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96B1 -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596B1
KR950009596B1 KR1019920022136A KR920022136A KR950009596B1 KR 950009596 B1 KR950009596 B1 KR 950009596B1 KR 1019920022136 A KR1019920022136 A KR 1019920022136A KR 920022136 A KR920022136 A KR 920022136A KR 950009596 B1 KR950009596 B1 KR 95000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simile
computer
unit
connec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097A (ko
Inventor
김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맥시스템
승용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맥시스템, 승용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맥시스템
Priority to KR101992002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596B1/ko
Publication of KR94001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공중통신망측 팩시밀리(FAX)로부터의 화상데이타를 컴퓨터(PC)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제어 수행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내측 팩시밀리로부터의 화상데이터를 컴퓨터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 제어수행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타를 공중 통신망 측 팩시밀리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 제어수행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타를 내선측 팩시밀리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 제어 수행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장치 11 : 링 검출부
12 : 후크 오프 검출부 13 : 입/출력버퍼부
14 : 조작부 15 : 중앙처리부
16 : 변복조부 17 : 증폭 및 필터부
18 : 비동기 송수신부 19 : 접속 절체부
20 : 공중통신망측 팩시밀리 30 : 내선측 팩시밀리
40 : 컴퓨터
본 발명은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임의의 외부팩시밀리와 접속할 수 있으며, 동일 국선에 연결되는 내선측 팩시밀리 및 컴퓨터와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외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경제적인 문서전송을 위하여 컴퓨터(PC)-팩시밀리(FAX) 시스템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컴퓨터(PC) 및 팩시밀리(FAX) 연결장치는 특정한 팩시밀리, 즉 제작회사가 동일하거나 동일한 방식을 채택한 팩시밀리 상호간, 또는 그러한 팩시밀리와 컴퓨터 간의 접속만을 지원할 수 있도록 비호환적으로 구현되어 있어, 이미 다종 다양한 팩시밀리 및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어 있는 상황에서 그 효용성이 극히 저조하고, 비경제적이며, 사용상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서 임의의 공중통신망측 외부 팩시밀리와 내선측 팩시밀리 및 컴퓨터간의 범용적인 접속을 지원하여 그 효용성을 극대화시키는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선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국선 교환기로부터의 호출음을 검출하기 위한 링 검출수단; 상기 국선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선로의 사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후크 오프 검출수단; 상기 링 검출수단 및 후크 오프 검출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출력 버퍼 수단; 상기 입/출력 버퍼 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운용 소프트웨어 및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에 연결된 변복조 수단; 상기 변복조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교신에 필요한 신호 대역은 증폭하고, 그 이외의 주파수 대역은 감쇄시키기 위한 증폭 및 필터 수단; 상기 중앙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비동기 전송방식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접속하기 위한 비동기 송수신 수단; 상기 후크 오프 검출수단과 상기 증폭 및 필터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내선측 팩시밀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중통신망측의 외부 팩시밀리, 상기 컴퓨터 및 내선측 팩시밀리간의 접속을 절체하기 위한 절체수단; 및 상기 입/출력 버퍼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타 경로의 제어 및 교신상 필요한 파라메타 값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수단(14); 을 포함하고 있는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를 이용한 접속 제어방법으로서, 요구된 커멘트에 따라 상기 접속절체수단을 제어하여 필요한 루프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의해 형성된 루프를 통해 팩시밀리프로토콜을 교신하는 제2단계; 상기 루프를 통하여 화상데이타를 교신하는 제3단계; 팩시밀리의 메세지후 프로토콜 및 화상데이타 송수신 결과를 교신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단계에서 절환된 접속절체 수단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고 종료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면에서 10은 접속장치, 11은 링 검출부, 12는 후크 오프 검출부, 13은 입/출력 버퍼부, 14은 조작부, 15는 중앙처리부, 16은 변복조부, 17은 증폭 및 필터부, 18은 비동기 송수신부, 19은 접속 절체부, 20은 공중통신망측 팩시밀리, 30은 내선측팩시밀리, 40은 컴퓨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장치는 국선라인에 직접 연결되어 공중통신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를 통해 외부의 임의의 팩시밀리(20)를 접속하고, 자신과 직접연결되는 내선측 팩시밀리(30) 및 컴퓨터(40)를 접속하여 