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717Y1 - 장식물 보관케이스 - Google Patents

장식물 보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717Y1
KR200297717Y1 KR2020020024435U KR20020024435U KR200297717Y1 KR 200297717 Y1 KR200297717 Y1 KR 200297717Y1 KR 2020020024435 U KR2020020024435 U KR 2020020024435U KR 20020024435 U KR20020024435 U KR 20020024435U KR 200297717 Y1 KR200297717 Y1 KR 200297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ecoration
lower member
fasten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김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동 filed Critical 김기동
Priority to KR2020020024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717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물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기념메달은 물론이고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을 케이스 내에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관성을 좋게 하면서도 케이스를 그대로 진열하여 진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장식물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면의 중심부에 메달 및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상향 개구되는 수납실과 다수개의 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실의 저면을 투명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가지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 일체형으로 결합체결되고 저면에는 하부부재의 체결홈과 대향되는 다수개의 체결돌기를 가지면서 중심부에는 장식물이 투시되도록 투명하게 형성한 상부부재;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물 보관케이스{Custody case for decorations}
본 고안은 장식물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기념메달은 물론이고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을 케이스 내에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관성을 좋게 하면서도 케이스를 그대로 진열하여 진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장식물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념메달이나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이하 "장식물"이라 함)은 비교적 그 크기가 소형이면서도 원형의 판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자체만으로는 진열이 어려운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진열대를 이용하여 진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용케이스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장식물을 수납보관하는 보관케이스는 지금까지도 여러 가지가 제안된 바 있으나, 대부분의 구조는 상자형 케이스내에 장식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뚜껑으로 개폐가능토록 구성되어 잇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장식물을 단순히 수납하여 보관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것으로 즉, 뚜껑을 개방하여 진열시 장식물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습도나 온도 등의 기후조건이나 또는 손으로 만지는 접촉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지저분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식물의 표면에 투명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지를 감싸는 식으로 포장하여 보호하고, 이를 다시 뚜껑으로 개폐되는 별도의 상자형 케이스내에 수납하여 보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장식물을 이중으로 수납보관토록 하는 것임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열시에는 상자형 케이스의 부피로 인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단점과 더불어 진열도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메달,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을 하나의 케이스로서 포장함과 더불어 그 자체로 진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물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선된 장식물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즉 본 고안의 장식물 케이스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중심부에는 장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과 양사방으로는 체결홈을 가지고 수납홈의 하부에는 장식물이 하부로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체결되면서도 저면의 양사방에는 하부부재의 체결홈에 억지끼움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하부부재에 수납된 장식물이 투시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부부재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1의 평면구성도
도 4는 도3의 정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0:하부부재
11:수납실 12:체결홈
13:지지돌기 20:상부부재
21:체결돌기 A:장식물
P:투명부분 S:반투명부분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2 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 장식물 보관케이스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 크리스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상,하부부재(10)(20)로 구성되고, 이들의 내부에는 각종 메달 또는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A)이 수납되어 외부로 투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부재(10)는 대략 사각형의 판체로 형성되면서 중심부에는 각종 메달,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A)이 수납되는 수납실(11)이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수납실(11)의 저면부분은 장식물(A)이 하향으로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부분(P)을 갖추어 구성되면서도 이를 제외한 부분은 반투명부분(S)으로 형성된다.
수납실(11)은 장식물(A)이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장식물(A)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써 수납되는 장식물(A)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장식물(A)이 메달 및 기념주화 등일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또 하부부재(10)의 상면 양사방에는 체결홈(12)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12)은 후술할 상부부재(20)의 체결돌기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 하부부재(10)의 저면에는 양사방으로 지지돌기(13)가 돌출 형성되어 본체(100)를 지면에 안착할 경우 안정된 지지를 이루고 되고, 이와 더불어 지면과의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게 되어 본체(100)의 용이하게 뒤집을 수가 있다.
즉, 상기 본체(100)내에 수납되는 장식물(A)은 전,후면에 각각 도형 및 무늬가 장식되어 있음에 따라 이의 전,후면이 각각 장식면을 유지하게 되어 뒤집어서 진열할 경우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20)는 하부부재(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중심부에는 장식물(A)이 수납되는 부위만큼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투명부분(P)이 형성되면서 이를 제외한 부분은 반투명부분(S)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부분(P)은 외부에서 장식물(A)만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도록 장식물(A)의 수납실(11)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 상부부재(20)의 저면 양사방에는 하부부재(10)의 체결홈(12)에 끼워맞춤되는 체결돌기(21)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며, 상부부재(20)의 상부 외주연은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각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상.하부재(20)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면서 장식물이 수납되는 위치의 상.하부에만 투명하게 형성한 것이나, 다른 실시예로서 그 전체를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장식물 보관케이스(100)는 상,하부재(10)(20)가 상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상기상,하부재(10)(20)의 내부에 장식물(A)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즉, 상,하부재(10)(20)를 분리한 상태에서 하부부재(10)의 수납실(11)내에 메달 또는 기념주화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물(A)를 넣어 수납하고, 이어서 하부부재(10)의 사방향에 형성된 체결홈(12)을 통하여 상부부재(20)의 체결돌기(21)를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하부재(10)(20)는 일체형으로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재(10)(20)는 합성수지 또는 크리스탈 등의 재질로 형성되면서 체결홈(12)과 체결돌기(21)에 의해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인위적으로 분리시키지 않는 한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하부재(10)(20)가 결합완료되면 상,하부재(10)(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투명부분(P)을 통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장식물(A)이 용이하게 투시되는 것이다.
즉, 본체(100)를 지면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부부재(20)의 투명부분(P)을 통하여 내부에 수납된 장식물(A)이 상면이 용이하게 투시되는 것이고, 또한 본체(100)를 뒤집어서 안착시키게 되면 장식물(A)의 하면이 하부부재(10)의 투명부분(P)을 통하여 용이하게 투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식물(A)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가 있는 것이고, 또한 이를 진열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100)를 그대로 진열하여 투명부분(P)을 통해 장식물(A)이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진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부재를 상호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고 내부에 각종 메달 또는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재의 중심부에 수납되는 장식물이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함으로써 장식물을 안전하고도 효과적으로 보관 및 진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의 중심부에 메달 및 기념주화 등의 장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상향 개구되는 수납실과 다수개의 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실의 저면을 투명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가지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 일체형으로 결합체결되고 저면에는 하부부재의 체결홈과 대향되는 다수개의 체결돌기를 가지면서 중심부에는 장식물이 투시되도록 투명하게 형성한 상부부재;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보관케이스.
KR2020020024435U 2002-08-16 2002-08-16 장식물 보관케이스 KR200297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435U KR200297717Y1 (ko) 2002-08-16 2002-08-16 장식물 보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435U KR200297717Y1 (ko) 2002-08-16 2002-08-16 장식물 보관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717Y1 true KR200297717Y1 (ko) 2002-12-12

