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776B1 - 근채 수확기 - Google Patents

근채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776B1
KR100920776B1 KR1020090031651A KR20090031651A KR100920776B1 KR 100920776 B1 KR100920776 B1 KR 100920776B1 KR 1020090031651 A KR1020090031651 A KR 1020090031651A KR 20090031651 A KR20090031651 A KR 20090031651A KR 100920776 B1 KR100920776 B1 KR 10092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ing
soil
unit
screen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원
류정기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권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권기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3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5/00Digging machines with sieve graters but without conveying mechanisms
    • A01D15/04Digging machines with sieve graters but without conveying mechanisms with moving or vibrating g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2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채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운기 트랙터를 포함하는 동력장치에 부설되어 견인하여 이동하면서, 동력장치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토양의 외부로 캐는 굴토공정과, 이 굴토된 근채에 혼합된 흙, 줄기 등의 이 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공정을 순차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굴토공정과 스크린 공정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되어 굴토공정에 요구되는 적합한 조건과 스크린 공정에 요구되는 적합한 조건의 개별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토양상태에 따른 최적의 작업조건을 설정을 통해 향상된 작업 안정성과, 장치의 물리적 손상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근채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근채 수확기, 본체, 채굴부, 스크린부, 동력변환부, 선회

Description

근채 수확기{HARVESTERS FOR ROOT CROPS}
본 발명은 근채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운기 트랙터를 포함하는 동력장치에 부설되어 견인하여 이동하면서, 동력장치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토양의 외부로 캐는 굴토공정과, 이 굴토된 근채에 혼합된 흙, 줄기 등의 이 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공정을 순차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굴토공정과 스크린공정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되어 굴토공정에 요구되는 적합한 조건과 스크린 공정에 요구되는 적합한 조건의 개별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토양상태에 따른 최적의 작업조건을 설정을 통해 향상된 작업 안정성과, 장치의 물리적 손상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근채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마, 감자, 땅콩, 마늘 등의 근채류(根菜類)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수확자가 곡괭이나 호미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작물이 재배된 토지를 파헤쳐 근채류를 수확하였으나 단순한 수작업에 의해 수확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많은 소요인원 및 수확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에 연결 장착하여 근채류를 수확하는 장치가 다수 개발(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0131851호 "농산물 채취기", 실용신안출원 제 1992-0002464호 "보행형 작업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근채수확기", 실용신안출원 제 1994-004409호의 "땅속 작물 수확기" 등)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근채류 수확장치는 경운기나 트랙터의 전진이동에 의해 끌려가면서 하부에 장착된 채취날 등이 근채류가 묻혀 있는 부분의 흙을 밀어 파헤치며 지나가 땅속의 작물을 흙과 함께 채취날의 상부쪽으로 보내 지면위로 근채류가 드러나도록 하여 수확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근채류 수확장치는 하부에 장착된 채취날 등이 경운기나 트랙터의 전진력에 의해 땅속을 파헤치면서 지나가도록 되어 있어 땅이 무르거나 자갈 또는 큰 돌이 없는 밭에서만 적용이 가능하고, 단단한 땅이나 자갈 또는 큰 돌이 많은 산간지대 등의 밭에서는 채취날이 돌 등에 걸려 전진이동되지 않아 전혀 사용이 불가하다.
