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26B1 - 래스터 왜곡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래스터 왜곡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26B1
KR940001826B1 KR1019860003609A KR860003609A KR940001826B1 KR 940001826 B1 KR940001826 B1 KR 940001826B1 KR 1019860003609 A KR1019860003609 A KR 1019860003609A KR 860003609 A KR860003609 A KR 860003609A KR 940001826 B1 KR940001826 B1 KR 94000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horizontal
vertical
frequenc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575A (ko
Inventor
로드리게즈 카바조스 엔리크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6000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래스터 왜곡 보정회로
제1도는 래스터의 핀쿠션 왜곡도.
제2도는 래스터의 걸윙 왜곡도.
제3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걸윙 및 상-하 핀쿠션 왜곡 보정 회로.
제4도는 제3도의 회로내에 사용되는 비선형 리액터 장치.
제5a도는 걸윙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수직 비율 주사 전류를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수평 주사 전류의 제2조파의 파형도.
제5b도는 제5a도의 파형과 동시에 발생되는 수평 리트레이스 전압의 파형도.
제6도는 전체 수직 주사 기간동안 수직 주사 전류의 변조를 초래하는, 제3도의 권선에 대한 수직 편향에 인가된 핀쿠션 및 걸윙 보정 전압의 평형도.
제7도는 단일 수평 주사 기간동안 제6도의 전압의 파형도.
제8도는 변압기에 의해 상호 결합된, 각각 fH및 2fH에 동조된 제1 및 제2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걸윙 및 상-하 핀쿠션 보정 회로의 제2실시예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5 : 전력 공급 53 : 궤환 변압기
57 : 수직 출력단 63 : 고전압 회로
84 : 왜곡 보정 전압 발생 회로 85 : 수평 발진기 및 구동 회로
86 : 수평 편향 발생기 87 : 트레이스 스위치
150 : 동적 "S" 보정 회로 200 : 수평 편향 회로
본 발명은 래스터의 개발에서 발생하는 감소된 왜곡을 갖는 주사 래스터를 발생하기 위하여 음극선과 비임의 전자기적 편향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RT)내의 전자 비임의 전자기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텔레비젼 장치에 있어서, 편향 요크(yoke)는 CRT의 목부분에 위치한다. 회로 수단은 전류가 요크의 편향 권선내에서 흐르도록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 회로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가변 전자기적 필드는 전자 비임을 편향시키며, 음극선관의 타겟상에 래스터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래스터는 바람직하게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전자 비임 주사 왜곡의 가변 형태는 발생될 수도 있으며, 발생된 래스터 배열을 소망의 직사각형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계가 있는 한 잘 공지된 형태의 래스터 왜곡은 소위 "핀쿠션"왜곡 특히, 그러한 왜곡의 "상부 및 하부"가로 세로이다. 상기 형태의 왜곡은 래스터 주사 라인의 중앙 바윙(bowing)에 의해 특징되며, 바윙의 특성은 래스터 중앙 근처의 최저점을 통과하는 래스터 상부에서의 최대 하향의 바윙으로부터 래스터 하부에서의 최대 상향의 바윙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바윙은 대략적으로 쌍곡선 또는 포물선형이다. 제1도는 직교 패턴상의 좌로 보정되지 않았을 때의 핀쿠션 왜곡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왜곡은 크기 및 타겟 영역의 배열 및 타겟에 관한 전자 비임 편향 중심의 상대적인 위치와 같은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편향 시스템의 물리적 기하학으로부터 초래된다.
상-하 핀쿠션 왜곡 문제에 대한 잘 공지된 해결책은 수평비율 fH보정 전류를 갖는 수직 주사 전류를 조절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CRT 스크린의 상부에서의 수평 주사 라인의 주사동안, 수평 비율 보정 전류는 수직 주사 전류에서의 다양한 변화를 초래한다. 상기 다양한 변화는 그러한 수평 라인의 중심에서, 상기 수직 주사 전류가 단부에서보다 더 커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수평 주사 라인의 중심부에서의 수직 편향은 수평 주사 라인의 단부에서보다 더 크다. 따라서, 상기 바우형 수평 주사 라인은 수평 직선 라인에 근접하여 나타나도록 변경된다.
본 발명과 관계가 있는 또다른 형태의 래스터 왜곡은 소위 "걸윙(gullwing)" 왜곡이다. 상기 형태의 왜곡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쿠션 왜곡에 대하여 이미 실제적으로 보정되어 있는 다수의 바윙 또는 험프(hump)형 래스터 주사 라인으로 특징된다. 험프의 크기는 사용된 CRT의 형태에 따라 변화한다. CRT의 한 예에 있어서, 험프의 크기는 스크린의 중심과 상부간 또는 스크린의 중심과 하부간의 중간 영역에서의 최대값을 갖는다. 걸윙 왜곡의 시초는 비임 주사 반경의 곡률과 음극선관 면판 반경의 곡률간의 차이에 있다. 비구면 면판 곡률을 갖는 새롭고, 평평한 면판 화상관은 그러한 걸윙 왜곡의 보정을 필요로 한다.
