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648B1 - 유휴 채널 발생을 가입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는 통신 회로망 - Google Patents

유휴 채널 발생을 가입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는 통신 회로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648B1
KR950008648B1 KR1019870003362A KR870003362A KR950008648B1 KR 950008648 B1 KR950008648 B1 KR 950008648B1 KR 1019870003362 A KR1019870003362 A KR 1019870003362A KR 870003362 A KR870003362 A KR 870003362A KR 950008648 B1 KR950008648 B1 KR 95000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signal
subscriber
signal
channe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750A (ko
Inventor
도시미쯔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81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65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0497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0189B2/ja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휴 채널 발생을 가입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는 통신 회로망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회로망의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회로망 내에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분국의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망 내에 사용하기 위한 분국의 계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망 내에 사용하기 위한 분국의 계통도.
제5도는 제4도 내에 도시한 분국과 통신 가능한 기저국의 계통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제4도에 및 제5도에 도시한 분국과 기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a : 기저국 또는 제어국 12, 12', 12a : 분국 또는 지방국
13 : 가입자 14 : 가입자 라인
16 :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17, 51 : 안테나
18, 52 : 송수신 절환기 19, 53 : 수신기
21, 54 : 디코더 22 : 엔코더
23, 61 : 송신기 24 : 유휴 채널 검출기
25 : 오프-훅 검출기 26 : 송신 제어기
27 : 통화중음 제어회로 31 : 메모리 회로
32 : 유휴 채널 통지 회로 36 : 식별 신호 검출기
37 : 가입자 검출기 41 : 메모리 유니트
42 : 비교기 55 : 식별기
56 : 메모리부 57 : 송신 제어 회로
58 : 유휴 채널 검출 회로 59 : 엔코딩 회로
본 발명은 가입자들을 출력 채널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다수의 가입자들을 수용하는 국(station)을 포함하는 통신 회로망에 관한 것이다. 통신 회로망으로서 다중 방향 시분할 증배(MD-TDM) 무선 통신 회로망이 주로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소정의 다른 와이어 통신 회로망에 적용될 수 있다.
기술한 형태의 TDM 무선 통신 회로망은 기저국 또는 제어국, 및 분국(shbstation) 또는 지방국이라고 불리워질 수 있고 출력 채널의 시퀀스를 통해 기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국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TDM 무선 통신 회로망에서는 출력 채널 시퀀스는 무선 채널의 시퀀스가 될 수 있고, 각각 분국으로부터 기저국을 향해 보내지고 기저국으로 부터 분국을 향해 보내지는 업-링크(up-link) 및 다운-링크(down-link) 채널 시퀀스로 분리될 수 있다. 발착 양용(both-way) 또는 쌍방향성 통신은 업-링크 채널들 중 한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들 중 한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분국 또는 분국들 내에 수용된 한 쌍의 가입자 사이에서 실행된다.
상술한 무선 통신 회로망에서는 모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 중 소정의 유휴(idle) 채널 없이 사용될때 가입자들중 한 가입자 오프-훅(off-hook) 상태로 된다고 가정된다. 이 경우에, 해당 가입자, 즉 오프-훅 가입자는 통화중 음(busy tone)을 공급받고 유휴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재차 오프-훅을 반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가입자가 통신을 실행하기 전에 해당 가입자에 의해 무효한 오프-훅이 절단되어야 한다. 또한, 해당 가입자는 지루한 장시간 동안 헛되이 유휴 채널의 발생을 대기할 수 있다.
