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071B1 - 스피닝 리일 - Google Patents

스피닝 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071B1
KR950008071B1 KR1019910012791A KR910012791A KR950008071B1 KR 950008071 B1 KR950008071 B1 KR 950008071B1 KR 1019910012791 A KR1019910012791 A KR 1019910012791A KR 910012791 A KR910012791 A KR 910012791A KR 950008071 B1 KR950008071 B1 KR 95000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inding
rotor
posture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024A (ko
Inventor
유우조오 가와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시마노 쇼오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시마노 쇼오조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92000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01K89/01081Guiding members on rotor axially rearward of spool
    • A01K89/01082Guiding members shiftable on rotor
    • A01K89/01083Guiding members shiftable on rotor to wind position by rotor drive
    • A01K89/01084Guiding members shifted to unwind position by discrete manual op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피닝 리일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스피닝 리일의 실시예 등을 표시하고,
제1도는 베일아암의 개방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잘린 평면도.
제2도는 복귀력 조절기구의 분해도.
제3도는 복귀력 조절기구의 단면도.
제4도는 복귀기구의 단면도.
제5도는 스피닝 리일의 전체측면도.
제6도는 리일의 종단면도.
제7도는 부시의 단면도.
제8도는 지지축의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9도, 제10도는 각각 감기 자세로의 복원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복귀기구에 기인하는 복원 조작력을 조절하는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리일본체 3 : 베일아암
4 : 로우터 4A : 아암부
A : 감기자세 B : 개방자세
C : 복귀력 조절기구 R : 복귀기구
T : 토글기구
이 발명은 스피닝 리일에 관하며, 상세히는 리일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로우터의 한쌍의 아암부 각각의 사이에 걸쳐서 개방 자세와 감기자세로 전환요동이 자유로운 베일아암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아암부의 내부에, 이 베일아암을 개방자세와 감기자세 중의 어느 것으로 유지하는 토글기구를 구비하고, 로우터의 감기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개방 자세의 베일아암을 감기자세로 조작하는 복귀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스피닝 리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피닝 리일로서는 일본국 실개소 62-80527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 존재한다. 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토글기구가, 베일아암의 요동축심과 평행하는 축심 둘레에서 요동이 자유로운 요동부재에 대하여 압축스프링에 의하여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돌출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복귀기구가, 로우터의 감기 방향으로의 회동시에는 요동부재에 맞닿아서 이 요동부재를 베일아암이 감기자세로 향하는 쪽으로 요동시키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과 같이 로우터의 회전에 따라 자동적으로 베일아암을 감기 자세로 전환하는 수단을 구비한 스피닝 리일을 던질낚시에 사용한 경우를 생각한다.
즉, 낚시구의 투출을 행하는 경우에, 예를들면 낚싯대의 휘두르기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자세로 핸들의 길이 방향이 향하게 되도록 핸들의 자세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낚싯대의 휘두르기 조작에 동반하여 핸들에 감기 방향으로 향하는 회동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 핸들의 회동력이 강한 경우에 핸들의 회동력에 의하여 로우터를 감기 방향으로 회동시켜 베일아암을 감기자세로 전환해 버리는 것도 많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더욱 이와 같이 낚시구의 토출시에 베일아암이 감기자세로 전환되면, 스푸울로부터의 낚싯줄의 송출이 불가능하게 되어 낚싯줄에 절단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핸들의 회동력에 의하여 베일아암이 감기자세로 전환되지 않도록 토글기구의 스프링에 강력한 것을 사용하는 등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베일아암은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는, 빈번하게 개폐조작되기 때문에, 이 조작의 하중이 커지면, 조작이 귀찮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낚싯질하는 사람이 핸들을 회동조작하여 베일아암의 감기자세로의 전혼을 행할 때의 조작저항도 커지게 되므로 던질낚시를 하지 않는 낚시질하는 사람에 대하여는 조작이 부담되는 것으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대를 휘둘렀을 때에는 베일아암이 감기자세로 전환되기 어렵고, 게다가 낚시형태에 대응하여 핸들의 회동조작도 편히 행할 수 있는 스피닝 리일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스피닝 리일의 특징구성은, 서두에 기술한 바와 같이 토글기구와 복귀기구를 구비한 스피닝 리일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의 감기방향으로의 회동조작시에 개방자세의 베일아암을 감기자세로 조작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조작반력의 값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복귀력 조절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그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특징을 예를들면 제1도∼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면, 복귀력 조절기구(C)의 나사부재(19)를 회동조작하였을 경우에는, 토글기구(T)의 요동부재 (13)의 지지축(12)의 위치가 변화하며, 이 토글기구(T)의 테드 포인트(DP)를 초과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조작반력이 변화한다. 결국 필요에 따라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로 전활할 때의 조작반력의 조절을 낚시질하는 사람이 행하게 된다.
