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951B1 - 보오링바이트 - Google Patents

보오링바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51B1
KR950009951B1 KR1019900007266A KR900007266A KR950009951B1 KR 950009951 B1 KR950009951 B1 KR 950009951B1 KR 1019900007266 A KR1019900007266 A KR 1019900007266A KR 900007266 A KR900007266 A KR 900007266A KR 950009951 B1 KR950009951 B1 KR 950009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neck
diameter
neck portion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278A (ko
Inventor
오사무 쯔지무라
마사아끼 나까야마
마사유기 오오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오링바이트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Ⅰ방향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Ⅱ방향에서 본 도면.
제4도~제6도는 상기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4도는 평면도.
제5도는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중 Ⅲ-Ⅲ선 단면도.
제7도는 실험예에 있어서의 절삭형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8도~제10도는 종래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8도는 평면도.
제9도는 정면도.
제10도는 측면도.
제11도~제13도는 다른 종래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1도는 평면도.
제12도는 정면도.
제13도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로우에웨이팁 11 : 칼날부
12 : 목부분 13 : 섕크
14 : 절삭날
본 발명은 선삭가공에 있어서, 피삭재의 내경가공을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보오링바이트에 관한다.
종래, 이런 종류의 보오링바이트로서는 예컨대, 제8도~제10도 또는 제11도~제13도에 표시하듯이, 앞쪽 끝의 한쪽부분에 드로우웨이팁(이하, 팁이라 약칭함)(1)이 장착된 칼날부(2)와, 이 칼날부(2)의 뒤쪽끝에 형성된 원주형상의 목부분(3)과 이 목부분(3)의 뒤쪽끝에 형성된 대략 원주형상의 섕크(4)로서 개략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팁(1)은 평면으로 보아 대략 마름모형을 이루는 것으로, 대향하는 두 각부에 형성된 절삭날(5)의 어느 한쪽이 상기한 칼날부(2)의 앞쪽끝 및 외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상기한 칼날부(2)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한 목부분(3)의 직경(d1)은 상기한 섕크(4)의 직경(d2)보다 작고, 즉, 상기한 칼날부(2)와 동일한 직경(제8도) 또는 칼날부(2)보다도 직경이 작게(제11도) 설정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칼날부(2)의 섕크축선 방향으로부터의 정면에서 보았을때 섕크축선(0)에서 팁(1)의 절삭날(5)까지의 거리(S)에 대하여 1.4S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한 칼날부(2)에는 상기한 절삭날(5)에서 생성되는 칩을 지체없이 배출시키기 위한 칩포켓(7)이 형성되고, 이 칩포켓(7)의 앞쪽끝부분은 상기한 팁(1)의 면(6)과 대략 한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오링바이트를 사용하여 피삭재의 내경가공, 즉 피삭재에 이미 형성된 구멍부를 확대하는 데는, 먼저 섕크(4)를 도시하지 않은 홀더를 통하여 공작기계의 공구고정부(예컨대, 선반의 심압대)에 장착하는 한편, 상기한 피삭재를 공작기계의 워크고정부(예컨대, 선반의 척)에는 그 구멍부의 축선이 상기한 섕크(4)의 축선(0)과 평행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한 피삭재를 그 구멍부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공작기계의 공구고정부와 워크고정부 사이에 상기한 섕크(4)의 축선방향에 상대운동을 부여하여 상기한 칼날부(2) 및 목부분(3)을 상기한 피삭재의 구멍부에 삽입해 감에 의하여, 팁(1)의 절삭날(5)로 피삭재의 구멍부를 절삭하여 소정치수로 확대시켜 간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보오링바이트를 사용한 내경가공에 있어서는 보오링바이트의 칼날부(2) 및 목부분(3)이 공작기계의 공구고정부에서 돌출한 소위 한쪽으로 치우친 지지의 상태로서 절삭이 실시되므로, 절삭중에 상기한 칼날부(2)에서 목부분(3)에 걸친 부분에 채터 진동이 발생되기 쉽고, 이 때문에, 절삭면의 면조도의 열화나 절삭날의 결손 등의 사고를 초래하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목부분(3)과 섕크(4)를 초경합금으로 일체화하여 칼날부(2)와 경납땜 한다든지, 또는 목부분(3)의 직경(d1)에 비하여 섕크(4)의 직경(d2)을 가급적 크게 형성하는 등, 공구강성이나 섕크(4)의 부착강성의 향상을 도모함에 의하여 채터 진동의 진폭을 억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수단에서는, 강성이 일정한 한도를 초과하면, 강성을 향상시켜도 채터진동이 기대한 정도로 감소되지 않고, 그 효과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초경합금의 