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956B1 - 천공기용 신속 복귀기구 - Google Patents

천공기용 신속 복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56B1
KR950009956B1 KR1019920015409A KR920015409A KR950009956B1 KR 950009956 B1 KR950009956 B1 KR 950009956B1 KR 1019920015409 A KR1019920015409 A KR 1019920015409A KR 920015409 A KR920015409 A KR 920015409A KR 950009956 B1 KR950009956 B1 KR 95000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gear
clutch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004A (ko
Inventor
오사무 아사노
미찌히로 쇼우지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405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93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40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9311B2/ja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4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by means of clu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28Rotary to intermittent unidirectional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172Reversal of direction of power flow changes power transmission to alternate pa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42Combined gear and clu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79Spur
    • Y10T74/19684Motor and gear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공기용 신속 복귀기구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속 복귀기구를 구비한 천공기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이송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신속 복귀기구의 제1실시예의 수평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신속 복귀시에 있어서의 본 발명 신속 복귀기구의 제1실시예의 수평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속 복귀기구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슬라이딩링의 사시도.
제7도는 이송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신속 복귀기구의 제2실시예의 수평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9-9선에 따른 단면도.
제10도는 신속 복귀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신속 복귀기구의 제2실시예의 수평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11-11선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12-12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입력샤프트 10 : 출력샤프트
13 : 모터(전동기) 16 : 제1대기어
17 : 제1소기어 18,47 : 제1클러치
19 : 증속기어열 20 : 제2대기어
21 : 제2소기어 22,48 : 제2클러치
23 : 감속기어열 25 : 슬라이딩봉
25d : 원통형상의 클러치부 28,34,35 : 가로구멍
28' : 제2가로구멍 29 : 걸어맞춤구멍
29' : 제2걸어맞춤구멍 30 : 걸어맞춤홈
30' : 제2걸어맞춘홈 31,45 : 구
32 : 회전ㆍ직진 변환기구 33 : 슬라이딩링
37 : 돌출부 38,39 : 평면
40 : 경사캠면 41 : 슬라이딩 핀
42 : 제1걸어맞춘홈 44 : 제1가로구멍
46 : 제1걸어맞춤구멍
본 발명은 이송모터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자동이송과 자동 신속복귀를 행하게 하는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공기에 있어서도 전기드릴의 자동이송과 자동 복귀는 이송모터의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지고 있었다. 이송모터의 회전속도는 이 이송모터를 전압제어하여 가공을 위한 이송시에는 이송모터를 저속도로 회전시켜서 전기드릴을 천천히 강하시키고 신속복귀시에는 이송모터를 전속력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드릴을 급속하게 복귀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이송모터를 전압제어할 경우는 전기드릴을 급속히 복귀하는 속도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근년, 인력이 부족되어 있어,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공작업에 고능률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천공기에 있어서는 천공작업후의 전기드릴의 복귀속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일본국 공해특허공보 평성 1년 제240210호는 고속비 감속장치의 입력축 및 출력축에 각각 일방향 클러치와 맞물림클러치를 설치하고, 이 맞물림클러치를 서로 걸어맞추는 경사걸어맞춤면을 갖고 있고 일정 토오크가 걸렸을때에 이들 경사걸어맞춤면의 사이에 슬립이 생겨서 서로 이탈되는 2개의 클러치편으로 구성하고, 이송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송하는 경우와 신속복귀의 경우에서 다른 루트에 의하여 전달하여, 종래의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한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지예에서는 맞물림클러치를 구성하는 2개의 클러치편이 서로 슬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장이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기술에 따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전기드릴의 복귀속도를 높여줌과 함께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드릴의 정확한 속도전환을 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기초한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는, 이송방향 및 이것과 반대의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입력샤프트와, 이 입력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병행설치된 출력샤프트와, 입력샤프트와 같은 축에 가설된 제1대기어와 이것에 맞물리고 상기 출력샤프트와 같은 축에 가설된 제1소기어로 구성된 증속기어열과, 입력샤프트와 같은 축에 가설된 제2소기어와 이것에 맞물리고 상기 출력축과 같은 축에 고정된 제2대기어로 구성된 감속기어열과,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출력샤프트를 회전시켜, 회전을 상기 입력샤프트의 축방향의 직진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ㆍ직진 변환기구와, 입력샤프트가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할때에 상기 증속기어열을 거쳐 상기 입력샤프트와 상기 출력축과를 결합하는 제1클러치와, 회전ㆍ직진 변환기구에 의하여 상기 입력샤프트의 축방향의 제1 및 제2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입력샤프트가 이송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제1위치에서 상기 입력샤프트에 상기 제2소기어를 접속시키고, 상기 입력샤프트가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제2위치에서 상기 입력샤프트로부터 상기 제2소기어를 이탈시키는 제2클러치로 구성된다.