이 상황하에서, 이러한 유효 채널의 발생을 해당 가압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리거나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휴 채널 발생의 자동 통지는 다수의 오프-훅 가입자들이 유효 채널 발생을 대기할때 오프-훅의 충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훅 가입자가 오프-훅을 반복하지 않고 유휴 채널 발생을 검출할 수 있는 통신 회로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유휴 채널 발생을 자동적으로 오프-훅 가입자에게 알릴 수 있는 기술되는 형태의 통신 회로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TDM무선 통신 회로망으로서 양호하게 동작할 수 있는 기술되는 형태의 통신 회로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프-훅 가입자들간의 충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통신 회로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회로망은 가입자들을 출력 채널들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다수의 가입자들을 수용하는 국을 포함한다. 이 국은 출력 채널들중 통신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1검출 수단, 가입자의 오프-훅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2검출 수단, 및 오프-훅 가입자가 통신이 불가능할때 오프-훅 상태에 있는 가입자들 중 오프-훅 가입자에게 특수음을 공급하기 위해 제1 및 제2검출수단에 결합된 음(tone) 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은 오프-훅 가입자가 통신 불가능할때 오프-훅 가입자를 표시하는 식별 신호를 기억하기 위해 각각의 가입자 및 제1검출 수단에 결합된 기억 수단, 및 오프-훅 가입자가 통신가능하게 될때 통신가능한 출력 채널의 존재를 오프-훅 가입자에게 알리기 위해 기억 수단 및 제1검출수단에 결합된 고지 수단(informing means)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TDM 무선 통신 회로망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TDM 무선 통신 회로망은 기저국 또는 제어국(11), 및 통일적으로 참조 번호(12)로 되시되어 있고 기저국(11)과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분국 또는 지방국으로 구성된다. 제어국(11)과 분국(12)간의 통신은 무선 채널의 시퀀스로 각각 배열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TDM 신호들을 사용함으로써 실행된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업-링크 TDM 신호는 각각의 분국(12)로부터 기저국(11)까지의 업-링크 채널의 시퀀스로 구성되고, 다운-링크 TDM 신호는 기저국(11)로부터 분국(12)으로 향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시퀀스로 구성된다. 각각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시퀀스는 예를들면 각각 125μsec의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고 제어 채널 및 다수의 통신 채널들로 구성되는 연속 프레임들로 세분된다. 유휴 채널 정보 신호는 기저국(11)에 의해 유휴 채널의 부재 또는 존재 및 유휴 채널 위치를 나타내도록 다운-링크 채널 시퀀스의 제어 채널 내에 배열된다.
각각의 분국(12)는 가입자 라인(14)를 통해 분국(12)에 접속된 다수의 가입자(13)을 수용한다, 기저국(11)내에 수용된 분국(13)과 분국 또는 분국들(12)간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제1도와 함께 제2도를 참조하면, 도시한 분국(12)는 가입자 라인(14)를 통해 가입자(13)(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TDM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7)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통신중에, 다운-링크 TDM 신호는 송수신 절환기(duplexer, 18) 및 수신기(19)를 통해 디코더(21)에 공급되고, 디코더(21)에 의해 디코드화된 신호로 디코드된다. 이 디코드화된 신호는 공지된 방식으로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를 통해 가입자(13)로 전달된다.
한편, 가입자 출력 신호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 엔코더(22) 및 송신기(23)을 통해 각각의 가입자(13)으로부터 안테나(17)로 제공되고, 통상적인 통신중에 업-링크 TDM신호의 형태로 안테나(17)로부터 기저국(11)을 향해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채널 시퀀스의 제어 채널은 유휴 채널의 부재 또는 존재 및 유휴 채널 위치를 표시하도록 유휴 채널 정보 신호를 이송한다. 유휴 채널 정보 신호는 유휴 채널 검출기(24)에 의해 디코더(21)을 통해 모니터된다.
결과적으로, 유휴 채널 검출기(24)는 유휴 채널의 부재 또는 존재 및 유휴 채널 위치를 검출하고, 제1검출 회로라고 불리워질 수 있다. 유휴 채널 검출기(24)는 유휴 채널의 부재 및 존재시에 부재 신호 및 존재 신호를 각각 선택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유휴 채널 검출기(24)는 유휴 채널의 검출시에 유휴 채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표시 신호를 발생시킨다.
각각의 가압자의 오프-훅 상태는 제2검출 회로라고 불리워질 수 있는 오프-훅 검출기(25)에 의해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을 통해 모니터된다. 오프-훅 검출기(25)는 가입자들 중 한 가입자가 오프-훅 상태로 되는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입자를 표시하는 오프-훅 표시 신호 HI를 발생시킨다.
적어도 1개의 유휴 채널이 존재할 때 가입자들 중 특정한 가입자가 오프-훅 상태로 된다고 하겠다. 이 경우에, 오프-훅 표시 신호 HI는 오프-훅 검출기(25)로부터 송신 제어기(26)으로 보내진다. 동시에, 송신 제어기(26)은 유휴 채널 검출기(24)로부터 존재 신호 및 위치 표시 신호를 공급 받는다. 결국, 송신 제어기(26)은 해당 가입자로부터 발생된 가입자 출력 신호를 유휴 채널 검출기(24)에 의해 검출된 유휴 채널에 지정하도록 엔코더(22) 및 송신기(23)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기저국(11)과 분국(12)간의 통신이 개시된다.
