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742B1 - 합성사의 방사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사의 방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742B1
KR950010742B1 KR1019930010409A KR930010409A KR950010742B1 KR 950010742 B1 KR950010742 B1 KR 950010742B1 KR 1019930010409 A KR1019930010409 A KR 1019930010409A KR 930010409 A KR930010409 A KR 930010409A KR 950010742 B1 KR950010742 B1 KR 950010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oling
air
wall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623A (ko
Inventor
쉽퍼어스 하인쯔
Original Assignee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퓌팅, 핑슈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퓌팅, 핑슈텐 filed Critical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4000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01D5/092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in shaf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사의 방사장치
제 1 도는 보호판을 가진 방사장치를 나타내고,
제 2 도는 보호상자를 가진 방사장치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융물관 2 : 방사헤드
3 : 방사노즐 4 : 화학사, 필라멘트
5 : 냉각관 6 : 보호판
7 : 사안내 8 : 트래버스장치
9 : 측정로울러 10 : 스풀
11 : 스핀들 12 : 스풀관
13 : 공기공급관 14 : 밸브, 밸브관
15 : 안정화벽, 에어복스(냉각상자), 보호(파폐)상자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대개념에 의해 화학섬유의 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DE-A 19 14 556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사속의 전체 둘레에 공기류가 공급되는 이점이 우선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불규칙한 사성질이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불균일성의 원인은 대단히 높은 속도로 또한 동시에 대단히 높은 사장력으로 주행하는 화학사는 극히 조용한 주행의 경우에만 그 길이에 걸쳐 균일해 질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위에, 냉각관의 외각에서의 압력변동을 일으키는 방사공간의 공기난류도 또한 제조된 필라멘트 또는 사의 불균일성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역시 결점이다. 특히 이것은 방사장치가 대단히 높은 권취속도로 작동될때에 그러하다. 왜냐하면 그 경우에는 대단히 심한 공기 움직임이 생기며, 다른 한가지는 필요로 하는 냉각구역이 대단히 짧아, 냉각공기로서 흡입된 대기공기의 압력변동이 추가적으로 사의 품질변동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예컨대 EP 0 117 215 B1와 EP 0 118 375 B1으로부터 화학사를 스풀위에 권시키는 권취기계가 방사노즐 아래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방사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것은 6000m/분 이상의 대단히 높은 속도로 화학사를 권취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럼으로써 사실상 대단히 강한 사냉각이 얻어지고, 따라서 종래의 방사설비에서는 4m 이상의 냉각구역이 요구된데 비하여 약 2nm의 매우 짧은 냉각구역이면 충분하게 된다. 높은 속도로 인하여 대단히 심한 공기마찰이 생기기 때문에 화학사는 다소 완전하게 연신되어 권취된다.
화학사는 직접 권취스풀의 인장력에 의해 방사노즐로 부터 견인될 수 있다. 그러나 방사노즐과 권취장치 사이에 공급장치, 특히 DE-A 41 35 350에 의한 미끄럼 공급장치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태까지는, 방사노즐 하부에서의 사의 냉각시 사질의 변동을 피하기 위해 예컨대 DE-A 34 06 347 및 DE-A 34 24 253.8-26의 대상인 유공 또는 다공 냉각판을 사용하였다. 그외에 DE-A 37 41 135 및 DE-A 39 23 067를 참고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있어서는 냉각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일정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냉각관에 공급된 공기류가 공간 및 시간적 견지에서 철저하게 균일화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송풍기술에 있어서는, 시간적으로 또한 길이에 걸쳐 대단히 균일한, 즉 와류가 없는 공기류가 화학사 속(다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치적 및 방법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 결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수단에 의해 화학사가 교란없이 만족스럽게 주행될 수 있고 길이방향 균일도가 높은 화학사가 제조될 수 있도록, 공지의 방사장치를 개선시키는데 있다.
이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사에 의해 관에 감압이 발생함으로써 반경방향 공기류가 생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라서는 적은 비용으로 양호한 기류(흐름) 조건 및 냉각조건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의 조치는 냉각관에 있어 균일한 흐름조건을 보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조치에 의해 사속에 연행되었던 공기와류(소용돌이)가 냉각관의 영역으로 역류하여 대기공기가 냉각관을 불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위에 압력변동 및 압력파가 냉각관의 유입구역내로 전파하는 것도 방지된다.
상기한 에어복스(냉각상자)는 대기와 연결되어 있다. 이 복수가 예냉된 매질에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나 에어복스는, 복스내에 사실상의 대기압 또는 감압이 지배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힌지점 또는 다수의 지점에 일정한 개구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벽에 의해 유입공기가 직접 냉각관의 외주에 충돌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에어복스는 다수의 냉각관에 의해 관통되어 있고, 각 냉각관은 각각의 방사노즐에 할당되어 있다. 이점으로써 다수의 냉각관에 대해 같은 냉각조건을 제공하고 그렇게하여 서로 동일하고 균일한 화학사를 제조할 수가 있다. 이를 모든 경우에 있어 에어복스는, 비록 조금이라 할지라도 에어복스내에 공기과압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에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들추고 싶다. 그 보다는, 방사공간으로 부터 에어복스내로 또한 거기에 냉각관내로 배향되어 압력구배가 생기는 사실이 공기공급을 위해 이용된다.