다량사용에 의하여 원료원가가 현저하게 상승한다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와는 상이한 신규한 구조를 보유하는 방진성능의 우수한 보오링바이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오링바이트는 목부분을 상기한 섕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 보았을때 단면형상이 상기한 섕크의 단면의 원호와 같은 축의 원호를 이루는 축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목부분의 단면의 단면적이 섕크의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지 않은 범위내에서 그 목부분의 앞쪽끝에서 뒤쪽끝으로 나아감에 따라 점차 감소시킨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목부분 보다도 섕크의 단면적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그 보오링바이트를 공작기계에 한쪽으로 치우친 지지의 상태로 장착한 경우에 지지단쪽으로 이루어진 섕크축의 강성이 목부분의 앞쪽끝 보다도 저하되어 전체의 구조가 각부의 질량 또는 강성(환언하면, 스프링 정수)에 따라 상이한 진동이 발생되기 쉬운 유연한 구조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목부분의 단면적의 변화에 수반하여 목부분 각부의 질량의 섕크로 나아감에 따라서 감소되므로, 절삭저항의 변동에 수반하여 발생된 진동은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고, 칼날부에서 목부분의 끝부분에 걸친 부분에는 각부의 질량에 따라 상이한 진동이 발생되어, 이들이 서로 상쇄됨으로써 채터 진동의 성장이 저지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목부분의 단면적 즉, 직경이 목부분의 앞쪽끝에서 뒤쪽끝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 감소되므로 절삭시에 있어서의 피삭재의 구멍부 내벽과 목부분 외주면과의 직경방향의 간극은 가공이 진행됨에 따라, 즉, 목부분이 피삭재의 구멍부에 깊게 삽입됨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원주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 확대된다. 이 때문에 절삭날에서 목부분 외주쪽으로 배출되는 칩은 상기한 간극을 통하여 구멍부에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되므로, 이 결과, 특히, 가공깊이가 깊은 경우의 칩배출성이 향상되어, 칩막힘에 의한 가공면의 손상이나 절삭날의 결손 등의 사고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제1도~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의 보오링바이트는 앞쪽끝의 한쪽부분에 팁(10)이 장착된 칼날부(11)의 뒤쪽끝에 목부분(12) 및 대략 원주형상을 이루는 섕크(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도~제3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팁(10)은 초경합금을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대향하는 두 각부로 형성된 절삭날(14)의 어느 한쪽이 상기한 칼날부(11)의 앞쪽끝 및 외주에서 돌출된 상태로, 또한 그의 경사면(10a)에 정(正)의 경사각이 부여된 상태로 칼날부(11)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절삭날(14)의 높이는 그 팁(10)의 측면(제3도)에서 보아 상기한 섕크(13)의 축선(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칼날부(11)는 원주체의 일부에 그 보오링바이트의 앞쪽끝 및 윗쪽을 향하여 개구하는 칩포켓(1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 칩포켓(15)은 상기한 팁(10)의 경사면(10a)에 따라서 성장하는 칩을 지체없이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그 벽면은 상기한 섕크(13)의 축선(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된 앞쪽끝 부분에서 칼날부(11)의 뒤쪽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 윗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칩포켓(15)의 상기한 팁(10)의 뒤쪽에 면하는 위치에는 상기한 목부분(12)의 앞쪽끝 외주면의 팁(10)에 면하는 쪽에 열린 오목부(16)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상기한 팁 경사면(10a)과 대략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목부분(12)은 칼날부(11)에 연속되는 앞쪽끝부분에서 상기한 섕크(13)에 연속되는 뒤쪽으로 나아감에 따라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목부분(12)의 상기한 섕크축선(0)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단면은 상기한 섕크(13)의 단면의 외주원호와 동축을 이루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목부분(12) 각부의 직경(d1)에 있어서, 앞쪽끝은 상기한 칼날부(11)의 뒤쪽끝의 직경(d0)과 동일하게, 또는 뒤쪽끝은 상기한 섕크(13)의 직경(d2)과 동일하게 각각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앞쪽끝에서 뒤쪽끝까지의 각부의 직경(d1)의 변화율은 테이퍼율이 일정하게 즉, 그 목부분(12)의 앞쪽끝에서 섕크축선(0) 방향으로의 거리에 정비례하여 균일하게 감소되어 왔다.