다음에 가입자가 오프-훅 상태로 될때 통신량의 증가로 인해 유휴 채널이 무선채널 내에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겠다. 이 경우에, 오프-훅 표시 신호 HI는 유휴 채널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유휴 채널 검출기(24)로부터 제공되는 부재 신호와 함께 통화중음 제어 회로(27)에 공급된다. 이 상환하에서, 통화중음 제어 회로(27)은 통화중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통화중음 인에이블 신호 BE를 발생시킨다. 이 통화중음 인에이블 신호 BE에 응답하여,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은 통화중음을 해당 가입자에게 전달한다. 그러므로, 가입자는 통화 중음 수신시에 모든 무선 채널들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서두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해당 가입자는 소정의 유휴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재차 오프-훅을 반복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가입자가 소정의 유휴 채널 발생을 즉시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극(12')는 제1도에 도시한 통신 회로망에 적용될 수 있고,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표시된 유사한 부품 및 신호들로 구성된다. 제3도에 도시한 분국(12')는 유휴 채널 검출기(24) 및 오프-훅 검출기(25)에 결합된 메모리 회로(31), 및 메모리 회로(31), 유휴 채널 검출기(24), 및 송신 제어기(26)에 결합된 유휴 채널 통지 회로(32)로 구성된다. 또한, 유휴 채널 통지 회로(32)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에도 결합된다.
더욱이 가입자가 오프-훅 상태로 될때 각각의 가입자는 식별 신호 검출기(36)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식별 신호 검출기(36)은 각각의 가입자를 지정하는 식별 신호의 검출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식별 신호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으로부터 발생되고, 각각의 가입자에 지정된 등록번호(directory number)와 상이하다.
소정의 유휴 채널이 무선 채널들 내에 존재할때 도시한 분국(12')는 제2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 설명은 가입자들 중 소정의 가입자가 오프-훅 상태로 될때 유휴 채널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에, 유휴 채널 검출기(24)는 다운-링크 다운 채널 시퀀스의 제어 채널을 모니터함으로써 소정의 유휴 채널의 부재를 검출하고, 이 부재 신호를 통화중음 제어회로(27)과 메모리 회로(31)에 전달한다. 또한, 오프-훅 검출기(25)는 해당 가입자 또는 오프-훅 가입자의 오프-훅에 응답하여 오프-훅 표시 신호 HI를 식별 신호로서 통과중음 제어회로(27)과 메모리 회로(31)에 전달한다. 오프-훅 표시 신호 HI 및 부재 신호에 응답하여, 통화중음 제어회로(27)은 제3도에 관련하여 기술한 방식으로 유휴 무선 채널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해당 가입자에게 알리기 위해 통화중음 인에이블 신호 BE를 발생시킨다.
한편, 메모리 회로(31)은 부재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식별 신호를 기억한다. 이 메모리 회로(31)은 다수의 식별 신호들을 각각 기억하기 위해 다수의 어드레스를 가질 수 있고 선입선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렇게 기억된 식별 신호들은 차례로 메모리 회로(31)로부터 선택적으로 판독된다.
해당 가입자의 식별 신호를 기억한 후, 유휴 채널이 무선 채널들 내에서 발생한다고 하겠다. 이 상황하에서 유휴 채널 검출기(24)는 유휴 채널의 존재를 나타내는 존재 신호를 발생시킨다. 메모리 회로(31)은 기억된 식별 신호들 중 1개의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존재 신호에 의해 억세스된다. 1개의 기억된 식별 신호는 해당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를 지정하는 것으로 가정되고 특수 식별 신호라고 불리워질 수 있다. 한편, 유휴 채널 통지 회로(32)는 유휴 채널 검출기로부터 해당 유휴 채널의 유휴 채널 위치를 나타내는 유휴 채널 위치 신호를 공급받는다.
특수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유휴 채널 통지 회로(32)는 유휴 채널 발생을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에 알린다.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은 유휴 채널 발생이 알려질때 특수 식별 신호에 의해 지정된 가입자에게 링깅(ringing)신호를 보낸다. 그러므로, 오프-훅 가입자는 오프-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링깅 신호는 착신 호출(terminating call) 수신시에 발생된 통상적인 링깅 신호와 상이한 특수 링깅 신호로 될 수 있다. 특수 링깅 신호의 발생은 착신 호출 수신과 유휴 채널 발생을 구별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유휴 채널 위치 신호는 송신 제어기(26)에 공급된다. 해당 가입자의 가입자 출력 신호는 유휴 채널 위치 신호로 표시된 채널 내에 배치된다.
