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662B1 -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662B1
KR950010662B1 KR1019920022332A KR920022332A KR950010662B1 KR 950010662 B1 KR950010662 B1 KR 950010662B1 KR 1019920022332 A KR1019920022332 A KR 1019920022332A KR 920022332 A KR920022332 A KR 920022332A KR 950010662 B1 KR950010662 B1 KR 95001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strate
manufacturing
electrode lay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014A (ko
Inventor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주식회사
박경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주식회사, 박경팔 filed Critical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662B1/ko
Publication of KR94001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의 입단면도.
제2도는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기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A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배면기판 12 : 하부전극층
14 : 액정 15 : 전면기판
16 : 상부전극층 110 : 단위 전극패턴
112 : 단자층 120 : 접속층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판에 형성된 전극이 정전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소자는 제1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배면기판(11)의 상면에 소정 패턴의 하부전극층(12)가 형성되고 이와 실링부재(13)에 의해 접합되어 액정(14)이 주입되는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전면기판(15)의 하면에는 상부전극층(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전극층(16)과 하부전극층(12)상에는 액정(14)을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12a)(16a)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액정표시소자는 상기 상하부전극층(16)(12)에 각각 선택적으로 소정의 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이 배향되어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액정표시소자는 대형화되고 고정세화 됨에 따라 전면기판(15)과 배면기판(11)에 형성된 상부전극층(16)과 하부전극층(12)이 미세화되고 조밀화되게 되므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시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러빙공정이나 편광판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상기 전극층이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기판에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전극층을 형성하여 하므로 정전기를 제거하여 왔으나 기판에 별도의 전극층을 형성하여야 이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기판상에 정전기 제거용 전극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배선층의 설계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판상에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전극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배선층의 설치공간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극층의 설계범위를 넓힐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판과, 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소정 패턴의 전극층과 이 전극층에 연결된 단자층을 가지는 단위 전극패턴을 반복하여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원판을 절단하여 단위 전극층에 형성된 기판을 제작하는 기판 제작공정을 포함하여 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극패턴의 각 단자층을 인접하는 단위 전극패턴의 단자층과 접속층에 의해 연결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정표시소자는 제1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배면기판(11)의 상면에 소정 패턴의 하부전극층(12)이 형성되고 이와 실링부재(13)에 의해 접합되어 액정(14)이 주입되는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전면기판(15)의 하면에는 상부전극층(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전극층(16)과 하부전극층(12)상에는 액정(14)을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12a)(16a)이 형성되어 된 것으로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은 그 상면에 소정패턴의 전극층을 형성하여 전면기판과 배면기판을 제조하는 기판 제조 공정과, 이 기판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기판의 상면에 배향막을 도포하는 배향막 도포공정과, 상기 배향막을 러빙(rubbing)하는 러빙공정과,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을 실링부재에 의해 접합시키는 접합공정과,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형성된 폐쇄공간에 액정을 주입하는 액정주입공정을 포함하여 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기판 제조공정은 제2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소정크기의 원판(100)의 상면에 포토 레지스트법에 의해 소정패턴의 전극층(111)과 이 전극층(111)에 소정의 전위를 인가하는 단자층(112)을 구비한 복수개의 단위 전극패턴(11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 전극패턴(110)의 단자층(112)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위 전극패턴(110')의 단자층(112')과 접속층(120)에 상기 접속층(120)은 상기 단자층(112)(112')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그 폭이 상기 단자층(112)(112')보다 좁은 두개의 도전층(120a)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단위 전극패턴층(110)과 접속층(120)이 형성된 원판(110)을 단위 전극패턴층(110) 별로 절단하여 액정표시소자의 기판을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원판상에 형성된 단자층(112)과 인접하는 단자층(112')이 접속층(120)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정전기에 의한 전극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접된 단자층(112)은 인접하는 단자층(112')과 전기적으로 접속층(120)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 전극층(111)의 정전기 서로 상쇄되어 정전기에 의한 방전으로 발생되는 전극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 단자층(112)(112')을 연결하는 접속층(120)은 각 두개의 미세한 도전층 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절단한다 하여도 인접하는 단자층과 전극층에 접속되지 않게 되어 종래에 비해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의 상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전극층이 파손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전극패턴의 파손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의 불량품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원판의 상면에 소정 패턴의 전극층과 이 전극층에 연결된 단자층을 가지는 단위 전극패턴을 반복하여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원판을 절단하여 단위 전극층이 형성된 기판을 제작하는 기판 제작공정을 포함하여 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극패턴(110)의 각 단자층(120)을 인접하는 단위 전극패턴(110')의 단자층(112')과 접속층(120)에 의해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층(120)이 단자층(112)(112')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두개의 도전층(120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20022332A 1992-11-25 1992-11-25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KR95001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332A KR950010662B1 (ko) 1992-11-25 1992-11-25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332A KR950010662B1 (ko) 1992-11-25 1992-11-25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014A KR940012014A (ko) 1994-06-22
KR950010662B1 true KR950010662B1 (ko) 1995-09-21

Family

ID=1934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332A KR950010662B1 (ko) 1992-11-25 1992-11-25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6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014A (ko)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714B1 (ko)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50105B1 (ko) 액정 표시 장치
US5283677A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ground regions between terminal groups
JP2753549B2 (ja) 液晶表示デバイス
US6862066B2 (en) Display device with capacitor formed in a region of the substrate where the drive circuit is mounted
KR10048495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50010662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KR013937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패널의 트랜스퍼 컨택트 형성방법 및 그 구조
KR20010025862A (ko) 액정표시장치
KR100213972B1 (ko) 대면적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682815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3077404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205729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10518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7318879A (ja) 液晶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0477129B1 (ko) 수리선을가진액정표시장치
KR100656898B1 (ko) 데이터 보조선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0118676Y1 (ko) Lcd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박리대전량감소 스테이지구조
KR100720084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JPS6265455A (ja) 表示装置
JP2001021909A (ja) 液晶表示装置
JPH10282525A (ja) 液晶表示装置
JPH03196019A (ja)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200142910Y1 (ko) 액정표시소자
JP3674232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