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649B1 - 라인 편향회로 - Google Patents

라인 편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649B1
KR950009649B1 KR1019870009640A KR870009640A KR950009649B1 KR 950009649 B1 KR950009649 B1 KR 950009649B1 KR 1019870009640 A KR1019870009640 A KR 1019870009640A KR 870009640 A KR870009640 A KR 870009640A KR 950009649 B1 KR950009649 B1 KR 95000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line
inductance
deflection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675A (ko
Inventor
드끄레네 알랭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8000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4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means of electrically scanned solid-stat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인 편향회로
제1a도 내지 2b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의 여러 변형도.
제1c도는 편향기와 회로의 나머지간에 직류분리가 바람직한 변형도.
제3도 및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변형도.
본 발명은 편향 인덕턴스, 제1 및 제2S형 캐패시터를 포함한 직렬장치와, 직렬장치에 실제 정전압을 인가하는 소인선 기간으로 불리는 라인 주기부동안은 도통이며 상기 직렬장치가 귀선 캐패시턴스와 함께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동안 귀선기간으로 불리는 나머지 주기동안은 차단인 스위칭 수단이 제공된 자기빔 편향을 갖는 영상표시관의 라인 편향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회로에는 제2S형 캐패시터에 라인 주파수 및 필드 주파수에서 변화하는 진폭의 톱니파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변소수단이 제공되며, 상기전류부는 또한 편향 인덕턴스를 통해 흐른다.
편향된 음극빔과 표시관의 스크린간의 각이 주사동안 변화하기 때문에, 주사점의 좌표의 함수로서 주사속도를 보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것은 편향 인덕턴스(편향기)의 톱니파 전류표시에 “ S ”형을 제공하기 때문에, “ S 보정 ”으로 불리는 공지된 보정이다. 이러한 보정은 소인선 기간동안 편향기와 직렬인 상기 S형 캐패시터에 의해서 얻어지며, 이 소인선 기간 동안 정전압은 여기서 LC그룹으로 불리는 직렬 편향기-캐패시터 그룹에 인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주전류를 왜곡시켜 “ S ”형을 제공하는 정현 성분을 도입하여 동조회로를 생산하고 있다.
기본회로는 또한 음극선관/편향기 어셈블리의 기하학적 불완전을 보정하도록 임의 보정수를 필요로 한다. 특히, 핀쿳션 왜곡으로 불리는 공지의 왜곡은 필드주사동안 동적 수평 진폭변화를 일으키는 “ 동-서 ”로서 공지된 보정을 필요로 한다.
핀쿳션 왜곡을 보정하도록 다수의 회로가 제안되어 왔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회로는 “ 다이오드 변조기 ”로 불리는 것인데, 이 변조기는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216,722호에서 기술되어 있으며, 명칭이 “ 45AX의 구동회로 ”인 기술공보 제210호의 “ 필립스 전자성분 및 물질 ”이란 기술서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 회로로 해결된 문제점은 대부분의 경우에 라인 편향단으로부터 유출된 특히 장력( ”EHT ”)을 변화시킴이 없이도 라인 편향의 진폭을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 제1LC그룹과 직렬로 제2LC그룹을 배치하며 필드주파수의 가변전압은 제2그룹의 캐패시터의 단자에 인가된다. 이 회로는 새로운 평편 정사각형 관의 적용을 필요로 하며, 사실상 이들관은 종래관보다도 두드러지며 보다 동적인 “ S ”보정을 요구하는데 즉 한 필드동안 변화하는 것을 요구하는 반면에, 종래관보다 적은 핀쿳션 보정을 요구한다.
상기 기술서의 회로에 있어서, 필드 주파수의 가변전압인가는 편향진폭의 변화를 가져온다. 예를들어 최종 인용된 기술서의 제3 내지 5도에 대해 기술된 변형은 진폭 보정에 관련된 동적 “ S ”보정(또한 “ 내부 핀쿳션 왜곡 ”으로 칭함)추가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작은 진폭변화를 얻는 것이 “ S ”보정에서 보다 큰 변화에 관련되어 요구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위한 공지의 수단은 제1 “ S ”캐패시터와 병렬로 제2 “ S ”형 캐패시터를 부가시키는 것이며 한 필드 동안 변화하는 충격계수에 따라 이 캐패시터를 접속 또는 분리하는 전자식 스위칭회로에 의해 제2캐패시터를 스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2캐패시터는 진폭에 대해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회로는 EP-A-제1,046,345호에서 기술되어져 있으며, 이에 의하면 이와같이 스위치된 캐패시터는 종래의 다이오드 변조기회로에 부가된다.
