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684Y1 -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684Y1
KR950009684Y1 KR92020324U KR920020324U KR950009684Y1 KR 950009684 Y1 KR950009684 Y1 KR 950009684Y1 KR 92020324 U KR92020324 U KR 92020324U KR 920020324 U KR920020324 U KR 920020324U KR 950009684 Y1 KR950009684 Y1 KR 950009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n
frame
c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0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702U (ko
Inventor
송상원
Original Assignee
송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원 filed Critical 송상원
Priority to KR92020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684Y1/ko
Publication of KR940009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7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33Co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 발췌 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본체 11 : 상부틀
30 : 하부틀 40 : 끼움공
50 : 기둥 51 : 핀
52 : 잘록부 60 : 결속구
61 : 구멍 62 : 걸림부
63 : 결여부
본 고안은 인형, 트로피등의 장식물을 넣어 두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를 구성하는 골격을 편리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한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식물 케이스는 상, 하부틀과 이들 틀을 지지하는 기둥 등으로 구성되고 상, 하, 전, 후, 및 좌, 우측으로 유리를 부착하여 내부에 있는 인형이나 트로피가 전시 되도록 하였었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상, 하부틀과 기둥이 본딩이나 나사못 등의 수단으로 고정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분해하기가 곤란하고 그에따라 조립된 케이스를 운전할때 무게에 비해 부피가 커서 운반이 어려운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케이스의 유리등이 파손될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 하부틀과 기둥을 분리해 내는 일 또한 어려운 등의 불합리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 하부틀과 기둥을 편리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유리교체시에도 편리한 등의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 하부틀과 각틀의 대향모서리부에 결합되는 기둥으로 구성됨에 있어서, 각틀의 모서리 대향면에 끼움공을 형성하고. 각 기둥의 상, 하단에 잘록부를 갖는 핀을 형성하고. 상기끼움공에 결합되고 내측에 핀이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된 결속구를 마련하되 구멍내측에 핀의 잘록부가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결속구 외주연의 걸림부와 대응되는 곳에 결여부를 형성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내주연에 유리가 결합되는 자리(21)와 저면에 유리의 변이 끼워지는 끼움홈(22)이 형성된 사각형의 상부틀(20)과 상부 내주연에 유리가 결합되는 자리(31)와 상면에 유리의 변이 끼워지는 끼움홈(32)이 형성된 사각형의 하부틀(30) 및 각틀(20)(30)의 대향모서리부에 결합되고 유리의 변이 끼워지는 끼움홈(51)이 직각방향의 두곳에 상, 하로 형성된 기둥(50)으로 케이스본체(10)가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각틀(20)(30)의 대향면모서리부에 일정깊이의 끼움공(40)을 형성하고, 각 기둥(50)에는 이의 상, 하단으로 잘록부(53)를 갖는 핀(5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공(40)에 결합되고 핀(52)이 결합되는 구멍(61)이 내측에 형성된 결속구(60)를 마련하되 이의 구멍(61)내부에 핀(52)의 잘록부(53)가 걸리는 걸림부(62)를 형성하고 결속구(60) 외주연의 걸림부(62)와 대응되는 곳에 결여부(63)를 형성한다.
이 결여부(63)는 구멍(61)의 걸림부(62)가 외력에 의해 (즉, 핀(52)이 구멍(61)에 끼워질때 벌어졌다가 잘록부(53)에서 다시 복원되어 잘록부로 끼워들어감) 잘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 하부틀(20)(30)과 기등(50) 및 결속구(60)의 결합 및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각틀(20)(30)의 대향모서리부에 헝성된 끼움공(40)에 결속구(60)를 결합하고, 먼저 하부틀(30)에 결합된 결속구(60)의 구멍(61)에 기둥(50)의 핀(52)을 넣어 하부틀(30)의 사방모서리부에 기둥을 입설하되 핀(52)의 잘록부(53)가 걸림부(62)에 걸리도록 기둥(50)을 결속구(60)에 눌러 걸림부(62)가 결여부(63)를 통하여 벌어졌다가 잘록부(53)에서 복원되어 걸림부(62)와 잘록부(53)가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계속해서 상부틀(20)을 이의 결속구(60)를 이용하여 기둥(50) 상부의 핀(52)에 결합하되 역시 걸림부(62)와 잘록부 (53)가 서로 형합되도록 하여 케이스본체(10)를 완성한다.
상기 케이스본체(10)를 완성조립하는 과정에서 기둥(50)의 끼움홈(51)과 상, 하부틀(20)(30)의 끼움홈(22)(32)에 유리를 넣어 유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케이스본체(10)를 분해할 때에는 결합할때의 역순으로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식물 케이스를 편리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는 기둥(50)의 핀(52)에 형성된 잘록부(53)와 결속구(60)의 구멍(61)에 형성된 걸림부(62)의 결합으로그 결합상태가 견실하여 케이스본체가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케이스를 운반할 때에는 이를 분해하여 운반하면 편리한 등의 장점을 제공해 주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 하부틀과 각 틀의 대향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기둥으로 구성됨에 있어서, 각틀(20)(30)의 모서리대향면에 끼움공(40)을 형성하고, 각 기둥(50)의 상, 하단에 잘록부(53)를 갖는 핀(52)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40)에 결합되고 내측에 핀(52)이 결합되는 구멍(61)이 형성된 결속구(60)를 마련하되 구멍(61) 내측에 핀(52)의 잘록부(53)가 걸리는 걸림부(62)를 형성하고 결속구(60) 외주연의 걸림부(62)와 대응되는 곳에 결여부(63)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KR92020324U 1992-10-21 1992-10-21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KR950009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324U KR950009684Y1 (ko) 1992-10-21 1992-10-21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324U KR950009684Y1 (ko) 1992-10-21 1992-10-21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702U KR940009702U (ko) 1994-05-21
KR950009684Y1 true KR950009684Y1 (ko) 1995-11-22

Family

ID=1934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0324U KR950009684Y1 (ko) 1992-10-21 1992-10-21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6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702U (ko) 199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2124Y1 (ko) 이동수단이 구비된 접철식 천막
KR950009684Y1 (ko) 장식물 케이스의 골격 조립구조
KR100620127B1 (ko) 장식물 케이스
KR101479330B1 (ko) 액자 꽃병
US11388890B2 (en) Covers for tanks
KR200453234Y1 (ko) 다용도 팬던트
JP2000325187A (ja) 飾りケース
JPS62409Y2 (ko)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JP7178518B1 (ja) 組み立て式展示ケース
JP3041661U (ja) 家紋付六角型吊り灯籠。
KR200397460Y1 (ko) 조립식 꽃상여
KR200287164Y1 (ko) 조립식 제단
JPS601671Y2 (ja) 衝立て
JPS6416006U (ko)
KR200297717Y1 (ko) 장식물 보관케이스
KR200237843Y1 (ko) 개량형 조립식 진열대의 체결구조
JP2000037237A (ja) 組立棚における棚枠
KR920003862Y1 (ko) 다용도 받침대
JP3102826U (ja) 商品陳列用の什器
JPS5855186Y2 (ja) 菓子、おもちや等の物品収納ケ−ス
JPH053006Y2 (ko)
KR200415930Y1 (ko) 아크릴박스 겸용 액자
KR200261180Y1 (ko) 조립식 어항탁자
KR20220051528A (ko) 휴대가 간편하고 서랍이 구비된 조립식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