더욱 복귀조절기구(C)는 제8도∼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어, 어느 구성에 있어서도 낚시질하는 사람이 소망하는 조작반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던질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감기자세로의 베일아암의 전환을 억제하도록 조작반력을 설정함으로써, 낚시줄에 절단이 생기지 않는 상태에서 낚시를 행할 수 있다.
또, 낚시질하는 사람의 요청에 따라 조작반력을 설정함으로써, 낚시질하는 사람에게 귀찮음을 느끼게 하는 일 없이 핸들조작을 편히 행할 수 있는 스피닝 리일이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피닝 리일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스피닝 리일은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을 가진 리일본체(2)의 앞부분에 베일아암(3)을 갖는 로우터(4) 및 스푸울(5) 각각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용시에는 제1조작구(8)의 조작에 의해 기준이 되는 제동력을 설정해 두고, 고기가 걸렸을 경우에는 제2조작구(11)만의 조작에 의해 제동력을 변경을 행하도록 취급된다.
상기 로우터(4)에는 제1도∼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아암부 (4A),(4A)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일아암(3) 이, 한쪽의 아암부(4A)에 대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아암부재(6)와 다른쪽의 아암부(4A)와의 사이에 걸쳐서 배열설치함으로써 이 베일아암(3)은, 아암부재(6)와 일체적으로 감기자세(A)와 개방자세(B)와의 2상태로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리일에서는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A)와 개방자세(B)와의 2상태로 설정유지하기 위한 토글기구(T)와 베일아암(3)을 개방자세(B)로 설정한 상태에서 로우터(4)가 감기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이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A)로 강제적으로 전환하는 복귀기구(R)가 한쪽의 아암부(4A)에 내장되어 있다.
더욱, 이 아암부(4A)쪽에는, 낚시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로울러(8) 및 베일아암 (3)을 신속하게 개방자세로 설정하기 위해, 아암부재(6)의 캠면(6A)을 가압조작하여 이 아암부재(6)를 회동조작하는 레버(9)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던질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낚시대를 강하게 휘두르게 되므로 예를들면 핸들 (1)이 감기방향으로 회동이 생기는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핸들(1)에 대하여 강한 회동력이 작용하여 로우터(4)를 회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리일에서는 이 회동력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복귀기구(R)가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A)로 전환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복귀력 조절기구(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토글기구(T)는 아암부재(6)의 요동지지축(11)과 평행하는 자세의 지지축(12) 둘레로 요동이 자유로운 요동부재(13)에 대하여 압축스프링(14)에 의하여 돌출방향으로 가압된 돌출부재(15)를 아암부재(6)에 걸어맞춤시켜 이룬다. 그리고 이 토글기구(T)에서는 돌출부재(15)의 선단부(15A)가 아암부 내부의 격벽(4B,),(4B)과 근접하능 위치에서 요동이 저지되고, 베일아암(3)의 각각의 자세(A),(B)가 결정된다.
한편 복귀기구(R)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일본체(2)에 형성한 돌출부(2A)와 로우터(4)가 감기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 상기 요동부재(13)에 맞닿아서 이 요동부재(13)를 감기자세(A)쪽으로 요동조작하도록 아암부(4A)에 축체(16)를 사이에 두고 피벗지지된 요동편(17)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귀력 조절기구(C)는 상기 요동부재(13)의 지지축(12)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8)와 이 슬라이트 플레이트(18)를 미끄럼이동시키는 나사와 같은 고착부재(1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8)의 이동을 행하였을 경우에는 아암부재(6)가 데드 포인트(DP)에 도달하였을 때의 압축스프링(14)의 압축량의 변화 및 감기 자세(A)의 방향으로의 요동에 저항하는 가압력의 힘성분의 변화에 의하여 조작반력이 변화하여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A)로 조작하는데 필요로 하는 조작력의 조절이 행해진다(더욱, 이의 조절시에는 데드 포인드(DP)의 위치도 변화한다).
그에 관련하여, 이들의 구조는 덮개부재(20)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다. 더욱, 이 리일에서는 핸들(1)로부터의 구동계가 제6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즉, 핸들(1)과 연결하는 핸들축(21)은, 리일본체(2)에 부시(22), 베어링(23)을 사이에 두고 지지된 구동기어(24)에 토오크 전동이 자유롭게 안으로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이 구동기어(24)로부터의 동력이 피니언 기어(25)를 사이에 두고 로우터(4)에 전달된다.
