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554B1 - 사출성형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554B1
KR950008554B1 KR1019920000038A KR920000038A KR950008554B1 KR 950008554 B1 KR950008554 B1 KR 950008554B1 KR 1019920000038 A KR1019920000038 A KR 1019920000038A KR 920000038 A KR920000038 A KR 920000038A KR 950008554 B1 KR950008554 B1 KR 950008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sert
base plate
insert mol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220A (ko
Inventor
히로시 노리다께
다께오 무라야마
히데오 온다
사또루 요시자와
가즈히꼬 고오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요시무라 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요시무라 시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Priority to KR101992000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554B1/ko
Publication of KR93001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출성형금형장치
본 발명은 사출성형시에 사용되는 사출성형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사출성형기에 사용되는 금형은 베이스금형속에 소형의 금형(인서트)을 조립하여 넣은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금형을 공동으로하여 소형의 금형판을 교환하여 각종 제품형상에 대응시킬 수 있고, 금형제작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소형금형을 조립하여 넣는데에는 회전체결기구나 클램프기구둥을 사용하고 있고, 또 일본국 실공소 58-42100호 공보에는 인서트를 장착한 형판을 형관지지프레임으로부터 뽑아내어 형판을 교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회전체결기구나 클램프기구등을 사용하여 조립하여 넣는 경우에는 조립에 시간이 걸리고, 따라서 사출성형작업의 능률이 저하되고, 또 조립작업이 복잡하기 때문에 자동화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형판을 교환하는 것은 인서트가 장착된 형판을 형판째 크레인등으로 매달아 교환하는 것이며, 더욱이 형판의 고정은 나사등으로 행하므로 시간이 걸리며 또 작업이 복잡하였다.
한편, 성형품을 캐비티로부터 안출하기가 곤란한 경우 성형품 돌출기구가 설치되나, 종래 성형품 돌출기구는 베이스금형으로부터 인서트금형까지 관통하는 1개의 돌출핀을 설치하고, 이 돌출핀을 캐비티측으로 움직임으로써 행하고 있었다(예 : 일본국 실공소 58-42100호 공보).
따라서 돌출핀이 설치되어있는 위치는 변경할 수 없고, 항상 그 위치에서 돌출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인서트금형의 캐비티 형상에 따라서는 돌출위치가 부적당하게 되고, 돌출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성형품에 손상이 생기거나 하였다.
한편, 돌출위치를 최상의 위치로 하려고 하는 경우는 베이스금형까지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고, 금형 제작비용삭감의도에 반하는 결과로 되였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행하여질수 있는 사출성형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금형제작비용의 삭감을 도모하고, 또한 최상의 돌출위치를 얻을 수 있는 사출성형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출성형금형장치는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가동축 베이스플레이트의 적어도 한쪽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그 두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인서트삽입오목부와, 인서트삽입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키 홈과, 인서트삽입오목부에 끼우고 빼기 가능한 인서트금형과, 키홈에 끼우고 빼기 가능하고, 키홈에의 삽입상태로 인서트금형의 걸림부를 걸리게하여 인서트금형을 고정시키는 빗살형상의 고정키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사출성형금형장치는 가동축 금형내에 끼우고 빼기 가능한 인서트금형과, 인서트금형에 설치된 제1돌출기구와, 제1돌출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가동측금형내에 설치된 제2돌출기구를 가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금형은 고정측금형(P)과 가동측금형(Q)에 의해 구성된다. 먼저 고정측금형(P)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측 부착관(1)에는 스프루(sprue : 2a)가 형성된 노즐부쉬(2)가 로케이팅링(3)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노즐부쉬(2)에는 사출성형기의 노즐(도시생략)이 끼워맞추어진다. 또 고정측 부착관(1)에는 4개의 지지축(10)이 고착되어있다(제2도 참조).
또한 고정측 부착판(1)에는 러너록핀(32)이 부착되어 있고, 그 선단은 후술하는 러너부(8a)에 이르고 있고, 또 선단부는 언더컷 형상으로 되어있다. 스페이서 플레이트(5)는 받이판(4)에 고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러너 플레이트(6)를 끼워 위치시킬수 있는 오목부(5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는 지지축(10)가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스페이서 플레이트(5)의 제1도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2단, 좌우방향으로 2열의 합계 4개의 인서트 삽입오목부(7b)가 동일사각형 단면형상으로 열려져 있다.