하여튼, 가입자는 유휴 채널 발생 및 오프-훅 가능성을 즉시 알 수 있다. 이것은 무선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망은 제4도 및 제5도 내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다수의 분국(12a) 및 기저국(11a)로 구성된다.
제3도 내에서와 같이, 가입자가 유휴 채널 부재시에 오프-훅 상태로 될때, 해당 가입자가 수용되는 분국(12a) 내의 해당 가입자를 지정하도록 식별 신호가 제3도 내에서와 같이 발생된다. 해당 가입자는 오프-훅 가입자 또는 대기 가입자로 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식별 신호는 분국(12a)로부터 기저국(11a)로 보내지고, 유휴 채널이 기저국(11a) 내에서 발견될때 기저국(11a)로부터 해당 분국(12a)로 다시 복귀된다.
제4도에 도시한 통신 회로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대기 가입자들이 존재할때 발신 호출(originating call)들 간의 충돌을 피하도록 작용한다. 이것은 도시한 통신 회로망이 대기 가입자들이 후술하는 방식으로 단일 유휴 채널을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고 다운-링크 TDM 신호로서 인식될 수 있는 TDM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분국(12a)와 기저국(11a)간에 통신이 실행된다.
제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TDM 신호는 선정된 주기로 반복된 프레임들의 시퀀스로 분리되는 채널의 시퀀스로 구성된다. 각각의 프레임들은 제어 채널 CH0, 및 기저국(11a)의 제어하에서 모든 분국들과 공동으로 각각 사용되는 첫번째 내지 n번째 통신 채널 CH1내지 CHn으로 세분된다. 통신 채널 CH1내지 CHn이 본 분야에 공지된 채널들과 유사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채널 CH0에 관해서만 설명하겠다.
제6(b)도에서, 제어 채널 CH0는 프레임블 필드(preamble field)PR, 동기 필드 SYNC, 제어 필드 CONT, 특수번호 필드 NB, 및 그외의 다른 필드를 포함한다. 프리앰블 신호 및 동기 신호는 프리앰블 필드 PR 및 동기 필드 SYNC내에 각각 배열된다. 송신 제어, 수신 제어 등을 실행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 신호들이 제어 필드 CONT 내에 배치된다. TDM 신호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TDM 신호들로서 각각 사용될때, 제어 채널 CH0는 업 제어 채널 및 다운 제어 채널이라고 불리워질 수 있다.
다운 제어 채널의 제어 필드 CONT 내에는, 제3도에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위치식별 신호와 함께 유휴 채널의 부재 또는 존재를 지정하기 위해 부재 또는 존재 신호가 배열된다.
업 제어 채널 CONT내에서, 대기 가입자의 식별 신호가 특수 번호 필드 NB 내에 배열된다. 한편, 기저국(11a)가 후술하는 방식으로 유휴 채널을 발견할때, 식별 신호들 중 표시된 식별 신호는 기저국(11a)에 의해 다운 제어 채널 CONT의 특수 번호 필드 NB내에 배치된다.
제4도에서, 도시한 분국(12a)는 제3도에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을 실행하도록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표시된 유사한 부품 및 신호들로 구성된다. 또한, 분국(12a)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에 결합된 식별 신호 검출기(36)으로 구성된다. 이 식별 신호 검출기(36)은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를 검출한다. 식별 신호는 각각의 가입자에 지정된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이 사실로부터,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가 이 실시예에서 식별 신호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식별 신호의 이러한 발생은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의 공지된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해지므로, 더 이상 길게 설명하지 않겠다.
유휴 채널 검출기(24)는 제3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운-링크 TDM 신호 내에 포함된 다운 제어 채널의 제어 필드 CONT를 모니터한다. 또한, 도시한 유휴 채널 검출기(24)는 AC 및 PC로 각각 도시되어 있고, 유휴 채널의 부재 및 존재를 각각 나타내는 부재 및 존재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유휴 채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유휴 채널 검출기(24)에 의해 위치 표시 신호도 발생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운 제어 채널의 특수번호 필드 NB(제6도)는 제3검출 회로라고 불리워질 수 있고, 기저국(11a)로 표시되고 분국(12a)에 의해 수신된 표시 식별 신호를 검출하도록 작용하는 가입자 검출기(37)에 의해 모니터된다.
이러한 검출 식별 신호는 수신 식별 신호라고 불리워질 수 있고, 메모리 회로(31)로 보내진다.
