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467Y1 -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467Y1
KR950009467Y1 KR2019930014752U KR930014752U KR950009467Y1 KR 950009467 Y1 KR950009467 Y1 KR 950009467Y1 KR 2019930014752 U KR2019930014752 U KR 2019930014752U KR 930014752 U KR930014752 U KR 930014752U KR 950009467 Y1 KR950009467 Y1 KR 950009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xcavation
angle
shaft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244U (ko
Inventor
신현우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신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신현우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4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467Y1/ko
Publication of KR950005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2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or pushing mean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4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01D25/042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 A01D25/046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with oscilla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관리기 부착용 굴취기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관리기 부착용 굴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중요부분 상세사시도이다.
제4도는 (a), (b) 및 (c)는 본 고안에 있어서, 굴취날의 각도가 조정되는 각상태를 도시하는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굴취기 2 : 굴취프레임
3, 3' : 진동축잡이 4 : 굴취날
5 : 진동축 6, 6 ' : 진동축로드
7 : 구동축 8 : 체인케이스
9 : 지지축 10, 10' : 지지대
11, 11 ' : 보강대 12, 12' : 지지판
13 : 제1각도조절부재 14 : 제2각도조절부재
15 : 각도조절붕 16 : 각도조절레버
본 고안은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로는 관리기 부착용 굴취기에 있어서 토양의 상태나 요구되는 굴취깊이에 따라 굴취날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을 원할히하고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취기는 땅속에 묻혀있는 감자등의 작물을 수확하는 경우, 굴취날을 상하전후로 진동시킴에 의해 흙을 파헤쳐서 수확이 쉽도록 하여주는 기기이다. 종래의 관리기 부착용 굴취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굴취프레임(101)의 좌우측에 한쌍의 진동축잡이(102, 102′)이 입설되고, 그 하단에 굴취날(103)이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한쌍의 진동축잡이(102, 102')의 사이에 진동축(104)이 설치되고, 이 진동축(104)은 진동축로드(105)와 결합된다.
도면부호 110은 기관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굴취기 구동풀리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11은 이 굴취기구동풀리(110)와 V벨트(112)에 의해 연동되는 피동풀리를 나타낸다. 체인케이스(113)내에 축설된 구동 스프라켓(미도시)은 전술한 피동풀리(111)에 의해 회전되며, 체인에 의해 피동스프라켓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런데, 이 피동스프라켓의 회전축과 전술한 진동축로드(105)의 구동축(106)은 서로 소정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므로, 피동스프라켓이 회전됨에 따라 진동축로드(105)는 상하전후방향으로 진동되며, 이 진동력은 전술한 진동축(104)에 전달되며, 결국 진동축잡이(102, 102')의 하단에 설치된 굴취날(103)이 상하전후로 진동되며 굴취작업을 행한다.
한편, 전술한 한쌍의 진동축잡이(102, 102')의 각 상단은 지지축(107)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이 지지축(107)의 대략 중앙부에, 일단이 굴취프레임(101)에 고정되는 지지대(108, 108')와 보강대(109, 109')가 설치됨으로써, 전술한 지지축(107)은 굴취프레임(101)에 고정되고, 전술한 진동축잡이(102, 102')는 지지축(107)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굴취기는, 전술한 진동축잡이(102, 102')와 이에 고정된 굴취날(103)이 미리 정해진 기본각도 범위 내에서만 상하전후로 진동하며 굴취작업을 행하는 것이고, 지면의 깊이와 토양의 상태 등에 따라 굴취날(103)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었으므로, 사용상 극심한 불편함이 있었다. 