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078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078B1
KR950008078B1 KR1019920021410A KR920021410A KR950008078B1 KR 950008078 B1 KR950008078 B1 KR 950008078B1 KR 1019920021410 A KR1019920021410 A KR 1019920021410A KR 920021410 A KR920021410 A KR 920021410A KR 950008078 B1 KR950008078 B1 KR 95000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exhaust port
dust
control circu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278A (ko
Inventor
소쯔오 미요시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따오까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따오까 다까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Pretreatment of the gases prior to electrostatic precipitation
    • B03C3/011Prefiltering; Flow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9Post-treatment of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정면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상부 케이스를 벗긴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축류팬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축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의 부분 확대도.
제5도는 제1도에서의 부분 확대도.
제6도는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정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케이스 1a : 하부 케이스
1b : 상부 케이스 2 : 흡기구
3 : 배기구 4 : 집진부
6 : 축류팬 6a : 구동모터
6b : 팬 8 : 고압전원
9 : 제어회로 13 : 펀칭 메탈
14 : 탄성판재 25 : 탄성 고정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내 등에 설치되는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제6도는 종래의 이 종류의 청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단면도이다(일본국 공개특허 평 3-266716호 참조).
도면과 같이 본체 케이스(51)의 좌측면에 흡기구(52), 우측면에 배기구(5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본체 케이스(51)의 내부에는 흡기구(52)측으로부터 집진부(54), 제어회로(55), 송풍기(56)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본체 케이스(51)내의 여유 공간에 고압전원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51)의 상부 내면에는 도전도장이 실시되고 있으며 그 도전도장 부분은 도시하지 않는 리이드선으로 제어회로(55)의 접지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집진부(54)는 복수의 방전극판(57)과 복수의 접지극판(58)을 상하에 교대로 병렬함과 더불어 그 각극판(57,58)의 흡기구(52)측에 프리필터(59), 반대측에 V자형의 집진탈취 필터(60)를 부착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 집진탈취 필터(60)는 접지극판(5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집진용 정전대전 필터와 활성탄을 조립한 탈취용 활성탄 필터를 맞닿게 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전전극판(57)과 접지극판 (58)은 도시하지 않은 리이드선으로 고압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55)는 기판(61)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판(61)은 상기 집진탈취 필터(59)의 아래의 본체 케이스(51)의 저면상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제어회로 (55)의 상부는 시일드판(62)으로 차폐되며 그 시일드판(62)은 제어회로(55)의 접지부에 접속됨과 더불어 집진부(54)의 집진탈취 필터(60)에 접촉해서 접지극판(5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56)는 구동모터(63)의 축에 팬(64)을 직결하고 그 팬(64)의 오주에 와류실(65)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팬(64)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51)의 바닥면에 나사(66)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송풍기(66)의 와류실(65)은 상기 배기구(53)에 연결되어 있다. 이같이 팬(64)을 수평으로한 상태에서 송풍기(56)를 배치하므로서 공기 청정기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 송풍기(56)를 제어회로(55)로 제어하며 작동시키고 흡기구( 52)로부터 배기구(53)로 흐르는 기류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집진부(54)의 각 방전극판(57)과 접지극판(58)과의 사이에 고압 전원으로부터 고전압을 인가하고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흡기구(52)로부터 집진부(54)에 유입하는 공기중의 비교적 큰 먼지는 프리필터(59)로 제거되며 다시 프리필터(59)를 빠져나간 작은 먼지는 간극판(57,58)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코로나 방전으로 양극화되어서 집진탈취 필터(60)에 흡착된다.