이 피니언 기어(25)는 도시하지 않지만, 스푸울 축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에 관련하여 부시(22)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시(22)의 축심과 편심기킨 위치에 베어링 유지면(2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바깥둘레에 끼워 맞춤편(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편(22B...)의 리일본체(2)에 대한 끼워맞춤위치의 선택에 의하여, 예를들면 리일의 사양 등에 따라 핸들축(21)의 축심위치의 변경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이하의 각항을 도시하는 것과 같이도 실시할 수 있다.
(i) 복귀력 조절기구(C)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부재(13)의 지지축(12)을 로우터(4)이 아암부(4A)의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 향하여 변위시킬 수 있도록, 지지축(12)과 걸어맞춤하는 플레이트(30)와 이 플레이트(30)의 위치를 정하는 나사와 같은 고착부재(31)로 구성되어 있다.
(ii) 복귀조절기구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4)로 조작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압축스프링(26)이 아암부(4A)에 내장되어있고, 이 압축스프링(26)의 가압력의 조절을 향하는 나사와 같은 고착부재(27)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iii) 복귀력 조절기구(C)가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아암(3)을 개방자세(B)로 설정하였을 때의 요동의 스트로크 엔드의 위치를 데드 포인트(DP)의 측에 근접조작할 수 있도록 돌출부재(15)의 선단부(15A)에 맞닿는 규제부재(32)와, 이 규제부재(32)의 위치조절을 행하는 나사와 같은 고착부재(33)로부터 구성되어 잇있다.
(iv) 복귀력 조절기구(C)가,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편(17)을 지지하는축체(16)를 설치하고 있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8)와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8)의 위치를 조절하는 나사와 같은 고착부재(29)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요동편(17)이 요동부재(13)를 요동조작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아암 길이의 변경을 행하도록 한다.
이에 관련하여 이들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에는, 실시예와 공통하는 번호·부호를 붙이고 있다.
기타, 본 발명은 토글기구의 스프링력의 조절을 행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혹은 스프링력의 조절을 고저 2단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0)

  1. 리일본체(2), 상기 리일본체(2)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로우터(4), 상기 로우터(4)의 한쌍의 아암부(4A),(4A) 각각의 사이에 걸쳐서 개방 자세(B)와 감기자세(A)로 전환요동이 자유로운 베일아암(3), 상기 아암부(4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일아암(3)을 개방자세(B)와 감기자세(A)중의 어느 것으로 유지하는 토글기구(T), 상기 로우터(4)의 감기방향으로의 회동조작시에, 개발자세(B)의 상기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A)로 조작하는 복귀기구(R) 및 상기 로우터(4)의 감기방향으로의 회동조작시에,개발자세(B)의 상기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A)로 조작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조작반력의 값을 임의로 설정하는 복귀력 조절기구(C)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기구(T)는 상기 아암부(4A) 한쪽에 대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아암부재(6)의 요동 지지축(11)과 평행하는 자세의 지지축(12) 둘레에 요동이 자유로운 요동부재(13)와 상기 아암부재(6)에 걸어맞춤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요동부재(13)에 대하여 압축스프링(14)에 의하여 돌출방향으로 가압된 돌출부재(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기구(R)는, 상기 리일본체(2)에 형성된 돌출부(2A)와, 상기 로우터(4)가 감기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 상기 요동부재(13)에 맞닿아서, 이 요동부재(13)를 감기자세(A) 쪽으로 요동조작하도록 상기 아암부(4A)에 축체 (16)를 사이에 피벗지지된 요동편(1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력 조절기구(C)는 상기 요동부재(13)의 지지축(12)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8)와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8)를 미끄럼이동시키는 고착부재(1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4)의 회전은, 상기 리일본체(2)에 부시(22), 베어링(23)을 사이에 두고 지지된 구동기어(24)에 토오크 전동이 자유롭게 안쪽으로 끼워져 있는 핸들축(21)과 연결된 핸들(1)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24)로부터의 동력이 피니언 기어(25)를 사이에 두고 전달된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22)는, 그 축심과 편심시킨 위치에 베어링유지면 (22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바깥둘레에 끼워맞춤편(22B)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력 조절기구(C)는, 상기 요동부재(13)의 지지축 (12)가 걸어맞춤하는 플레이트(30)와 이 플레이트(30)의 위치를 결정하는 고착부재 (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동부재(13)의 지지축(12)을 상기 로우터(4)의 아암부 (4A)의 길이방향으로 향하여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력 조절기구(C)는, 상기 아암부(4A)의 한쪽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베일아암(3)을 감기자세(A)로 조작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압축스프링(26)과, 이 압축스프링(26)의 가압력의 조절을 행하는 고착부재(27)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력 조절기구(C)가 상기 베일아암(3)을 개방자세(B)로 설정하였을 때의 요동의 스트로크 엔드의 위치를 데드포인트(DP) 쪽에 근접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15)의 선단부(15A)에 맞닿음하는 규제부재(32)의 위치조절을 행하는 고착부재(3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력 조절기구(C)는, 상기 요동편(17)을 지지하는 축체(16)에 설치된 슬라이드 플레이트(28)와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8)의 위치를 조절하는 고착부재(29)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
