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692Y1 -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692Y1
KR950009692Y1 KR2019930029571U KR930029571U KR950009692Y1 KR 950009692 Y1 KR950009692 Y1 KR 950009692Y1 KR 2019930029571 U KR2019930029571 U KR 2019930029571U KR 930029571 U KR930029571 U KR 930029571U KR 950009692 Y1 KR950009692 Y1 KR 950009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wing machine
solenoid
thread releas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816U (ko
Inventor
한강호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9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692Y1/ko
Publication of KR950018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정면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5도 (a)(b)는 본고안의 정면 및 측면결합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7도 (a)(b)는 본고안의 솔레노이드 작동시의 정면도 및 재봉기 상측 정면도
제8도 (a)(b)는 상측의 회전에 따른 레버의 작동상태 정면도 및 재봉상측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브라켓 11 : 제 1 레버 스톱퍼
12 : 스프링걸이 2 : 제 1 레버
3 : 제 2 레버 31 : 플레이트
32 : 롤러 4 : 솔레노이드
41 : 작동자 5 : 인장스프링
6 : 상측 C : 캠
7 : 와이어롤러
본 고안은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늦추기 장치를 재봉기의 상축에 설치시켜 작동구간을 짧게 하므로써 정확한 작동성과 조립과 수리를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제 1도 및 제 2도에서와 같이 재봉기(100)의 하부 하축에서의 캠 및 링크운동으로 와이어(W)를 당겨 재봉기의 암(A)의 헤드부(H)에 있는 실장력조절장치(110)제어토록 된다.
그러나 이는 사절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동시에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이의 구성을 위해 많은 부품 및 가공부위가 필요이상으로 많아진다.
따라서 조립 및 수리에 불편함이 많았으며 좁은공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크기가 제한되어 부품자체에 취약성과 더불어 중요하게는 작동구간이 길어 정확한 작동성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며 빈번한 수리를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작동구간의 거리를 짧게하도록 재봉기의 상축에서 작동되게 설치하므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비교적 넓은공간에 실시되어 조립 및 수리가 간단해지며, 그작동성을 양호하게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재봉기의 헤드부 후방측 암 측벽에 레버플레이트로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와 상축에 형성시킨 캠사이에서 작동되는 2단 레버로써 헤드브에 실장력 조절장치를 연동시키게 구성하여서 된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봉기(100)의 아암(A)에 고청되는 기대브라켓(1) 상부일측에 제 1레버스톱퍼(11)를 돌설하고. 그 일측에 제 2 레버 스프링걸이(12)를 가지고, 이 기대브라켓(1) 상부의 제 1 레버스톱퍼(11) 일측에 제 1레버(2)를 좌우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그 상부에는 핀(P)으로 제 2 레버(3)를 전후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하여 2단계로 하되, 이 제 2레버(3) 전면 중앙에 솔레노이드(4)의 작동자(41) 접촉부위에 호형 플레이트(31)를 두며, 그 일측과 상기 기대브라겟(1)의 스프링걸이(12) 사이에 인장스프링(5)을 탄설하고, 이 제 2레버(3)의 후방에는 재봉기 상축(6)에 형성된 캠(C)에 연동될 룰러(32)를 가지며, 이 제 2레버(3) 상단이 와이어룰러(7)에 결합되어 실장력조절장치(110)를 제어할 실늦추기핀 작동레버(8)와 와이어(W)로 연결되어 실늦추기핀(81)을 연동시키게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3은 기대브라켓 고정용 나사, 21은 제 1레버 힌지결합용 나사, 22는 핀(P)의 스톱링, 33은 룰러결합용 나사, 82는 힌지결합용 나사, 9는 튜브, 91은 튜브잡이, 92는 튜브잡이 나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 5도 및 제 6도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4)의 작동으로 그 작동자(41)가 인장스프링(5)에 의해 전방으로 숙여진 제 2레버(3)의 플레이트(31)에 접촉되고 후방으로 밀면, 그 배면의 롤러(32)가 상축(6)에 접촉되고 회전되는 상축(6)의 캠(C)이 롤러(32)면에 접촉되어 인장스프링(5)에 의해 일측으로 당겨있는 제 2레버(3)를 제 7도 및 제 8도에서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회전중심은 제 