특히, 경운기나 트랙터의 전진력에 의해서만 지중을 굴착하도록 되어 있어 지중의 근채류를 수확하는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운기 트랙터를 포함하는 동력장치에 부설되어 견인하여 이동하면서, 동력장치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토양의 외부로 캐는 굴토공정과, 이 굴토된 근채에 혼합된 흙, 줄기 등의 이 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공정을 순차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굴토공정과 스크린 공정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되어 굴토공정에 요구되는 적합한 조건과 스크린 공정에 요구되는 적합한 조건의 개별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토양상태에 따른 최적의 작업조건을 설정을 통해 향상된 작업 안정성과, 장치의 물리적 손상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근채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채 수확기는,
견인기능과 회전력을 토출기능을 갖는 동력장치의 후방에 부설되어, 동력장치에 견인하여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근채가 매립된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채굴하는 채굴하는 채굴부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채굴부를 통해 채굴된 근채에서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투과시키는 스크린부; 및 상기 동력장치에서 토출된 회전력을 왕복 작용력으로 변환하여 채굴부와 스크린부에 전달하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변환부는, 본체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동력장치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일단이 편심구조로 연결된 왕복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채굴부는, 중앙부가 본체에 회동구조로 축 설치되고 상단이 동력변환부의 왕복로드의 타단과 연결되어, 하단이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하단에 폭방향으로 고정되어,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하면서 근채가 매립된 토양을 굴토하는 채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채굴부는 본체를 통해 동력장치에 견인하여 이동되면서, 동력변환부를 통해 제공되는 왕복 작용력을 통해 채굴 플레이트를 토양에 빗각으로 정역방향으로 선회시켜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채굴하고, 이 채굴된 근채는 본체의 후방에 설치된 스크린부에 공급되어 스크린부에 의해 근채에 혼합된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하부로 낙하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부는, 본체의 후방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에 선형부재가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복수의 선별공을 갖는 스크린 몸체와; 상기 채굴부를 구성하는 회전암의 편심부와 스크린 몸체의 후반을 상호 연결하여, 스크린 몸체의 후반이 전반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시키는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채굴부를 통해 채굴된 근채는, 연결로드를 통해 채굴부의 회전암과 연동하여 전반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반이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되는 스크린부의 스크린 몸체에 안치되어서,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로드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부재가 삽입된 텔레스코프형으로 이루어져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로드의 신축을 통한 길이조절에 의해 스크린 몸체의 선회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경운기, 트랙터를 포함하는 동력장치에 부설되어 견인하여 이동하면서, 동력장치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토양의 외부로 캐는 굴토공정과, 이 굴토된 근채에 혼합된 흙, 자갈 등의 이 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공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근채 수확기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채 수확기는, 굴토를 통해 토양에 묻혀진 근채를 채굴하는 채굴부와 상기 근채에 혼합된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는 스크린부가 단일 몸체로 구성되지 아니하고 분리하여 구성하고, 또 이들 채굴부와 스크린부에 독립된 회동구조를 마련하여 개별적으로 선회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채굴과정에 진동 발생량이 크게 감소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또 채굴부를 통한 토양의 굴토와 스크린부를 통한 이 물질의 제거과정에서 동력장치의 과다부하가 감소되는 한편, 근채와 채굴부 및 스크린부의 물리적인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독립된 회동구조에 의해 채굴부의 채굴 플레이트는 굴토에 따른 정형화된 빗각으로 토양에 진입할 수 있고, 또 스크린부의 스크린 몸체는 스크린의 구현에 따른 정형화된 각도로 선회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근채 수확기 는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근채 수확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근채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근채 수확기의 동력장치에 부설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근채 수확기를 통한 근채를 수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채 수확기(1)는, 견인기능과 PTO 축(110)을 통해 회전력을 토출하는 기능을 갖는 경운기 트랙터 등 공지의 동력장치(100)에 부설되어, 동력장치(100)의 이동을 통해 견인하여 이동하면서 토양을 굴토하여 토양에 매립된 근채를 채굴하고, 이 채굴된 근채(200)를 스크린하여 근채에 혼합된 흙과 줄기를 포함하는 이 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근채 수확기(1)는,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견인기능과 회전력을 외부에 토출하는 기능을 갖는 동력장치(100)의 후방에, 전방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11a)을 통해 부설되어 동력장치(100)에 견인 이동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근채가 매립된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채굴하는 