도시한 메모리 회로(31)은 유휴 채널 검출기(24)로부터 보내진 부해 신호 AC에 응답하여 각각의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를 연속적으로 메모리 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41)로 구성된다.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으로부터 식별 신호 검출기(36)을 통해 보내지고, 존재 신호 PC에 응답하여 메모리된 식별 신호로서 메모리 유니트(41)으로부터 판독된다. 메모리 식별 신호는 비교기(42)로 보내지고, 비교기(42)에 의해 수신 식별 신호와 비교된다. 메모리 식별 신호와 수신 식별 신호의 일치가 검출되면, 비교기(42)는 유휴 채널 통지 회로(32)가 작동 상태로 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유휴 채널 통지 회로(32)는 유휴 채널 발생 및 유휴 채널 위치를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에 알린다.
부재 신호 AC 및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는 송신 제어기(26)에 접속된 AND게이트(46)에 공급된다. 부재 신호 AC가 논리 "1"레벨을 취하면,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는 업 제어 채널의 특수 번호 필드 NB내에 배치되고, 송수신 절환기(18) 및 안테나(17)을 통해 기저국(11a)로 보내진다. 이 접속시에, AND게이트(46), 송신 제어기(26), 및 송신기(23)의 결합부는 업 제어 채널을 통해 식별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회로라고 불리워질 수 있다.
제5도에서, 업-링크 TDM신호는 기저국(11a)로 송신되고, 디코더(54)로 보내지도록 안테나(51), 송수신 절환기(52) 및 수신기(53)을 통해 수신된다. 하여튼, 디코더(54)는 업-링크 TDM신호로부터 유도되고 업 제어 채널을 통해 해당 분국(12a)로부터 보내진 수신 식별 신호를 검출하도록 업 제어 채널의 특수 번호 필드 NB를 모니터하기 위해 식별기(55)로 전달되는 디코드된 신호의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식별 신호는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를 표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로서 식별기(55)로부터 메모리부(56)으로 공급된다. 검출된 식별 신호는 유휴 채널 검출 회로(58)의 제어하에서 송신 제어회로(57)로 전달되도록 메모리 부(5)으로부터 판독된다.
유휴 채널 검출회로(58)은 유휴 채널 또는 채널들의 존재 또는 부재, 또는 이 채널들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TDM 신호들을 감시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유휴 채널 검출 회로(58)은 중앙 처리 장치로 될 수 있다. 유휴 채널 검출시에, 유휴 채널 검출 회로(58)은 해당 유휴 채널에 지정된 채널 번호를 송신 제어회로(57)에 알린다. 송신 제어 회로(57)은 다운 제어 채널의 제어 필드 CONT내에 유휴 채널의 채널 번호를 배열하도록 엔코딩 회로(59)를 제어한다.
그 다음에, 검출된 식별 신호는 판독 식별 신호로서 메모리 부(56)으로부터 판독된다. 판독 식별 신호는 다운 제어 채널의 특수 번호 필드 NB내에 배치된다. 하여튼, 판독식별 신호는 송신을 실행할 수 있는 가입자들중 한 가입자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판독식별 신호는 표시 식별 신호로서 특수번호 필드 NB에 지정되고, 송신기(61), 송수신 절환기(52) 및 안테나(51)을 통해 분극(12a)로 보내진다.
송신 제어회로(57)과 엔코딩 회로(59)의 결합부는 판독 식별 신호를 분극(12a)를 향해 전송하기 위한 전송 회로라고 불리워질 수 있다. 동작시에, 유휴 채널이 전혀 존재하지 않을 때 가입자들 중 소정의 가입자가 오프-훅 상태로 된다고 하겠다. 이 경우에, 제4도 내의 오프-훅 검출기(25)는 가입자의 오프-훅의 검출을 나타내는 오프-훅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해당 가입자의 오프-훅 상태를 검출한다. 오프-훅 검출 신호는 오프-훅 검출기(25)로부터 통화중음 제어회로(27)과 송신 제어기(26)으로 전달된다.