상호간의 통신을 절체 및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장치는 국선라인에 직접 연결되는 링 검출부 및 후크 오프검출부에 각각 연결된 입/출력버퍼부(13)와, 상기 입/출력 버퍼부에 연결된 조작부(14)와, 상기 입출력 버퍼부에 연결된 중앙제어부(15)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와 접속되는 비동기 송수신부(UART)(18)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된 변복조(MODEM)부(16)와, 상기 변복조부에 연결된 증폭 및 필터부(17)와, 상기 증폭 및 필터부와는 트랜스모퍼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국선 라인 및 후크 오프 검출부와 내선측 팩시밀리(30)간에 연결된 접속 절체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링검출부(11)는 상기 공중통신망을 관장하는 국실 교환기(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의 호출음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후크 오프 검출부(12)는 선로의 사용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입/출력 버퍼부(13)는 상기 링 검출부 및 후크 오프 검출부, 그리고 조작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중앙제어부(15)가 필요로 하는 시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버퍼링(buffering)하며, 상기 접속 절체부(19)내의 스위칭 소자와 같은 릴레이 소자를 구동할 수 있도록 릴레이들의 구동상태를 일시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LS373, LS374등의 소자로 구현하였다.
상기 조작부(14)는 선택적으로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며, 각종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이는 본 발명장치에서 데이타의 경로(path)를 제어하고, 각종의 교신상 필요한 파라메타(Parameter)값들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앙제어부(15)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입/출력 제어부, 변복조부 및 비동기 송수신부 간에 연결되어 본 발명장치의 각부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15a)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5a)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 장치의 운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타를 저장하는 롬(ROM)(15b) 및 램(RAM)(15c)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메모리들을 내장하고 있는 원칩 마이크로 프로세서 만으로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변복조(MODEM : Modulation and DeModulation)부(16)는 팩시밀리와의 데이타 송수신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고 해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공지의 모뎀칩을 사용하였다.
상기 증폭 및 필터부(17)는 팩시밀리와의 교신에 필요한 신호대역은 증폭하고, 필요 주파수대 이외의 부분은 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동기 송수신부(18)는 비동기식 전송방식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공지의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칩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컴퓨터(40)와의 연결은 RS-232C방식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제어부(19)는 상기 후크 오프 검출부(12)와 증폭 및 필터부(17)간에 구비되는 릴레이(19a)와, 상기 증폭 및 필터부(17)간에 구비되는 릴레이(19a)와, 상기 증폭 및 필터부(17)와 내선측 팩시밀리(30)간에 구비되는 릴레이(19b)를 포함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내선측 팩시밀리(30)와 컴퓨터(40)간의 교신시, 공중통신망으로 부터의 국급전압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가 되어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원(Vcc)이 공급되도록 절체하는 릴레이(19c)를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국선라인 및 내선측 팩시밀리(30)간에 상기 전원(Vcc)인가를 위한 릴레이(19c)를 삽입 설치하여 국급전이 차단됨과 동시에 별도의 전원(Vcc)이 동일 라인상에 인가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공중통신망측의 임의의 외부 팩시밀리(20)와, 내선측 팩시밀리(30)및 컴퓨터(40)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기능을 나열하여 보면, 상기 외부팩시밀리(20)와 내선측 팩시밀리(30)와의 화상 데이타 송수신 기능, 상기 외부 팩시밀리(20)와 컴퓨터와의 송수신 기능, 상기 내선측 팩시밀리(30)로부터 판독되는 화상 데이타를 컴퓨터(40)측으로 읽어 들이는 화상데이타 스캔 기능, 그리고 상기 컴퓨터(40)측의 데이타를 내선측 팩시밀리(30)로 전송하여 프린트되도록 하는 화상데이타 프린트 기능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제,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기 각 기능의 수행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공중통신망측 팩시밀리(FAX)(20)로부터의 화상데이타를 컴퓨터(PC)(40)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 제어수행 흐름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내측 팩시밀리(30)로 부터의 화상데이타를 컴퓨터(40)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제어 수행 흐름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40)로부터의 데이타를 공중통신망 측 팩시밀리(20)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 제어 수행 흐름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40)로 부터의 데이타를 내선측 팩시밀리(30)로 전송하기 의한 접속 제어 수행 흐름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장치에서 접속절체부(19)의 초기 상태는 릴레이 RL1(19a), RAL2(19b), 및 RL3(19c) 각각의 단자 1이 각각의 단자 2와 연결된 상태이다(제1도 참조).