채굴부(20); 및 상기 본체(10)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채굴부(20)를 통해 채굴된 근채에서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스크린 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본체(10)는, 진행방향과 직교하여 배설된 메인 프레임(11)과 보조 프레임(12)의 양편에 측판(13)이 각각 설치된 구조로,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중앙에는 플랜지형 고정 브라켓(11a)이 설치되어 동력장치(100)의 후방에 마련된 플렌지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양편에는 각각 보조바퀴(14)가 설치되어 동력장치(100)의 견인을 통한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바퀴는 스크루 구조가 마련되어, 손잡이의 정역 회전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채굴부(20)를 배설하고 이 채굴부(20)의 후방에 스크린부(30)를 배설하여, 동력장치(100)를 통한 견인과정에 채굴부(20)를 통해 토양에서 근채(200)가 채굴되면 이 근채(200)는 후방에 설치된 스크린부(30)에 순차 공급되어 근채의 수확에 따른 근채 채굴공정과 근채의 스크린 공정이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근채 수확기(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채굴부(20)와 스크린부(30)를 본체(10)에 고정된 고정형으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동력장치(100)에서 토출된 회전력을 편심력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40)를 부가하여 상기 동력변환부(40)를 통해 변환하여 제공되는 왕복 작용력에 의해 채굴부(20)와 스크린부(30)가 독립적으로 소정각 반복 선회하는 선회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채굴부(20)와 스크린부(30)를 분리하여 구성하고, 채굴부(20) 및 스크린부(30)를 고정형으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독립된 회동구조를 마련하여 개별적으로 선회되도록 구성하면, 채굴과정에 진동 발생량이 크게 감소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또 채굴부(20)를 통한 토양의 굴토와 스크린부(30)를 통한 이 물질의 제거과정에서 동력장치(100)의 과다부하가 감소되는 한편, 근채와 채굴부(20) 및 스크린부(30)의 물리적인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변환부(40)는 본체(10)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동력장치(100)에서 구성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단부에 일단이 편심구조로 연결된 왕복로드(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회전축(41)에는 종동 스프라킷(41a)이 마련되어 체인(112)을 통해 구동 스프라킷(111)이 마련된 동력장치(100)의 PTO 축(11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이때 상기 회전축(100)에 편심구조로 설치된 왕복로드(42)는 왕복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채굴부(20)는, 중앙부가 본체(10)에 회동구조로 축(21a) 설치되고 상단이 동력변환부(40)의 왕복로드(42)의 타단과 연결되어, 하단이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하는 회전암(21)과; 상기 회전암(21)의 하단에 폭방향으로 고정되어,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하면서 근채가 매립된 토양을 굴토하는 채굴 플레이트(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채굴 플레이트(22)에는, 복수의 채굴편(22a)들이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채굴부(20)는 본체(10)를 통해 동력장치에 견인하여 이동되면 서, 동력변환부(40)를 통해 제공되는 편심력을 통해 채굴 플레이트(22)를 정역방향으로 선회시켜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200)를 채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질적으로 토양을 소정 깊이로 굴토하는 채굴 플레이트(22)가 토양에 빗각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정역방향으로 선회하면, 토양에 돌이나 암반이 존재하더라도 채굴 플레이트(22)는 이 돌이나 암반을 무리하게 굴토하지 아니하고 반복적인 정역 선회작용에 의해 굴토가 어려운 돌이나 암반을 지나가게 되므로, 작업과정에서 과도한 진동발생이 억제되고 동력장치의 부하가 감소되는 한편, 채굴부를 포함하는 근채 수확기의 변형 또는 파손 등의 물리적인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굴부를 통해 채굴된 근채는 채굴부의 후방에 설치된 스크린부(30)에 공급되며, 스크린부(30)에 의해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부(30)는 본체(10)의 후방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31a)에 선형부재(31b)가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선형부재(31b) 사이에 복수의 선별공(31c)을 갖는 스크린 몸체(31)와; 상기 채굴부(20)를 구성하는 회전암(21)의 편심부와 스크린 몸체(31)의 편심부 상호 연결하여, 스크린 몸체(31)가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상하 선회시키는 연결로드(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채굴부(20)를 통해 채굴된 근채(200)는, 연결로드(32)를 통해 채굴부(20)의 회전암(21)과 연동하여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상하 반복하여 선회되는 스크린부(30)의 스크린 몸체(31)에 안치되어서, 선별공(31c)을 통해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후방으로 배출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근채 수확기(1)는, 채굴부(20)와 스크린부(30)가 각각 독립된 회동구조가 마련되어 채굴부(20)의 채굴 플레이트(22)와 스크린 몸체(31)가 독립된 선회각으로 선회하므로, 채굴부(20)의 채굴 플레이트(22) 굴토에 따른 정형화된 각으로 토양에 진입할 수 있고, 또 스크린부(30)의 스크린 몸체(31)는 스크린의 구현에 따른 정형화된 각도로 선회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비닐 하우스 등지와 같이 근채가 묻혀진 이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스크린 몸체의 각도를 높게 설정하여야 하며, 또 노지와 같이 이랑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스크린 몸체의 각도를 낮게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스크린 몸체의 적정 높이가 유지되지 아니할 경우, 흙과의 마찰, 또는 과다한 낙하 충격에 의해 근채의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변환부를 통해 왕복 작용력을 제공받아 