이러한 기볍은 부가 캐패시터의 스위칭시간을 한정하는 부가회로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며, 이 캐패시터의 접속시간은 또한 한 라인에서 왜곡 도입을 피하기 위해 보다 정교하게 쵸프되어져야만 하며, 한 라인동안 단 한번만의 스위칭은 라인 선형에서 가시적 왜곡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임의 라인 왜곡을 도입하지 않으며 “ EHT ”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희망보정을 발생시키는 특히 간단한 회호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상,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 있어서는 필드 주파수에 실제로 임의 성분의 존재치 않는 직류전압을 두 S형 캐패시터로 형성된 직렬장치에 인가하는 공급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변조기수단이 스위칭 소자와 직렬로 접속된 보조 인덕턴스를 포함하는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는 보조 인덕턴스에 의해 제2S형 캐패시터에 유리하게 접속된다.
소인선 기간동안 정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수단이 동일 도통방향과 직렬이며 편향 인덕턴스 및 두개의 S형 캐패시터에 의해 형성된 직렬장치에 접속된 두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른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두 캐패시터의 공통점과 두 다이오드의 공통점간에 보조 인덕턴스가 유리하게 접속된다.
이러한 변형은 소인선 기간동안 LC그룹에 정전압을 인가하는 주수단이 정확히 위치된 보조 인덕턴스의 부가만을 필요로 하면서 보조 캐패시터에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특히 경제적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이 어떻게 실체화되는가에 관해서 이하에서 기술할 것이다.
제1a도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모든 라인 편향회로에서 실제로 사용된 회로선도이다. 이 회로는 본질적으로 여기서는 트랜지스터 Tr로 표시된 전자식 스위치를 통해 “ V ”로 참조된 전원단자와 접지(즉, 전력원의 다른 단자)사이에 접속된 편향 인덕턴스 또는 편향기 Ly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Tr이 도통일때, 편향기에는 정전압 V가 인가된다. 이 전압은 인덕턴스 Ly의 전류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동안 소인선 기간으로 명명된 시간부동안 인가되는 상태로 남아 있는다.
트랜지스터가 이 주기의 종료시에 차단될때, 귀선 시간으로 명명된 시간이 개시된다. 트랜지스터 Tr과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 Cl이 활성되기 시작한다. 인덕턴스 Ly와 함께, 약 절반의 발진주기후에 전류가 인덕턴스 Ly에서 역전됨에 의해 공진회로를 형성한다. 다음에 트랜지스터 Tr과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 Dl이 활성되어 트랜지스터의 방향과는 반대인 도통방향은 이 순간에 인덕턴스 Ly의 전류 방향과 상응한다. 다이오드 Dl이 도통될때, 정전압 V는 다시 편향기에 인가되어 새로운 소인선 기간이 개시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회로에는 임의 보정이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 S ”보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편향기에 인가된 전압은 소인선 기간동안 변화될 수 있다. 이것은 전압 V를 변조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실제로, 편향기와 직렬인 캐패시터를 도입구성하는 간단한 수단시 사용되며 직렬인 이들 소자의 그룹을 이후부터 “ LC 그룹 ”으로 명명한다. 캐패시터가 전원 V에 의해 공급된 직류경로를 차단할때, 상응하는 성분이 제1a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를 갖는 경우 제1b 및 lc도에서 도시된 두 선도중 하나가 사용된다.
제1b도에서, LC그룹(Ly,Cy)은 쵸크 Te를 통해 전원 V에 의해 공급되며 이 그룹은 캐패시터 Cy가 전원을 구성하는 것을 고려하여 성분 Tr, Cl, Dl과 병렬로 위치되며, 제1a도의 것과 동일한 전도가 보여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포화전압 및 다이오드 양단간에서의 직류 전압강하를 무시하는) 정제로전압이 소인선 기간동안 LC그룹의 단자에 인가된다.