설명상, 제2도 좌우에 인서트 삽입오목부를 7b1, 좌측하, 우측상, 우측하의 그것을 각각 7b2,7b3,7b4로 한다.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는 각 인서트오목부(7b)의 제2도 좌측상 및 제2도 우측하위치에 위치결정핀(21)이 부착되어 있다.
위치결정핀(21)은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 헐겁게 끼워져서 출몰이 자유로우며 제3도에 도시되는바와 같이 윗쪽을 가압스프링(29)으로 가압시키고 있다. 위치결정핀(21)의 선단부(21a)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있다. 위치결정핀(21)은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앞칼라부(8d)에 끼어 맞우어져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또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는 각 인서트 오목부(7b)의 제2도 우측상 및 좌측하위치에 영구자석(22)이 매입되어 있고, 영구자석(22)는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앞칼라부(8d)에 맞닿는다(제4도 참조).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의 뒷면측에는 3개의 단면이 대략 4각형인 키홈(7a)이 면방향상하에 형성되어 있다.
설명상, 제2도의 좌측키홈을 7a1, 중간, 우측의 그것을 각각 7a2, 7a3으로 한다.
각 키홈(7a)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인서트삽입 오목부(7b)에 일부가 겹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의 키홈(7a2)은 모든 인서트 삽입오목부(7b)와 겹쳐있다. 이 겹침부분(7c)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키(9)가 인서트금형(8)의 뒷칼라부(8e)를 걸리게 한다.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는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16)를 안내하기 위하여 4개의 가이드축(11)이 고착되어 있다.
또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는 상하단에 각각 스페이서(12)가 고착되어 있고, 형체결이 행해졌을때에 스페이서(12)가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에 맞닿아 고정측 인서트금형(8)과 가동측 인서트금형(17)과의 사이에 무리한 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는 도시하지 않은 제한 볼트를 통하여 가동측 금형(Q)과, 연결되고 가동측금형(Q)이 고정측금형(P)에 대하여 소정량이상 이동했을때에 제한볼트를 통하여 가동측금형(Q)에 추종하여 이동하고 스페이서 플레이트(5)로부터 이격하도록 되어있다.
러너 플레이트(6)는 고정측 플레이트(7)의 뒤쪽에 고착되어 있다. 러너 플레이트(6)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의 뒷쪽 중앙부에 고착되어 있고, 4개의 인서트 삽입오목부(7b)의 전부와 겹쳐져 있다.
러너 플레이트(6)는 제1도 좌측에서 보면 제3도와 같이 되어있고 상하 방향의 소정길이의 종방향 러너(6b) 및 그것들의 끝부분으로부터 좌우로 뻗는 횡방향러터너(6a)가 새겨 설치되어 있다.
러너 플레이트(6)의 두께는 스페이서 플레이트(5)의 두께가 대략 동등하게 되어있다. 러너 플레이트(6)는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 부착구멍(6c)으로 나사고정함으로써 고착되어 있다.
중앙위치에 설치된 스프루(2a)에서 용융된 재료를 게이트(8c)까지 이송함에 있어서, 인서트 삽입오목부(7b)가 겹쳐지는 러너 플레이트(6)를 설치하고, 이 러너 플레이트(6)의 위를 용융재료가 흐르도록 하였기 때문에 러너 플레이트(6)가 인서트금형(8)과 겹쳐져서 용융재료가 인서트 삽입오목부(7b)와 인서트금형(8)과의 틈새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측 인서트금형(8)은 앞칼라부(8d) 및 뒷칼라부(8e)를 가지고 있고, 제1도시와 같이 앞칼라부(8d)를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의 앞면에 걸리게하고 뒷칼라부(8e)를 키홈(7a)에 삽입된 고정키(9)로 걸리게 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7)에 고정된다.