모터가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ㆍ직전 변환기구에 의하여 제2클러치가 제1위치에 설정되어서 제2소기어를 입력샤프트에 결합시키고, 입력샤프트의 회전이 감속기어열을 개재하여 출력샤프트에 전달되고, 다시 감속장치를 개재하여 천공기의 슬라이드판을 천천히 하강시켜서, 전기드릴에 절삭이송을 부여한다. 전기드릴에 의한 절삭이 완료하면, 모터가 역전하여 신속복귀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러면, 회전ㆍ직전 변환기구에 의하여, 제2클러치가 제2위치에 설정되어서 제2소기어를 입력샤프트로부터 분리하고, 감속기어열을 개재하여서는 입력샤프트의 회전이 출력샤프트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 경우는 제1클러치가 ON상태가 되어 증속기어열을 개재하여 입력샤프트의 회전을 증속시켜서 출력축에 전달한다. 이 때문에 출력축은 고속으로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하고, 슬라이드판을 급속하게 상승시켜 전기드릴을 고속으로 복귀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적절히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속복귀기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천공기에 내장되어 있다. 이 천공기는 하단부가 마그네트베이스(2)로 된 천공기 본체(1)와, 천공기 본체(1)의 정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판(3)과, 슬라이드판(3)에 지지된 전기드릴(4)을 보유한다.
전기드릴(4)은, 그것의 스핀들(6)에 하향으로 설치되고, 드릴 구동모터(도시없음)에 의하여 고속회전되는 환형절단도(5)가 있다. 이 환형절단도(5)는 마그네트베이스(2)의 전축 상면으로부터 수평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브래킷(7)에 의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천공기 본체(1)의 축면에 기어박스(8)가 설치되고, 이 속에 슬라이드판(3)을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도시없는 모터 및 기타의 필요요소가 내장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신속복귀장치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이송시에 있어서의 수평단면도이고, 입력샤프트(9)와 출력샤프트(10)가 각각 축받이(11 및 12)에 의하여 천공기본체(1)의 하우징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력샤프트(9)에 정역 회전가능한 모터(전동기)(13)의 회전축에 형성된 피니언(14)에 맞물리는 입력기어(15)가 같은 축에 또한 입력샤프트(9)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가설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입력샤프트(9)는 모터(13)에 의하여, 입력기어(15)와 후술하는 회전ㆍ직진 변환기구를 개재하여 이송방향 및 그 반대의 신속 이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1대기어(16)가 입력샤프트(9)에 같은 축에 고정되어 있고, 출력샤프트(10)에 같은 축에 제1소기어(17)가 제1클러치를 구성하는 일방향 클러치(18)를 개재하여 가설되어 있다. 이 일방향 클러치(제1클러치)(18)는 입력샤프트(9)에 의하여 제1대기어(16)가 신속 이송방향으로 회전할때에 제1소기어(17)를 출력샤프트(10)에 접속하고, 입력샤프트(9) 나아가서는 제1대기어(16)가 이송방향으로 회전할때에는 제1소기어(17)를 출력샤프트(10)에서 이탈시키고 제1속어(17)를 출력샤프트(10)에 대하여 공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대기어(16)와 제1소기어(17)는 증속기어열(19)을 구성한다. 출력샤프트(10)의 자유단은 조화구동기구 등의 감속장치(도시없음)에 접속되어 천공기의 슬라이드판(3)을 상하시킨다.
제2대기어(20)가 출력샤프트(10)와 같은 축에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맞물리는 제2소기어(21)가 제2클러치인 이동클러치(22)를 개재하여 입력샤프트(9)와 같은 축에 가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대기어(20)와 제2소기어(21)와는 감속기어열(23)을 구성한다.