이같이 해서 집진부(54)에서 먼지가 제거되어 청정화된 공기는 집진탈취 필터(60)을 빠져나갈 때 탈취되며 송풍기(56)의 와류실(65)로, 그 상부와 하부로부터 흡입되어서 배기구(53)로부터 외부로 송출된다. 또, 상기 동작중에 집진부(54)의 방전 부분이나 송풍기(56)의 구동모터(63)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본체 케이스(51)에 실시된 도전도장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구성에선 공기 청정기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지만, 송풍기(56)의 팬(64)의 외주에 설치하는 와류실(65)의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충분한 공기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안쪽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해야 된다. 그 결과, 자동차의 실내 등의 좁은 장소에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 가능한 위치가 매우 적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자 시일드의 수단으로서 고가의 도전도장을 실시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는 동시에 그 도전도장 부분을 리이드선으로 제어회로(56)의 접지부분에 접속하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의 조립작업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송풍기(56)의 고정에 나사(66)을 쓰고 있다는 것도 비용과 조립작업 시간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뤄진 것이며 높이, 안쪽 깊이의 양 방향의 칫수의 증가를 억제하고 소형화한 공기 청정기 및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조립작업 시간도 단축시킨 공기 청정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상면에 흡기구, 측면에 배기구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와 배기구를 향해서 열리는 흡기구로부터 유입하는 공기에 대해서 코로나 방전으로 집진을 행하는 집진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그 집진부와 배기구간에는 구동모터의 축에 팬을 바로 연결하도록 하고 그 구동모터의 축과 평행으로 상기 배기구로 향해서 기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을 배치하고 또한 상기 집진부의 축류팬의 반대측에는 집진부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 전원과 축류팬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배치했다.
또, 상기 본체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조립하고 구성함과 더불어 그 상부 케이스의 전체 또는 상부를 전자 시일드부재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조립했을 때, 상기 전자 시일드부재와 상기 제어회로의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두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저면상에 세워 설치한 한쌍의 유지판과 그 각 유지판의 외면상부에 양단부가 걸어맞춤하는 자상의 탄성고정부재에 의해서 상기 축류팬의 보호틀의 외주를 포위한 상태에 그 축류팬을 하부 케이스의 저면상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축류팬을 고정했을 때 그 축류팬의 보호틀의 상면에 압접하고 또한, 그 보호틀에 압접하므로서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각 유지판의 외면에 밀어붙이게 가세하는 한쌍의 압점 돌편을 각각의 선단을 대향시킨 상태로 형성했다.
상기 공기 청정기에선 상면에 흡기구, 측면에 배기구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팬의 외주에 와류실을 둘 필요가 없는 축류팬과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집진부 및 고압전원과 제어회로를 일렬로 병렬 배치한 것에 의해서 본체 케이스의 높이, 안쪽 길이의 양방향의 칫수에 대해서 공기유로가 점유하는 비율을 매우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충분한 공기의 유량을 확보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의 높이, 안쪽 길이의 양방향의 칫수를 축소하고 공기 청정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부 케이스의 전체 또는 상부를 전자 시일드부재로 구성한 것에 의해서 고가의 도전도장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서 비용이 내려간다. 그와 더불어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조립했을 때, 그 전자 시일드 부재를 제어회로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토록 한 것에 의해서 배선이 생략되어서 공기 청정기의 조립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한쌍의 유지판에 탄성고정부재를 걸어맞춤시키고 축류팬을 고정하듯이 한것에 의해서 고정용 나사가 생략되어 비용이 내려감과 더불어 조립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게다가 한쌍의 유지판과 탄성고정부재로 축류팬을 고정했을 때는 탄성고정부재의 한쌍의 압접돌편이 탄성고정부재의 양단부를 유지판의 외면에 밀어붙듯이 가세하기 때문에 한쌍의 유지판과 탄성고정부재와의 걸어맞춤이 불시에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으로 축류팬의 고정이 가일층 확실하게 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정면 단면도, 제2도는 그 공기 청정기의 상부 케이스를 벗긴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이 공기 청정기에선 본체 케이스(1)의 상면에 흡기구(2), 좌측면에 배기구(3)가 설치되어 있다. 그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는 중앙에 집진부(4)가 배치되어 있다. 또, 그 집진부(4)와 배기구(3) 사이에는 벌집모양의 활성탄(5a)을 사용한 탈취 필터(5)와 송풍기로서의 축류팬(6)과 방향제(芳香制)(7a)를 수용한 하우징(7b)에 방향 제어용 전자밸브(7c)로 이루어지는 방향부(7)가 일렬로 병치된 상태로 배치되고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4)의 상기 축류팬(6)의 반대측에는 집진부(4)로의 고전압 공급용의 고압전원(8)과 기판(9a)상에 형성된 축류팬 제어용의 제어회로(9)와 전원 공급용 연결기(1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기 청정기는 본체 케이스(1)의 하면에 부착된 경첩나사(11)를 써서 자동차의 차내 등에 설치된 부착판(1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는 하부 케이스(1a)에 상부 케이스(1b)를 조립해서 이루는 것이며 그 상부 케이스(1b)의 하부는 하부 케이스(1a)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며, 상부 케이스(1b)의 상부는 도전체인 펀칭메탈(13)로 구성되어 있다. 펀칭메탈(13)은 전자 시일드부재로서 설치된 것이며 상부 케이스(1b)를 하부 케이스(1a)에 조립했을 때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을 탄성판재(14)를 거쳐서 상기 제어회로(9)의 점퍼(Jumper)선으로 이루는 접지부(9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 펀칭메탈(13)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작은구멍이 흡기구(2)로서 이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기 케이스(1b)의 상부의 펀칭메탈(13)과 하부의 절연부재는 펀칭메탈(13)의 하단을 절연재 부분의 상단에 설치된 부착 구멍(15)에 꽂아 부착하므로서 결합되어 있다. 한쪽의 상부 케이스(1b)의 절연재 부분에는 좌단에 상기 배기구(3)가 설치됨과 더불어 우단의 내면에 하부 케이스(1a)에 설치된 걸어멈춤 구멍(16)에 걸려서 하부 케이스(1a)와 상부 케이스(1b)를 조립 상태로 고정시키는 착탈 레버(17)가 나사(18)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b)의 전체를 펀칭메탈(13)로 구성해도 된다.