설명상, 인서트 삽입오목부(7b1,7b2,7b3,7b4)에 끼우거나 빼어지는 인서트금형(8)을 각각 81,82,83,84로 한다. 앞칼라부(8d)는 제4도시와 같이 상하방향에도 형성되어 있고, 고정측 인서트금형(8)을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 조립했을때에 위치결정핀(2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위치결정구멍(8f)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앞면에는 캐비티(8b)가 형성되어있고, 가동측 인서트금형(17)의 캐비티(17a)와 합체하여 성형품의 형성을 만들고 있다.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뒷면에는 러너(8a)가 형성되어 있고, 그위에 러너(8a)의 끝부분에서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앞면을 향하여 3개의 러너(8g)가 형성되어 있고(제2도 참조), 그 앞끝은 게이트(8c)로 되어있다.
다음에 고정측 고정키(9)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키(9)는 키흠(7a1,7a2,7a3)에 각각 삽입되는 3개의 키(91,92,93)가 제2도에 도시되어 바와 같이 상단부에서 연결부재(9g)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고, 빗살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키(91,92,93)에는 인서트금형(8)을 걸리게하는 쪽에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칼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칼라부에는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뒷칼라부(8e)가 걸리도록 되어있다.
또 키(91,92,93)에는 금형(8)을 걸리게하는 쪽에 제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서트금형(81,82)의 상하길이보다 약간 긴 절결부(9a)가 어느쪽이나 동일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9a)의 폭은 절결부(9a)가 인서트금형(81,82)의 위치에 왔을때 뒷칼라부(8e)와 키(91,92,93)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폭으로 되어있다.
다음에 키(91,92,93)의 선단부(線端部)측의 인서트금형(83,84)을 걸리게하는 부분의 길이는 상하의 인서트금형(81,83)간의 틈새간격, 또 상하의 인서트금형(82,84)간의 틈새간격보다 짧게 되어있다.
따라서 고정키(9)를 어느 길이만큼 이동시켰을때, 인서트금형(83,84)을 걸리게하고 있는 부분은 상하의 인서트금형(81,83)간의 틈새, 또 상하의 인서트금형(82,84)간의 틈새로 이동하고, 절결부(9a)는 인서트금형(81,82)의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인서트금형(81,82,83,84)은 키(91,92,93)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다음에 가동측금형(Q)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가동측 부착판(13)은 도시하지 않은 사출성형기의 가동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있고, 고정측 금형(P)의 방향에 전진후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가동측 부착판(13)에는 스페이서 블록(14), 받이판(15) 및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16)가 고착되어 있다.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16)에는 고정측 금형(P)의 베이스 플레이트(7)와 동일하게, 4개의 인서트 삽입오목부(16b)가 두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16)에는 각 인서트 삽입오목부(16b)의 윗쪽 및 아랫쪽의 대각선 위치에 2개의 위치결정핀이 부착되어 있고(도시생략), 그 구조는 고정측금형(P)의 위치결정핀(21)과 동일하다. 또 고정측금형(P)가 동일하게하여 영구자석이 각인서트 삽입오목부(16b)의 윗쪽 및 아래쪽의 상기 위치결정핀과 역 대각선위치에 매입되어있다(도시생략).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16)의 뒷면측에는 고정측과 같이 3개의 단면이 대략 4각형인 키홈(16a)이 면방향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인서트금형(17)은 바닥판(17g), 받이판(l7h), 스페이서 플레이트(17f), 제1형판(17i) 및 제2형판(17j)을 이 순서로 고착시켜 구성하고 있다.
바닥판(17g)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이판(17h)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되어있고, 이부분은 뒷칼라부로 되어있고, 또 제2형판(17j)이 바닥판(17g) 등에서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길게되어 있고, 이 부분이 앞칼라부로 되어있다.
또한, 앞칼라부에는 상기 위치 결정핀과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결정구멍이 형성되어있다(도시생략). 제2형판(17j)의 앞면에는 캐비티(17a)가 형성되어있고, 또 코어핀(17b)이 부착되어있다.
가동측 인서트금형(17)내에는 제1성형품 돌출기구가 설치되어있다. 제1성형품 돌출기구는 제1돌출판(17c,17d) 및 그것에 고정된 제1돌출핀(17e)을 스페이서 플레이트(17f)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하고, 제1돌출핀(17e)을 이 공간과 캐비티(l7a)를 연결하는 관퉁구멍에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끼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 플레이트(17f)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제1돌출판(17d)과 제1형판(17i)과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으로된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도시 생략), 제1돌출핀(17e) 및 제1돌출판(17c,17d)을 후퇴하는 방향에 가압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17g)과 받이판(7h)에는 제1돌출판(17c)과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구멍(17k)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핀(17e)의 전진은 후술하는 제2돌출기구의 돌출핀(19e)이 관통구멍(17k)을 통과하여 돌출판(17c)을 가압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와같은 제1돌출기구는 그 자체로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캐비티(l7a)의 형상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돌출하여 핀(17e)을 설치할 수 있게된다.
