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067B1 -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067B1
KR950011067B1 KR1019940020139A KR19940020139A KR950011067B1 KR 950011067 B1 KR950011067 B1 KR 950011067B1 KR 1019940020139 A KR1019940020139 A KR 1019940020139A KR 19940020139 A KR19940020139 A KR 19940020139A KR 950011067 B1 KR950011067 B1 KR 950011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data
mode
correction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우이찌 구마다
다까도시 오오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526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17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61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53348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10003596A external-priority patent/KR950011066B1/ko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색재현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 및 제4도는 모드 선택에 의해 컬러데이타를 처리하고 컬러인쇄화상을 출력하기까지의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6a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비교의 데이타 처리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6b도는 제2실시예의 CUR 및 흑생성 데이타 처리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6c도는 제2실시예의 CPU(10)에 의한 색수정 데이타 처리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의 제3실시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8도는 프린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컴퓨터 2 : 인쇄장치본체
21 : 인터페이스 22 : 색재현처리정보기억부
23 : 색재현처리부 24 : 조작패널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색정보를 갖는 화상데이타를 처리하는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컬러인쇄장치는 미리 정해진 색재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있고, 그 색재현처리를 간략화하여 인쇄하기 위한 다른 동작모드를 갖고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상기 종래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색재현처리가 복잡할 경우, 특히 색화상데이타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1) 복잡한 처리의 반복때문에 묘화(描畵)에 시간이 걸린다.
(2) 얻어진 묘화의 색조가 소망의 것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가 많고, 색수정처리가 필요해지므로, 1회에 소망의 묘화결과가 얻어지지 않을 때가 많다.
종래, 이런 종류의 장치에 있어서는 잉크제트방식 혹은 전자사진방식 등의 색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장치를 위하여 색수정처리장치가 있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의 색수정 방법으로서는 CRT 화면상의 화상 혹은 스캐너 원고화상과 기록매체상에서의 기록화상과의 색정합(color matching)을 행하기 위한 마스킹 처리, 또는 기록화상에 인킹(inking)을 행하기 위한 흑생성(black generation) 및 UCR(under color removal)(하색 제거) 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예에서는 주로 자연화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에 의해 작성된 문자 또는 도형과 자연화상이 혼재하는 것과 같은 대상화상에 대해서도, 상술한 처리와 같은 색수정처리를 행하여 버리면, 본래 한가지 색 즉, 흑색으로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한 문자 또는 색 견본에 의해 지정된 색으로 전부 칠하고자 하는 도형에 대해서도 마스킹이나 흑생성 및 UCR 등을 행해버린다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판독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상데이타의 흑색의 에지부를 검출하며 그 흑색에지부분은 마스킹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흑색데이타로 프린트하는 기술이 미합중국 특허 출원번호 제267,366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흑색의 에지부의 검출방법 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 입력된 명령 데이타에 따라 마스킹 및 UCR 처리가 행하여야 하는지 아닌지를 선택하는 기술은 미합중국 특허 출원번호 제298,352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모드선택 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필요에 따라 색재현 처리수순을 간략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컬러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색재현성이 양호한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화상처리의 고속화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화상의 특징을 용이하게 묘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구성은 이하의 도면에 의거한 설명 및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 분명해질 것이다.
[제1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는 주 컴퓨터(1)와 인쇄장치본체(2)로 구성되어 있다.
주 컴퓨터(1)는 프린트 데이타(문자 데이타, 그래픽 데이타, 비트맵 데이타) 혹은 인쇄 명령(용지 크기, 매수 등) 등을 인쇄장치본체(2)에 4보내어 이 인쇄장치본체(2)에 인쇄처리를 행하게 하는 것이다.