상기 집진부(4)는 상부에 방전선(19a)이 팽팽하게 설치된 복수의 방전극판 (19)과 복수의 접지극판(20)을 앞뒤로 교대로 병렬한 상태에서 극판 유지케이스(21)내에 유지해서 이루는 것이며 그 극판 유지 케이스(21)의 흡기구(2)를 향한 상면과 배기구(3)을 향한 측면이 열려있다. 각 극판(19,20)은 하단에 끼워 부착된 도전성을 갖는 2개의 탄성고정부재(22)에 의해서 방전극판(19)끼리와 접지극판(20)끼리가 따로따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며 극판 유지 케이스(21)에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집진부(4)의 배기구(3)의 반대측, 즉 상기 제어회로(9)측의 하부에는 집진부(4)를 절단한 상태로 전원수납 공간(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원수납 공간(23)에 상기 고압전원(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수납 공간(23)에 노출시킨 1개의 방전극판(19)과 1개의 접지극판(20)에 고압전원(8)의 양극(8A)과 음극(8B)을 각각 접소기키며 즉, 리이드선을 쓰지않고 접속하므로서 각 방전극판(19)과 접지극판(20)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같이 집진부(4)의 하부에 전원수납 공간(23)을 형성해도 집진부(4)의 상부로부타 유입한 공기는 전원수납 공간(23)을 피하도록 옆쪽으로 흐르므로 집진부(4)의 집진 성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집진부(4)와 배기구(3)와의 사이에 배치된 축류팬(6)은 구동모터(6a)의 축에 팬(6b)을 바로 연결함과 동시에 그 팬(6b)의 외주에 직사각형상의 보호틀(6c)을 설치하게 하고 그 구동모터(6a)의 축과 평행으로 배기구(3)로 향해서 기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팬(6b)의 외주에 와류실을 둘 필요는 없다.
그리고, 이 축류팬(6)은 제3도의 측단면도와 제4도의 제3도에서의 부분확대도에 도시하듯이 하부 케이스(1a)의 저면상에 세워 설치한 한쌍의 유지판(24)과 그 각 유지판(24)의 외면 상부에 형성된 걸어맞춤요부(24a)에 양단부의 걸어맞춤돌기(25a)가 걸리는 ]자상의 탄성고정부재(25)에 의해 보호틀(6c)의 외주가 포위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1a)상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탄성고정부재(25)의 상부에는 축류팬(6)을 고정했을 때, 그 축류팬 (6)의 보호틀(6c)의 상면에 압접하는 한쌍의 압접돌편(25b)이 각각의 선단을 대향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선 이 한쌍의 압접돌편(25b)은 제2도와 같이 2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압접돌편(25)이 보호틀(6c)에 압접해서 위쪽(제4도중의 화살표 A방향)으로 변위하면 탄성고정부재(25)의 양단부는 압접돌편(25b)의 기부를 중심으로 해서 내측(제4도중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는 모멘트를 받는다.