편향기와 회로의 나머지간에 직류분리가 바람직할때 제1c도의 변형이 사용된다. 제1c도의 회로는 변압기 Te이 편향기 Ly 및 Ly와 직렬로 부가된 캐패시터 Cy를 공급하도록 삽입되어진 제1a도의 회로와 상응한다.
실제로 쵸크 또는 변압기 Te는 최소한 도면에서 참조 Kv로 명시된 하나의 다른 권선을 표함하며, 이것은 특히 음극빔을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EHT 정류기를 제공한다.
제3도의 회로는 제어회로와 편향기간에서 라인 변압기 Te에 의해 얻어진 직류분리가 필요한 제1변형인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이다. 이 회로는 제1c도에서 도시된 기본선도를 사용하며 상기 두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성분은 동일참조로 명시된다. 제3도의 선도에서는 제1캐패시터 Cy와 직렬로 제2캐패시터 Ce가 Lc그룹에 삽입되며 두캐패시터의 공통점(1)에는 필드 주파수에서 변화하는 진폭을 갖는 라인 주파수에서 톱니파 전류가 인가된다. 이 전류는 캐패시터 Ce, 캐패시터 C2 및 다이오드 D2와 병렬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Ta로 구성된 스위칭 시스템과 직렬로 인덕턴스 Le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얻어지며, 다이오드 D2의 도통방향은 트랜지스터의 도통방향과 반대이다. 캐패시터 Ce와 병렬로, 또한 필드 주파수에서 변화하는 전원 Vm과 직렬로 쵸크 Lc로 구성된 회로가 위치된다. 캐패시터 Ce의 평균 충전 전압은 그러므로 Vm과 동일하다.
트랜지스터 Ta가 라인 주파수에서 신호에 의해 제어될때, 성분 Le, D2, C2, Ta셋트는 제1a도의 성분 Ly, Dl, Cl, Tr셋트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데, 즉, 톱니파 전류는 인덕턴스 Le에서 발생되며, 전류의 진폭은 Vm에 좌우된다. 또한 성분 Le 및 Ce로 구성된 동조회로는 변압기 Te를 통해 성분 Ly 및 Cl으로 구성된 공진회로와 실제로 동일한 주파수로 공진해야 한다. 캐패시터 Ce의 단자에서 평균전압은 그러므로 한 필드동안 Vm으로 변화하지만, 이것은 제1예에서 두 캐패시터의 직렬장치 Cy+Ce가 항상 인덕턴스 Ly 및 Te의 2차 권선을 통해 직류점에서 단락될때 편향기 Ly의 전류 진폭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평균 제로전압으로 충전된다(캐패시터 Cy는 그러므로 캐패시터 Ce와 동일하고 반대인 가변 평균 전압으로 충전된다). 정전압이 소인선 기간동안 변압기 Te의 권선(5)에 의해 Ly, Cy, Ce그룹에 인가된다. 반면에, 인덕턴스 Le의 톱니파 전류는 캐패시터 Ce의 단자에서 캐패시터 Ce를 통하며, “ S ”보정을 제공하도록 공지된 전류의 적분과 상응하는 포물선형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전압은 한 라인 지속기간동안 지속되는 포물선 아치형을 가져 “ S ”보정을 제공하며, 전압 포물선 Vm과는 혼동되어서는 안되며 이 Vm은 한 필드 지속기간동안 지속되며 가능하게는 핀쿳션 보정 및 “ S ”보정의 유효변화를 제공한다. 캐패시터 Ce를 통하는 전류는 임의 고정된 “ S ”보정을 제공하는 편향기의 전류로 제광된 일정 진폭 성분 및 보조 인덕턴스 Le의 전류로 제공된 한 필드동안 변화하는 진폭성분을 가져, 가변 “ S ”보정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다른 변형을 제4도에서 도시한다. 이 변형은 제1b도의 공지된 기본적인 도면과 상응한다. 공지의 회로에 관하여, 제2캐패시터 Ce는 Ly/Cy그룹과 직렬로 삽입되며, 다이오드 D1은 직렬 두 다이오드 D1,D2로 대치되며, 보조 인덕턴스 Le는 두 캐패시터 Cy,Ce의 공통점과 두 다이오드 D1,D2의 공통점간에 접속되며, 최종으로 제2귀선 캐패시터 C2는 다이오드 D2와 병렬로 위치된다. 캐패시터 C1은 아직도 트랜지스터 Tr과 병렬로 접속된다. 두 동조회로 Ly, C1 및 Le, C2는 실제로 동일한 주기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변형은 제3도에서와 동일한 가변 “ S ”보정 원리에 의거 되지만, 제3도의 보조 트랜지스터의 Ta 의 기능은 주 트랜지스터 Tr 자체로 주행된다.