복잡한 곡률 면판을 갖는 상기 형태의 관은 다음과 같은 4개의 영국 공개 특허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1. 에프·알·라그랜드 2세의 이름이므로, 1984년 9월 12일 공개된, 명칭 "개선된 쉐도우 마스크 외형을 갖는 음극선관"인, 일련번호 제2136200 A호.
2. 에프·알·라그랜드 2세의 이름으로, 1984년 9월 12일 공개된, 명칭 "실제적으로 평면 원둘레를 갖는 면판 패널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인, 일련번호 제2136198 A호.
3. 알·제이·디'아마토 등의 이름으로, 1984년 9월 12일 공개된, 명칭 "장축 및 단축을 따라 상이한 곡률을 갖는 음극선관"인 일련번호 제2136199 A호.
4. 알·제이·디'아마토 등의 이름으로, 1985년 5월 1일 공개된, 명칭 "필수적으로 평면 스크린 원둘레를 갖는 면판 패널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인 일련번호 제2147142 A호.
RCA 110°COTY-SP, 장방형 평면 27V, 컬러 텔레비젼 화상관 A 68 ACC 10X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편평한 면판 화상관의 한 형태에 있어서, 밀리미터로, 면판의 중심에 대한 상기 관 면판 서지탈(Sagital) 높이 Z에 관한 식은
Z=A1X2+A2X4+A3Y2+A4X2Y2+A5X4Y2+A6Y4+A7X2Y4+A8X4Y4
로 주어지며, 여기에서 X 및 Y는, 밀리미터로, 각각 장축 및 단축을 따라 면판 중심으로부터의 좌표 거리이며,
A1=-0.236424229×10-4
A2=-0.363538575×10-8
A3=-0.422441063×10-3
A4=-0.213537355×10-8
A5=+0.883912220×10-13
A6=-0.100020398×10-9
A7=+0.117915353×10-14
A8=-0.527722295×10-21이다.
상기식에 의해 정의된 화상관 면판은 면판의 중심 근처에 비교적 얇은 곡률을 가지며, 그것은 상기 관의 장축 및 단축에 평행한 경로를 따르는 단부 근처를 증가시킨다. 총 결과는 비교적 편형한 외양 및 평면 단부 즉, 실제적으로 공통 평면내에 위치한 상·하 좌 및 우 단부를 따르는 점을 갖는 면판이다.
걸윙 왜곡은 CRT의 면판의 기하학에 의해 초래된다. 평면 CRT가 사용되었을 때, 걸윙 왜곡은 주목할만하다. 평면 화상관에 있어서, 관의 표면은 중심 근처에서 편평하며, 단부 근처에서 증가하는 반경의 곡률을 갖는다. 다수 반경의 곡률은 걸윙 왜곡을 특징짓는 대응 험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수평 주파수 fH의 조파인 주파수에서의 걸윙 왜곡 보정 전류는 각 수평 주사 라인 시간동안 수직 주사 회로를 변조시키는데 사용된다. 걸윙 왜곡은 다른 상태로 다수의 험프를 갖게 될 수평 주사 라인을 일직선으로 하기 위하여 적절한 걸윙 보정 파형에 의해 수직 편향 전류를 변조시킴으로써 보정될 수도 있다. 한 예로, 사용되는 조파는 제2조파이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비선형, 기포화 리액터는 수평 주파수 성분의 적절하게 변조된 조파를 걸윙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수직 주사 전류 경로내로 삽입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비선형 리액터는 그때 유리하게 부가적 기능의 상-하 핀쿠션 보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예를 들어, 리액터는 중심 코어 레그(core leg)상에 감겨진 출력 권선 및 각각의 상이한 외부 코어 레그상에 감겨진 각각 1/2의 입력 권선을 갖는 2-윈도우 2-레그 코어를 포함한다. 1/2 입력 권선은 동일 수평 주사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지만, 그것 각각의 폴링(polling)에 기인하며, 그것은 상호 반대의 방향으로 중심 코어 레그를 통하여 수평 비율 자속을 구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그것 각각의 자속 분배가 진폭내에서 정합되었을때, 중심 코어 레그에서, 수평 주파수 또는 그것의 조파에서의 에너지가 출력 권선에 전송되지 않는다는 결과를 갖는 수평 주파수 또는 그것의 조파에서의 자속 변화의 취소를 완성시킨다. 그러나, 그것 각각의 자속 분포가 다르다면, 중심 코어 레그에서의 취소는 출력 권선과 1/2 입력 권선의 하나간의 효과적인 자속 연결이 있다는 결과를 갖고 완성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수평 주파수 또는 그것의 조파에서의 변화는 간단한 변압기 작동에 의해 출력 권선 회로에 전달될 것이며, 전달된 변화의 진폭은 자속 분포의 차이의 정도에 의존하며, 극성은 자속 분포가 우세한 곳에 의존한다.