1레버(2)의 힌지결합부가 되어 제 1 및 제 2레버(2,3)가 일체감을 가지며 회동되는데, 솔레노이드(4)의 작동자(41)는 항상 제 2레버(3)의 플레이트(31)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 8도에서와 같이 와이어(W)를 당겨줌으로써 제 4도 및 제 5도에서와 같이 실늦추기핀 작동레버(8)를 회동시켜서 실늦추기핀(81)을 밀어주어 재봉기(100)의 헤드(H)에서 설치된 주지의 실장력조절장치(110)의 디스크(D)상에 실을 늦출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의 복귀는 상기 작동의 역순으로 롤러(32)가 상부축(6)의 캠(C)을 타고 넘음과 솔레노이드(4)의 작동자(41) 후진으로 인장스프링(5)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와 실늦추기 장치 사이의 와이어에 의해 연동구간이 짧아, 작동력이 정확하며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비교적 넓은공간의 재봉기 상부축에 설치되어 조립 및 보수 등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단가절감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상부 일측에 제1레버스톱퍼(11)와 그 일측에 제2레버 스프링걸이(12)를 가지는 기대브라켓(1)을 재봉기의 아암에 고청시키고, 이 기대브라켓의 상부일측에 좌우회동 가능한 제1레버(2)를 힌지결합하고, 그 상부에는 핀(P)으로 제2레버(3)를 전후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되 전면 중앙에 솔레노이드(4)의 작동자(41)가 접촉되어 양측으로 깊어진 호형플레이트(31)를 두어 그 일측과 상기 스프링걸이(12)사이에 인장스프링(5)을 탄설하고, 제2레버의 배면으로 재봉기상축(6)의 캠(C)과 접촉되는 롤러(32)를 구비하며, 이 제2레버 상단은 와이어롤러(7)에 의해 재봉기 혜드부(H)의 실늦추기핀 작동레버(8)로 연결된 와이어(W)와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레버(3)의 호형플레이트(31)는 제1레버(2)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좌우회동하는 구간에서 솔레노이드의 작동자(41)가 계속 접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레버(2)와 제2레버(3)는 솔레노이드(4)와 상축(6)의 캠(C)에 의해 좌우전후의 X,Y축으로 관절운동을 하는 2단레버로 형성되어 하나의 인장스프링(5)으로 복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KR2019930029571U 1993-12-24 1993-12-24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KR950009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571U KR950009692Y1 (ko) 1993-12-24 1993-12-24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571U KR950009692Y1 (ko) 1993-12-24 1993-12-24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816U KR950018816U (ko) 1995-07-24
KR950009692Y1 true KR950009692Y1 (ko) 1995-11-22

Family

ID=1937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571U KR950009692Y1 (ko) 1993-12-24 1993-12-24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6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816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98529A (ja) 自動調心式振れ止め装置
KR950009692Y1 (ko) 재봉기의 실늦추기 장치
JP3754777B2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890003073B1 (ko) 프린터용 종이 이송 기구
US4803936A (en) Thread tension device for overedge sewing machines
JPH0243727Y2 (ko)
US5018655A (en) Paper feed device for printer
JPH01306270A (ja) タイプライター又はタイプ類似事務機におけるプラテン用の駆動要素
JPH04353183A (ja) ヒンジ装置
JPH0932386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操作装置
JPH11246086A (ja) リールの組付け装置
JPH0232559Y2 (ko)
KR200201998Y1 (ko) 기중차단기의 버튼 장치
JP2575079Y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H0210145Y2 (ko)
JPH07191774A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JP3430309B2 (ja) バルブの操作装置
JP3653890B2 (ja) ジグザグミシンのボタンホール縫い装置
JP3278836B2 (ja) 電子部品実装用カムレバー機構
JPH0447780Y2 (ko)
JPH0367421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スイッチ又は電鍵
KR0130225Y1 (ko) 카세트레코더의 헤드 및 핀치롤러 구동장치
TWI260295B (en) Electrical operation device for bicycle
JP3430310B2 (ja) バルブの操作装置
KR910000142Y1 (ko) 카셋트 오토리버스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