제4도의 선도는 제2a 및 2b도에서 도시된 종래기술의 다이오드 변조기의 것을 상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리 및 효과상 새로운 회로와 어떻게 다른가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들 공지의 회로로 돌아가는데 유용하다.
편향 진폭, 즉 상술된 핀쿳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편향기의 전류진폭을 필드 주파수에서 변조하는 문제일때, 공급전압 V를 조절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에는 권선 Te의 단자에서의 전압 및 또한 공급되어지는 모든 전압의 부수적인 변화가 포함되는데 한 해결방법은 “ 다이오드 변조기 ”로 명명되는 제2a도에서 도시된 공지회로에 의해 제공된다. 이 회로는 동일참조를 갖는 제1b도의 성분을 포함 하지만, 그러나 이들 성분 D1, C1, Ly/Cy의 어셈블리와 직렬로 대응하는 세 성분 D2, C2, Le/Ce 각각을 포함하는 동일구성의 다른 어셈블리가 위치된다. 또한 쵸크 Le는 성분 Le 및 Ce의 공통점을 전압원의 단자(4)에 접속한다. 소인선 기간동안, 정전압(실제로 0)이 다이오드 D2와 직렬인 트랜지스터 Tr를 통하거나 또는 그룹 Ly/Cy의 전류방향에 의하는 다이오드 D1을 통하여 그룹 Ly/Cy의 단자에 인가된다. 동일하게, 실제 0인 전압이 D1 및 Tr을 통하거나, 또는 D2를 통하여 제2그룹 Le/Cy에 인가된다. 따라서 소인선 시간동안 실제로 단락인 코낵션은 도면에서 두꺼운 선으로 표시된다.
회로를 직류점 차단인 트랜지스터에서 고려하면, 직렬인 두 캐패시터 Ce+Cy는 전체 평균적으로 전압V로 충전된다. 전압 Vm이 단자(4)에 인가될때, 캐패시터 Ce의 충전 전압은 Vm과 동일하며, 캐패시터 Cy의 충전 전압은 V-Vm과 동일하다. 캐패시터 Cy의 단자에서의 전압은 공급 전압의 기능을 가지며, 이 결과로써 전압은 Vm이 증가할때는 감소하며 편향진폭은 감소하며, 직렬인 두 그룹의 전압합인 Te의 단자에서의 전압은 일정하게 남아 있는다. “ S ”보정은 실제로 변화하지 않는다(그룹 Ly/Cy는 두꺼운 선으로 도시된 경로로 단락되며, 단지 Cy만이 S현상에 대해 활성된다).