관련 수평 및 조파 자속 분포의 동적 제어는 중심 코어 레그상의 출력 권선을 통하여 흐르는 수직 주사 전류 그 자체에 의해 행해진다. 수직 주사 싸이클의 제1부분동안, 수직 주사 전류가 제1방향내에 있을때, 동적제어는 중심 레그를 한 외부 레그에 연결시키는 코어 세그먼트내의 바이어스 자속에 반대하는 자속을 야기하며(그것에 의해 상기 코어 세그먼트의 투자성을 증가시킨다), 중심 레그를 다른 외부 레그에 연결시키는 코어 세그먼트 내의 바이어스 자속에 더해진 자속을 야기시켜, 상기 코어 세그먼트의 투자성을 저하시킨다. 상기 역은 상기 주사 전류가 역방향으로 될때, 수직 주사 싸이클의 연속 부분동안 참이다.
그러므로, 수평 주파수 또는 그것의 조파에서의 한 극성의 변화는 수직 주사 전류의 제1피크에서 최대 진폭을 갖는 한 입력 권선 세그먼트로부터 출력 권선으로 전달된다. 다른 입력 권선 세그먼트로부터의, 수평 주파수 또는 그것의 조파에서의 반대 극성 변화의 최대 진폭 이동은 수직 주사 전류의 연속하는 반대 방향 피크에서 발생한다. 극성 교차점은 상기 피크의 중간에서 발생한다. 제1극성 이동의 진폭에서의 꾸준한 감소는 제1피크로부터의 교차점의 접근동안 발생하며, 반대 극성 이동의 진폭에서의 꾸준한 증가는 교차점에 이어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출력 권선에 전달된 수평 주파수 또는 그것의 조파에서의 변조된 성분은 상부 및 하부 핀쿠션 보정 또는 걸윙 보정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형태이다. 상기 변조된 성분은 그때 수직 편향 권선에 결합된다. 상기 변조된 성분은 출력 권선을 포함하는 제1공진 회로를 공진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제1공진 회로는 기초 수평 주파수의 조파에 동조된다.
유리하게, 제2공진 회로는 상부 및 하부 핀쿠션 왜곡 보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평 주사 주파수에 동조될 수도 있다. 조파에 동조된 제1공진 회로와 함께, 쉽게 얻을 수 있는 레벨의 제어 권선 전압은 수직 편향 권선내의 수직 주사 전류를 위하여 각각 제2 및 제1공진 회로로부터 각각 필수 수평 주파수 전류 성분 및 조파 전류 성분 각각에 더해지도록 수평 주파수 및 그것의 조파에서 충분한 전압을 발생할 것이다.
제2공진 회로에 의해 유도된 수평 주파수 변화는 필수적으로 정현파형일 것이다. 그러한 형태는 만족스러운 핀쿠션 보정을 발생하기 위한 이상적인 파형에 충분하게 근접한다. 유사하게, 제1공진 회로에 의해 유도된 조파에서의 진폭 및 파형의 변화는 단지 걸윙 왜곡 보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된 이상적인 진폭 및 파형에 근접한다는 것은 인지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수직 주사 전류의 소오스는 수직 편향 권선 및 비선형 리액터 장치의 제어 권선에 접속되며, 수평 주사 전류의 소오스는 수평 편향 권선 및 비선형 리액터 장치의 입력 권선에 접속된다. 상기 비선형 리액터 장치는 출력 권선을 포함한다. 전압은 입력 권선에서의 수평 주사 전류로부터 출력 권선에서 발생된다. 출력 권선에서의 그러한 전압은 수직 주사 전류에 따르는 진폭 또는 위상내에 있다. 실제적으로 수평 주사 주파수의 조파를 포함하는 전류는 출력 권선에서의 전압으로부터 발생된다. 수직 편향 권선을 선회하는 수직 주사 전류는 실제적으로 수평 주사 주파수의 조파를 포함하는 전류에 따라 변조된다.
제3도에 도시된, 수평 편향 회로(200)에 있어서, 전력 공급(45)으로부터 필터된 DC 전압 VB은 단자(48)에서 발생된다. 전압 VB는 수평 출력 또는 궤환 변압기(53)의 제1권선(53a)을 통하여 수평 편향 발생기(86)의 단자(90)에 접속된다.
수평 편향 권선 Ly은 수평 편향 발생기(86)에 접속된다. 발생기(86)는 직렬 배열의 선형 유도자(83), 트레이스(trace) 캐패시터(62), 비선형 변압기 T1의 직렬 결합된 제1권선 W3 및 W4, 동적 "S" 보정 회로(150) 및 병렬 배열의 리트레이스(retrace) 캐패시터(180) 및 트레이스 스위치(87)를 포함한다. 스위치(87)는 병렬 배열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88) 및 댐퍼 다이오드(89)를 포함한다. 편향 발생기(86)는 편향 권선 Ly 각각의 수평 편향 싸이클 동안 주사 전류 iy를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동기화된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 회로(85)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88)의 제어 베이스 전극에 제공하여, 수평 트레이스 기간동안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며, 수평 리트레이스 기간을 개시시키기 위하여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시킨다. 플라이백(flyback) 변압기(53)의 고전압 권선(53)은 비임 전류용 울터(ultor)가속 전위를 발생하기 위한 종래의 고전압 회로(63)에 접속된다.