즉, 상기 압접돌편(25b)은 보호틀(6c)에 압접하므로서 탄성고정부재(25)의 양단부를 상기 유지판(24)의 외면에 밀어붙이듯이 가세한다. 이것으로 각 유지판(24)의 걸어맞춤 요부(24a)와 탄성고정부재(25)의 걸어맞춤 돌기(25a)와의 걸어맞춤이 불시에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어 이 축류팬(6)의 고정이 가일층 확실한 것이 된다.
한편, 상기 집진부(4)의 상기 축류팬(6)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어회로(9)의 기판(9a)은 하부 케이스(1a)상에 형성된 보호커버(26)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세운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이 제어회로(9)의 보호커버(26)의 한단 낮아진 상면에 도전성을 갖는 탄성판재(14)가 고정나사(27) 고정하므로서 하부 케이스(1a)상에 수평으로 지지된 것이다. 이 탄성판재(14)의 일단(14a)은 보호커버(26)에 열린구멍(26a)을 통해 보호커버(26)내에 삽입되며 상기 세운 상태의 기판(9a)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어회로(9)의 접지부(9b)에 접촉하고 있다. 또, 탄성판재(14)의 타단(14b)은 상기 상부 케이스(1b)의 부착구멍(15)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펀칭메탈(13)의 하단에 접촉하고 있다. 즉, 상기 탄성판재(14)는 제어회로(9)의 기판(9a)을 보호커버(26)내에 조립했을 때, 그 제어회로(9)의 접지부(9b)가 이 탄성부재(14)의 일단(14)에 압접되고 또 상부 케이스 (1b)를 하부 케이스(1a)에 조립했을 때 그 상부 케이스(1b)의 펀칭메탈(13)의 하단이 이 탄성판재(14)의 타단(14b)에 압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부재(14)를 거쳐서 전자 시일드부재로서의 펀칭메탈(13)은 접지되게 된다.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전원공급용 연결기(10)을 거치고 외부로부터 고압전원(8)에 전력을 공급하고 고전압(약 6KV)을 발생시키고 그 고전압을 집진부(4)의 각 방전극판(19)과 접진극판(20)과의 사이에 인가한다. 그러면 각 방전극판(19)의 방전선(19a)과 접지극판(20)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축류팬(6)은 제어회로(9)로 제어해서 작동시키면 공기가 흡기구(2)로부터 본체 케이스(1)내에 흡입된다. 그때, 외부의 공기는 펀칭메탈(13)을 지나 빠지므로서 그 공기중에 포함되는 비교적 큰 먼지가 제거된다.
본체 케이스(1)내에 흡입된 공기는 계속해서 집진부(4)로 그 상부로부터 유입된다. 그러면 그 유입된 공기중에 포함되는 펀칭메탈(13)을 빠져나간 작은 먼지는 집진부(4)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코로나 방전으로 양극화되어 접지극판(20)에 흡착된다. 그 결과 집진부(4)에서 먼지가 제거되어서 청정화된 공기는 집진부(4)의 좌측으로부터 유출되어 축류팬(6) 쪽으로 인도되고 그 축류팬(6)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탈취 필터(5)를 빠져나갈 때 벌집모양의 활성탄(5a)에서 탈취된다. 또한, 그 청정화되고 탈취된 공기는 방향부(7)에서 소망에 따라 방향이 붙여진 후, 배기구(3) 및 펀칭메탈(13)의 일부분으로부터 본체 케이스(1)의 밖으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동작중에 집진부(4)의 방전부분이나 축류팬(6)의 구동모터(6a)에서 발생하는 전자 소음은 펀칭메탈(13)에 의해서 차폐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선 팬(6b)의 외주에 와류실은 설치한 필요가 없는 축류팬(6)과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집진부(4) 및 고압전원(8)과 제어회로(9)를 상술한 바와 같이 일렬로 병렬하여 배치했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1)의 높이, 안쪽길이의 양방향의 칫수에 대해서 공기 유로가 차지하는 비율을 매우 크게, 예컨대 단면적으로 70 내지 90%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충분한 공기의 유량을 확보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1)의 높이, 안쪽길이의 양방향의 칫수를 축소하고 공기 청정지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집진부(4)의 하부에 전원수납 공간(23)을 형성하고 그곳에 고압전원(8)을 배치했으므로 본체 케이스(1)내의 공간이 유효하게 이용되고 가일층 소형화되어 지게 된다.