인쇄장치본체(2)는 ROM 및 RAM을 포함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을 갖는다. 즉, 인쇄장치본체(2)는 주 컴퓨터(1)와의 데이타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21), 색재현처리시에 필요한 마스킹 계수, γ수정 계수 등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색재현처리정보 기억부(22), 색재현처리를 실제로 행하는 색재현처리부(23), 인쇄환경의 변수를 변경·설정하기 위한 조작패널(24), 데이타 버스(25), 본 장치전반의 제어를 관장하는 제어부(26), 주 컴퓨터(1)에서 보내온 프린트 데이타나 인쇄 명령 등을 해석하는 명령 해석부(27), 색재현처리부(23)를 경유해서 형성된 컬러화상데이타를 도트정보로 전개하는 도트 전개부(28), 그 도트정보로 전개된 데이타를 기록지상에 영구가시상화하는 출력부(29)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부(29)는 컬러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컬러모니터 등의 표시장치, 전자 사진프린터 등의 기록장치, 공중회선이나 LAN 등으로 화상을 전달하는 송신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색재현처리부(23)에서 행하는 색재현처리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프로세스는 색의 기본 3원색 R(적), G(녹), B(청)의 신호를 프린터해야 할 색재(色材)의 원색C(Cyan), M(Magenta), Y(Yellow) 및 BK(Black)의 신호로 변환하는 흐름을 표시하고 있다.
우선 프로세스 "1"에서는 휘도정보인 R,G,B의 값에 대수변환을 시행하여 농도정보인 C,M,Y를 생성한다.
프로세스 "2"에서는 프로세스 "1"에서 얻은 C,M,Y의 값을 근거로 새롭게 BK를 생성하기 위한 하색제거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스 "3"에서는 C,M,Y의 토너 혹은 잉크에 있어서의 서로의 불요흡수특성(不要吸收特性)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마스킹의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스 "4"에서는 화상에 따라 콘트라스트·브라이트네스의 조정(γ변환)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에서는,
① 주 컴퓨터(1 ; 제1도)의 지시에 의해 색의 기본 3원색 R,G,B의 데이타를 인쇄장치의 색재의 원색 C,M,Y 및 BK로 변환하는 통상의 색재현 처리모드와, ② 통상의 처리모드의 프로세스를 간략화한 "드래프트 모드"를 선택하여 컬러묘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와 제4도는 이와 같은 모드의 선택에 의해 컬러데이타를 처리하여 컬러인쇄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S1)에서는 주 컴퓨터(1)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어 단계(S2)으로 진행한다.
단계(S2)에서는 컬러데이타(R,G,B 1조의 데이타를 1개로 한다)를 1개 판독 혹은 리드(read in)하여 단계(S3)로 진행한다.
단계(S3)에서 리드인한 데이타가 없을 경우에는 단계(S11)로 진행하여 배지(排紙)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리드인한 데이타가 있을 경우에는 단계(S4)으로 진행하고, 단계(S1)에서 선택된 모드를 체크한다.
여기서, 통상의 처리모드를 선택할 경우(단계 S5), 단계(S6)에 있어서 제2도에 나타낸 색재현처리 프로세스 "1"~"4"를 순차로 실행하고, 단계(S10)로 진행한다.
한편, 드래프트 모드를 선택할 경우(단계(S7)), 단계(S8)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하는 색재현 처리프로세스 "1"만을 실행하고, 단계(S9)로 진행하여 프로세스 "2"~"4"를 스킵하여 단계(S10)로 진행한다.
단계(S10)에서 색재현처리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진 C,M,Y,BK의 값을 근거로 도트 전개부(28 ; 제1도)에서 컬러화상을 전개하고, 다시 단계(S2)로 복귀하여 리드인되는 컬러데이타가 없어질 때까지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색재현처리의 프로세스를 스킵함으로써 인자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1"~"4"는 색재현 처리부(23)를 구성하는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드래프트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필요없는 처리를 생략하여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스 "1"~"4"를 각각 공지의 농도변환회로, 하색제거회로, 마스킹회로, γ변환회로를 설치하고, 드래프트 모드의 경우에 하색제거로, 마스킹회로, γ변환회로를 데이타가 통과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출력부(29)의 일예를 제8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701은 프린터 인터페이스이고, 화상데이타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702)와, 메모리(702)의 판독, 기입을 행하거나, 또는 데이타의 전송종료 및 에러를 제어부(26)에 알리는 CPU(702) 등으로 구성된다.