제2b도의 선도에서, “ S ”보정이 편향진폭으로 변화한다는 의미로 개선점이 얻어진다. 사실상, 여기서, 직류점으로부터, 캐패시터 Cy는 항상 평균값 V로 충전되며 캐패시터 Ce는 Vm값으로 충전된다(제2 내지 4도에서 도시된 선도에서, Vm은 항상 정(+)이며, 만일 그렇지 않으면 다이오드 D2에 의해 단락될 것이다). 소인선 기간동안, 반도체 성분 Tr, D1, D2이 도면에서 두꺼운 선으로 도시된 모든 코넥션을 실제로 단락할때, 캐패시터 Ce 및 Cy는 직력임이 밝혀지지만, 이들 캐패시터는 반대방향으로 충전되며, 전압 V-Vm이 제2a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편향기 Ly에 인가되므로 Vm과 편향진폭간의 동일 관계로 편향기 Ly에 동일 전류를 발생시킨다. 인덕턴스 Le는 여기서는 단자에서 전압 Vm을 수신하지만, 현재는, 캐패시터 Ce에서는 인덕턴스 Ly 및 인덕턴스 Le의 전류차 만큼이 통과된다. 리인진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점(4)의 측에서 도시된 포물선의 방향을 설명하는 필드 편향의 중간에서 Vm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Vm을 감소시킴으로써, 인덕턴스 Le의 전류가 감소되며 이것으로써 캐패시터 Ce 인덕턴스 Ly의 것에서 감산되며, 캐패시터 Ce의 전류는 그러므로 필드중간에서 증가된다. 이것은 요구된 바와같이 “ S ”보정을 두드러지게 한다. 그러나, 두 보정이 링크됨에 따라 진폭보정의 낮은 값으로 높은 동적 “ S ”보정값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이 회로는 인덕턴스 Le의 전류가, 다이오드 D2의 차단을 일으키는 인덕턴스 Ly의 전류를 일시적으로 초과한다는 단점을 가지며, 이것은 트랜지스터가 아직 도통되지 않을 대의 소인선 기간동안 처음에 발생한다. 상기에서 명칭 “ 45AX 의 구동회로 ”인 기술서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을 표시하지만, 회로의 복잡성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제4도)에 있어서, 두 캐패시터 Cy 및 Ce는 제2a도의 공지된 회로에서와 같이 직렬로 평균전압 V로 충전되지만, 소인선 기간 동안은, 두꺼운 선내의 회로는 블럭 Ly, Cy, Ce의 어셈블리를 단락하므로 편향기는 캐패시터 Cy +Ce에 의해 직렬로 공급되며, 이들 캐패시터의 전체 충전은 항상 V와 동일하다. 진폭은 그러므로 제1실시예에서 Vm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Vm과 동일한 평균치로 캐패시터 Ce 의 충전 전압은 소인선 기간동안 인덕턴스 Le에 인가되며, Vm에 비례하는 톱니파 전류를 흐르게 하며, 캐패시터 Ce의 인덕턴스 Ly의 전류에 가산되어진 이러한 전류는 유효값이 직접 Vm에 의해 결정되는 “ S ”보정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다이오드 변조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 의해 발생된 현상에 대해서는 본질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 S ”보정은 Vm에 의해 임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반면에 원리상, 핀쿳션 보정은 없다.
또한, 제4도에 따른 회로의 다이오드 D2를 통하는 전류는 인덕턴스 Le의 전류인 반면에, 제2b도의 공지된 회로에 있어서, 다이오드 D2의 전류는 인덕턴스 Le의 전류보다 적은 인덕턴스 Ly의 전류이다. 다이오드 D2의 차단으로 인한 상술된 공지된 회로의 단점은 그로므로 본 발명의 회로에서는 존재치 않는다.