우선, 제2도를 참조하여 공중통신망측의 외부 팩시밀리(20)로부터의 화상 데이타를 본 발명장치에 연결된 컴퓨터 측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가 연결된 국선라인으로 부터 링(Ring) 신호가 검출되면(201), 현재의 상태가 컴퓨터(PC)모드로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202), 컴퓨터 모드가 아니면 릴레이 RL(19a)과 RL2(19b)를 초기 상태로 그대로 둔 상태에서 빠져 나오고, 컴퓨터 모드인 경우에는 컴퓨터가 데이타를 받을 수 있는 준비 상태인가를 확인하게 되는데(203),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컴퓨터의 상태를 평상시에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아무때나 그 가용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의 컴퓨터가 준비상태가 아니면 상기 릴레이들(19a, 19b, 19c)을 초기상태로 둔채 빠져 나와서, 내선측 팩시밀리(30)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컴퓨터가 준비상태이면 릴레이 RL1(19a)의 단자1을 3과 연결시켜 본 발명장치와 외부 팩시밀리가 접속된 루프를 형성하게 하고(204),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측으로 수신 커멘드(Command)를 전송한다(205). 그리고 나서, 본 발명장치는 상기의 외부팩시밀리(20)와 팩시밀리 프로토클(Protocol)을 교신한 후(206), 상기 팩시밀리 측으로 부터 송출되는 화상 데이타를 수신하여(207) 상기 비동기 송수신부를 통해 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반복한다(208). 이렇게 하여 데이타의 수신이 완료되면(209), 컴퓨터 측으로부터 수신결과를 받고 나서(210), 다시 상기의 외부 팩시밀리(20)와 팩시밀리의 메세지 후 프로토콜을 교신하고(211), 상기 릴레이 RL1(19a)의 단자 1을 다시 단자 2와 연결시켜 초기상태로 만들어 놓음으로써(212) 수행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첨부 도면 제3도를 참조하여 내선측 팩시밀리(30)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타를 스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내선측 팩시밀리(30)가 송신 모드인가 확인한다(301). 여기에서 상기 팩시밀리가 송신 모드로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팩시밀리의 원고대에 원고를 셋팅하고 나서, 핸드셋을 들고 스타트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그리하여 상기 팩시밀리(30)가 송신모드로 된 상태에서 컴퓨터(PC)로 부터 스캔 커멘드(Scan Command)가 수신되면(302). 본 발명 장치는 접속 절체부(19)의 릴레이 RL2의 단자 1을 단자 3과 연결시켜놓아 상기 내선측 팩시밀리(30)와 본 발명장치와의 루프를 형성하고(303), 팩시밀리(FAX) 프로토콜을 교신한 후(304), 상기 내선측 팩시밀리로 부터 송출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305) 상기 비동기 송수신부를 통해 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반복한다(306). 그러다가 데이타의 교신이 완료되면(307), 컴퓨터 측으로부터 수신 결과를 보고받고 나서(308), 상기 팩시밀리(30)와 메세지 후 프로토콜을 교신하고(309), 릴레이 RL2(19b)의 단자 1을 다시 단자 2와 연결시켜(310) 화상 데이타 스캔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는, 첨부 도면 제4도를 참조하여 컴퓨터(40)로 부터 외부 팩시밀리(20)로의 데이타 송신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컴퓨터로부터 송신 커멘트를 수신하면(401), 우선, 후크 오프 점층부(제1도의 12참조)를 통해 현재의 국선선로 사용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데(402), 사용중이 아니면 릴레이 RL1(19a)의 단자 1을 단자 3과 연결시켜 외부의 공중전화망(PSTN)과 본 발명장치와의 루프를 형성하여 데이타 교신을 준비한다(403). 그리고나서, 컴퓨터로부터 호출하고자 하는 다이얼 번호을 통보 받아(404), DTMF(Dual Tone Multi-Friquency)톤을 이용하여 호출하고(405), 호출된 공중통신망측 팩시밀리(20)와 팩시밀리 프로토콜을 교신한후(406), 컴퓨터로 부터 비동기 송수신부를 통해 받은 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팩시밀리로 송출한다(407, 408).