프레임 메모리(702)에 기억된 화상데이타는 컬러프린터(704)에 전송되고, PWM(Pulse Width Modulation) 회로(778)에서 펄스폭 변조된다. 711은 스캐너이고, PWM 회로(778)로부터의 화상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레이저 출력부, 다면체(가령 8면체)의 폴리곤 미러(712), 이 미러(712)를 회전시키는 모터(도시안됨) 및 f/θ렌즈(결상렌즈 ; 713) 등을 갖는다. 714는 레이저광의 광로를 변경하는 반사미러이고, 715는 감광 드럼이다.
레이저 출력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폴리곤 미러(712)에서 반사되고, 렌즈(713) 및 미러(714)를 통해 감광드럼(715)의 면을 선형상으로 주사(라스터-스캔)하고 원고화상에 대응한 잠상을 형성한다.
또, 717은 일차 대전기, 718은 전면노광램프, 723은 전사되지 않았던 잔류토너를 회수하는 크리너부, 724는 전사전 대전기이고, 이들 부재는 감광드럼(715)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726은 레이저 노광에 의해 감광드럼(715)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 유니트이고, 731Y,731M,731C,731BK는 감광드럼(715)과 접하여 직접 현상을 행하는 현상 슬리브, 730Y, 730M, 730C, 730BK는 예비토너를 유지해 두는 토너호퍼, 732는 현상제의 이송을 행하는 스크류로서, 이들 슬리브(731Y~731BK), 토너호퍼(730Y~730BK) 및 스크류(732)에 의해 현상기유니트(726)가 구성되며, 이들 부재는 현상기유니트 회전축(P)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황색의 토너상을 형성할 때는 본 도면의 위치에서 황색토너현상을 행하고, 마젠타의 토너상을 형성할 때는 현상기유니트(726)를 도면의 축(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감광체(715)에 접하는 위치에 마젠타 현상기내의 현상슬리브(731M)를 배치한다. 시안, 블랙 현상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 716은 감광드럼(715)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용지에 전시하는 전사드럼이고, 719는 전사드럼(716)의 이동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액츄에이터판, 720은 액츄에이터판(719)과 근접함으로써 전사드럼(716)이 홈포지션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포지션 센서, 725는 전사드럼크리너, 727은 지압(紙押) 롤러, 728은 제전기, 및 729는 전사대전기이고, 이들 부재(719,720,725,727,279)는 전사롤러(716)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735,736은 용지(지엽체(紙葉體))를 수납하는 급지카운터, 737,738은 카세트(735,736)로부터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 739,740,741은 급지와 반송 타이밍을 취하는 타이밍 롤러이며, 이들을 경유하여 급지반송된 용지는 용지 가이드(490)에 인도되어 선단을 후술하는 그리퍼에 담지되면서 전사드럼(716)에 감겨상형상 과정으로 이행된다.
또, 550은 드럼회전 모터이고, 감광드럼(715)과 전사드럼(716)을 동기회전시킨다. 750은 상형성 과정이 종료된 후, 용지를 전사드럼(716)으로부터 떼어내는 박리클릭, 742는 떼어낸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벨트, 743은 반송벨트(742)에서 반송되어 온용지를 정착하는 화상정착부이고, 화상정착부(743)는 한쌍의 열압롤러(744,745)를 갖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색재현처리에 있어서 4개의 프로세스를 예로 들었으나 그밖의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상기 "드래프트 모드"에 있어서는 프로세스 "1"(농도 변환)만의 처리를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프로세스 "1"과 "2"만을 행할 경우, 프로세스 "1"과 "3"만을 행할 경우 등, 스킵하는 프로세스의 선택에 따라 생각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조합 모드에 대하여 적용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 컴퓨터로부터 인자모드를 선택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인쇄장치의 조작패널(24)로부터 인자모드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의 컬러화상형성장치는 컬러레이저빔프린터, 컬러잉크제트프린터, 컬러열전사프린터 등, 컬러화상형성이 가능한 출력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잉크제트프린터에는 열에너지를 이용한 막비 등에 의해 액적을 토출하는 타입의 헤드를 이용한 이른바 버블·제트프린터가 포함된다.