통화중음 제어회로(27)은 유휴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때 오프-훅 검출 신호외에 유휴 채널 검출기(24)로부터 부재 신호 AC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통화중음 제어 회로(27)은 제3도 내에서와 같이 통화중음 인에이블 신호 BE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은 정상 통화중음과 상이한 특수 통화중음을 오프-훅 가입자에게 보낸다. 이러한 특수 통화중음은 모든 무선 채널들이 통화중이라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으로부터 보내지고, 한편으로는 메모리 유니트(41)내에 기억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AND게이트(46)으로 전달되도록 식별 신호 검출기(36)에 의해 검출된다. AND 게이트(46)이 부재 신호 AC에 의해 엔이에블되기 때문에, 식별 신호는 AND게이트(46)을 통해 오프-훅 검출 신호를 공급받은 송신 제어기(26)으로 보내지고 업 제어 채널의 특수 번호 필드 NB내에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한 기저국(11a)내에서,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는 식별기(55)를 통해 메모리부(56)내에 기억된다. 메모리부(56)은 다수의 식별 신호들을 기억할 수 있다.
유휴 채널이 소정의 다른 가입자들 간의 통신 종료의 결과로서 유휴 채널 검출회로(58)에 의해 검출된다고 하겠다. 이 경우에, 식별 신호들 중 1개의 신호는 유휴 채널 검출 회로(58)에 의해 표시된 유휴 채널의 채널 번호를 갖고 있는 판독 식별 신호로서 메모리 부(56)으로부터 판독된다. 그러므로, 1개의 식별 신호는 다운 제어 채널의 특수 번호 필드 NB내에 배치되고 분국(12a)로 보내진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1개의 식별 신호는 해당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와 동일하다.
또한, 유휴 채널 존재 신호 및 유휴 채널 위치 신호는 유휴 채널의 존재 및 유휴 채널의 채널 번호 또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다운 제어 채널의 제어 필드 CONT 내에 배치된다.
제4도에 도시한 분국(12a) 내에서, 유휴 채널 검출기(24)는 제어 필드 CONT 내에 배치된 유휴 채널 존재 신호의 검출 결과로서 존재 신호 PC를 발생시키도록 다운 제어 채널의 제어 필드 CONT를 모니터 한다. 존재 신호는 PC는 판독 상태로 되게 하도록 판독 명령으로서 메모리 유니트(41)로 전달된다. 또한, 유휴 채널 위치 신호는 유휴 채널 통지 회로(32)로 보내지도록 유휴 채널 검출기(24)에 의해 검출된다.
가입자 검출기(37)은 다운 제어 채널의 특수 번호 필드 NB내에 배치된 식별 신호들 중 특수 식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특수 번호 필드 NB를 모니터 한다. 특수 식별 신호는 비교기(42)에 의해 메모리 유니트(41)로부터 판독된 오프-훅 가입자의 식별 신호와 비교된다.
특수 식별 신호와 판독 식별 신호간에서 일치가 검출되면, 비교기(42)는 일치을 나타내는 일치 신호를 유휴 채널 통지회로(32)에 공급한다. 유휴 채널 통지회로(32)는 유휴 채널 검출기(24)에 의해 검출된 유휴 채널 위치 신호를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에 알린다. 또한, 기저국(11a)에 의해 표시된 특수 식별 신호는 가입자 검출기(37)로부터 유휴 채널 통지회로(32)를 통해 가입자 인터페이스회로(16)으로 전달된다.
특수 식별 신호 및 유휴 채널 위치 신호에 응답하여,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16)은 특수 링깅 신호를 1개의 식별 신호에 의해 지정된 가압자 라인에 보낸다. 특수 링깅 신호는 제3도에 관련하여 기술한 바왁 타이 통상적인 링깅 신호와 상이하므로, 통상적인 링깅 신호와 구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휴 채널 발생과 착신 호출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다수의 대기 가입자들이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을 대기하고 있다고 가정하겠다. 이 경우에, 기저국(11a)로부터 보내진 각각의 식별 신호는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저국은 유휴 채널 검출중인 가입자들중 한 가압자만을 선택할 수 있고, 유휴 채널 발생을 한 가입자에게만 알린다. 그러므로, 가입자들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지금까지 몇가지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였지만,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여러가지 다른 방식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분국(12' 또는 12a)는 출력 채널을 결정하고 통신 와이어가 통화중이 아닐때 통신 가능한 채널들을 한정하는 통신 와이어를 통해 다른 국에 접속될 수 있다. 통신 회로망 내의 모든 분국들은 항상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분국(12' 또는 12a)와 동일하게 될 필요는 없다. 이것은 분국들 중 최소한 1개의 분국만으로 유휴 채널 발생을 각각의 가입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5)