데이타의 송출이 완료되면(409), 상기 외부 팩시밀리(20)와 메세지후 프로토콜을 교신하여(410), 컴퓨터(40)로 교신 결과를 통보하고(411), 상기 릴레이 PL1의 단자 1은 다시 단자 2와 연결시켜 초기상태로 만들므로서 송신을 완쵸한다(412).
마지막으로, 첨부도면 제5도를 참조하여, 컴퓨터(40)로부터의 화상 데이타를 내선측 팩시밀리(30)로 프린트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내선측 팩시밀리(30)가 수신모드인가 확인한다(501). 여기에서 상기 수신모드는 일반적으로 팩시밀리의 원고대에 원고를 세팅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셋을 들고 스타트 버튼을 누름으로서 설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팩시밀리가 수신모드로 된 상태에서 컴퓨터로부터 프린트 커멘트가 수신되면(502), 본 발명장치는 접속절체부의 릴레이 RL2(19b)의 단자 1을 단자 3에 연결하여 상기 내선측 팩시밀리 본 발명 장치와의 루프를 형성하여 데이타를 교신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503).
그리고 나서, 팩시밀리 프로토콜을 교신한 후(504), 데이타의 교신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컴퓨터로부터 받은 데이타를 팩시밀리 측으로 송출하여 프린트되도록 수행한다(505, 506). 데이타의 교신이 완료되면(507), 팩시밀리의 메세지후 프로토콜을 교신하고(508), 상기 팩시밀리로 부터의 교신결과를 컴퓨터 측으로 통보하고 나서(509), 상기 릴레이 RL2(19b)의 단자 1을 다시 단자 2와 연결시켜 초기상태로 만들므로서(510) 프린트 동작을 완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외장형의 독립된 장치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리, 컴퓨터에 내장할 수 있는 카드 형태로도 제작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다종 다양한 팩시밀리 및 컴퓨터의 범용적인 접속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저렴한 가격으로 컴퓨터-팩시밀리간 통신시스템을 구현하고, 기존 기기의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키며, 사용상의 편리성을 재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컴퓨터 및 팩시밀리 접속장치에 있어서, 국선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국선 교환기(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의 호출음을 검출하기 위한 링 검출수단(11); 상기 국선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선로의 사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후크 오프 검출수단(12); 상기 링 검출수단 및 후크 오프 검출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출력 버퍼 수단(13); 상기 입/출력 버퍼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운용 소프트웨어 및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16); 상기 변복조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교신에 필요한 신호 대역은 증폭하고, 그 이외의 주파수 대역은 감쇄시키기 위한 증폭 및 필터 수단(17); 상기 중앙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비동기 전송방식을 제어하는 컴퓨터(40)를 접속하기 위한 비동기 송수신 수단(18); 및 상기 후크 오프 검출수단과 상기 증폭 및 필터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내선측 팩시밀리(30)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중통신망측의 외부 팩시밀리(30), 상기 컴퓨터(40) 및 내선측 팩시밀리(30)간의 접속을 절체하기 위한 접속 절체수단(19)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버퍼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탸 경로의 제어 및 교신상 필요한 파라메타 값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수단(14)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절체수단(19)은, 상기 후크 오프 검출수단(12)과 증폭 및 필터 수단(17)간에 구비되는데 제1릴레이(19a) 및 상기 증폭 및 필터수단(17)과 내선측 팩시밀리(30)간에 구비되는 제2릴레이(19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절체수단(19)은 상기 내선측 팩시밀리(30)와 컴퓨터(40)간의 교신시, 차단된 국급전압 대신에 별도의 전원(Vcc)을 상기 내선측 팩시밀리(30)에 제공하기 위해 전원라인을 절체하는 제3릴레이(19c);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