또, 프린터는 1화소마다 2개의 값의 데이타를 프린트하는 것, 또는 1화소마다 여러 값의 데이타를 프린트하는 것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복잡한 화상처리를 간략화함으로써 전체의 처리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2) 묘화 결과의 개관을 파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5도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101은 주 인터페이스(이하, 「주 1/F」라고 한다)로서, 주장치(도시안됨)에 의해 작성된 문자, 도형 및 자연화상이 혼재하는 색계조 데이타를 주장치로부터 받는다. 121~123은 프레임 버퍼로서, 주 1/F(101)에서 수취한 색계조 데이타를 R(적), G(녹), B(청)의 각 색별로 1화면분으로 기억한다. 103은 비교기로서 프레임 버퍼(121~123)에 기억된 각 색계조 데이타를 1화소마다 리드아웃하여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한다. 비교기(103)는 프레임 버퍼(121,122,123)로부터 리드아웃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될 경우, 일치를 후단에 통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CUR(하색 제거)·흑색성회로(104) 및 후술하는 마스킹 회로(105)에 신호가 보내어지고, 같지 않을 경우, 불일치이기 때문에 후단에는 신호가 보내어지지 않는다.
104는 UCR 및 흑색성회로로서, 비교기(103)에서 리드아웃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취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비교기(103)에서 리드인한 R,G,B의 각 색계조 데이타에서 이하에 표시하는 방법에 의해 G,M,Y,K의 4개의 데이타를 생성한다.
우선, 리드인한 R,G,B 데이타의 보수를 취하여,
라 한다.
다시 Co, Mo, Yo의 최소값을 구하여 이를 Ko라 한다.
Ko=min(Co,Mo,Yo)
Ko에 미리 정해진 계수 α를 곱하여 Co,Mo,Yo에서 빼고 이것을 각각 C,M,Y라 한다.
C=Co-α×Ko, M=Mo-α×Ko, Y=Yo-α×Ko
마찬가지로 미리 계수 β를 K'에 곱하여 이를 K라 한다.
K×β×Ko
이상에 의해 C,M,Y,K의 각 계조데이타가 구해지고, 후단의 색수정을 행하는 마스킹회로(105)에 출력된다.
한편, 비교기(103)에서 리드아웃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취하고 있을 경우에는,
로서 C,M,Y,K의 각 계조데이타를 후단의 마스킹 회로(105)에 출력한다.
105는 색수정을 행하는 마스킹 회로로서, UCR·흑생성회로(104)에서 C,M,Y,K의 각 계조데이타를 수취하여 비교기(103)에서 리드아웃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취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이하에 표시한 연산에 의해 색수정을 행하고, C',M',Y',K'의 마스킹된 신호를 얻는다. 즉
Y'=a×Y+b×M+c×C
M'=d×Y+e×M+f×C
C'=g×Y+h×M+i×C
C'=g×Y+h×M+i×C
K'=j×K
가 되고, 여기에 Y,M,C,K는 각각 UCR·흑생성회로(104)에서 리드아웃된 각 색의 값이고, 또 Y',M',C',K'는 각각 수정후의 각 색의 값이며, a,b,c,d,e,f,g,h,i,j는 미리 정해진 색수정을 위한 계수이다.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1차의 색수정을 행하고 있으나 2차 이상의 색수정 즉, 비선형 마스킹을 행하여도 좋다.