외부로 부터 내부 냉각관내로 흡입되는 공기류를 배향안내하기 위한 조치가 있을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특히, 냉각관의 내벽에 있어 하나 또는 수개의 직각 평면에 놓여 대략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안내원환(배플판)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자명하듯이 이를 안내환원은 냉각관의 중심부에 있어 화학사속을 위한 관통개구를 형성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의한 실시형의 경우, 공기류의 합목적적 방향 전환이외에 안내원환의 하부에 감압이 생겨 외부공기를 흡입하게 할수도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의해 에어복스에 일정한 감압을 발생시켜 그에 의해 사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냉각작용은 수요 및 기술적 필요도에 적합화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중합체 용융물은 용융물관(1)을 통해서 소위 방사헤드(2)에 공급된다. 방사헤드는 특히 방사펌프(표시안됨)를 포함하고 있다. 그 펌프에 의해 일정량의 용융물이 방사노즐(3)에 공급된다. 방사노즐(3)은 다수의 유출공을 가진 판이다. 각 유출공응로부터 필라멘트(4)가 유출한다. 필라멘트들(4)은 사안내(7)에 의해 한 사로 접합된다. 사는 트래버스장치(8)(여기서는 안내판을 가진 윙 트래버스장치로 되어 있음)에 의해 부분적으로 측정로울러(9) 주위를 감싸면서 권취스폴(10)에 공급된다. 권취스풀(10)은 스풀관(12)위에 형성된다. 스풀관(12)은 회전구동되는 스핀들(11)위에 끼여 있다. 제 2 도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 스핀들(11)위에 네개의 관(12)이 끼어 있어 네사가 동시에 각 스풀(10)위에 권취된다.
모든 실시예는 필라멘트가 냉각관(5)을 지나 처음으로 개방상태, 즉 사안내(7)앞으로, 안내된다는 점이서 공통이다. 냉각관(5)은 직접 방사노즐(3)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관(5)은 다공성이다. 이관은 0.5 내지 2.0미터의 길이를 갖고 있다. 냉각관(5)의 출구단에는 보호판(차폐판)(6)이 부착되어 있다. 보호판(6)은 필라멘트속의 투과구를 갖고 있으며 그 투과구의 폭은 냉각관(5)의 내폭과 같거나 작다.
모든 실시예에서 냉각관(5)의 다공도는 사 주행방향에 따라 증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공도는 사 주행속도에 때략 비례하거나 또는 적어도 거기에 의존한다.
사 주행속도-또는 보다 정확히 말하면 필라멘트의 주행속도-는 대단히 특징적이며 처음은 비교적 낮고 그런다음 대단히 급하게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공도는 또한 필라멘트가 그 길이에 걸쳐 갖는 온도구배(분포)에 적합화 될수도 있다. 상기 두 경우에 있어 다공도는 사 주행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즉 공기투과도가 점차 커진다.
제 1 도에 의한 실시예는 다수의 배플판(17)이 냉각관에 배치되어 있다는 특수점을 갖고 있다. 배플판(배플링)(17)은 원환상의 판이다. 이 원환상판은 그 외주에서 냉각관(5)에 고정되어 있고, 그의 안쪽 가장자리는 사 주행방향으로 향하고 따라서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배플관(17)은 흡입된 공기류는 하측으로 배향시키지만, 그 하부에 감압이 발생하므로써 흡입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작용도 한다.
사 주행속조는 6000m/분 이상이다. 제 2 도에서 13은 공기공급관이며 14는 밸브 또는 밸브관(블라인드)으로 공기공급구의 공기유입을 조정한다.

Claims (4)

  1. 사가 6000m/분 이상의 속도로 방사노즐로 부터 유출되고 그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신되며, 화학섬유는 방사노즐 하부에서 냉각을 위해 천공된 또는 다공성관(냉각관)을 통해 안내되어 외부로부터 내부의 관내로 유입되는 공기류에 노출되며, 또한 관의 외면에는 대기의 공기압이 인가되고 있는 합성사의 방사장치에 있어서, 냉각관의 출구에는 보호벽이 배치되어 있으며, 관의 끝이 그 보호벽을 관통하고 보호벽은 관에 대해 횡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의 방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보호벽은 관이 관통하는 에어복스(냉각상자)의 하벽이며, 관은 그의 유입단 및 유출단으로 에어복스의 상벽 및 하벽내로 사실상 기밀적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에어복스는 한개 또는 수개의 공기공급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관내에는 폐쇄된 배플원환이 벽에 부착되어 있고, 그 배플원환은 관벽으로 부터 사주행방향으로의 경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공급구에는 조정가능한 드로틀 또는 블라인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30010409A 1992-06-13 1993-06-09 합성사의 방사장치 KR950010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19463 1992-06-13
DEP4219463.6 1992-06-13
DE9306510U DE9306510U1 (ko) 1992-06-13 1993-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623A KR940000623A (ko) 1994-01-03
KR950010742B1 true KR950010742B1 (ko) 1995-09-22

Family

ID=2591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409A KR950010742B1 (ko) 1992-06-13 1993-06-09 합성사의 방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80977B1 (ko)
JP (1) JPH0657518A (ko)
KR (1) KR950010742B1 (ko)
CN (1) CN1031469C (ko)
DE (2) DE9306510U1 (ko)
ES (1) ES210691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80396T3 (es) * 1991-09-06 1996-02-01 Akzo Nobel Nv Dispositivo para el hilado rapido de hilos multifilamentos y su utilizacion.