또, 집진부(4)의 축류팬(6)의 반대측에 제어회로(9)를 배치했으므로 제어회로(9)를 기류에서 떼어내어 먼지로부터 지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16)을 전자 시일드부재인 펀칭메탈(13)로 구성했으므로 고가의 도전도장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서 비용이 내려간다. 그와 동시에 상부 케이스 (16)를 하부 케이스(1a)에 조립했을 때, 그 펀칭메탈(13)을 탄성판재(14)을 거쳐서 제어회로(9)의 접지부(9b)에 전기적으로 접속토록 했으므로 배선이 생략되어서 공기 청정기의 조립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그 밖에, 송풍기로서의 축류팬(6)을 한쌍의 유지판(24)과 상부에 압접돌편 (25b)을 형성한 탄성고정부재(25)를 걸어맞춤시키므로서 나사를 쓰지않고 고정토록 했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비용이 내려감과 더불어 조립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선 높이, 안쪽 길이의 양방향의 치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소형화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자동차의 실내 등 좁은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그 설치 위치를 보다 자유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선 고가의 도전도장을 불필요로하며, 게다가 고정나사 배선을 줄인 것에 의해서 비용을 내림과 더불어 조립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상면에 흡기구(2), 측면에 배기구(3)을 구비한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2)와 배기구(3)를 향해서 열리고, 상기 흡기구(2)로부터 유입하는 공기에 대해서 코로나 방전으로 집진을 행하는 집진부(4)를 배치함과 더불어 그 집진부(4)와 배기구(3)와의 구동모터(6a)의 축에 팬(6b)을 바로 연결하도록 하고 그 구동모터(6a)의 축과 평행으로 상기 배기구(3)로 향해서 기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6)을 배치하고, 또한, 상기 집진부(4)의 축류팬(6)의 반대측에는 집진부(4)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전원(8)과 상기 축류팬(6)을 제어하는 제어회로(9)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상면에 흡기구(2), 측면에 배기구(3)을 구비한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2)와 배기구(3)를 향해서 열리고 상기 흡기구(2)로부터 유입하는 공기에 대해서 코로나 방전에 의한 집진을 행하는 집진부(4)를 배치함과 더불어, 그 집진부(4)와 배기구(3)와의 구동모터(6a)의 축에 팬(6b)을 연결하도록 하고, 그 구동모터(6a)의 축과 평행으로 상기 배기구(3)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6)을 배치하고, 또한, 상기 집진부(4)의 축류팬(6)의 반대측에는 집진부(4)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전원(8)과 축류팬(6)을 제어하는 제어회로(9)를 배치하여 구성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4)의 제어장치측의 하부에 전원수납 공간(23)을 형성하고, 그 전원수납 공간(23)에 고압전원(8)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하부 케이스(1a)에 상부 케이스(1b)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흡기구(2)와 배기구(3)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코로나 방전으로 집진을 행하는 집진부(4)와, 그 집진부(4)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전원(8)과, 상기 집진부(4)를 지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6)과, 그 축류팬(6)을 제어하는 제어회로(9)를 배치하여 구성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b)의 전체 또는 상부를 전자 시일드부재(13)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부 케이스(1b)를 하부 케이스(1a)에 조립햇을 때 전자 시일드부재(13)와 제어회로(9)의 접지부(9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시일드부재(13)와 제어회로(9)의 접지부(9b)와의 전기적 접속 수단으로서 도전성을 갖는 탄성판재(14)를 그 중간부에서 하부 케이스(1a)상에 지지하고, 제어회로(9)의 조립시에 그 제어회로(9)의 접지부(9b)를 탄성부재(14)의 일단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상부 케이스(1b)의 조립시에 전자 시일드부재(13)를 탄성부재(14)의 타단에 압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기.