동적 "S" 보정 회로(150)는 캐패시터 150와 병렬로 접속된 인덕턴스 L150를 포함한다. 인덕턴스 L150는 전도 편향 전류 iy에 접속된 중간텝(tap)을 갖는다. 회로(150)는 정상 선형 파형과 함께, 편평한 면 CRT와 연관된 잔여 "S"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평 주파수의 제2조파를 포함하는 편향 권선 Ly와 직렬로 전압 파형을 삽입시킨다.
동작에 있어서, 트레이스 스위치(87)는 트레이스 기간동안 전도적이다. 트레이스 스위치(87)가 전도적일때, 스위치는 편향 권선 Ly으로부터 변압기(53)를 절연시킨다. 제1권선(53)내의 업램핑(upramping) 제1전류 i2는 트레이스 기간동안 궤환 변압기(53)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상기 저장된 에너지는 편향 발생기(86)내의 손실을 채우며, 스위치(87)가 비전도적일때 리트레이스 기간동안 고전압 회로(63)를 활성화시킨다. 편향 발생기(86)는 변압기(53) 및 리트레이스 캐패시터(80)와 함께 리트레이스 공진 회로를 형성한다. 트레이스 기간의 끝에서, 변압기(53) 및 편향 권선 Ly내에 저장된 에너지는 리트레이스 기간동안 캐패시터(80) 양단의 리트레이스 전압 VR을 발생하기 위하여 리트레이스 캐패시터(80)내로 전달된다. 수평 편향 발생기(86)는 편향 권선 Ly과 직렬로 접속된 변압기 T1의 각각의 권선 W3 및 W4내에서 수평 비율 편향 전류 iy를 발생한다. 편향 전류 iy가 기초 주파수 fH에서의 전류에 부가하여 기초 주파수 fH의 조파 또는 멀티플에서의 전류를 포함하는 것은 이해하여야만 한다.
수직 비율 구동 전압 Vv을 발생하는 수직 편향 출력단(57)은 수직 권선 Lv의 단자(82)에 접속된다. 왜곡 보정 전압 발생 회로(84)는 편향 권선 Lv의 다른 단부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a)와 단자(81b) 사이에 접속된다. 단자(81b)는 커플링 캐패시터(58)와 직렬로 되어 있는 전류 샘플링 저항기(59)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왜곡 보정 전압 발생 회로(84)는 단자(81a)와 (81b) 사이에 편향 권선 Lv를 통하여 수직 전류 iv를 변조시키는 전압 VDIC를 발생한다.
제6도는 캐패시터(64) 양단이 보정 전압 VDIC를 나타내는 제3도의 단자(81a)에서의 전압 V81a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전압 VDIC은 수직 비율로 변호하는 진폭을 갖는다. 제7도는 확대한 크기로 제3도의 전압 V81a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2×fH비율 성분이 제7도의 파상 파형(120)으로 도시되어 있는 전압 V81a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주목하여야 한다.
제3도의 전압 VDIC은 수직 주사 전류 iv를 변조시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CRT내의 전자 비임의 수직위치를 변화시킨다. 전압 VDIC은 수평 비율 주파수의 조파를 갖는 수직 편향 전류를 변조시킴으로써 제2도에 도시된 걸윙 왜곡의 험프에 대하여 보상되어, 험프의 그것과 반대 방향의 수직 일탈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걸윙 왜곡은 왜곡에 뒤따르는 수직 편향 전류를 삽입시킴에 의해 보정되어 수평 주사 라인을 "똑바르게" 한다.
