 송출루틴(L4g)과, 상기 데이타 송출루틴(L4g) 실행후 선택키가 입력되면 다음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 루틴(L4h)으로 되는 무선호출기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기 모드루틴(L5)은, 연산기 입력시 초기상태를 표시하고, 키데이타를 인가하는 계산초기 루틴(L5a)과, 상기 계산초기루틴(L5a)실행후 숫자키가 입력되면 자리수 이동하여 인가된 숫자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수치표시 루틴(L5b)과, 상기 수치표시루틴(L5b) 실행후 등호키가 입력되면 연산결과를 표시하고, 연산키가 입력되면 연산전의 데이타 유무에 따라 연산을 실시 및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고 연산결과가 11자리수를 초과하면 에러를 표시하는 연산처리 루틴(L5c)으로 된 무선호출기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온/오프 모드 루틴(L7)은 입력된 키의 종류에 따라 읽기 모드 및 해당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루틴(L7a)과, 상기 모드 전환 루틴(L7a) 실행 후 선택키가 1초이상 입력되면 자동 온/오프 방식을 요구하고, 온/오프 입력시간을 요청하는 자동 온/오프 설정 루핀(L7b)과 상기 자동 온/오프 설정루틴(L7b) 실행후 시간을 증감시키는 시간설정 루틴(L7c)과, 상기 시간 설정 루핀(L7c) 실행 후 설정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 루틴(L7d)으로 된 무선호출기의 제어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드 루틴(L6)은, 수신된 메세지가 다수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일치할 경우 진동모드 일지라도 호출음 발신 모드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수신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진동 오버라이드 기능 루틴(L6-1)과, 키의 입력이 스톱워치 모드로 설정된 경우 스톱 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스톱위치 기능 루틴(L6-2)과, 키의 입력이 비밀번호 모드키로 설정될 경우 비밀번호를 세팅시키는 비밀모드 기능 루틴(Lb-3)을 갖는 무선호출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오버라이드 기능 루틴(L6-1)은 호출 모드시메세지가 수신되면 발신 모드에 따라 경보음 및 진동을 발생하는 호출 인식 루틴(L6a)과, 상기 호출 인식 루틴(L6a) 실행 후 수신된 메세지가 비밀번호와 일치하고,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동일하면 호출음을 발신하는 보조 경보 발신 루틴(L6b)과, 상기 보조 경보 발신 루틴(L6b) 실행 시 전화번호와 수신 메세지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저장된 다른 전화번호와 비교하고, 읽기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하지 않을 경우 저장된 다른 전화번호와 비교하고, 읽기 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변환시키는 모드 전환 루틴(L6c)으로 된 무선호출기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위치 기능 루틴(L6-2)은, 스톱위치 기능키가 입력되며 초기 상태를 표시하고, 키의 입력을 체크하는 스톱위치 초기루틴(L6d) 실행후 입력된 키가 선택키이면 초시간을 증가하고 선택키가 재차 입력되면 초시간의 증가를 정지시키는 스톱워치 실행루틴(L6e)과, 상기 스톱워치 실행루틴(L6e) 후 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된 키가 선택키이면 스톱위치를 초기화시키고 리드 키 또는 설정키가 인가되면 읽기모드, 다음모드를 진행하는 모드 전환루틴(L6f)으로 이루어진 무선호출기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모드 기능루틴(L6-3)은 비밀번호 설정모드시 비밀번호 온, 오프의 선택을 요구하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되고, 키의 입력을 체크하는 비밀번호 초기루틴(L6g)과, 상기 비밀번호 초기루틴(L6g) 실행후 선택키가 1초이상 인가될 경우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입력대기루틴(L6h)과, 상기 입력대기루틴(L6h)실행후 설정키가 입력되면 마지막 자리여부에 따라 대기모드 및 자리수 이동을 실시하고, 선택키가 입력될 경우 비밀번호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저장루틴(L6i)으로 된 무선호출기의 제어방법.
KR1019920021677A 1992-11-18 1992-11-18 무선호출기(pager) 및 그 제어방법 KR95001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677A KR950011074B1 (ko) 1992-11-18 1992-11-18 무선호출기(pager) 및 그 제어방법
JP5224812A JP2529080B2 (ja) 1992-11-18 1993-09-09 無線呼出機の制御方法
CN93118897A CN1038094C (zh) 1992-11-18 1993-10-08 一种控制寻呼机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677A KR950011074B1 (ko) 1992-11-18 1992-11-18 무선호출기(pager)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895A KR940012895A (ko) 1994-06-24
KR950011074B1 true KR950011074B1 (ko) 1995-09-27

Family

ID=1934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677A KR950011074B1 (ko) 1992-11-18 1992-11-18 무선호출기(pager)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529080B2 (ko)
KR (1) KR950011074B1 (ko)
CN (1) CN10380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2632B2 (ja) * 1997-03-26 1999-11-08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351A (ja) * 1981-11-11 1983-05-16 Nec Corp 無線ペ−ジング受信機呼出方式
JPH02134931A (ja) * 1988-11-15 1990-05-23 Nec Corp ディスプレイポケットベル
JPH0324825A (ja) * 1989-06-21 1991-02-01 Nec Corp 個別選択呼出受信機
KR940001431B1 (ko) * 1991-01-19 1994-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호출 시스템
JPH04246928A (ja) * 1991-02-01 1992-09-02 Nec Commun Syst Ltd ページャー呼出し方式
JP2643619B2 (ja) * 1991-02-19 1997-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3115443U (ja) * 2005-08-04 2005-11-04 武蔵ホルト株式会社 自動車ボデーの修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215A (zh) 1994-05-25
JPH06164471A (ja) 1994-06-10
KR940012895A (ko) 1994-06-24
JP2529080B2 (ja) 1996-08-28
CN1038094C (zh) 199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133B1 (ko) 무선전화장치
EP0510809A2 (en) Radio telephone
JPH04502392A (ja) 標準電話セットを備えたセルラ電話のためのダイアリングの特徴的機能
US6397088B1 (en) Location search auxiliary system for cellular radio telephon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9980047840A (ko) 국가번호 및 지역번호 다이얼 방법.
US5956632A (en) Method for displaying received telephone number in mobile cordless telephone
JPS6232671B2 (ko)
KR950011074B1 (ko) 무선호출기(pager) 및 그 제어방법
JPS6316063B2 (ko)
RU2162277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набора номера в телефонном терминале
JPS59228453A (ja) 自動ダイヤル装置
JPH11196463A (ja) 無線通信装置
KR0141255B1 (ko) 키폰 시스템의 호저장 방법
KR960016270B1 (ko) 다기능전화기의 다중 모드설정방법 및 회로
JPS611151A (ja) メモリ−ダイヤル電話装置
KR0182432B1 (ko) 선별호출기능을 갖춘 무선호출기
KR910005531Y1 (ko) 전화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KR970009546B1 (ko) 사설교환기의 국선선로선택을 위한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JPH0822328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コードレス電話機の子機増設方法
KR20000025427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분실 시 콜백장치 및 그 방버뵤
KR0127248Y1 (ko) 자기진단 기능을 갖춘 전화기
KR100277069B1 (ko) 전화기에서 통화자 호출 방법
KR0173561B1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9980050192U (ko) 자동알람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KR100506263B1 (ko)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