이 목부분(12)의 앞쪽끝에 있는 직경(d0)과 뒤쪽끝에 있는 직경(d2)은 절삭조건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되나 앞쪽끝에 있는 직경(d0)에 대하여서는 상기한 칼날부(11)의 섕크축선방향의 정면에서 보아 섕크축선(0)에서 절삭날(14)까지의 거리(S)에 대하여 1.6A~1.9S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직경(d0)이 1.6S 미만이면 후술하는 질량변화에 의한 채터 진동의 회피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또한편 직경(d0)이 1.9S를 초과하면, 목부분(12)의 피삭재의 구멍부에 삽입되었을 경우의 목부분(12)의 앞쪽끝 외주면과 상기한 구멍부 내벽과의 간극이 부족하여 상기한 칩포켓(15)에서 목부분(12)의 원주면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칩의 배출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목부분(12)의 길이는 절삭대상이 되는 피삭재 구멍부의 축방향의 길이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나, 상기한 절삭날(14)의 앞쪽끝에서 목부분(12) 뒤쪽끝까지의 섕크축선방향에 있어서의 거리(ℓ)가 6S 미만이면, 전체를 유연한 구조로 한 것에 의한 방진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또 한편, 거리(ℓ)가 10S를 초과하면 목부분(12)의 절삭저항에 의한 정적인 휘임이 커져서 가공정밀도가 열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섕크(13)는 상기한 목부분(12)의 뒤쪽끝과 동일한 직경의 원주체의 외주면에 그 섕크(13) 축방향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 뻗어있는 노치부(17)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홀더에 끼워져 공작기계의 공구고정부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보오링바이트를 사용하여 피삭재의 내경가공을 실시하는데는 상술한 종래의 보오링바이트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섕크(13)를 홀더를 통하여 공작기계의 공구고정부에 장착하고, 그다음, 공작기계의 워크고정부에 고정된 피삭재를 그 구멍부의 축선주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공작기계의 공구고정부와 워크고정부 사이에 상기한 섕크(13)의 축선방향의 상대운동을 부여하여 상기한 칼날부(11) 및 목부분(12)을 상기한 피삭재의 구멍부에 삽입해 감에 의하여, 팁(10)의 절삭날(14)로 피삭재의 구멍부를 절삭하여 소정치수로 직경을 확대시켜 나간다.
이때, 상기한 팁(10)의 절삭날(14)과 피삭재 사이에는 절삭저항의 변동에 수반하여 진동이 발생된다. 이런 경우, 상술한 종래의 보오링바이트와 같이 전체의 강성이 높은 것에서는 전체가 하나의 강체로서 진동되므로, 절삭저항의 변동에 기인하는 진동이 칼날부(11)에서 목부분(12)을 통하여 섕크(13)까지 균일하게 전달되어서, 보오링바이트에 있어서의 상기한 공작기계의 공구고정부에서 돌출된 부분, 즉, 상기한 칼날부(11)에서 목부분(12)에 걸친 부분(이하, 돌출부분이라 약칭함)에 채터 진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보오링바이트에 있어서는, 목부분(12)의 섕크축선(0)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을 목부분(12)의 앞쪽끝에서 뒤쪽끝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균일하게 감소시켰으므로, 섕크(13)쪽의 강성이 목부분(12)의 앞쪽끝 보다도 저하되어, 전체의 구조는 각부의 질량, 또는 강성(환언하면, 스프링정수)에 따라서 상이한 진동이 발생되기 쉬운 유연한 구조로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보오링바이트에서는, 목부분(12)의 단면적의 변화에 수반하여, 목부분(12) 각부의 질량이 생크(13)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되므로, 칼날부(11)에 발생된 진동은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고, 칼날부(11)에서 목부분(12)의 뒤쪽끝에 걸친 부분에는 각부의 질량에 따라서 주파수가 상이한 다양한 진동이 발생된다. 이 때문에, 이들의 진동이 서로 간섭하여 채터 진동의 성장이 저지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목부분(12)의 직경(d1)이 목부분(12)의 앞쪽끝에서 뒤쪽끝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시에 있어서의 피삭재의 구멍부 내벽과 목부분(12) 외주면과의 직경방향의 간극은 가공이 진행됨에 따라서, 즉, 목부분(12)이 피삭재의 구멍부에 깊이 삽입됨에 따라서 점차 원주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확대된다. 이 때문에, 칩포켓(15)의 오목부(16)를 통하여 목부분(12)의 외주쪽으로 배출되는 칩의 배출성은 가공깊이가 깊어져도 조금도 열화되지 않고, 이 결과, 칩막힘에 의한 가공면의 손상이나 절삭날(14)의 결손 등의 사고도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채터 진동회피효과와 서로 어울려서 항상 양호한 마무리면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히 팁(10)을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장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납땜에 의한 것, 또는 절삭날에서 섕크까지를 모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일지라도 적용되는 것이다.