Family

ID=7307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435U KR200297717Y1 (ko) 2002-08-16 2002-08-16 장식물 보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7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23B1 (ko) * 2020-10-22 2021-08-17 김영주 장식형 기념주화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23B1 (ko) * 2020-10-22 2021-08-17 김영주 장식형 기념주화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5102S1 (en) Box for containing collectible cards
USD503829S1 (en) Cosmetic container
USD455550S1 (en) Round jewel box
US20090065374A1 (en) Fully demountable double-wall display box
USD510210S1 (en) Watch display box with multi watch winders
US5590766A (en) Transparent shoe box
US6726019B2 (en) Display and carrying case for a doll and doll accessories
US20050274642A1 (en) Display package
USD514848S1 (en) Watch display box with double watch winders
EP1008531A1 (en) Package and display device
KR200297717Y1 (ko) 장식물 보관케이스
US20020092588A1 (en) Watch box shaped handbag with display window
US20030116468A1 (en) Package
JP3227551U (ja) 装飾用置物
USD533330S1 (en) Honor box for candy display and coin receptacle
US20050082180A1 (en) Bangle watch box
US20050094497A1 (en) Bangle watch box
USD417957S (en) Multi-compartment jewelry box
JP2007029449A (ja) 装身具ケース
US20050082176A1 (en) Jewelry box
KR200387256Y1 (ko) 장식물 보관케이스
JP3228381U (ja) 差込式額縁
KR200262138Y1 (ko) 포장용기
JP4194018B2 (ja) 化粧用商品陳列台
CN208790158U (zh) 装饰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