다음은, 이동클러치(제2클러치)(22)를 설명한다.
입력샤프트(9)내에 그 전동기(13)와 반대측의 자유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 축구멍(24)이 이어져 있고, 그 모터(13) 축의 부분은 소내 경부(24a)에, 그것과 반대측의 부분은 대내경부(24a)에, 양부분(24a 및 24b)의 사이는 단턱부(24c)로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24)내에, 축구멍(24)의 소내경부(24a) 및 대내경부(24b)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외경을 가지고 있는 각각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소외경부(25a) 및 대외경부(25b)와 양외경부(25a 및 25b) 사이에 규정되는 단턱부(25c)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봉(25)이 삽입되어 있다. 축구멍(24)의 자유단내에 고정된 지지링(26)과 슬라이딩봉(25)의 대외경부(25b)와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코일스프링(27)에 의하여, 이 슬라이딩봉(25)은, 항상 모터(13)의 쪽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송회전의 경우는 슬라이딩봉(25)의 단턱부(25c)는 축구멍(24)의 단턱부(24c)에 압접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샤프트(9)의 제2소기어(21)의 내면에 면하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치하여 입력샤프트(9)를 관통하는 1쌍의 가로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제2소기어(21)의 내주면의 가로구멍(28)에 대응하는 영역에 직경방향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1쌍의 걸어맞춤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딩봉(25)의 대외경부(25b)의 외주의, 가로구멍(28)의 모터(13)측에 접근된 부분에 환형상의 걸어맞춤홈(30)이 형성되어 있다(제2도 및 제4도).
가로구멍(28)에 이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진 구(31)가 장전되어 있다. 이들 구(31)는, 이송회전시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샤프트(9)의 모터(13)와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클러치부(25d)의 외주면에 밀려서 대응한 걸어맞춤구멍(29)에 끼워 맞고(이때의 슬라이딩봉(25)의 위치를 제1위치라고 함), 입력샤프트(9)에 제2소기어(21)를 접속한다. 또한, 이들 구(31)는, 신속복귀회전시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어맞춤홈(30)에 끼워맞추어서, 제2소기어(21)를 입력샤프트(9)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이때의 슬라이딩봉(25)의 위치를 제2위치라고 함). 바꾸어말하면, 이송회전시에는 이동클러치(제2클러치)(22)가 ON이 되고, 신속복귀회전시에는 이것이 OFF가 된다. 더욱이, 이동클러치(제2클러치)(22)는 상술한 바와같이 슬라이딩봉(25)의 이동에 따라서 ON 및 OFF하므로 이동클러치라고 명명한 것이다.
제2도,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ㆍ직진 변환기구(32)는 슬라이딩링(33)를 포함한다. 이 슬라이딩링(33)은, 입력샤프트(9)의, 모터(13) 축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슬라이딩링(33)은 서로 직경방향 반대측에 위치하여 반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된 1쌍의 가로구멍(34)을 갖고 있다. 이들 가로구멍(34)과 입력샤프트(9)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광폭이며 중간부가 축구멍(24)에 연통하는 가로구멍(35)에 핀(36)이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링33)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 입력샤프트(9)를 공동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슬라이딩봉(25)의 소외경부(25a)가 핀(36)의 축면에 압축코일스프링(27)에 의하여 압접되었다.
슬라이딩링(33)은, 슬라이딩링(33)의 모터(13)측의 단부(33b)에 있어, (쌍의 돌출부의) 각각이 가로구멍(34)을 사이에 끼우고 슬라이딩링(33)의 반경방향으로 평행하는 두 평행 평면(38 및 39)을 갖고 상호 직경방향 반대방향에 위치하면서 모터(13)쪽으로 돌출하는 1쌍의 돌출부(37)와, 각 돌출부(37)의 이송방향축의 평면(38)의 근원(루우트)으로부터 타방 돌출부(37)의 이송방향축과 반대측의 평면(39)의 근원까지 점차적으로 모터(13)측으로 내미는(돌출하는) 경사캠면(4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양 경사캠면(40)은 축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경사캠면(40)의 양정(lift)은 슬라이딩봉(25)의 제1위치와 제2위치와의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다.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기어(15)로부터 직경방향 반대측에 위치하는 1쌍의 슬라이딩핀(41)이 슬라이딩링(33)축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들의 자유단이 슬라이딩링(33)의 대응하는 경사캠면(40)에 슬라이딩 접촉되고 있다.