또, 칼날부(11)의 칩포켓(15)의 형상에 대하여서도, 상기한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그 변형예를 제4도~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제6도에 표시하는 변형예는 상기한 칼날부(11)의 앞쪽끝에서 목부분(12)의 앞쪽끝에 걸친 부분을 그 보오링바이트와 평면(제4도)에서 보아 칼날부(11)의 앞쪽끝면과 섕크축선(0)의 교차위치의 근방에서 목부분(12) 앞쪽끝 외주면의 팁(10)에 연속되는 쪽으로 향하여 섕크축선(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칩포켓(20)을 형성한 것이다.
이 칩포켓(20)은 상기한 팁경사면(10a)과 대략 하면을 이루는 평탄한 저면(21)과, 그 보오링바이트를 평면에서 보았을때, 섕크축선(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벽면(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벽면(22)의 칼날부(11) 앞쪽끝면에 있어서의 능선과 저면(21)의 교차점(P1)과, 상기한 절삭날(14)과의 공구직경방향에 있어서의 거리(ℓ1)는 상기한 거리(S)에 대하여 1.3S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거리(ℓ1)가 1.3S를 초과하면, 칼날부(11) 앞쪽끝의 두께가 부족하여 후술하는 강성향상 효과가 손실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한 벽면(22)의 뻗어 있는 방향이 상기한 섕크축선(0)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α)은 15°~45°의 범위에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경사각(α)이 15° 미만이면, 칩포켓(20)의 섕크축선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길어져서 목부분(12)의 강성이 과도하게 손실될 우려가 있고, 또 한편, 경사각(α)이 45°를 초과하면, 팁경사면(10a)에 따라서 성장하는 칩의 성장방향과 벽면(22)의 뻗어있는 방향이 교차하는 각도가 과대하여, 목부분(12)의 외주쪽으로 칩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없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칩포켓(20)의 상기한 벽면(22)의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단면에 있어서 저면(21)과 벽면(22)이 이루는 각도(β)는 90°~12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각도(β)가 90° 미만이면, 칩포켓(20)의 체적이 부족하여 칩의 배출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 한편, 각도(β)가 120°를 초과하면, 칼날부(11) 앞쪽끝의 두께가 부족하여 칼날부(11)의 강성이 과도하게 손실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칩포켓(20)에 의하면, 팁경사면(10a)에서 생성되는 칩이 벽부(22)에 안내되어서 순차적으로 목부분(12)의 외주면쪽으로 배출되므로, 상기한 실시예의 보오링바이트와 비교하여 칩배출성이 보다 향상되어 절삭능률이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본 변형예에 의하면 칼날부(11)의 팁(10)과 반대쪽부분이 절단되지 않고 리브형상으로 남겨지므로서, 칼날부(11)의 앞쪽끝을 직경방향 전체길이에 걸쳐서 절단한 상기한 실시예의 칩포켓(15)과 비교하여 칼날부(11)의 단면적이 증대하여 칼날부(11)의 강성이 증대된다. 이 때문에, 절삭날(14)에 걸리는 절삭저항에 수반한 칼날부(11)의 변형이 감소되고, 이 결과, 절삭날(14) 높이의 변화가 적게 되어 가공정밀도가 향상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실험예]
다음에 실험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명확하게 한다.
(1) 실험예…상기한 실시예의 보오링바이트를 준비하여, 이것을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홀더(h)를 통하여 선반에 장착하여 피삭재(W) 구멍부(H)의 내경가공을 실시하였다.
이때, 홀더(h) 끝면에서 절삭날(14)까지의 돌출량(L)과 섕크직경(D)(제1도에 있어서의 d2)의 비(L/D)를 3가지로 변화시켜,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채터 진동음의 음압레벨, 마무리면의 면조도, 전원도의 측정과, 마무리면의 눈으로 본 평가를 하였다.
이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2) 비교예…제11도~제13도에 표시된 종래의 보오링바이트를 준비하고, 선반에 장착하여 내경가공을 실시하였다.
이때,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돌출량(L)과 섕크직경(D)과의 비(L/D)를 3가지로 변화시켜, 각각에 대하여 채터 진동음의 음압레벨, 마무리면의 면조도, 진원도의 측정과, 마무리면의 눈으로 본 평가를 하였다.