또, 비교기(103)에서 리드아웃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취하고 있을 경우에는 입력된 Y,M,C,K의 값에 따라 미리 정해진 Y',M',C',K'의 값을 출력한다.
가령, 프레임 버퍼(121~123)에 기억되는 색계조데이타의 비트수는 8비트로 하고, 이 프레임버퍼(121,122,123)에서 리드아웃된 값이 R=G=B=O일 경우에는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K(흑)만의 기록을 행한다. 여기서 미리 비교기(103)에 있어서 R=G=B=O일 때에 UCR·흑생성회로(104) 및 마스킹 회로(105)에 대하여 신호를 내도록 설정해 두고, 프레임 버퍼(121,122,123)에서 리드아웃된 값이 R=G=B=O일 경우, 마스킹 회로(105)는 비교기(103)에서 신호를 수취한다.
이때, 입력신호로서 UCR·흑생성회로(104)에서 C=M=Y=255, K=O를 수취하기 때문에 양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미리 C'=M'=Y'=O, K=255를 출력하도록 설정해 두면, K(흑)만의 기록이 가능하다. 또, 비교기(103)에 있어서, R,G,B 데이타는 비교기(103)에서 리드아웃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와의 동기를 취하기 위하여 적당히 지연된다.
106은 인터페이스(1/F)로서, 마스킹 회로(105)에서 출력된 Y',M',C',K'의 각색의 값을 기록장치에 송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110은 본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CPU를 표시하고, 111은 후술하는 제6a도~제6c도의 흐름도에 따른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ROM을 표시하고, 112는 각종 프로그램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하는 RAM을 표시하고 있다.
제6a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비교의 데이타 처리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다음에, 제2실시예에 동작에 대한 설명한다.
이미 R,G,B 각 데이타는 주 1/F(101)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 버퍼(121~123)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비교기(103)는 R,G,B 각 데이타를 프레임 버퍼(121,122,123)에서 리드아웃한다(단계(S101)). 다음에 단계(S101)에서 리드아웃된 R,G,B 각 데이타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과 비교된다(단계(S102)). 그결과 일치가 확인되면 처리는 단계(S103)으로 진행되고, 한편 일치가 확인되지 않을 때는 처리는 단계(S104)으로 진행된다. 우선, 단계(S103)에 있어서는 단계(S101)에서 프레임 버퍼(121,122,123)로부터 리드아웃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UCR·흑생성회로(104) 및 마스킹 회로(105)로 송출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104)으로 진행되고, 거기서 단계(S101)에서 리드아웃된 R,G,B 각 데이타는 UCR·흑생성회로(104)로 송출된다. 그리고, 재차 처리는 단계(S101)으로 복귀하여 이상의 동작이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제6b도는 제2실시예의 UCR 및 흑생성의 데이타 처리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UCR·흑생성회로(104)에 의해 R,G,B 각 데이타가 비교기(103)에서 리드아웃된다(단계(S111)). 다음에 프레임 버퍼(121,122,123)에서 리드아웃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같다는 것을 표시하는 일치신호가 비교기(103)에서 입력되었는지 아닌지의 체크가 행하여진다(단계(S112)). 그 결과, 일치신호를 입력한 것이 확인되었으면 처리는 다음의 단계(S113)로 진행되고, 불일치신호를 입력한 것이 확인되면 처리는 건너뛰어 단계(S114)로 진행된다. 우선, 단계(S103)에 있어서는 입력한 R,G,B의 각 데이타의 보수를 취하여 각각 C,M,Y의 값으로 하고, 더욱이 K의 값을 0에 세트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다음 단계(S115)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S114)에 있어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UCR 및 흑생성을 행하여 C,M,Y,K의 각 값을 얻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단계(S115)에 있어서는 단계(S113) 혹은 단계(S114)에서 얻어진 C,M,Y,K의 값이 색수정을 행하기 위한 마스킹 회로(105)로 송출된다. 그리고 처리는 재차 단계(S111)으로 복귀하여 이상의 동작이 반복 행하여진다.