다음에 제1실시예의 이송회전시의 작동에 대하여 기술한다.
모터(13)가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선 피니언(14)을 개재하여 입력기어(15)가 이송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슬라이딩핀(41)도 슬라이딩링(33)의 경사캠면(40)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슬라이딩링(33)의 이송방향축과 반대측의 평면(3a)에 맞닿는다. 이 결과 슬라이딩봉(25)은 슬라이딩핀(41)에 의하여 제1위치로 움직여져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31)가 슬라이딩봉(25)의 클러치부(25d)에 밀려서 제2소기어(21)의 걸어맞춤구멍(29)에 끼워넣어진다. 이에 의하여 입력샤프트(9)에 제2소기어(21)가 접속되고, 이동클러치(제2클러치)(22)가 ON 된다.
더욱이, 모터(13)에 의하여 입력기어(15)가 이송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면, 평면(39)에 맞닿아 잇는 슬라이딩핀(41)을 개재하여 슬라이딩링(33)도 이송방향으로 회전되고, 이것에 의하여 입력샤프트(9)도 이송방향으로 회전된다. 입력샤프트(9)의 이 이송방향의 회전은 ON되어 있는 이동클러치(제2클러치)(22) 및 감속기어열(23)(즉, 제2소기어(21) 및 제2대기어(20))을 개재하여 감속되어서 출력샤프트(10)에 전달된다. 이 경우 제1클러치인 일방향 클러치(18)는 오프되어 있으므로 제1소기어(17)는 출력샤프트(10)의 주위를 공회전하기 때문에 증속기어열(19)을 개재하여서는 입력샤프트(9)의 회전이 출력샤프트(10)에 전달되지 아니한다.
출력샤프트(10)의 감속된 회전은 다시 조화구동기구등의 감속기구를 개재하여 천공기의 슬라이드판(3)을 천천히 하강시켜 전기드릴(4)에 절삭가공을 하게 한다.
한편, 제1실시예의 신속복귀는 다음과 같이하여 행해진다.
전기드릴(4)에 의한 가공이 종료되면, 모터(13)는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되고, 입력기어(15)도 그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된다. 슬라이딩핀(41)은 이번에는 경사캠면(40)위를 이송방향과 반대의 평면, 즉 신속복귀방향축의 평면(39)으로부터 이송방향축의 평면, 즉, 신속 복귀방향과 반대측의 평면(38)축으로 이동하고, 이들 평면(38)에 닿는다. 이 단계에서 슬라이딩링(33)은 모터(13)측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딩봉(25)이 압축코일스프링(37)에 의하여 제2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하여, 구(31)가 슬라이딩봉(25)의 걸어맞춤홈(30)에 걸어맞추어지고, 제2소기어(21)를 입력샤프트(9)에서 이탈시킨다.
즉, 이동클러치(제2클러치)(22)는 OFF가 된다. 이 결과 제2속어(21)는 입력샤프트(9)에 대하여 공회전상태가 되어 감속기어열(23)을 거쳐서는 입력샤프트(9)의 복귀회전이 출력샤프트(10)에 전달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입력샤프트(9)의 신속복귀회전때에는 일방향 클러치(제1클러치)(18)가 제1소기어(17)를 출력샤프트(10)에 결합함으로써, 입력샤프트(9)의 복귀회전은 증속기어열(19), 즉, 제1대기어(16) 및 제1소기어(17)를 개재하여 증속되어서 출력샤프트(10)에 전달된다. 이 결과, 증속된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출력샤프트(10)는 천공기의 슬라이드판(3)을 급속하게 상승시켜 전기드릴(4)을 신속복귀시킨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이송시의 피니언(14)의 회전수를 N1rpm(좌회전), 신속복귀시의 피니언(14)의 회전수를 N2rpm(우회전), 피니언(14)과 입력기어(15)와의 사이의 감속비를 i1, 감속기어열(23)의 감속비를 i2, 증속기어열(19)의 증속비를 i3이라 하고, 이송회전시의 입력샤프트(9) 및 출력샤프트(10)의 회전수를, 각각 Nif및 Nof(rpm)로 하고, 신속복귀시의 입력샤프트(9) 및 출력샤프트(10)의 회전수를, 각각 Nir및 Nor(rpm)로 하면,
Nif=N1/i1(우회전)
Nof=N1/(i1×i2)(좌회전)
또,
Nir=N2/i1(좌회전)
Nor=(N2/i1)×i3(우회전)
이 된다.