돌출판(17c,17d)에는 뒷방향으로 센서핀(33)이 고정되어 있고, 이 앞끝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받이판(17h), 바닥판(17g)에 열려진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받이판(15)에 설치된 근접스위치등으로 이루어지는 검축센서(26)와 대응하고 있다. 돌출판(17c,17d)이 후퇴하면 센서핀(33)의 앞끝이 검출센서(26)에 근접하여 돌출핀(17e)의 후퇴가 검출된다.
가동축 고정키(18)도 고정측금형(P)의 고정키(9)와 같이 3개의 고정키가 상단부에서 연결되어 일체로된 빗살형상으로 되어있다(도시생략). 고정키(18)의 인서트금형(17)을 걸리게하는 쪽에 칼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칼라부에는 인서트금형(17)의 뒷칼라부를 걸리게하는 점, 고정키(18)의 인서트금형(17)을 걸리게하는 쪽에는 소정위치에 소정길이, 폭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둥은 고정측금형(P)의 고정키(9)와 동일하다.
인서트금형(17)의 뒷쪽에는 제2돌출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돌출기구는 제2돌출판(19c,19d) 및 그것에 고정된 8개의 제2돌출핀(19e)을 스페이서 블록(14)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하고, 또 인서트금형(17)의 관통구멍(17k)과 대웅하는 관통구멍(15a)을 받이판(15)에 열고, 8개의 돌출핀(19e) 중 2개씩을 각각 인서트금형(17)내에 설치된 제1의 돌출판(17c)에 대향하는 연통구멍(15a,17k)에 헐겁게 끼운 구조로 되어있다.
또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판(19c,19d)에는 리턴핀(23)이 고정되어 있고, 리턴핀(23)상의 돌출판(19d)과 베이스 플레이트(16)간에는 압출스프링으로된 리턴스프링(24)이 건너설치되어있어, 돌출핀(19e)을 후퇴하는 방향에 가압하고 있다. 돌출핀(19e)의 전진은 투시구멍(13a)에서 진입하는 돌출로드(도시생략)에 의해 돌출판(19c)을 가압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형개방상태 아래서 제작하고자 하는 성형품의 고정측 인서트금형(8)을 PL면으로부터 고정측 인서트 삽입오목부(7b)에 삽입한다. 그러면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앞칼라부(8d)상의 위치결정구멍(8f)에 위치결정핀(21)이 끼워 맞추어지고, 또한 영구자석(22)에 의해 앞칼라부(8d)가 흡착되어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탈락이 방지된다.
다음에 빗살형상의 고정키(9)를 키홈(7a)에 꽂아 넣는다. 그러면 고정키(9)의 칼라부가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뒷칼라부(8e)를 걸리게하여 고정측 인서트금형(8)이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 고정된다.
키(91,92,93)는 전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번의 삽입조작에 의해 모든 고정측 인서트금형(8)을 고정시킬 수 있다. 가동측 인서트금형(17)도 고정측 인서트금형(8)과 똑같이 하여 가동측 인서트삽입오목부(16b)에 삽입하여 빗살형상의 고정키(18)를 키호(16a)에 꽂아넣어서 가동측 인서트금형(17)을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16)에 고정한다.
또한 가동측 인서트금형(17)을 인서트 삽입오목부(16b)에 꽂아넣으면 관통구멍(17k)에 제2돌출핀(19e)이 꽂혀 넣어진다.
다음에 형체결을 행하면 스페이서(12)가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16)에 맞닿고, 또 고정축 베이스 플레이트(7) 및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16)의 PL면이 닫혀져 캐비티(8b,1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출성형기의 호퍼로부터 투입된 팰릿이 실린더내의 스크루에 의해 전진되고 또 가열되며, 용융된 성형재료가 노즐로 부터 스프루(2a)를 통과하여 러너 플레이트(6)의 러너(6b,6a)에 이르고 다시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러너(8a.8g)을 통과하여 게이트(8c)에서 캐비티(8b,17a)내에 유입된다.