이상의 처리에서 비교기(103)에 있어서 프레임 버퍼(121,122,123)에서 리드아웃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같을 경우, UCR 및 흑생성은 행해지지 않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Y,M,C,K가 결정된다.
제6c도는 제2실시예의 CPU(110)에 의해 색수정의 데이타 처리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마스킹 회로(105)에 의해 C,M,Y,K의 각 데이타가 UCR·흑생성회로(104)에서 리드아웃된다(단계(S121)).
다음에 프레임 버퍼(121,122,123)에서 리드아웃된 데이타 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같다는 것을 표시하는 일치신호가 비교기(103)에서 입력되었는지 어떤지의 체크가 행하여진다(단계(S122)). 그 결과 일치신호를 입력한 것이 확인되면 처리는 단계(S123)으로 진행되고 한편, 불일치신호를 입력한 것이 확인되면 처리는 단계(S124)으로 진행된다. 우선, 단계(S123)에 있어서는 입력된 C,M,Y,K의 각 데이타 값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이 각각 C',M',Y',K'의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125)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S124)에 있어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마스킹 회로(105)에서 색수정한 C',M',Y',K'의 값이 얻어진다. 단계(S125)에 있어서는 상기 단계(S123) 또는 단계(S124)에서 얻어진 C',M',Y',K'의 각 값이 1/F(106)로 송출된다. 그리고 처리는 재차 단계(S121)로 복귀하여 이상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래 한가지 색, 즉 흑색으로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한 문자 또는 색견본에 의해 지정된 색으로 빈틈없이 모두 칠하고자 하는 도형에 대해서는 UCR, 흑생성 및 색수정(마스킹)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한편 자연화상에 대해서는 UCR, 흑생성 및 색수정(마스킹)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르면 입력화상에 따라 불필요한 화상처리를 제거할 수 있다.
또, 1/F(106)로부터의 출력선에 대해서는 프린터, CRT 등이 해당되고, 혹은 1/F(106)에 통신 처리회로를 접속함으로써 공중 회선 혹은 디지탈 회선을 사이에 두고 외부와의 통신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 프린터로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8도의 프린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처리는 특별한 하드웨어를 설치하지 않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하여도 된다.
[제3실시예]
다음에 제3실시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는 제5도에 도시되는 제2실시예에서 프레임 버퍼(21,22,23)가 생략되고 있다. 즉 주장치측에서 R,G,B 각각 1화면분의 색계조 데이타를 작성하고, 화소마다 R,G,B의 점 순차로 주 1/F(101)을 통하여 본 장치에 입력하는 구성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프레임 버퍼(121,122,123)를 제외한 것이외는 같기 때무에 동일 번호를 부가하고 있다.
또, 비교기(103) 이후의 처리와 효과도 상기 제2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프린터의 상형성 속도가 빠른 레이저빔 프리터는 아니며, 비교적 늦은 속도로 인가하는, 가령, 상기 버블 제트방식의 프린터에 대하여 유효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린터 혹은 프린터 인터페이스에 프레임 버퍼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많아도 수 라인분의 버퍼를 가지면 되기 때문에 회로구성을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화상에 따라 불필요한 화상처리를 제거하고, 고속처리가 가능하다고 하는 입력화상의 특징에 적합한 화상처리가 행해진다.
[제4실시예]
상술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주 1/F(101)은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제9도는 이같은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도, 제5도와 같은 구성을 하는 것에는 동일 번호를 부가하였다. 107은 화상재생을 위한 프린터이다.
다음에 제9도의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 컴퓨터(1)로부터의 문자데이타, 그래픽 데이타(묘화 명령), 비트맵 데이타(예컨대, 스캐너에 의해 판독되고, 또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작성된 화소마다의 화상데이타)가 주 1/F에 전송된다. 데이타는 가령 Post Script(상표) 등의 PDL(Page Description Language)로 기술되어 있다.