KR1019910012791A 1990-07-26 1991-07-25 스피닝 리일 KR950008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80108U JP2514526Y2 (ja) 1990-07-26 1990-07-26 スピニングリール
JP2-80108 1990-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024A KR920002024A (ko) 1992-02-28
KR950008071B1 true KR950008071B1 (ko) 1995-07-25

Family

ID=1370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791A KR950008071B1 (ko) 1990-07-26 1991-07-25 스피닝 리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89990A (ko)
JP (1) JP2514526Y2 (ko)
KR (1) KR950008071B1 (ko)
DE (1) DE4124557A1 (ko)
GB (1) GB22462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0749B1 (en) * 1988-08-31 1997-05-28 Aprogenex, Inc. Manual in situ hybridization assay
US5312067A (en) * 1991-05-07 1994-05-17 Shimano Inc. Spinning reel
US5379957A (en) * 1991-05-14 1995-01-10 Shimano Inc. Spinning reel having balancer
JP2594253Y2 (ja) * 1993-05-14 1999-04-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3325182B2 (ja) * 1996-06-20 2002-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956740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製造方法
JP5956741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釣り用リール
JP6688678B2 (ja) * 2016-05-18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機構
WO2017212672A1 (ja) * 2016-06-08 2017-12-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72814A (ko) * 1968-07-05 1969-06-27
JPS5433912Y2 (ko) * 1976-03-03 1979-10-18
JPS5436079Y2 (ko) * 1976-06-11 1979-10-31
US4162048A (en) * 1977-02-16 1979-07-24 Ryobi Ltd. Spinning reel with adjustable bail arm return spring
SE7706721L (sv) * 1977-06-09 1978-12-10 Abu Ab Haspelrulle
JPS5736170Y2 (ko) * 1977-08-31 1982-08-10
US4513926A (en) * 1981-05-05 1985-04-30 Ryobi Ltd. Bail arm control device for a spinning reel
JPS5943791A (ja) * 1982-09-03 1984-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巻上機
JPS6280570A (ja) * 1985-10-03 1987-04-14 Fujitsu Ltd カウンタ試験回路
JPH055886Y2 (ko) * 1985-11-06 1993-02-16
JPH0423411Y2 (ko) * 1986-05-30 1992-06-01
JPH0646300Y2 (ja) * 1989-02-28 1994-11-30 島野工業株式会社 釣用リールにおけるスプール軸の調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89990A (en) 1994-03-01
GB2246276B (en) 1994-08-31
KR920002024A (ko) 1992-02-28
GB2246276A (en) 1992-01-29
JP2514526Y2 (ja) 1996-10-23
GB9115868D0 (en) 1991-09-04
DE4124557A1 (de) 1992-01-30
JPH0438265U (ko) 199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071B1 (ko) 스피닝 리일
DE2940936C2 (de) Positionsspeichereinrichtung mit einem Speicherrad, das mit den Bewegungen eines Gegenstandes gedreht wird, dessen Lage einzuspeichern ist
US5098031A (en) Spinning reel with eccentric element for moving bail arm lever
US4470554A (en) Spinning reel with finger controlled drag
EP0389455A1 (en) A chair control for a pedestal chair having a knee-tilt seat
US5318243A (en) Spinning reel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backward rotation of a rotor
US5149006A (en) Bail arm supporting mechanism of fishing reel
JP320449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246186A (en) Spinning reel with a displaceable element contacting the bail arm lever
US4601437A (en) Spinning reel
KR100613149B1 (ko) 플라이 릴
KR950008075B1 (ko) 스피닝릴
EP3456194A1 (en) Reel drag mechanism
US6267311B1 (en) Trigger for actuating a bail assembly
US5524832A (en) Spinning reel
US5312063A (en) Stopper apparatus for a spinning reel
JPH1189383A (ja) 刈払機のスロットルレバー
US6186429B1 (en) Magnetic bail actuation system
US5692691A (en) Double trigger actuated reel
JPH0713483Y2 (ja) はさみ
JP2570772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17188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94929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839960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機構
JP394373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