이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한 실험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채터 진동음의 음압레벨의 측정주파수는 4KHz로 설정하였다. 이것은 통상적인 절삭조건으로 보오링바이트 가공을 실시하였을때, 4KHz 근방의 채터 진동음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실험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상기한 L/D의 값은,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설정하였다. 그리고, 실험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보오링바이트의 각부치수, 피삭재의 재질 및 치수, 절삭조건 등은 아래에 표시한 바와 같다.
섕크축선에서 절삭날까지의 거리(S)…실험예 8mm
…비교예 11.5mm
칼날부 뒤쪽끝의 직경(0)…실험예 14.5mm
…비교예 11.5mm
섕크직경(d2)…실험예 12mm
…비교예 12mm
피삭재의 구멍직경(Dw)…18mm
피삭재의 구멍깊이(dw)…20mm
피삭재의 재질…SCM440(정도 HRC28)
피이드속도…70m/분
피이드량…0.1mm/rev
절입량(a)…0.5mm
[표 1]
Figure kpo00001
표 1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보오링바이트에 의하면, 종래의 보오링바이트보다도 채터 진동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 절삭중의 채터 진동음이 감소되고, 또, 마무리면의 면조도, 진원도가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섕크쪽의 강성이 목부분 앞쪽끝보다도 저하되어 전체가 유연한 구조로 되며, 더욱, 목부분의 단면적이 섕크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 변화되므로, 절삭저항의 변동에 기인하여 칼날부에 발생되는 진동이 목부분을 통하여 섕크쪽으로 전달되는 동안에 다양하게 변화하여 목부분의 각부에 상이한 진동이 발생하고, 이들의 진동이 서로 상쇄되어 채터 진동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보오링바이트에 의하면, 가공의 진행에 수반하여 목부분의 외주면과 피삭재의 구멍부 내벽과의 간극이 목부분의 원주방향 전체길이에 걸쳐서 확대되므로, 가공깊이가 증가하여도 칩의 배출성이 열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칩막힘에 수반한 가공면의 손상이나 절삭날의 결손이 회피되고, 상술한 채터 진동회피 효과와 서로 어울려, 항상 양호한 마무리면이 얻어진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

  1. 앞쪽끝의 한쪽부분에 절삭날(14)이 설치된 칼날부(11)의 뒤쪽끝에 목부분(12)이 형성되고, 이 목부분(12)의 뒤쪽끝에 축형상을 이루는 섕크(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보오링바이트에 있어서, 상기한 목부분을 상기한 섕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 단면형상이 섕크(13) 단면의 원호와 같은 축의 원호를 구성하는 축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목부분 단면의 단면적을 상기한 섕크(13)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지 않은 범위내에서 그 목부분의 앞쪽끝에서 뒤쪽끝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오링바이트.
KR1019900007266A 1989-06-26 1990-05-21 보오링바이트 KR950009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63303 1989-06-26
JP1163303A JPH0332506A (ja) 1989-06-26 1989-06-26 中ぐりバイ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78A KR910000278A (ko) 1991-01-29
KR950009951B1 true KR950009951B1 (ko) 1995-09-04

Family

ID=1577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266A KR950009951B1 (ko) 1989-06-26 1990-05-21 보오링바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32506A (ko)
KR (1) KR9500099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32506A (ja) 1991-02-13
KR910000278A (ko) 199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3549B2 (ja) 溝加工用の切削インサート
US5156503A (en) Boring bar tool
US6126365A (en) Boring tool
KR950009951B1 (ko) 보오링바이트
KR950013214B1 (ko) 보오링바이트
JP2001212712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エンドミル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US5261767A (en) Boring bar tool
JPH01321101A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
JPH0524218U (ja) 穴明け工具
JP4043080B2 (ja) 正面フライス用の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6697131B1 (ja) リーマ
JP2002154003A (ja) 切削工具
CN113811410A (zh) 镗刀架及车削刀具
JPS6393511A (ja) スロ−アウエイ式転削工具
JP2537134Y2 (ja) 穴明け工具
JPH0332504A (ja) 中ぐりバイト
JP3391850B2 (ja) 1枚刃エンドミル
WO2019220778A9 (ja) ドリル用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ドリル
JP2562563Y2 (ja) 中ぐりバイト
KR950013213B1 (ko) 보오링바이트
JP4336183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削工具
JP2532586Y2 (ja) リーマ
JPH0740116A (ja) 穴明け工具
JP4069673B2 (ja) 内径加工用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H04538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