제6도 및 제7도 내지 제12도에 본 발명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증속기어열(19)에 있어서, 제1소기어(17)는 출력샤프트(10)와 같은 축에 고정되어 있고, 제1대기어(16)는 입력샤프트(9)에 공축으로 또한 회전가능하게 가설되어 있다.
증속기어열(19)용의 클러치(즉 제1클러치)와 감속기어열(23)용의 클러치(즉 제2클러치)는 공통의 슬라이딩봉(25)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봉(25)은, 모터(13)의 반대측에서 순차로 환형상의 제1걸어맞춤홈(42), 슬라이딩봉(25)의 대외경부(25b)에 동등한 외경을 가지고 있고 제1실시예의 클러치부(25d)와 동일구조의 클러치부(25d), 및 제1실시예의 걸어맞춤홈(30)과 동일구조의 환형상의 제2걸어맞춤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샤프트(9)에는 모터(13)와 반대측에서 순차로 직경방향 반대측에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입력샤프트(9)를 관통하는 1쌍의 제1가로구멍(44)과, 제1실시예의 가로구멍(28)과 동일구조의 1쌍의 제2가로구멍(28')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가로구멍(44) 및 제2가로구멍(28')에는 각각 그들보다도 약간 소경의 구(45 및 31)가 끼워져 장치되었다.
슬라이딩봉(25)의 제1위치에 있어서는 구(45)가 제1걸어맞춤홈(42)에 받아들여지고, 제1대기어(16)를 입력샤프트(9)에서 이탈시키고 있지만, 구(31)는 클러치부(25d)에 압압되어서 제2소기어(21)의 내주면의 직경방향 반대방향에 떨어져서 형성된 1쌍의 걸어맞춤구멍(29')에 끼워 장치된다.
또, 슬라이딩봉(25)의 제2위치에서는 구(45)가 클러치부(25d)에 압압되어서, 제1대기어(16)의 내주면에 형성된, 직경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된 1상의 걸어맞춤구멍(46)에 받아들여져서 제1대기어(16)를 입력샤프트(9)에 접속시키지만, 구(31)는 제2걸어맞춤홈(30)에 받아들여진다. 걸어맞춤구멍(46, 29')을 구별하기 위해 걸어맞춤구멍(46)을 제1걸어맞춤구멍, 걸어맞춤구멍(29')을 제2걸어맞춤구멍이라 명명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봉(25), 슬라이딩봉(25)의 제1걸어맞춤홈(42)과 클러치부(25d), 입력샤프트(9)의 제1가로구멍(44)내의 구(45) 및 제1대기어(16)의 걸어맞춤구멍(46)은 증속기어열(19)용의 제1클러치(47)를 구성하고, 슬라이딩봉(25), 슬라이딩봉(25)의 제2걸어맞춤홈(30')과 클러치부(25d), 입력샤프트(9)의 제2가로구멍(28')내의 구(31) 및 제2소기어(21)의 제2걸어맞춤구멍(29')은 감속기어열(23)용의 제2클러치(48)를 구성한다.
기타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 및 부품에는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표시하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제2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13)가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실시예의 이송회전의 경우와 동일하게 회전ㆍ직진 변환기구(32)에 의하여 슬라이딩봉(25)이 제1위치에 설정된다. 이 위치에서는 이미 상술한 바와같이 제2소기어(21)가 입력샤프트(9)에 접속되어 있고, 제1대기어(16)가 입력샤프트(9)로부터 이탈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샤프트(9)의 이송방향의 회전은 감속기어열(23)를 개재하여 출력샤프트(10)에 감속하여 전달되어, 천공기상의 전기드릴(4)을 가공 이송한다.