종래기술의 회로의 동작모드와 본 발명의 회로의 동작모드간의 본질적인 차이는 또한 Vm의 필드 주파수에서 포물선 전압변화가 제2a 및 2b도(종래기술)와, 제3 및 4도(본 발명)간에서 반대방향이라는 사실로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 있어서, 필드동안 Vm의 증가는 “ S ”현상을 증가시키며 그러므로 필드 편향의 중간에서 필요하다. 원리상, 라인진폭 변화는 없다. 그러나, 만일 Vm이 증가하면, 전류는 성분 Le 및 Ce에서 증가하며, 톱니파 라인전류에 의해 캐패시터 Ce의 단자에서 유도된 라인 주파수에서의 전압 포물선의 진폭도 또한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소인선 기간동안 단독으로 계산된 캐패시터 Ce의 단자에서 평균 전압을 극히 약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써 “ S ”보정의 2차 현상이며 제2a, 2b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V에서 Vm을 감산한 전압차로 인한 진폭변화와 완전히 구별되는 편향진폭이 극히 약간 증가된다. 이러한 2차 현상을 참조하자면, “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진폭 변화의 부재가 상기에서 여러번 언급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를 사용하여, 약간의 핀쿳션 보정 및 효과적이며 조정가능한 “ S ”보정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주어진 양호한 결과를 갖는 성분값은 제4도의 경우에 있어서 다음과 같다. 즉 C1=9.1nF, Le=1.2mH, Ce=0.54uF, C2=130nF, Ly=1.9mH, Cy=1.2uF 공급전압은 140V이며 전압 Vm은 약 50V의 진폭 포물선 호를 갖는다.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편향기 Ly와 직렬로 위치된 선형 보정기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 보정기는 명칭 “ 45AX의 구동회로 ”란 기술서의 제4 및 5도에서 도시되며, 또한 발생기 Vm의 실시예의 선도를 제공하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필요로 되는 진폭 및 수성을 쉽사리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은 회로의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4도의 캐패시터 C1은 이것이 적절한 차값으로 주어진다는 조건하에서는 다이오드 D과 병렬로 접속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 Tr은 임의 다른 스위칭 성분, 예를들어, 공지된 차단 시스템에 연관된 더리스터로 대치될 수 있으며, 반도체 및 전력원의 극성이 반전될 수 있다. 또한 쵸크 LC과 보조 캐패시터 Ce에 접속되는데 즉 Vm과 동일한 평균전압의 캐패시터 Ce의 단자에서 부과를 가능케 하는 임의 직류 링크가 위치된다고 언급되었다. 즉, 상기 링크는 수임자 직접은 아니며, 특히 인덕턴스 Lc는 점(1) 대신에 제3 및 4도의 점(6)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아직도 인덕턴스 Le를 통하여 캐패시터 Ce에 직류가 “ 인가 ”된다.

Claims (3)

  1. 편향 인덕턴스, 제1 및 제2S형 캐패시터를 포함한 직렬장치와, 직렬장치에 실제 정전압을 인가하는 소인선 기간으로 불리는 라인 주기부동안은 도통이며 상기 직렬장치가 귀선 캐패시턴스와 함께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동안 귀선기간으로 불리는 나머지 주기동안은 차단인 스위칭 수단과, 제2S형 캐패시터에 라인 주파수 및 필드 주파수에서 변화하는 진폭의 톱니파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변조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전류부는 또한 편향 인덕턴스를 통해 흐르는 자기빔 편향을 갖는 영상 표시관의 라인 편향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로에서는 또한 필드 주파수에서 실제로 어떠한 성분도 갖지 않는 직류 전압을 두 S형 캐패시터로 형성된 직렬장치에 인가하는 공급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편향회로.
  2. 변조수단이 라인 주파수의 신호로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와 직렬로 접속된 보조 인덕턴스를 포함하는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는 보조 인덕턴스에 의해 제2S형 캐패시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편향회로.
  3. 소인선 기간동안 정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수단은 동일한 도통방향과 직렬이며 편향 인덕턴스 및 두S형 캐패시터로 형성된 직렬장치에 접속된 두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캐패시터의 공통점과 두 다이오드의 공통점간에 보조 인덕턴스가 접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편향회로.