정역방향으로 선회되는 채굴부의 회전암과, 스크린부의 스크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로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로드를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부재들이 삽입된 텔레스코프형으로 구성하여, 관부재의 삽입량의 조절에 의해 연결로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연결로드(32)를 구성하는 관부재(32a)에는 복수의 고정공(32a-a)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32a)를 상호 삽입시켜 연결로드(32) 전체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고정공(32a-a)에 고정핀(33)을 삽입하여 연결로드(32)의 길이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근채 수확기(1)를 통한 근채의 수확과정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동력장치(100)에 근채 수확기(1)를 장착한 다음, 동력장치(100)의 PTO 축(110)과 본체(10)에 설치된 회전축(41) 체인(112)을 통해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동력장치(100)를 운전하여 주행하면 상기 근채 수확기(1)는 동력장치(100)에 의해 견인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 변환부(40)는 동력장치(100)의 PTO 축(110)을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왕복 작용력으로 변환하고, 채굴부(20)의 채굴 플레이트(22)는 이 왕복 작용력을 제공받아 빗각으로 정역 선회하여 토양을 굴토함으로써, 토양에 매립된 근채(200)를 채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채굴 플레이트(22)의 정역방향으로 선회되면 채굴 플레이트(22)의 전방에 돌출된 채굴편(22a)들은 토양에 먼저 진입하여 토양의 부분적으로 굴토하고, 이후 채굴 플레이트(22)는 채굴편(22a)에 의해 부분적으로 굴토되어진 토양에 진입하여 토양을 전체적으로 굴토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암(21)와 연결로드(32)를 통해 연결된 스크린부(30)의 스크린 몸체(31)는, 상기 회전암(21)을 통해 제공되는 왕복 작용력을 제공받아 상하로 정역 선회한다.
따라서, 상기 채굴부(20)를 통해 채굴된 근채(200)와, 이와 혼합된 흙 및 줄기 등의 이 물질은 후방에 설치된 스크린부(30)의 스크린 몸체(31)로 이송되어, 상하 선회하는 스크린 몸체(31)에 의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흙이나 줄기를 포함하는 이물질은 선별공(31c)을 통해 스크린 몸체(31)의 하부로 배출되고, 이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근채(200)는 후방으로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근채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근채 수확기의 동력장치에 부설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근채 수확기를 통한 근채를 수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
1. 근채류 수확기
10. 본체 11. 메인 프레임
11a. 플랜지형 고정 브라켓 12. 보조 프레임
13. 측판 14. 보조바퀴
20. 채굴부 21. 회전암
21a. 축
22. 채굴 플레이트 22a. 채굴편
30. 스크린부 31. 스크린 몸체
31a. 회전축 31b. 선형부재
31c. 선별공
32. 연결로드 32a. 관부재
32a-a. 고정공 33. 고정핀
40. 동력 변환부 41. 회전축
41a. 종동 스프라킷 42. 왕복로드
100. 동력장치 110. PTO축
111. 구동 스프라킷 112. 체인
120. 플렌지 연결부

Claims (3)

  1. 견인기능과 회전력을 토출기능을 갖는 동력장치의 후방에 부설되어, 동력장치에 견인하여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근채가 매립된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채굴하는 채굴부와; 상기 본체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채굴부를 통해 채굴된 근채에서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투과시키는 스크린부; 및 상기 동력장치에서 토출된 회전력을 왕복 작용력으로 변환하여 채굴부와 스크린부에 전달하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변환부는, 본체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동력장치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일단이 편심구조로 연결된 왕복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채굴부는, 중앙부가 본체에 회동구조로 축 설치되고 상단이 동력변환부의 왕복로드의 타단과 연결되어, 하단이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하단에 폭방향으로 고정되어,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하면서 근채가 매립된 토양을 굴토하는 채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채굴부는 본체를 통해 동력장치에 견인하여 이동되면서, 동력변환부를 통해 제공되는 왕복 작용력을 통해 채굴 플레이트를 토양에 빗각으로 정역방향으로 선회시켜 토양을 굴토하여 근채를 채굴하고, 이 채굴된 근채는 본체의 후방에 설치된 스크린부에 공급되어 스크린부에 의해 근채에 혼합된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하부로 낙하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부는, 본체의 후방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에 선형부재가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복수의 선별공을 갖는 스크린 몸체와; 상기 채굴부를 구성하는 회전암의 편심부와 스크린 몸체의 후반을 상호 연결하여, 스크린 몸체의 후반이 전반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시키는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채굴부를 통해 채굴된 근채는, 연결로드를 통해 채굴부의 회전암과 연동하여 전반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반이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선회되는 스크린부의 스크린 몸체에 안치되어서,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로드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부재가 삽입된 텔레스코프형으로 이루어져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로드의 신축을 통한 길이조절에 의해 스크린 몸체의 선회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굴 플레이트에는 채굴편들이 등간격으로 배설되고 이 채굴편의 선단은 채굴 플레이트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채굴편과 채굴 플라이트는 순차로 토양에 진입하여 토양을 굴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근채 수확기.