전기드릴(4)에 의한 가공이 종료되고, 모터(13)가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회전ㆍ직진 변환기구(32)에 의하여 슬라이딩봉(25)이 제2위치에 설정된다. 이 위치에서는 이거도 이미 상술한 바와같이 제1대기어(16)가 입력샤프트(9)에 접속되고, 제2소기어(21)가 입력샤프트(9)에서 이탈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샤프트(9)의 신속복귀방향의 회전은 증속기어열(19)을 개재하여 출력샤프트(10)에 증속되어서 전달되고, 전기드릴(4)을 신속복귀시킨다.
이송시 및 신속복귀시의 입력샤프트(9)와 출력샤프트(10)의 사이의 회전속도 및 그들의 회전방향의 관계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의 2개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가로구멍(28'), 제1가로구멍(44), 제2걸어맞춤구멍(29'), 걸어맞춤구멍(46), 구(31), 돌출부(37), 경사캠면(40) 및 슬라이딩핀(42) 각각의 수는 2개로 하여 표시되어 있지만 1개 이어도 3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Claims (5)

  1. 이송방향 및 이것과 반대의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13)와 ;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입력샤프트(9)와, 이 입력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병행설치 출력샤프트(10)와 ; 상기 입력샤프트와 같은 축에 가설된 제1대기어(16)와 이것에 맞물리고 상기 출력샤프트와 같은 축에 가설된 제1소기어(17)로 구성된 증속기어열(19)과 ; 상기 입력샤프트와 같은 축에 가설된 제2소기어(21)와 이것에 맞물리고 상기 출력축과 같은 축에 고정된 제2대기어(20)로 구성된 감속기어열(23)과를 포함하는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출력샤프트를 회전시켜, 회전을 상기 입력샤프트의 축방향의 직진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ㆍ직진 변환기구(32)와 ; 상기 입력샤프트가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할때에 상기 증속기어열을 거쳐 상기 입력샤프트와 상기 출력축과를 결합하는 제1클러치(18 ; 47)와 ; 상기 회전ㆍ직진 변환기구에 의하여 상기 입력샤프트의 축방향의 제1 및 제2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입력샤프트가 이송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제1위치에서 상기 입력샤프트에 상기 제2소기어를 접속시키고, 상기 입력샤프트가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제2위치에서 상기 입력샤프트로부터 상기 제2소기어를 이탈시키는 제2클러치(22 ; 48)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18)는 상기 출력샤프트(10)와 상기 제1소기어(17)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샤프트(9)가 신속복귀방향으로 회전할때에 상기 제1소기어를 상기 출력샤프트에 결합하는 일방향 클러치이고, 상기 제2클러치(22)는, (a) 상기 제2소기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구멍(29)과, (b) 이 걸어맞춤구멍에 정합하고 상기 입력샤프트(9)에 관설된 적어도 1개의 가로구멍(28)과, (c) 이 가로구멍에 끼워 장치된 구(31)와, (d) 상기 입력샤프트(9)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ㆍ직진변환기구(32)에 의하여, 상기 입력샤프트(9)가 이송회전되는 경우는 상기 제1위치에 설정되며, 상기 회전ㆍ직진 변환기구(32)에 의하여, 상기 입력샤프트(9)가 신속 복귀 회전되는 경우는 상기 제2위치에 설정되는 슬라이딩봉(25)을 구비하며, 이 슬라이딩봉(25)은, 슬라이딩봉(25)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가로구멍(28)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31)를 눌러서 상기 걸어맞춤구멍(29)에 걸어맞추는 원통형의 클러치부(25d)와 슬라이딩봉(25)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가로구멍(28)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31)를 받아들이는 걸어맞춤홈(3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ㆍ직진 변환기구(32)는, (1) 상기 입력샤프트(9)와 함께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이 