KR1019870009640A 1986-09-02 1987-09-01 라인 편향회로 KR950009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12319A FR2603442B1 (fr) 1986-09-02 1986-09-02 Circuit de balayage lignes avec correction dynamique de s
FR8612319 1986-09-02
FR8602607 1986-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75A KR880004675A (ko) 1988-06-07
KR950009649B1 true KR950009649B1 (ko) 1995-08-25

Family

ID=933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640A KR950009649B1 (ko) 1986-09-02 1987-09-01 라인 편향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59915A (ko)
EP (1) EP0258949B1 (ko)
JP (1) JPS6363284A (ko)
KR (1) KR950009649B1 (ko)
DE (1) DE3782586T2 (ko)
FR (1) FR2603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18425D0 (en) * 1991-08-28 1991-10-16 Rca Thomson Licensing Corp Adapting horizontal scan to picture format
DE4142651A1 (de) * 1991-12-21 1993-07-01 Philips Broadcast Television S Schaltung zur h-ablenkung fuer fernsehbild-wiedergabegeraete
US5430502A (en) * 1992-02-25 1995-07-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eliminating moire pattern effects resulting from the use of different display resolution with a fixed size shadow mask
US5640082A (en) * 1996-01-31 1997-06-17 Hughes Electronics Duty cycle controlled switch variable capacitor circuit
EP0823812B1 (en) * 1996-08-07 2002-04-1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Horizontal S-shape correction circuit
US5969486A (en) * 1997-01-16 1999-10-19 Display Laboratories, Inc. Detecting horizontal blanking time in cathode ray tube devices
US6437829B1 (en) 1997-01-16 2002-08-20 Display Laboratories, Inc. Alignment of cathode ray tube displays using a video graphics controller
US6285397B1 (en) 1997-01-16 2001-09-04 Display Laboratories, Inc. Alignment of cathode ray tube video displays using a host computer processor
DE69919125T2 (de) 1998-06-05 2005-07-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blenkkorrektur
DE10026987A1 (de) * 2000-05-31 2004-09-0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Zeilenablenkschaltung für einen Fernsehempfäng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808845A (ko) * 1968-06-22 1969-12-24
NL158340B (nl) * 1969-05-29 1978-10-16 Philips Nv Beeldweergeefinrichting met een modulator voor het opwekken van een beeldregelfrequente zaagtandvormige stroom met een rasterfrequent varierende amplitude.
US3895258A (en) * 1974-02-04 1975-07-15 Itt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JPS54127217A (en) * 1978-03-27 1979-10-03 Sony Corp Load driver circuit
US4423358A (en) * 1982-04-23 1983-12-27 Rca Corporatio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with linearity correction
JPS6016070A (ja) * 1983-07-07 1985-01-26 Sony Corp 画像歪補正装置
US4533855A (en) * 1983-12-16 1985-08-06 Rca Corporation Switched capacitor S-correction circuit
JPH0681267B2 (ja) * 1986-01-20 1994-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平出力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75A (ko) 1988-06-07
DE3782586D1 (de) 1992-12-17
EP0258949A1 (fr) 1988-03-09
US4859915A (en) 1989-08-22
FR2603442A1 (fr) 1988-03-04
DE3782586T2 (de) 1993-06-03
EP0258949B1 (fr) 1992-11-11
FR2603442B1 (fr) 1988-11-10
JPS6363284A (ja) 198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822B1 (ko) 편향회로 및 라스터 왜곡 보정장치
KR940001826B1 (ko) 래스터 왜곡 보정회로
KR950009649B1 (ko) 라인 편향회로
US4516058A (en) Linearity corrected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US4733141A (en) Horizontal output circuit for correcting pin cushion distortion of a raster
US5260628A (e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KR930012094B1 (ko) 집속 전압 발생용 회로
JPH0817447B2 (ja) 陰極線管用の偏向回路
US5994852A (en) Wide band high voltage stabilizing circuit
GB1246745A (en) Pin cushion correction for television display arrangements
KR100374053B1 (ko) 내측래스터왜곡보정회로
KR970005218B1 (ko) 래스터 왜곡이 정정된 편향 장치 텔레비젼 편향 장치
US4584503A (en) Phase correction arrangement for deflection circuit
US3795835A (en) Horizontal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US4181874A (en) Television S-correction circuit with improved linearity
JPH05219398A (ja) 陰極線管表示システム
KR20010080642A (ko) 라인 편향 회로, 동적 s 수정 회로, 디스플레이 장치
EP0797350B1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with parallelogram raster correction
US6479953B2 (en) Deflection circuit with a retrace capacitive transformation
JP2708404B2 (ja) 高圧発生装置
JPS596672A (ja) 水平偏向電流発生回路配置
US4118655A (en) Line sawtooth deflection current generator
US6320332B1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JP3082423B2 (ja) 水平偏向電流の制御回路およびその回路を備えた水平偏向回路と高電圧・水平偏向一体型回路と糸巻き歪補正回路
GB2098424A (en) Horizontal driver and linearit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