이때, 러너 플레이트(6)의 인서트금형(8)과의 겹칩에 의해 인서트금형(8)과 인서트삽입오목부(78b)간의 틈새에 용융된 성형재료가 유입되는 일이 없다.
캐비티(8b,17a)내의 성형재료가 응고하면 PL면을 소정량만큼만 연다. 그리고 성형재료가 게이트(8c)의 부분에서 절단 분리되어서 성형품은 캐비티(17a)측에 남는다.
한편, PL면의 개방동작으로 돌출로드(도시생략)가 투시구멍(13a)으로부터 진입하고 이 돌출로드로 가압되어 제2돌출기구의 돌출판(19c,19d) 및 돌출판(19e)이 전진한다. 그러면 돌출핀(19e)이 제1돌출기구의 돌출판(17c,17d) 및 돌출핀(17e)을 가압하여 전진시키고, 캐비티(17a)내의 성형품을 밀어낸다.
성형품의 돌출후는 PL면을 다시 소정량만큼만 연다. 그러면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가 스페이서 프레이트(5)로부터 이격하고 이 동작에 의해 러너부에 고정화된 성형재료로부터 리너록핀(32)앞끝의 언더컷부가 당겨지고, 고형화된 러너부의 성형재료가 자연적으로 낙하하여 제거된다.
이후, 같은 성형품을 만드는 경우는 형체결을 행하나, 그 전에 후퇴검출센서(26)에 의해 제1돌출기구의 제1돌출핀(17e)이 후퇴하고 있는지의 확인을 행하다. 즉 형체결을 행하면 이 동작으로 투시구멍(13a)으로부터 돌출로드(도시생략)가 퇴출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제2돌출기구의 돌출판(19c,19d) 및 돌출핀(19e)이 리턴스프링(24)의 가압력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이것에 추종하여 제1돌출기구의 돌출판(17c,17d) 및 돌출핀(17e)이 리턴스프링(도시생략)의 가압력으로 소정위치에 후퇴한다.
이때 돌출핀(17e)이 소정위치에 후퇴하지 않고 그대로 형체결을 행하면 돌출핀(17e)이 고정측 인서트금형(8)에 충돌하고, 특히 고정측 인서트금형(8)에 슬라이드코어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돌출핀(17e)의 파손등을 발생시킬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검출센서(26)에 의해 돌출핀(17e)의 후퇴를 확인하기 때문에 이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형체결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사출성형을 행한다.
인서트금형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는 형개방상태로 빗살형태의 고정키(9)를 소정거리만큼만 상승시킨다. 그러면 절결부(9a)가 윗쪽의 인서트금형(81,82)에 위치하여 아랫쪽의 인서트금형(83,84)을 걸리게하고 있던 고정키(9)의 부분이 상하의 인서트금형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인서트금형(81∼84)의 걸림이 해체된다.
그러나 영구자석(22)에 의해 고정측 인서트금형(8)은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 흡착되어 있어 낙하가 방지된다. 그래서 PL면으로부터 이들의 소정측 인서트금형(8)을 제거한다. 그리고 새로운 고정측 인서트금형(8)을 상기와 동일하게하여 인서트 삽입오목부(7b)에 삽입하여 고정키(9)로 고정한다.
가동측도 고정측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가동측 인서트금형(17)의 교환을 행한다. 인서트금형(8,17)의 교환을 고정키(9,18)의 약간의 미끄럼이동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교환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가동측 인서트금형(17)의 교환시에 그 캐비티형상에 따른 최적의 위치에 제1돌출핀(17e)을 설치해두면, 제2돌출핀(19e)의 위치를 실제변경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구성으로 성형품의 적정위치를 가압하여 성형품을 끄집어낼수가 있다. 인서트금형의 교환이 끝나면 상기와 같이하여 재차 사출성형을 행한다.