  1. 가입자들을 출력 채널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등록 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다수의 가입자들을 수용하고, 출력 채널들 중 통신가능한 출력 채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1검출수단, 가입자의 오프-훅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2검출 수단, 및 호프-훅 가입자가 통신 불가능할때 오프-훅 상태에 있는 가입자들 중 오프-훅 가입자에 특수 음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검출 수단에 결합된 음 공급 수단으로 구성되는 국을 포함하는 통신 회로망에 있어서, 상기 국은 상기 오프-훅 가입자가 통신 불가능할때만 그리고 상기 오프-훅 가입자가 상기 등록 번호를 보내기 전에 상기 오프-훅 가입자을 표시하며 그리고 상기 등록 번호와 다른 식별 신호를 기억하기 위해 각각의 가입자 및 상기 제1검출 수단에 결합된 기억수단, 및 상기 오프-훅 가입자가 통신 가능하게 될때 링깅 신호(ringing signal)의 형태로 통신 가능한 출력 채널의 존재를 상기 오프-훅 가입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기억수단 및 상기 제1검출 수단에 결합된 고지 수단(informing mean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회로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망은 기저국, 및 상기 국으로서 각각 작용하고 상기 출력 채널로서 동작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의 시퀀스를 통해 상기 기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분국들로 구성되고,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오프-훅 가입자가 상기 무선 채널들 중 유휴 채널들의 부재로 인해 통신 불가능할때 상기 기억수단내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회로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 시퀀스는 각각 상기 분극들로부터 상기 기저국을 향해 보내지고 상기 기저국으로부터 상기 분국들을 향해 보내지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퀀스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업-링크 시퀀스는 업 제어 채널들의 시퀀스로 구성되며, 상기 다운-링크 시퀀스는 다운 제어 채널들의 시퀀스로 구성되고, 상기 분극들 중 최소한 1개의 분극이 상기 제1 및 제2검출 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오프-훅 가입자가 통신 불가능할때 상기 업-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저국을 행해 상기 식별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식별 신호에 응답하는 송신 수단, 및 상기 수신 식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다운 제어 채널에 응답하는 제3검출 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무선 채널 시퀀스중 유휴 채널이 발견될때 수신 식별 신호로서 상기 기저국으로부터 상기 다운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분국들 중 최소한 1개의 분국으로 다시 보내지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오프-훅 가입자가 통신 불가능할때 상기 메모리된 식별 신호로서 상기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식별 신호를 메모리 하기 위해 상기 제1검출수단에 결합된 메모리 수단, 상기 수신 식별 신호가 상기 메모리된 식별 신호와 일치할때 일치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메모리된 식별 신호와 상기 수신된 식별 신호를 비교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수단 및 상기 제3검출 수단에 결합된 비교 수단 및, 상기 오프-훅 가입자가 통신가능함을 표시하도록 상기 일치 신호를 상기 고지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회로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국은 상기 검출된 식별 신호로서 상기 업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식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식별 신호 검출 수단, 판독 식별 신호로서 상기 검출된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검출된 식별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 상기 무선 채널들 중 유휴 채널이 존재하는지 부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유휴 채널 검출 수단, 및 상기 유휴 무선 채널이 존재할때 상기 다운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분국들을 향해 상기 기억된 식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식별 신호 검출 수단 및 상기 유휴 채널 검출 수단에 결합된 전송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회로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깅 신호는 통상의 링깅 신호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회로망.