즉, 고르지않은 지반에서 굴취작업을 행하는 경우, 일정깊이에서만 작업이 되고, 더 깊게하려면 작업자가 핸들(114)을 들어올린채 작업을 하여야 했고, 더 얕게 하려면 핸들을 아래로 누른채 작업을 하여야 했으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힘이들었으며,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원인이 되어왔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양의 상태나 요구되는 굴취깊이에 따라 굴취날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있게 함으로써, 작업을 원할히하고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굴취기의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위하여 본 고안은, 굴취프레임과, 상기 굴취프레임의 좌우측에 입설되며 각 하단에 굴취날이 설치되는 한쌍의 진동축잡이와, 상기 한쌍의 진동축잡이 사이에 설치되며 진동축로드에 의해 상하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축을 구비하는 관리기 부착용굴취기에 적용되며, 상기 한쌍의 진동축잡이의 상단부와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지지축과, 각 일단은 상기 지지축이 관통지지되며 각 타단은 상기 굴취프레임의 좌우측에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대와, 각 하단부가 상기 굴취프레임의 좌우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판과, 각 일단은 상기 굴취프레임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굴취프레임의 좌우측에 힌지결합되며 각 타단은 상기 지지축의 좌우측을 관통지지하며 길이가 가변조절되는 한쌍의 보강대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제1각도 조절부재와, 상기 한쌍의 지지판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제2각도조절부재와, 상기 제1도각도조절부재와 상기 제2각도조절부재의 상기 각 나사결합공을 관통하며 이와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각도조절레버가 설치된 각도조절봉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봉이 회동되면 상기 굴취프레임에 대한 상기 진동축잡이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통상의 관리기에 부착 사용되는 굴취기(1)의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써, 굴취프레임(2)의 좌우측에 한쌍의 진동축잡이(3, 3')가 입설된다. 이 진동축잡이(3, 3')의 하단에는 굴취날(4)이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굴취프레임(2)하부의 진동축잡이(3, 3')사이에 진동축(5)이 설치된다. 진동축(5)의 대략 중앙부는 한쌍의 진동축로드(6, 6')와 연결되어 있고, 이 진동축로드(6, 6')의 구동축(7)은 체인케이스(8)내의 피동스프라켓의 회전축과 소정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음에따라, 피동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상하전후방향으로 진동하게되고, 결국 이와 연결된진동축(5), 진동축잡이(3, 3') 및 굴취날(4)도 역시 상하전후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굴취작업을 행하게 된다.
한편, 제3도는 전술한 진동축잡이(3, 3')를 굴취프레임(2)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인 바, 진동축잡이(3, 3')의 각 상단부와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지지축(9)이 설치되며, 이 지지축(9)의 대략 중앙부 좌우측에 이를 일단부에서 관통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10, 10')가 설치된다. 이 지지대(10, 10')의 각 타단은 전술한 굴취프레임(2)의 좌우측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진술한 지지축(9)의 중앙부와 양단사이의 좌우측을 각 일단부에서 관통지지하며 각 타단은 굴취프레임(2)에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길이가 가변조절되는 한쌍의 보강대(11, 11')가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굴취프레임(2)상의 타측에는 각 하단부가 굴취프레임(2)의 좌우측과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판(12, 12')이 설치된다. 전술한 지지대(10, 10)의 사이에는 중앙부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제1각도조절부재(13)가 전술한 지지대(10, 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술한 지지판(12, 12')의 사이에는 중앙부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제2각도조절부재(14)가 전술한 지지판(12, 12′)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제1각도조절부재(13)와 제2각도조절부재(14)를 관통하는 각도조절봉(15)이 설치되되, 이 가도조절봉(15)에는 전술한 각 나사결합공과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각도조절레버(16)가 설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전술한 각도조절봉(15)를 회동시킴에 따라 굴취프레임(2)에 대한 진동축잡이(3, 3')의 각도가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되는 작동은 첨부도면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바, 제4도(a)에서는 굴취프레임(2)에 대하여 진동축잡이(3)가 정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제4도 (b)에서는 각도조절봉(15)를회동시킴에 의해 지지대(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진동축잡이(3) 및 굴취날(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각도조절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제4도 (c)에서는 각도조절봉(15)를 다른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의해 지지대(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따라 진동축잡이(3) 및 굴취날(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각도조절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각도조절에 있어서, 전술한 진동축잡이(3)은 전술한 진동축(5)을 회전중심으로하여 회전하게되는 