주 컴퓨터(1)에서 전송된 데이타는 버퍼메모리(30)에 기억되어 명령 해석부(27)에서(ⅰ) 문자데이타 또는 그래픽 데이타로 되는가, 또는 (ⅱ) 비트맵 데이타로 되는가 식별한다. 이 식별데이타는 데이타버스(25)를 통하여 비교기(103)에 입력된다.
식별데이타는 프레임 버퍼(121~123)에서 리드아웃되는 화소에 대응하여 출력되고, 가령 라스터 스캐닝에 의해 버퍼에서 리드아웃될 경우에는 라스터 스캐닝에 의해 출력된다. 그 때문에 명령 해석부에는 1화면분의 비트맵 메모리를 가지고, 각 화소마다 식별데이타를 기억해 둔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PDL에 의해 오버라이팅(겹쳐쓰기)을 행할 경우는 가시상화할 때에 제일 위가 되는 화상의 식별데이타를 비교기(103)에 전송할 수 있다.
비교기(103)에 있어서는 상기 식별데이타가 (ⅰ) 문자데이타 또는 그래픽 데이타일 경우에는 제2실시예와 같이 처리를 행하지만, 비트맵 데이타의 경우에는 화상데이타가 미리 설정된 값과 같을 경우(가령, R=G=B=O)라 하더라도 UCR·흑생성회로(104) 또는 마스킹 회로(105) 또는 의한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이것은 자연화상중의 흑색화소에 대해서만 UCR 및 마스킹을 행해지지 않는 것이라 하면 색밸런스가 무너지고, 화상전체 중에서 그 화소 부분이 부자연스럽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응용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8)

  1.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고속수정모드와 정상수정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 상기 모드설정단계에 있어서의 모드설정에 따라 연산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색수정용 연산을 행하는 정상수정모드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색수정용 연산을 행하지 않는 고속수정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입력색 화상데이타를 선택된 수정모드에서 수정하는 색수정단계와; 수정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은 상기 모드설정단계에서 외부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수정단계는 마스킹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수정단계는 γ-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수정은 상기 색수정단계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수정은 상기 색수정단계에서 하드웨어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7.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고속수정모드와 정상수정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모드설정수단;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한 모드설정에 따라 연산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색수정용 연산을 행하는 정상수정모드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색수정용 연산을 행하지 않는 고속수정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입력색화상데이타를 선택된 수정모드에서 수정하는 색수정수단과; 수정된 색화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입력색 화상데이타에 대한 농도변환을 행하는 제2색수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KR1019940020139A 1990-03-06 1994-08-16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KR950011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52651A JP2831784B2 (ja) 1990-03-06 1990-03-06 カラー画像処理方法
JP90-52651 1990-03-06
JP2161389A JPH0453348A (ja) 1990-06-21 1990-06-21 画像処理装置
JP90-161389 1990-06-21
KR1019910003596A KR950011066B1 (ko) 1990-03-06 1991-03-06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596A Division KR950011066B1 (ko) 1990-03-06 1991-03-06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067B1 true KR950011067B1 (ko) 1995-09-27

Family

ID=2729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139A KR950011067B1 (ko) 1990-03-06 1994-08-16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06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1346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H03154096A (ja) パターン発生方法及びパターン発生装置
EP0881822A2 (en) Luminance-based color resolution enhancement
US68794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36608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JP3703162B2 (ja) 画像形成装置
KR950011066B1 (ko)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JPH11327250A (ja) 画像処理方法、エッジ影響低減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309548A (en) Pattern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6233062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0481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characters for display in a draft mode and a high resolution mode
JP390291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950011067B1 (ko)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JP3832520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1352459A (ja) 画像形成装置
JP468759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U6388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H106591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H113221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H04144479A (ja) 図形出力装置
JPH04146462A (ja) カラー印刷装置
US7746499B2 (en)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32009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H02295766A (ja) 画像形成装置
JPH0481170A (ja) 図形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