BR9400682A (pt) * 1993-03-05 1994-10-18 Akzo Nv Aparelho para a fiação em fusão de fios multifilamentares e sua aplicação
DE59403372D1 (de) * 1993-04-30 1997-08-21 Barmag Barmer Maschf Streckverfahren
US5976431A (en) * 1993-12-03 1999-11-02 Ronald Mears Melt spinning process to produce filaments
TW268054B (ko) * 1993-12-03 1996-01-11 Rieter Automatik Gmbh
DE19535143B4 (de) * 1994-09-30 2006-02-16 Saurer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Fasern
DE19716394C1 (de) * 1997-04-18 1998-09-03 Inventa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assiven verzögerten Abkühlung von Spinnfilamenten
WO1999067450A1 (de) 1998-06-22 1999-12-29 Barmag Ag Spinnvorrichtung zum spinnen eines synthetischen fadens
KR100305668B1 (ko) * 1999-09-13 2001-09-24 조민호 멀티필라멘트 사의 냉각장치
JP2002309431A (ja) * 2000-06-21 2002-10-23 Toray Eng Co Ltd 紡糸装置
JP5332253B2 (ja) * 2008-03-25 2013-11-06 東レ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01776076A (zh) * 2010-03-14 2010-07-14 苏州工业园区华西泵业有限公司 一种纺丝泵试验台的计量部件
CN101782061A (zh) * 2010-03-14 2010-07-21 苏州工业园区华西泵业有限公司 一种纺丝泵试验台
CN115434025B (zh) * 2022-08-04 2023-10-20 南通文凯化纤有限公司 一种石墨烯长丝纤维的成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74814A (en) * 1954-10-21 1957-05-15 Thuringisches Kunstfaserwerk W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the melt-spinning of synthetic products
GB1088240A (en) * 1965-08-20 1967-10-25 Ici Ltd Melt spinning of fibre-forming polymers
NL6701693A (ko) * 1966-02-09 1967-08-10
GB1220424A (en) * 1968-03-21 1971-01-27 Toray Indust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spinning synthetic fibres
US3611485A (en) * 1968-12-30 1971-10-12 Monsanto Co Spinning chimney
ES2080396T3 (es) * 1991-09-06 1996-02-01 Akzo Nobel Nv Dispositivo para el hilado rapido de hilos multifilamentos y su utilizac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57518A (ja) 1994-03-01
EP0580977A1 (de) 1994-02-02
CN1080335A (zh) 1994-01-05
EP0580977B1 (de) 1997-09-24
DE9306510U1 (ko) 1993-06-09
ES2106916T3 (es) 1997-11-16
KR940000623A (ko) 1994-01-03
DE59307414D1 (de) 1997-10-30
CN1031469C (zh) 1996-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742B1 (ko) 합성사의 방사장치
US65727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inning a multifilament yarn
US3067458A (en) Melt spinning apparatus and process
US65515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 spinning a multifilament yarn
TW47681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a multifilament yarn
US3353344A (en) Fluid jet twister
JP4357119B2 (ja) 合成糸を紡糸する紡糸装置及び方法
US3299469A (en) Melt-spinning apparatus
KR100389668B1 (ko) 중합체 필라멘트의 방사 공정
JPS593565B2 (ja) ゴウセイセンイオセイゾウスルヨウユウボウシソウチ
KR20010108498A (ko) 중합성 필라멘트 방사 장치 및 방법
EP16291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flow in a fiber extrusion system
JPH05502483A (ja) マイクロフィラメントの製造の為の方法および紡糸装置
US5360589A (en) Process for producing synthetic filaments
US5234327A (en) Apparatus for melt spinning with high pull-off speeds and filament produced by means of the apparatus
JP2010070887A (ja) 紡糸用冷却装置および溶融紡糸方法
US5433591A (en) Apparatus for making a synthetic filament yarn
KR940701471A (ko) 합성엔드리스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02397B1 (ko) 용융방사 감음 장치
JP2006528283A (ja) 溶融紡糸、冷却及び巻取り装置
US5853640A (en) Process for making high tenacity aramid fibers
JP2003193325A (ja) 溶融紡糸装置
JP2535880Y2 (ja) ポリエステル糸の溶融紡糸装置
JP3252520B2 (ja) 溶融紡糸装置
JP5332253B2 (ja) 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