입력샤프트(9)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봉(25)의 일단에 항상 접하는 일단부(33a)를 가진 슬라이딩링(33)으로서, (a) 양축면을 규정하는 2평면(38,39)을 갖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링의 타단부(33b)로부터 이 슬라이딩링의 축방향으로 뻗는 적어도 1개의 돌출부(37)와, (b) 상기 제1 및 제2위치간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양정을 갖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향한 상기 평면(38)으로부터 이 이송방향과 반대측을 향한 평면(39)쪽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타단부(33b)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1개의 경사캠면(40)을 가지는 것과, (2) 상기 슬라이딩링의 축방향으로 뻗고 모터(19)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링의 축의 주위로 회전되어 상기 경사캠면(40)에 걸어맞춤하는 동시에 회전에 따라 상기 양평면(38,39)에 선택적으로 맞닿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딩핀(41)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기어(16)는 그 내주면에 적어도 1개의 제1걸어맞춤구멍(46)이 형성되며 ; 상기 제2소기어(21)는 그 내주면에 적어도 1개의 제2걸어맞춤구멍(29')이 형성되며 ; 상기 입력샤프트(9)에는, 제1걸어맞춤구멍에 정합하고 구(45)가 끼워진 적어도 1개의 제1가로구멍(44) 및 제2맞춤구멍에 정합하고 구(31)가 끼워진 적어도 1개의 제2가로구멍(28')이 관통설치되어 있으며 ; 상기 슬라이딩봉(25)은, 상기 입력샤프트(9)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ㆍ직진 변환기구(32)에 의하여, 상기 입력샤프트(9)가 이송회전을 할 경우는 상기 제1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입력샤프트(9)가 신속복귀회전을 하는 경우는 상기 제2위치에 설정되며, 또한 슬라이딩봉은, (a)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제1가로구멍(44)에 정합하고 상기 제1가로구멍내의 상기 구(45)를 받는 제1걸어맞춤홈(42) 및 제2가로구멍(28')에 정합하고 이 제2가로구멍(28)내의 상기 구(31)를 눌러서 상기 제2걸어맞춤구멍(29')에 끼워맞추며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가로구멍에 정합하고 상기 제1가로구멍(44)내의 상기 구(45)를 눌러서 상기 제1걸어맞춤구멍(46)에 끼워맞추게 하는 클러치부(25d)와, (b) 상기 제2가로구멍에 정합하고 상기 제2가로구멍(28')내의 상기 구(31)를 받는 제2걸어맞춤홈(30')를 갖고 ; 상기 제1클러치(47)는, 상기 슬라이딩봉(25)과, 상기 제1걸어맞춤홈(42), 상기 클러치부(25d), 상기 제1가로구멍(44)내의 상기 구(45) 및 상기 제1걸어맞춤구멍(46)으로 구성되며 ; 상기 제2클러치(48)는, 상기 슬라이딩봉(25)과, 상기 제2걸어맞춤홈(30'), 상기 클러치부(25d), 상기 제2가로구멍(28')내의 상기 구(31) 및 상기 제2걸어맞춤구멍(2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ㆍ직진 변환기구(32)는, (1) 상기 입력샤프트(9)와 함께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이 입력샤프트(9)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봉(25)의 일단에 항상 접하는 일단부(33a)를 가진 슬라이딩링(33)으로서, (a) 양축면을 규정하는 2평면(38,39)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링의 타단부(33b)로부터 이 슬라이딩링의 축방향으로 뻗는 적어도 1개의 돌출부(37)와, (b) 상기 제1 및 제2위치간의 거리에 실질적으로 동등한 양정을 가지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향하는 상기 평면(38)으로부터 이 이송방향과 반대측을 향하는 상기 평면(39)쪽으로 이행해감에 따라서 상기 타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1개의 경사캠면(40)을 갖는 것과, (2) 상기 슬라이딩링의 축방향으로 뻗고 상기 모터(13)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링의 축주위로 회전되어 상기 경사캠면(40)에 걸어맞춤하는 동시에 회전에 따라 상기 양평면(38, 39)에 선택적으로 맞닿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딩핀(41)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신속복귀기구.