것이므로, 어떠한 각도에서도 진동축로드(6)와의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굴취날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보강대(11, 11')의 길이조절볼트(17)를 해제한 후, 각도조절봉(15)를 회동시켜서 진동축잡이(3, 3')의 각도를 적당히 조절한 후, 전술한 보강대(11, 11')의 연장된 길이 또는 축소된 길이에 맞게 길이조절볼트(17)을 다시 체결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토양의 상태나 요구되는 굴취깊이에 따라 굴취날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굴취작업을 원활히하고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향상된 작업능률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굴취프레임(2)과, 상기 굴취프레임(2)의 좌우측에 입설되며 각 하단에 굴취날(4)이 설치되는 한쌍의 진동축잡이(3, 3')와, 상기 한쌍의 진동축잡이(3, 3') 사이에 설치되며 진동축로드(6, 6')에 의해 상하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축(5)을 구비하는 관리기 부착용 굴취기(1)에 적용되며, 상기 한쌍의 진동축잡이(3, 3')의 상단부와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지지축(9)과, 각 일단은 상기 지지축(9)이 관통지지되며 각 타단은 상기 굴취프레임(2)의 좌우측에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대(10, 10')와, 각 하단부가 상기 굴취프레임(2)의 좌우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판(12, 12')과, 각 일단은 상기 굴취프레임(2)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굴취프레임(2)의 좌우측에 힌지결합되며 각 타단은 상기 지지축(9)의 좌우측을 관통지지하며 길이가 가변조절되는 한쌍의 보강대(11, 11')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10, 10′)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제1각도조절부재(13)와, 상기 한쌍의 지지판(12, 12')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제2각도조절부재(14)와, 상기 제1각도조절부재(13)와 상기 제2각도조절부재(14)의 상기 각 나사결합공을 관통하며 이와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각도조절레버(16)가 설치된 각도조절봉(15)으로 구성됨에따라, 상기 각도조절봉(15)이 회동되면 상기 굴취프레임(2)에 대한 상기 진동축잡이(3, 3′)의 각도가 변화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절장치.
KR2019930014752U 1993-08-02 1993-08-02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KR950009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752U KR950009467Y1 (ko) 1993-08-02 1993-08-02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752U KR950009467Y1 (ko) 1993-08-02 1993-08-02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244U KR950005244U (ko) 1995-03-20
KR950009467Y1 true KR950009467Y1 (ko) 1995-11-03

Family

ID=1936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752U KR950009467Y1 (ko) 1993-08-02 1993-08-02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4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76B1 (ko) * 2009-04-13 2009-10-08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근채 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76B1 (ko) * 2009-04-13 2009-10-08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근채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244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161Y2 (ja) 鋼材切断機
US4200410A (en) Cable laying device
JPH10191708A (ja) 土壌層に空気を混入するための装置
JP4352419B2 (ja) 整畦機
KR950009467Y1 (ko)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US66095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bratory kinetic energy gener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US4145156A (en) Plate vibrator
JP2534244Y2 (ja) 畔塗り機用バイブレータの加振方向調節装置
JPH08112004A (ja) 整畦機
JP3086654B2 (ja) 移動農機の振動式畝整形装置
US4038763A (en) Orbital trench forming apparatus
JP2538884Y2 (ja) 振動式畦塗機の整形板振動機構
WO1987004893A1 (en) Subsoil aerator
JPH0541616Y2 (ko)
JPH0974807A (ja) 整畦機
JP2678185B2 (ja) 整畦機
JPH0310602A (ja) 整畦機
JP3065239U (ja) 根菜類の掘取装置
JP3383868B2 (ja) 根菜等の掘り取り機
JPS5816468Y2 (ja) トラクタ−における荷台装置
JPS6016669Y2 (ja) 多連形心土破砕装置
JP3974239B2 (ja) 改良された駆動及び方向制御手段を有する可逆式プレートコンパクタ
JPH0157927B2 (ko)
SU1216299A1 (ru)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рыхлител
JPH013561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