  2. 삭제
  3. 삭제
KR1020090031651A 2009-04-13 2009-04-13 근채 수확기 KR100920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51A KR100920776B1 (ko) 2009-04-13 2009-04-13 근채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51A KR100920776B1 (ko) 2009-04-13 2009-04-13 근채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776B1 true KR100920776B1 (ko) 2009-10-08

Family

ID=4157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651A KR100920776B1 (ko) 2009-04-13 2009-04-13 근채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7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0129A (zh) * 2015-04-22 2015-07-15 重庆鑫源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马铃薯收获机
CN104956832A (zh) * 2015-07-07 2015-10-07 海南大学 木薯收获机组合仿生挖掘铲
CN106165589A (zh) * 2016-08-09 2016-11-30 马志飞 一种花生收获机
CN106304937A (zh) * 2016-10-25 2017-01-11 东北林业大学 一种平贝收获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0327U (ja) * 1984-07-30 1986-02-24 マメトラ農機株式会社 根菜類掘取機
KR950009467Y1 (ko) * 1993-08-02 1995-11-03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KR200194282Y1 (ko) * 2000-04-14 2000-09-01 서정헌 경운기용 땅속 작물 수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0327U (ja) * 1984-07-30 1986-02-24 マメトラ農機株式会社 根菜類掘取機
KR950009467Y1 (ko) * 1993-08-02 1995-11-03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굴취기의 굴취날 각도조정장치
KR200194282Y1 (ko) * 2000-04-14 2000-09-01 서정헌 경운기용 땅속 작물 수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0129A (zh) * 2015-04-22 2015-07-15 重庆鑫源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马铃薯收获机
CN104770129B (zh) * 2015-04-22 2016-08-24 重庆鑫源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马铃薯收获机
CN104956832A (zh) * 2015-07-07 2015-10-07 海南大学 木薯收获机组合仿生挖掘铲
CN104956832B (zh) * 2015-07-07 2017-03-22 海南大学 木薯收获机组合仿生挖掘铲
CN106165589A (zh) * 2016-08-09 2016-11-30 马志飞 一种花生收获机
CN106304937A (zh) * 2016-10-25 2017-01-11 东北林业大学 一种平贝收获机
CN106304937B (zh) * 2016-10-25 2018-04-17 东北林业大学 一种平贝收获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03209U (zh) 一种牵引式双行马铃薯收获机
CN104641781B (zh) 一种生姜清理定量装箱与秸秆粉碎压块联合收获机
CN204616290U (zh) 捡石机
CN103733797B (zh) 长根茎类中草药挖掘收获机
KR20200074063A (ko) 수확기용 채굴장치
KR101084369B1 (ko) 동력장치 부착형 근채류 수확기
KR100920776B1 (ko) 근채 수확기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CN203633145U (zh) 长根茎类中草药挖掘收获机
CN204539930U (zh) 一种生姜清洗定量装箱与秸秆粉碎压块联合收获机
CN2671316Y (zh) 深根作物根茎挖掘机
CN103430684A (zh) 花生收获机
KR102283662B1 (ko) 뿌리 작물 수확 장치
CN201064102Y (zh) 大蒜自动采收机
CN105612903A (zh) 宝塔菜打梗收获机
CN102783278B (zh) 一种刀盘深松灭茬旋耕多功能机
KR20140032592A (ko) 땅속작물 수확기
CN108684252B (zh) 一种硒砂瓜刨窝机
KR20180072141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KR200461744Y1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흙 공급구조
CN213214361U (zh) 一种适合于土豆采收的多功能采挖装置
KR100883325B1 (ko) 땅속 작물수확기
KR20200110827A (ko) 경사지 채굴이 용이한 구근 수확장치
CN105557172A (zh) 一种土豆收获与残膜回收联合作业机
CN2397717Y (zh) 马铃薯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