KR1019920015409A 1991-08-27 1992-08-26 천공기용 신속 복귀기구 KR950009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0589A JP2619312B2 (ja) 1991-08-27 1991-08-27 穿孔機の早戻し機構
JP91-240588 1991-08-27
JP3240588A JP2619311B2 (ja) 1991-08-27 1991-08-27 穿孔機の早戻し機構
JP91-240589 1991-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04A KR930004004A (ko) 1993-03-22
KR950009956B1 true KR950009956B1 (ko) 1995-09-04

Family

ID=2653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409A KR950009956B1 (ko) 1991-08-27 1992-08-26 천공기용 신속 복귀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33887A (ko)
EP (1) EP0529457B1 (ko)
KR (1) KR950009956B1 (ko)
AU (1) AU644305B2 (ko)
DE (1) DE69201840T2 (ko)
TW (1) TW197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6818B1 (en) 1995-06-07 2001-01-23 Ranpak Corp.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cushioning conversion method and method of assembling a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AU6327696A (en) * 1995-06-07 1996-12-30 Ranpak Corp.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with single feed/cut motor
US8157628B2 (en) * 2005-03-01 2012-04-17 Building Materials Investments Corporation Baffled roll vent
CN102729091B (zh) * 2012-06-12 2016-03-02 滕州市喜力机床有限责任公司 龙门铣床工作台进给箱
CN103453040A (zh) * 2013-09-05 2013-12-18 浙江联宜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伺服同步攻丝机的离合器装置
CN105108622A (zh) * 2015-09-02 2015-12-02 苏州普洛代尔机电有限公司 抛光单元快速归位抛光机
US20170198784A1 (en) * 2016-01-12 2017-07-13 Hanon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orque in an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02994B2 (de) * 1967-10-07 1972-05-18 Tiefbohr-Technik GmbH & Co, 7417Dettingen Vorschubeinrichtung fuer langgestreckte teile an werkzeugmaschinen
US3927580A (en) * 1971-07-02 1975-12-23 Lewmar Marine Ltd Disengaging clutch systems for a three-speed winch
AU7519174A (en) * 1973-11-12 1976-05-13 Barwin Pty Ltd Variable speed winch
JPS5663156A (en) * 1979-10-23 1981-05-29 Kamizaki Kokyu Koki Seisakusho Kk Speed change transmission gear
AT375858B (de) * 1981-09-11 1984-09-25 Voest Alpine Ag Antriebsanordnung fuer die vorschub- und gewindeschneidbewegung des werkzeugschlittens von drehmaschinen
JPH01240210A (ja) * 1988-03-18 1989-09-25 Hitachi Koki Co Ltd 自動磁気ボール盤の早戻し機構
JPH0379207U (ko) * 1989-12-01 1991-08-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106192A (en) 1993-03-25
EP0529457A1 (en) 1993-03-03
DE69201840D1 (de) 1995-05-04
DE69201840T2 (de) 1995-11-16
KR930004004A (ko) 1993-03-22
EP0529457B1 (en) 1995-03-29
AU644305B2 (en) 1993-12-02
US5233887A (en) 1993-08-10
TW197971B (ko) 199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236Y1 (ko) 전동 공구용 변속기구
CN104646724A (zh) 多速摆线传动
JPS5859711A (ja) 回転式電動工具の変速装置
US3178956A (en) Two-speed power tool transmission
EP0666145A1 (en) Clutch mechanism in power driven screwdriver
KR950009956B1 (ko) 천공기용 신속 복귀기구
JPS6218284B2 (ko)
US2942490A (en) Two-speed transmission for portable power-operated tool
JP3390821B2 (ja) 噛み合いクラッチ
US2273807A (en) Speed-change gearing
CN215370931U (zh) 一种双向传动变速机构
US3145401A (en) Lead screw operated tapping spindle with quick acting reversing means
DE3068882D1 (en) Drilling and tapping machine
KR20050110437A (ko) 리벳팅 머시인
JP2619311B2 (ja) 穿孔機の早戻し機構
TWI308882B (en) Structure of a power tool turret mechanism with twin knife discs
RU1811999C (ru) Ручна сверлильна машина
JPH0750103Y2 (ja) 孔加工装置
JP2631416B2 (ja) 自動旋盤の主軸台
KR100392205B1 (ko) 드릴링-탭핑 머신의 접점식 회전제어장치
JP2619312B2 (ja) 穿孔機の早戻し機構
KR830000303Y1 (ko) 볼반(Ball盤)의 주축(主軸) 이송장치
KR940005295Y1 (ko) 자동 정, 역회전식 태핑머신
JPH0340492Y2 (ko)
JPH02301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