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337B1 - 용액 바이패스 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 Google Patents

용액 바이패스 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37B1
KR950008337B1 KR1019930019128A KR930019128A KR950008337B1 KR 950008337 B1 KR950008337 B1 KR 950008337B1 KR 1019930019128 A KR1019930019128 A KR 1019930019128A KR 930019128 A KR930019128 A KR 930019128A KR 950008337 B1 KR950008337 B1 KR 95000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absorber
temperature
regenerato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164A (ko
Inventor
김현기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최훈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337B1/ko
Publication of KR95000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액 바이패스 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제1도는 기존의 흡수식 냉동기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흡수식 냉동기의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생기 2 : 응축기
3 : 증발기 4 : 흡수기
5 : 용액열교환기 6 : 용액펌프
7 : 냉매펌프 8, 9, 10 : 솔레노이드밸브
11 : 온도검출기 24 : 바이패스 배관
본 발명은 물론 냉매로, 리튬브로마이드(LiBr)수용액을 흡수제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재생기에서 농축된 용액이, 용액열교환기를 지나서 흡수기로 유입되는 배관과 흡수기 출구의 용액펌프 흡입측의 배관을 바이패스시키는 배관으로 직접 연결시키고, 각각의 배관에 솔레노이드 밸브와 온도 검출기를 설치함으로써 온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함에 의해 초기기동시 냉동기가 정상상태 즉, 냉수 출구 온도가 7℃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재생기로의 공급열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냉동기의 성능(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흡수식 냉동기의 새로운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흡수식 냉동기의 사이클은 제1도와 같은 방식으로 그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재생기(1)에서 증기등의 열원(30)에 의해 가열된 용액은 냉매증기를 발생시키고 농축되어 배관(20)을 통해 용액열교환기(5)를 거쳐 흡수기(4)로 유입된다. 한편, 재생기(1)에서 발생된 냉매증기는 일리미네이터(Eliminator)를 통하여 응축기(2)에 유입되어 냉각수(33)에 의해 응축된 후 배관(28)을 거쳐 증발기(3)로 들어간다. 증발기(3)로 유입된 냉매액은 냉매펌프(7)에 의해 배관(26)을 거쳐 트레이(tray)에 의해 냉수튜브(31)상에 산포되어 증발하며 그 냉매액은 증발감열을 냉수튜브(31)로부터 빼앗아 냉수튜브(31) 내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시켜 냉방용 냉수를 제조한다.
흡수기(4)로 유입된 농축액은 흡수액 트레이에 의해 산포되어 냉각수 튜브(32)에 유하하면서 증발기(3)에서 발생한 냉매증기를 흡수하며, 냉매증기의 흡수시 발생한 열을 냉각수 튜브(32)에 전달시키고 희용액이 되어 흡수기 하부의 용액 받이에 모이게 된다. 흡수기 하부의 용액받이에 모인 희용액은 용액펌프(6)에 의해 배관(23)을 통해 용액열교환기(5)를 거쳐 재생기(1)로 보내져 농축되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흡수식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흡수식 냉동기의 구조 및 운전 방법에서는 냉동기의 기동초기에 완전히 농축되지 못한 용액이 흡수기(4)에 유입되어 흡수기(4)내의 냉깍수튜브(32)에 산포되어 유하하면서 냉각되므로 흡수기(4)출구의 용액 온도가 저하하여 재생기(1)에서 필요한 공급열량이 증가하게 되며, 또 용액은 냉매증기를 흡수하게 되므로 용액의 농도가 저하하게 되어 필요한 정도(약 65%)까지 농축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단점들을 보완, 해결할 수 있는 흡수식 냉동기를 구성함으로써 재생기(1)의 공급열량의 절감 즉 흡수식 냉동기의 성능 향상 및 정상상태 도달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요약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농용액의 용액 열교환기(5) 출구 배관(22)과 희용액의 용액펌프 흡입측인 흡수기(4) 출구 배관(23)을 바이패스 배관(24)에 의해 직접 연결하고, 각각 배관(22)과 배관(24)에 솔레노이드 밸브(8, 9, 10)를 설치하고, 배관(24)에는 온도검출기(11)을 설치하여 각 솔레노이드 밸브(8, 9, 10)와 온도 검출기(11)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기동초기에 온도검출기(11)에서 검출된 온도에 의해 성능 향상 및 정상상태 도달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동기의 운전을 위해 먼저 냉동기에 열원(30)을 공급하고(도시하지 않음), 냉수펌프와, 냉각수 펌프와 용액펌프(6)를 가동시키면, 재생기(1)에서 가열된 용액은 배관(20)을 통해 용액열교환기(5)를 거쳐 배관(22)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기동초기에 용액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면 온도검출기(11)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0)를 닫고, 다른 솔레노이드 밸브(8, 9)를 열어줌으로써 용액이 흡수기(4)를 통하지 않고 용액 펌프(6)의 흡입측을 거쳐 순환하므로 흡수기(4)의 온도는 상승하지 않으면, 냉매증기를 흡수하지 않으므로 재생기(1)의 출구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또 흡수기(4)내의 냉각수 튜브(32)에 산포되어 유하하지 않으므로 고온인 상태로 순환되어 재생기(1)로 유입된다.
따라서 재생기(1)에서 가열, 농축에 소모되는 열량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용액의 농축에 소요되는 시간도 기존의 흡수식 냉동기에 비해 훨씬 빨라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싸이클이 반복되어 용액의 농도 즉, 온도가 일정치 이상 상승하게 되면 온도검출기(11)가 보내는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8, 9)를 닫고, 다른 솔레노이드 밸브(10)을 열어줌으로써 용액은 흡수기(4)내로 유입되어 원하는 흡수식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기의 기동시 용액의 농축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재생기로의 가열량의 절감 및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