다음에 위치결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위치결정핀(2l)이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7)이 표면부분에는 위치결정핀(21)을 에워싸듯이 원추대의 구멍(34)이 열려져 있고, 이 구멍(34)에 접시스트링(27)이 자유상태로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힘이 가해지면 압축되어서 구멍(34)속에 매몰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시스프링(27)은 위치결정핀(21)과 끼워맞춤하는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위치결정구멍(8f)주변을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고정측 인서트금형(8)과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는 표면에 기름이 부착하는 등으로 양자간에 커다란 부착력이 발생하여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교환시에 인서트금형(8)을 제거하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으나, 상기의 접시스프링(27)을 설치함으로써, 위치결정핀(21)과 위치결정구멍(8f)과의 이격을 쉽게하여 인서트금형(8)의 제거가 쉽게된다.
또 위치결정핀(21) 및 위치결정구멍(8f)를 복수개소 설치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소의 위치결정핀(21)에 대하여 인서트금형(8)을 균둥하게 인출하여 제거하지 않으면 뒤틀려서 인서트금형(8)을 제거할 수 없게되나 접시스프링(27)은 위치결정핀(21)측으로부터 인서트금형(8)을 균등하게 압출하려고 하기 때문에 인서트금형(8,17)을 무리한 힘을 작용시킴이 없이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접시스프링(27)의 스프링력을 영구자석(22)의 흡인력보다 작게하면, 인서트금형(8)을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7)의 표면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접시스프링(27)의 스프링력을 영구자석(22)의 흡착력보다 크게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해 고정키(9)를 뽑았을때 영구자석(22)의 흡착력에 저항하여 접시스프링(27)의 스프링력으로 고정측 인서트금형(8)이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의 표면으로부터 부상하고, 인서트금형의 교환작업이 보다 쉽게 된다.
또한 접시스프링(27)의 스프링력으로 고정측 인서트금형(8)이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의 표면으로부터 부상된 상태라도 고정측 인서트금형(8)은 영구자석(22)에 의해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측에 당겨지므로, 이 이상의 이격이 방지되어 고정측 인서트금형(8)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접시스프링(27)을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7)에 설치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인서트금형(8)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 가동측에 있어서도 본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을 말할것도 없다.
또 접시스프링(27)에 한하지 않고 압축스프링둥 소정의 가압력이 발생되는 것은 이격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인서트금형을 PL면측으로부터 끼우고 빼어 인서트금형의 고정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면방향으로 끼우고 빼어지는 고정키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조작이 간단하여 로보트등을 사용한 자동화를 극히 용이하게 행할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금형장치를 여러위치에서 절단한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서 절단한 종단면도.
제3도는 러너 플레이트의 정면도.
제4도는 인서트금형의 위치결정 및 탈락방지기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5도는 제2돌출기구의 후퇴기구 및 제1돌출기구의 후퇴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결정핀과 위치결정구멍과의 이격기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스페이서 플레이트(고정측 인서트금형의 뒷면에 대향하는 금형부재)
6 : 러너 플레이트 6a, 6b, 8a : 러너
7 :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 7b : 고정측 인서트 삽입오목부
8 : 고정측 인서트금형 8e : 뒷칼라부
8d : 앞칼라부 8f : 위치결정구멍
9 : 고정측고정키 9a : 절결부
16 : 받이판(가동측 인서트금형의 뒷면에 대향하는 금형부재)
16 : 가동축 베이스 플레이트 16b : 가동축 인서트 삽입오목부
17 : 가동축 인서트금형 17c, 17d : 제1돌출판
17e : 제1돌출핀 17g : 바닥판(걸림부)
17j : 제2형판(앞칼라부) 18 : 가동축고정키
19e : 제2돌출핀 21 : 위치결정핀
22 : 영구자석 26 : 후퇴검출센서
27 : 접시스프링(스프링부재)
본 발명은 인서트금형을 PL면측으로부터 끼우고 빼어 인서트금형의 고정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면방향으로 끼우고 밸수 있는 빗살형상의 고정키에 의해 행하므로 인서트금형의 조립작업이 극히 용이하며, 또 작업을 단시간중에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돌출기구를 인서트금형에 설치된 제1돌출기구와 가동측금형내에 설치된 제2돌출기구로 분류하고, 제2돌출기구에서 제1돌출기구를 작동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인서트금형을 설치하는 경우에 제1돌출기구의 돌출위치도 최적위치에 설계할 수 있고, 금형제작비용의 삭감 및 최적의 돌출위치 확보라는 쌍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9)