왜곡 보정 전압 발생 회로(84)는 변압기 T1 즉, 예시적으로, 직렬로 접속된 출력 권선 W1 및 W2를 갖는 기포화-코어 변압기를 포함한다. 왜곡 보정 전압 발생 회로(84)는 수평 주파수 fH에 동조되는 직렬 공진 회로(84f)를 포함한다. 공진 회로(84f)는 단자(12)와 (81b) 사이의 유도자 L4 및 단자(81a)와 (81b) 사이의 캐패시터를 활성화시키는 단자(12) 및 (15) 사이의 변압기 T1의 제2권선 W2를 포함한다. 캐패시터(64) 유도자 L4 및 권선 W2는 직렬 공진 회로(84f)를 형성한다. 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도자 L4 및 캐패시터(64) 내에 흐르는 수평 비율 fH전류 if는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는 회로(84)의 전압 VDIC의 수평 비율 fH성분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왜곡 전압 발생 회로(84)는 또한, 예시적으로, 주사 전류 iy의 기초 주파수 fH의 제2조파 2fH에 동조되는 공진 회로(842f)를 포함한다. 공진 회로(842f)는 직렬 배열의 걸윙 왜곡 보정 동조 유도자 L3, 캐패시터 C4 및 유도자 L4의 단자 L4C와 변압기 T1의 단자(12)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유도자 L4의 전도성 임피던스를 활성화시키는 단부 단자(1b)와 (12)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변압기 T1의 권선 W1 및 W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유도자 L3, 유도자 L4, 권선 W1 및 W2 및 캐패시터 C4는 직렬 공진 회로(842f)를 형성한다. 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도자 L3 및 캐패시터 C4 내에 흐르는 전류 i2f는 걸윙 왜곡을 보정하는 회로(84)는 전압 VDIC의 제2조파 비율 성분을 제공한다. 유도자 L4는 걸윙 및 핀쿠션 보정 전압 VDIC의 각각의 성분을 발생하기 위하여 각각, 조파 2fH및 기초 주파수 fH에서 전류 i2f및 if를 결합한다는 것은 이해하여야만 한다. 제3도의 기포화 변압기 T1은 제4도에 도시하였다. 제3도 및 4도에서 유사한 참조번호 및 심볼은 유사한 아이템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출력 권선 W1 및 W2는 코어 TC의 중심 세그멘트 또는 레그 TCC 상에 감겨져 있다. 제1권선 W3 및 W4는 코어 TC의 각각의 외부 세그먼트 또는 레그 TCB 및 TCA 상에 감겨져 있다. 영구 자석(40)은 제4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바이어스 자력 선속 ø1을 유도한다. 실제적으로 제3도의 모든 수직 편향 전류 iv는 제3도의 수직 편향 전류 iv에 대한 크기 및 극성에 연결된 제4도의 자속 ø2를 발생하기 위하여 권선 W1 및 W2의 접합점에서 단자(15)를 통하여 흐른다.
제3도의 권선 W3 및 W4내의 수평 주사 전류 iy는 각각 자속 ø3A및 자속 ø3B를 발생한다. 자속 ø3A는 제3도의 권선 W3 및 W4가 전도 전류 iy 접속되기 때문에 중심 레그 TCC에서 자속 ø3B과 반대 방향에 있다.
수직 편향 전류 iv가 0일 때, 즉 전자 비임이 래스터의 중심에 있을때, 코어 TC의 외부 레그 TCB 및 TCA 각각내의 자속은 평형되며 자속 ø3A=자속 ø3B이다. 그러므로, 권선 W1 및 W2내에 유도된 전압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비임이 래스터의 상부에 있으며, 수직 편향 전류 iv가 그것의 최대 양의 값에 있을때, 예시적으로 자속 ø2는 코어 TC의 레그 TCA내의 자속 ø1으로부터 감산되도록 그리고 레그 TCB내의 자속 ø1에 가산되도록 극성을 갖는다. 코어 TC의 투과성은 예시적으로 강자성 물질에 대해 전형적인 S형 곡선의 투과성 대 자속에 의해 특징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레그 TCB내의 자속 ø2는 레그 TCB내의 코어의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반면, 레그 TCA내의 자속 ø2는 레그 TCA내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투과성이 레그 TCA 및 TCB내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자속 ø3A및 자속 ø3B는 더 이상 중심 레그 TCC에서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전압 VW2및 전압 VW1은 각각 권선 W1 및 W2 양단에서 유도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전압 VW1및 VW2의 각각은 예시적으로 자속 ø3B보다 작은 자속 ø3A의 값에 직접 연관된다.
대조하여, 래스터의 극단 하부에 있어서, 제3도의 수직 편향 전류 iv가 그것의 최대 음의 값에 있을때, 상기 유도된 전압 VW1및 VW2는 자속 ø3A보다 작은 자속 ø3B의 값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유도 전압 VW1및 VW2는 그것의 각각의 상부에서의 위상에 연관된 래스터의 하부에서의 반대 위상에 있다.
이러한 극단간의 점에서, 자속 ø3A및 자속ø3B간의 차는 수직 편향 전류 iv에 의해 초래되는 자속 ø2의 크기 및 위상에 직접 의존한다. 그러므로, 감소 보정은 래스터의 중심을 향하여 이루어진다. 반전 위상의 보정은 중심 근처에서 이루어지며, 증가 보정은 래스터의 하부를 향하여 이루어진다.
자석(40)이 코어 TC내의 자속의 비선형성을 이루는데 필수적이 아니라는 것은 이해하여야만 한다. 그러한 비선형성은 코어 TC용 코어 물질의 현명한 선택에 의해 얻어질 수도 있다.
제3도의 전압 VW2는 공진 회로(84f)내에서 수평 비율 전류 if를 발생한다. 전류 if는 캐패시터(64) 양단에 상응 수평 비율 성분의 전압 VDIC를 발생한다. 수평 비율 성분의 위상과 전압 VDIC의 조파 성분의 위상을 예를들어 적절하게 위상된 N-S 보정에 대한 각 라인 주사의 중심에서 수평 비율 변조의 최대 진폭을 제공하기 위하여 위상 조정 인덕터 L4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제3도의 변압기 T1의 단자(12)와 (16)간의 전압 VW1및 VW2의 합계 전압은 기초 수평 주파수의 제2조파에서 우세한 공진 회로(842f)내에서 전류 i2f를 발생한다. 제5a도는 제3도의 전류 i2f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제5b도는 리트레이스 캐패시터(80) 양단의 전압 VR의 동시에 발생하는 리트레이스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캐패시터 C4 및 인덕터 L3에 의한 필터링 수행은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제적으로 코싸인 파형을 갖는 전류 i2f를 발생한다. 전류 i2f의 진폭은 권선 W2내의 전류 iv의 수직 비율 진폭 변화에 따라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비율로 변화한다. 전류 i2f는 수직 트레이스의 중심에서 그것의 위상을 반전한다. 상기 수직 비율 엔벨로프의 전류 i2f는 걸윙 왜곡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식의 크기로 변화하기 때문에 걸윙 보정 수직 위치를 근사각도를 제공한다.