  1. 물을 냉매로 하고 리튬브로마이드(LiBr)수용액을 흡수제를 사용하는 냉동기에 있어서, 초기 기동시 재생기(1)의 용액의 출구 온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8, 9, 10)과 온도검출기(11)을 설치한 바이패스 배관(24)를 농용액의 용액열교환기(5)의 출구 배관(22)과 흡수기 용액 출구 배관(23)을 직접 연결하여 기동 초기에 용액이 흡수기(4)로의 유입을 막아주어 용액의 농도 및 온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용액 바이패스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KR1019930019128A 1993-09-21 1993-09-21 용액 바이패스 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KR95000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128A KR950008337B1 (ko) 1993-09-21 1993-09-21 용액 바이패스 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128A KR950008337B1 (ko) 1993-09-21 1993-09-21 용액 바이패스 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164A KR950009164A (ko) 1995-04-21
KR950008337B1 true KR950008337B1 (ko) 1995-07-27

Family

ID=1936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128A KR950008337B1 (ko) 1993-09-21 1993-09-21 용액 바이패스 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3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164A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1550B2 (ja) 二重効用吸収冷温水機
KR950008337B1 (ko) 용액 바이패스 배관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
JPH11108486A (ja) 二重効用吸収冷温水機
JP2985513B2 (ja) 吸収冷暖房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H074769A (ja)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
KR100472685B1 (ko) 희석 및 부분 부하 작동을 위한 냉매 처리를 구비한 흡수식 냉각 시스템
JP3280169B2 (ja) 二重効用吸収冷凍機及び冷温水機
JP3444203B2 (ja) 吸収冷凍機
KR20180085363A (ko)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의 저부하 제어시스템
KR910008683Y1 (ko) 흡수식 열펌프의 자동식 결정 방지장치
JPS5896963A (ja) 吸収冷凍機の制御装置
JP3224766B2 (ja) 二重効用吸収冷温水機
KR200142462Y1 (ko) 흡수식 냉방기
KR900006565B1 (ko) 흡수 냉동기
JP2883372B2 (ja) 吸収冷温水機
JP3280085B2 (ja) 吸収冷凍機における運転制御方法
JPH0297855A (ja) 吸収式冷凍機
KR20000006027A (ko) 흡수식냉동기
JP2696576B2 (ja) 吸収冷凍装置
KR100214171B1 (ko) 흡수식 냉동기
KR100330542B1 (ko) 흡수식 냉동기
JPS58124177A (ja) 水−リチウム塩吸収式冷凍装置
JPH07269978A (ja) 二重効用吸収冷凍機
JPS61153352A (ja) 吸収式冷温水機の冷媒量調整装置
JPH10122692A (ja) 二重効用吸収冷温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