KR1019870003362A 1986-04-09 1987-04-09 유휴 채널 발생을 가입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는 통신 회로망 KR950008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81894 1986-04-09
JP61081894A JPH0736541B2 (ja) 1986-04-09 1986-04-09 無線通信方式
JP81894 1986-04-09
JP61104970A JPH0620189B2 (ja) 1986-05-09 1986-05-09 空きチヤンネル自動通知方式
JP61-104970 1986-05-09
JP104970 1986-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50A KR870010750A (ko) 1987-11-30
KR950008648B1 true KR950008648B1 (ko) 1995-08-03

Family

ID=2642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362A KR950008648B1 (ko) 1986-04-09 1987-04-09 유휴 채널 발생을 가입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는 통신 회로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03679A (ko)
EP (1) EP0241287A3 (ko)
KR (1) KR950008648B1 (ko)
AU (1) AU591405B2 (ko)
CA (1) CA12585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8359A (ja) * 1987-10-12 1989-04-17 Nec Corp 加入者集線通信システム
JPH01168155A (ja) * 1987-12-24 1989-07-03 Canon Inc 通信端末装置
US5124985A (en) * 1988-12-13 1992-06-23 Small Power Communication Systems Research Laboratories Co., Ltd.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time-division digital frames
JP2555904B2 (ja) * 1989-04-27 1996-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車電話方式
US5020093A (en) * 1989-06-23 1991-05-28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operable on different cellular telephone systems
US5008925A (en) * 1989-12-20 1991-04-16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responsive to service availability for operating on different cellular telephone systems
GB2259387B (en) * 1991-09-07 1994-11-02 Motorola Israel Ltd Communications apparatus
US5949017A (en) * 1996-06-18 1999-09-07 Abb Power T&D Company Inc. Electrical transformers containing electrical insulation fluids comprising high oleic acid oil compositions
TW359926B (en) * 1997-02-28 1999-06-0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multiple terminal equipment units using a fixed wireless terminal
US7046643B1 (en) 1997-07-30 2006-05-16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for dynamic multi-level pric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ccording to quality of service
US7349333B2 (en) 1997-07-30 2008-03-25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ata services using idle cell resources
US6069882A (en) 1997-07-30 2000-05-3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s using idle cell resources
US7050445B1 (en) 1997-07-30 2006-05-23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of capacity on wireless networks
US7065061B1 (en) * 1997-07-30 2006-06-2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s using idle cell resources
US6526036B1 (en) * 1997-08-20 2003-02-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105078A (en) * 1997-12-18 2000-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ded remote copying system for reporting both active and idle conditions wherein the idle condition indicates no updates to the system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JP3252785B2 (ja) * 1998-02-11 2002-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ボタン電話装置
JP2938846B1 (ja) 1998-03-13 1999-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298231B1 (en) 1998-09-29 2001-10-02 Ready Com,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wireless devices
US7006831B2 (en) * 2002-09-27 2006-02-28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communications network traffic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597A (en) * 1975-11-24 1977-03-15 Motorola, Inc. Transmission trunk multichannel dispatch system with priority queuing
US4400585A (en) * 1979-11-30 1983-08-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empting to seize a radio channel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4414661A (en) * 1981-07-02 1983-11-08 Trancom Ab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fleet of vehicles
JPS5829231A (ja) * 1981-08-13 1983-02-21 Hitachi Denshi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の発呼方式
US4485486A (en) * 1982-08-03 1984-11-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uplex radio channels and scanning duplex radio channels assigned to mobile and portable radio telephones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BE902438A (fr) * 1984-05-18 1985-09-02 Telefonbau & Normalzeit Gmbh Procede d'exploitation d'un central de telecommunications, en particulier d'un central telepho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91405B2 (en) 1989-11-30
US4803679A (en) 1989-02-07
EP0241287A3 (en) 1989-06-14
KR870010750A (ko) 1987-11-30
AU7132487A (en) 1987-10-15
CA1258545A (en) 1989-08-15
EP0241287A2 (en) 1987-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648B1 (ko) 유휴 채널 발생을 가입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는 통신 회로망
EP0214809B1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EP0239093B1 (en) Multiple access radio telephone system selectively operating on full-duplex and half-duplex modes
EP0631417B1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628216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5699409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for providing set-up communications between subsidiary units through a master unit
AU636736B2 (en) Cordless key telephone system capable of quickly answering incoming calls
KR900006322B1 (ko) 디지탈 가입자 라인 시험장치를 갖는 디지탈 회로망 시스템
US6028845A (en) Communication-line-quality measuring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ignal frame structure
EP0218450B2 (en) Control system of a radio telephone apparatus
JP2655412B2 (ja) 時分割多重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子局内相互通話の通話監視方式
KR920002898B1 (ko) 공중통신 회로망을 통해 다수의 애퍼츄어 터미날을 모니터할 수 있는 위성 사업용 통신 시스템
KR100291613B1 (ko) 전기통신시스템및이전기통신시스템에사용하기위한주국및종국
US6219525B1 (en) Access network system capable of reducing call loss probability
US5086451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tationary apparatuses in a cordless telephone system
JPS60182824A (ja) 無線通信方式
KR100480239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착신호에 대해 무응답인 중계대의 호처리 방법
KR0135963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휴대장치 제어방법
JP2748874B2 (ja) 衛星通信装置
KR100492961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디티엠에프송출장치및방법
JPS5925530B2 (ja) 回線接続制御方式
JPS60235542A (ja) 無線チヤネルの接続方式
JP3084113B2 (ja) 無通話パターン制御方式
JP2000253130A (ja) Wllシステムの発信加入者番号表示サービス付加入者端末の着信呼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20000004567A (ko) 무선가입자망의 가입자 무선 접속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발신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