  5. 국선 교환기(도시하지 않았음)로 부터의 호출음을 검출하기 위한 링 검출수단(11)과, 선로의 사용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후크 오프 검출수단(12)과, 상기 링 검출수단 및 후크 오프 검출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출력 버퍼 수단(13)과, 상기 입/출력 버퍼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중앙제어수단(15)과, 상기 중앙제어수단에 연결된 변복조 수단(16)과, 상기 변복조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증폭 및 필터 수단(17)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비동기 송수신 수단(18)과, 상기 후크 오프 검출수단과 상기 증폭 및 필터수단과 내선측 팩시밀리(30)에 연결되어 있으면 공중통신망측의 외부 팩시밀리(20), 상기 컴퓨터(40) 및 내선측 팩시밀리(30)간의 접속을 절체하기 위한 접속 절체수단(19)을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 접속장치를 이용한 접속 제어밥법에 있어서, 요구된 커멘트에 따라 상기 접속절체수단(19)을 제어하여 필요한 루프를 형성하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에 의해 형성된 루프를 통해 팩시밀리 프로토콜을 교신하는 제2단계; 상기 루프를 통하여 화상데이타를 교신하는 제3단계; 팩시밀리의 메세제후 프로토콜 및 화상데이타 송수신 결과를 교신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단계에서 절환된 접속절체 수단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고 종료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제어방법.
KR1019920022136A 1992-11-23 1992-11-23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 KR950009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136A KR950009596B1 (ko) 1992-11-23 1992-11-23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136A KR950009596B1 (ko) 1992-11-23 1992-11-23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97A KR940013097A (ko) 1994-06-25
KR950009596B1 true KR950009596B1 (ko) 1995-08-24

Family

ID=1934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136A KR950009596B1 (ko) 1992-11-23 1992-11-23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488B1 (ko) * 2000-05-10 2002-06-15 정호채 팩시밀리 오전송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97A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818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telephone and data communication capability
JP282104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950009596B1 (ko)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는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접속장치와 그 접속 제어방법
JP2811025B2 (ja) 複合型画像通信装置
KR900002775B1 (ko) 모뎀의 자동 호 신호처리장치 및 방법
JP335930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95431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615105B2 (ja) データ伝送装置
JPH0821988B2 (ja) 電話システム
JPH0537574Y2 (ko)
JP2629599B2 (ja) ファクシミリ同時同報機能付きボタン電話装置
JP282316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486511B1 (ko) 교환기의다중링신호발생및검출장치
JPS5979671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S62200863A (ja) フアクシミリ受信装置
JPH0534426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193448A (ja) 通信制御装置
JPS61164359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566782B2 (ko)
JPS6379455A (ja) 通信終了通知機能付複合電話機
KR20000018395A (ko) 음성 안내기능을 갖춘 팩시밀리장치 및 그 방법
JPH04356857A (ja) データ伝送装置
JPH0528426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163443A (ja) 通信装置
JPH05336199A (ja) データ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