왜곡 보정 전압 발생 회로(84)의 정렬은 예시적으로, 전압 V81a의 최대 진폭을 얻기 위한 인덕터 L4 조정, 최대 전류 i2f를 얻기 위한 인덕터 L3 조정, CRT 스크린상의 대칭적인 좌 및 우 왜곡 보정을 얻기 위한 인덕터 L4 재조정, CRT 스크린의 상부 및 하부에서 직선 라인을 얻기 위한 저항기(61)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3도 및 제8도에서 유사한 번호 및 심볼은 유사한 아이템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8도의 회로는 제3도의 회로와 유사하나, 아래에 기술되는 차이점을 갖는다. 제8도의 회로에 있어서, 공진 회로(842f)는 변압기 기능에 의해 캐패시터(64)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제3도의 회로와 동일하지 않으며, 제4도의 공진 회로(842f)는 전도적이 아니거나 D.C.는 캐패시터(64)에 접속된다.
제4도의 변압기 T1 권선 W1 및 W2는 단자(12)와 (16) 사이에 3.3오옴의 결합된 저항을 갖는다. 권선 W3 및 W4 각각은 0.08오옴의 저항을 가지며, 15750 헤르쯔에서 단자(12)와 (16)간의 인덕턴스는 320 마이크로헨리이다. 단자(13) 및 (11)이 단락되었을때, 단자(14)와 (17)간의 인덕턴스는 26마이크로헨리이다. 코어 TC의 코어 물질은 일본 TDK 회사에서 만든 H3TEi25이다.

Claims (13)

  1. 각각의 수평(Ly) 및 수직(Lv) 편향 권선을 갖는 편향 요크와, 수평 주사 주파수에서 수평 주사 전류의 소오스(200)와, 수직 주파수에서 수직 주파 전류의 소오스(57)와, 상기 수평 주사 전류가 상기 수평 편향 권선(Ly)을 선회하고 상기 수직 주사 전류가 상기 수직 편향 권선(Lv)을 선회하도록 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상기 요크를 상기 제1 및 제2소오스에 결합시키기 위해 제1수단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주사 시스템에 있어서,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는, 상기 제1의 주파수에 관련한 주파수로 리액터의 제2권선(W2)에서 출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수평 주사 주파수에 관련한 제1주파수 신호에 응답한 제1권선(W3, W4)을 포함하는 비선형 리액터(T1)와, 상기 비선형 리액터의 제2권선(W2)에 결합되고 상기 제1주파수보다 큰 고조파에서 우세한 제1변조 전류(i2f)를 발생하기 위한 출력 신호에 응답하는 수단(200)와, 상기 수직 주사 주파수에 관련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신호에 응답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변조 전류(i2f)의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1변조 전류 발생 수단(200)에 결합된 수단(W2 및 그것의 코어)과, 상기 제1변조 전류(i2f)에 따라 수직 주사 전류를 변조시키기 위해 수직 편향 권선(Lv)에 연결된 수단(61, 64)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주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 전류(i2f)는 걸윙 왜곡 보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리액터는 포화가능한 리액터(T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 전류 발생 수단은 상기 제2권선(W2)에 연결된 제1공진 회로(L3,C4)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공진 회로(L3, C4)는 상기 수평 주파수의 조파에 동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5. 각각의 수평(Ly) 및 수직(Lv)을 편향 권선을 갖는 편향 요크와, 수평 주사 전류의 소오스(200)와, 수직 주사 전류의 소오스(57)와, 상기 수평 주사 전류가 상기 수평 편향 권선(Ly)을 선회하고, 상기 수직 주사 전류가 상기 수직 편향 권선(Lv)을 선회하도록 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상기 요크를 상기 제1 및 제2소오스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수단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주사 시스템에 있어서,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는, 입력 권선(W3, W4)과 제어 권선(W2)을 구비하는 비선형 리액터(T1)와, 실제로 수평 주사 주파수의 고조파를 포함하는 제1변조 전류(i2f) 발생용 상기 비선형 리액터(T1)의 입력 권선(W3, W4)에 연결된 수단(200)과, 그 결과에 따라 제1변조 전류(i2f)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해 수직 비로 동작하는 신호에 응답하는 수단(W2 및 코어)과, 상기 제1변조 전류(i2f)에 따라 수직 주사 전류를 변조시키기 위해 수직 편향 권선(Lv)에 결합된 수단(61, 64)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변조 전류 발생 수단은 상기 음극선관에서 걸윙 왜곡에 따라 편향 전류를 발생하도록 상기 변조 전류 위상을 선택적으로 위상 시프팅하기 위한 위상 시프팅 수단(L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주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 전류의 주파수는 상기 수평 주파수의 제2조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주사 주파수에서 우세한 제2변조 전류(if)를 발생하기 위해 비선형 리액터의 제1권선(W3, W4)에 연결된 수단(W2)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변조 전류(if)의 진폭은 수직 주사 주파수에 관련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신호로 변화하며, 상기 수직 주사 전류 변조 수단은 상기 제2변조 전류(iv)에 따라 수직 주사 전류(iv)를 변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조 회로는 북-남 핀쿠션 보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i2f) 및 제2(if) 변조 전류는 상기 수직 주사 전류(iv)는 전류 경로내에서 대응 변조 전압(VDIC)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10. 