  5. 하부 케이스(1a)에 상부 케이스(1b)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흡기구(2)와 배기구(3)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코로나 방전에 의한 집진을 행하는 집진부(4)와, 구동모터(6a)의 축에 팬(6b)를 바로 연결함과 동시에 그 팬(6b)의 외주에 직사각형의 보호틀(6c)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집진부(4)를 지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축류팬(6)을 배치하여 구성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a)의 저면상에 세워 설치한 한쌍의 유지판(24)의 외면상부에 양단부가 겉어맞춤하는 ]자 형상의 탄성고성부재(25)에 의해 축류팬(6)의 보호틀(6c)의 외부를 포위한 상태에 그 축류팬(6)을 하부 케이스(1a)의 저면상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고정부재(25)의 상부에는 상기 축류팬(6)을 고정했을 때 그 축류팬(6)의 보호틀(6c)의 상면에 압접하고 또한 그 보호틀(6c)에 압접하므로서 탄성고정부재(25)의 양단부를 유지판(24)의 외면에 밀어붙이듯이 가세하는 한쌍의 압접돌편(25b)을 각각의 선단을 대향시킨 상태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19920021410A 1992-03-30 1992-11-14 공기 청정기 KR950008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4738 1992-03-30
JP7473892A JPH05277400A (ja) 1992-03-30 1992-03-30 空気清浄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278A KR930019278A (ko) 1993-10-18
KR950008078B1 true KR950008078B1 (ko) 1995-07-25

Family

ID=1355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410A KR950008078B1 (ko) 1992-03-30 1992-11-14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5277400A (ko)
KR (1) KR950008078B1 (ko)
GB (1) GB2265557B (ko)
HK (1) HK1152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1732C2 (nl) * 1995-11-23 1997-05-27 Stichting Tech Wetenschapp Inrichting voor het behandelen van gassen of vloeistoffen met gepulste corona-ontladingen.
JP3129263B2 (ja) 1997-11-26 2001-01-29 船井電機株式会社 電子式集塵器付き空気調和機
JP2002228220A (ja) * 2001-01-26 2002-08-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クリーンルーム
US7267711B2 (en) * 2003-09-23 2007-09-11 Msp Corpora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diesel blow-by
US7713330B2 (en) * 2004-12-22 2010-05-11 Oreck Holdings, Llc Tower ionizer air cleaner
CN103738144B (zh) * 2013-12-19 2017-01-11 惠州市车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空气净化器
CN104442290A (zh) * 2014-11-27 2015-03-25 文康 车内气体环境调节装置
CN108380011A (zh) * 2018-03-09 2018-08-1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装置及汽车
DE102020121872A1 (de) 2020-08-20 2022-02-24 Dornier New Technologies GmbH Fahrzeuginnenraum-Luftreinigu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9684A5 (de) * 1977-05-12 1982-05-14 Manfred R Burger Verfahren und elektrostatische filter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gasen.
JPS60122062A (ja) * 1983-12-05 1985-06-29 Nippon Soken Inc 空気清浄器
US4662903A (en) * 1986-06-02 1987-05-05 Denki Kogyo Company Limited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IT1199766B (it) * 1986-12-15 1988-12-30 Mantini Franco Depuratore d'aria elettrostatico particolarmente per cappe aspiranti da cucina
JPH02172545A (ja) * 1988-12-23 1990-07-04 Hiroaki Kanazawa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296A (en) 1996-07-12
GB2265557B (en) 1995-10-25
KR930019278A (ko) 1993-10-18
GB2265557A (en) 1993-10-06
JPH05277400A (ja) 1993-10-26
GB9306181D0 (en) 199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7931B1 (en) Ion generating element,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ical apparatus
KR950008078B1 (ko) 공기 청정기
US6563710B1 (en) Electronic device, panel device, and supporting rail
EP0416629B1 (en) A room air cleaner for use in automobiles
JP3953289B2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3726220B2 (ja) 空気清浄機
JP4642123B2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CN212511665U (zh) 空气清洁装置
EP3854233A1 (en) Atomization assembly and electronic cigarette comprising the same
EP0867906A1 (en) Microwave oven
KR200270705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JPH0417241Y2 (ko)
JP4624237B2 (ja) イオン発生器
JPH07299384A (ja) 家庭用空気清浄装置
JPH0234839Y2 (ko)
JPH01299648A (ja) 空気清浄器
KR200152089Y1 (ko) 카 오디오용 착탈식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방지구조
JPH05277399A (ja) 空気清浄器
JP2004195356A (ja) 空気清浄器
KR100617627B1 (ko) 진공 청소기의 피씨비 설치 구조
JPH03284364A (ja) 空気清浄器の放電器
JPH03114554A (ja) 車載用空気清浄器
JPH082424B2 (ja) 電気集塵式空気清浄機
KR930006358Y1 (ko) 공기 청정기
JPH02130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