  1.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가동측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한쪽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그 두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이 인서트삽입오목부와, 상기 인서트 삽입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키홈과, 상기 인서트 삽입오목부에 끼우고 빼기 가능한 인서트금형과, 상기키홈에 끼우고 빼기되어 상기 키흠에의 삽입상태로 상기 인서트금형의 걸림부를 걸리게하여 상기 인서트금형을 고정하는 빗살형상의 고정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금형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의 상기 키홈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고정키에는 상기 고정키를 어느 길이만큼 미끄럼 이동시켰을때에, 상기 인서트금형 걸리부의 걸림을 해제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베이스 플레이트의 뒷면에는 러너가 형성된 러너 플레이트가 복수개의 인서트금형과 겹쳐진 상태로 고착되어 있고, 상기 러너 플레이트의 러너와 상기 인서트금형의 러너가 상기 겹칩부에서 연이어 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금형의 앞면부에 상기 인서트 삽입오목부의 둘레가장자리부와 맞닿는 칼라부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칼라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맞닿음위치의 상기 인서트금형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한쪽에 또는 상기 인서트금형의 뒷면 또는 상기 인서트금형의 뒷면에 대향하는 금형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금형의 앞면부에 상기 인서트 삽입오목부의 둘레가장자리부와 맞닿는 칼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칼라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맞닿음 위치의 상기 인서트금형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한쪽에 또는 상기 인서트금형의 뒷면 또는 상기 인서트금형의 뒷면에 대향하는 금형부재의 한쪽에 위치결정핀이 설치되어 있고, 그의 다른쪽에 상기 위치결정핀에 대향하여 위치결정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핀 또는 상기 위치결정구멍의 근방에 상기 위치결정핀과 상기 위치결정구멍을 이격시키는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접시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장치.
  7. 가동측금형내에 끼워고 빼어지는 인서트금형과, 상기 인서트금형에 설치된 제1돌출기구와, 상기 제1돌출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축 금형내에 설치된 제2돌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기구는 제1돌출판 및 상기 제1돌출판에 고착된 제1돌출핀에 의해구성되고, 상기 제2돌출기구는 제2돌출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돌출핀이 상기 제1돌출핀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돌출기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기구의 후퇴를 검출하는 센서가 상기 가동축 금형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장치.
KR1019920000038A 1992-01-06 1992-01-06 사출성형금형장치 KR950008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038A KR950008554B1 (ko) 1992-01-06 1992-01-06 사출성형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038A KR950008554B1 (ko) 1992-01-06 1992-01-06 사출성형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220A KR930016220A (ko) 1993-08-26
KR950008554B1 true KR950008554B1 (ko) 1995-08-03

Family

ID=1932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038A KR950008554B1 (ko) 1992-01-06 1992-01-06 사출성형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92B1 (ko) * 2006-03-15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092B1 (ko) * 2008-03-14 2011-01-13 민병창 사출 성형 장치
KR102073818B1 (ko) 2018-01-16 2020-02-25 (유)원테크 압출 금형용 자석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물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92B1 (ko) * 2006-03-15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220A (ko) 199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0506B2 (ja) 射出成形金型装置
US4765585A (en) Slide retainer for injection molds
KR950008554B1 (ko) 사출성형금형장치
JP4589504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0864249B1 (ko) 금형조립체의 런너분리장치 및 방법
US5962042A (en) Injection mold
JPH0459322A (ja) 射出成形金型装置
JP2546534Y2 (ja) カセット式射出成形金型装置
CN110385828B (zh) 模具装置
KR20150090608A (ko) 런너의 자동 분리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JP2671356B2 (ja) 成形装置
KR200227970Y1 (ko)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JPH0243700Y2 (ko)
JPH07266380A (ja) 射出成形金型装置
GB2263249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s having removably mounted cavities
KR100530028B1 (ko)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CN111469354A (zh) 一种可快速更换模仁和顶出机构的注塑模具
JP2670363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型のゲート切断装置
JPH0528646B2 (ko)
CN218399232U (zh) 一种注塑模具
CN215396540U (zh) 按盖注塑模具
CN218462871U (zh) 外壳体注塑模具
CN221233039U (zh) 一种中心顶针快换结构
KR920005552B1 (ko) 플라스틱사출성형용 금형모듀울조립체
JPH034973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