각각의 수평(Ly) 및 수직(Lv) 편향 권선을 갖는 편향 요크와, 수평 주사 전류(iy)의 소오스(200)와, 수직 주사 전류(iv)의 소오스(57)와, 상기 수평 주사 전류가 상기 수평 편향 권선을 선회하도록, 상기 수직 주사 전류가 상기 수직 편향 권선을 선회하도록 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상기 요크를 상기 제1 및 제2소오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1수단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주사 시스템에 있어서,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는 제1(TCA) 및 제2(TCB) 외부 바디 세그먼트 및 중심 세그먼트(TCC)를 갖는 다수-윈도우 자기 회로 배열 내에 배열된 강자성 물질의 바디(TC)와; 상기 바디(TC)내로 자기 바이어스 자속을 설정시키기 위한 수단(40)과; 상기 제1(TCA) 및 제2(TCB) 외부 바디 세그먼트에 대하여 각각 위치되며, 상기 수평 주사 전류(iy)의 전류 경로내에 접속된 제1(W4) 및 제2(W3) 직렬 접속된 입력 권선과; 상기 중심 세그먼트(TCC)에 대하여 위치되며, 상기 수직 주사 전류(iv)에 따라 변화하는 진폭을 갖는 대응 전류를 제1 및 제2출력 권선중 하나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직 주사 전류(iv)의 전류 경로내에 접속된 제1(W1) 및 제2(W2) 출력 권선과; 수평 주사 주파수보다 큰 조파에 동조하여 상기 조파의 주파수에서 제1변조 전류(i2f)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출력 권선중 하나의 상기 대응 전류에 응답하는 제1동조 회로(L3, C4)와; 수평 주사 주파수의 상기 조파에서의 상기 제1변조 전류(i2f)로부터 수직 주사 전류 변조 전압(VDIC)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64)과; 상기 수직 주사 전류 변조 전압(VDIC)에 따라 상기 수직 주사 전류(Lv)를 변조시키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권선(W4)은 상기 중심 세그먼트(TCC)내로 상기 제2입력 권선(W3)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에 대하여 반대의 극성을 갖는 자속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수평 주사 주파수에 동조하여, 수직 주사 주파수에서 변화하는 진폭을 갖는 수평 주파수에서 제2변조 전류(if)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2출력 권선(W2)내의 상기 대응 전류에 응답하는 제2동조 회로(L4, 64)와, 여기에서 상기 수직 주사 전류 변조 전압 발생 수단(64)은 상기 제2변조 전류(if)에 따라 상기 수직 주사 전류 변조 전압(VDIC)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 회로(if)는 자기적 결합에 의해서만(제8도) 상기 수직 주사 전류 변조 전압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KR1019860003609A 1985-05-10 1986-05-09 래스터 왜곡 보정회로 KR940001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2.693 1985-05-10
US732,693 1985-05-10
US06/732,693 US4642530A (en) 1985-05-10 1985-05-10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575A KR860009575A (ko) 1986-12-23
KR940001826B1 true KR940001826B1 (ko) 1994-03-09

Family

ID=2494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609A KR940001826B1 (ko) 1985-05-10 1986-05-09 래스터 왜곡 보정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42530A (ko)
EP (1) EP0201336B1 (ko)
KR (1) KR940001826B1 (ko)
CA (1) CA1261072A (ko)
CS (1) CS271332B2 (ko)
DD (1) DD244873A5 (ko)
DE (1) DE3689204T2 (ko)
FI (1) FI8123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691A (en) * 1986-04-11 1988-04-12 Rca Corporation Televis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phase modulated deflection current
DE3619279A1 (de) * 1986-06-11 1987-12-17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beseitigung von geometrieverzerrungen
US4845409A (en) * 1987-01-06 1989-07-0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Independent top/bottom raster correction
FI86127C (fi) * 1987-03-23 1992-07-10 Rca Licensing Corp Korrigeringskrets foer maosvingedistorsion.
GB8706822D0 (en) * 1987-03-23 1987-04-29 Rca Corp Active modulator circuit
DE3729676A1 (de) * 1987-09-04 1989-03-23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korrektur von geometrieverzerrungen
DE3814563A1 (de) * 1988-04-29 1989-11-09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korrektur von geometrieverzerrungen auf dem bildschirm einer kathodenstrahlroehre
US4859846A (en) * 1988-07-21 1989-08-22 Burrer Gordon J Dual-mode resonant scanning system
DE3942908A1 (de) * 1989-12-23 1991-06-27 Thomson Brandt Gmbh Verstaerker mit einem abgestimmten ausgangsuebertrager
US4972127A (en) * 1990-04-27 1990-11-20 Rca Licensing Corporation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with gullwing compensation
US5047630A (en) * 1990-08-22 1991-09-10 Confer Charles L Modified dual-mode resonant scanning system
US5162705A (en) * 1991-11-27 1992-11-10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Dynamic focussing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and transformer for use therein
EP0614310A3 (en) * 1993-03-04 1994-10-26 Philips Nv Display device with a circuit for correcting vertical distortion, and circuit for correcting vertical distortion.
KR100316082B1 (ko) * 1993-12-08 2002-02-28 크리트먼 어윈 엠 래스터왜곡보정장치
JP3137574B2 (ja) * 1995-11-21 2001-02-26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歪補正装置
US6081078A (en) * 1996-05-17 2000-06-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Vertical deflection circuit with raster correction
US6437523B1 (en) 1999-01-12 2002-08-20 Thomson Licensing S.A. Deflection circuits coupled via a filter
JP3863037B2 (ja) * 2001-03-15 2006-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垂直偏向装置
US6522091B1 (en) * 2001-10-17 2003-02-18 Zilog, Inc. Circuit and method that allows the amplitudes of vertical correction signal components to be adjusted independently
US6686707B1 (en) * 2002-08-14 2004-02-03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ynamic rotational alignment of a cathode ray tube raster
US9228387B2 (en) 2013-08-06 2016-01-05 Gregory Header Door catc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6765A (en) * 1964-08-31 1967-10-10 Rca Corp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US3329862A (en) * 1964-08-31 1967-07-04 Rca Corp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having saturable reactor with asymmetrical parabolic waveform applied to the control winding
DE1266798B (de) * 1964-10-29 1968-04-25 Philips Patentverwaltung Schaltungsanordnung zur Korrektur der Elektronenstrahlablenkung einer Fernsehbildroehre mittels eines einzigen Transduktors
US3611004A (en) * 1969-08-20 1971-10-05 Rca Corp Bilateral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JPS5417309Y2 (ko) * 1973-08-25 1979-07-04
US3940662A (en) * 1974-03-14 1976-02-24 Whitewater Electronics, Inc. Saturable reactor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US4020390A (en) * 1975-09-29 1977-04-26 Gte Sylvania Incorporated Side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US3982156A (en) * 1975-10-14 1976-09-21 Gte Sylvania Incorporated Top-bottom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US4093895A (en) * 1976-05-03 1978-06-06 Gte Sylvania Incorporated Assymetric top-bottom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89204T2 (de) 1994-05-19
KR860009575A (ko) 1986-12-23
FI861844A (fi) 1986-11-11
DE3689204D1 (de) 1993-12-02
EP0201336A3 (en) 1988-08-31
US4642530A (en) 1987-02-10
EP0201336B1 (en) 1993-10-27
CA1261072A (en) 1989-09-26
CS271332B2 (en) 1990-09-12
FI81231B (fi) 1990-05-31
EP0201336A2 (en) 1986-11-12
DD244873A5 (de) 1987-04-15
FI81231C (fi) 1990-09-10
FI861844A0 (fi) 1986-05-02
CS321186A2 (en) 198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826B1 (ko) 래스터 왜곡 보정회로
US4206388A (en) Current control circuit for horizontal deflection coil of television receiver
US4687972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ry for a video display apparatus that includes a square-planar picture tube
US4063134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JPH0228947B2 (ko)
KR100262904B1 (ko) 화상왜보정장치
US5194784A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US4859915A (en) Line deflection circuit with dynamic S correction
EP0177585B1 (en) S-corrected deflection circuit
US374853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in a picture display device a sawtooth current of line frequency having an amplitude varying at field frequency
EP0522602B1 (en) North-south pincushion corrected deflection circuit
US4496882A (en) Inductorless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US4682085A (en) Gullwing distortion corrected deflection circuitry for a square-planar picture tube
US5420483A (en) Televisio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US5466993A (en) Deflection apparatus for raster scanned CRT displays
EP0185082B1 (en) Gullwing distortion corrected deflection circuitry for a square-planar picture tube
KR960014326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JP3366327B2 (ja) 陰極線管のスクリーン上の幾何学ひずみ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3452243A (en)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s
KR100508191B1 (ko) 비디오디스플레이장치용편향회로및수직편향회로
EP0284348B1 (en) Gullwing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KR100490128B1 (ko) 편향장치
JPS62268272A (ja) 陰極線管の走査装置
GB2098424A (en) Horizontal driver and linearity circuit
KR800000328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수평편향회로 배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