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220B1 - 비중 분리기 - Google Patents

비중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20B1
KR950006220B1 KR1019880006385A KR880006385A KR950006220B1 KR 950006220 B1 KR950006220 B1 KR 950006220B1 KR 1019880006385 A KR1019880006385 A KR 1019880006385A KR 880006385 A KR880006385 A KR 880006385A KR 950006220 B1 KR950006220 B1 KR 95000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gate
pressurized air
specific gravity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010A (ko
Inventor
가즈요시 안자이
신지 모로오까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안자이 소고 겐뀨쇼
가즈요시 안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안자이 소고 겐뀨쇼, 가즈요시 안자이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안자이 소고 겐뀨쇼
Publication of KR89001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중 분리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중 분리기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중 분리기의 평면도.
제3a도는 분리 작업 개시 직후에 게이트 조절기구의 요부도.
제3b 및 c도는 각각 제3a도에서와 같은 동일 시점에 있어서의 첫번째 게이트 및 두번째 게이트를 보인도.
제4a도는 분리 작업 개시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의 게이트 조절기구의 요부도.
제4b 및 c도는 각각 제4a에서와 같은 동일 시점에 있어서의 첫번째 게이트 및 두번째 게이트를 보인도.
본 발명은 곡물류, 견과류, 과립상, 제품등의 피선별물의 분리 선별 작용을 행하기 위한 비중 분리기, 특히 전면상에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통풍공을 가지고, 약간의 경사를 지게하여 거의 수평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일정한 방향에서 진동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아래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진동판의 통풍공을 통하여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가압공기실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상에 비중이 다른 과립상 물질을 함유한 피선별물을 공급하고, 비중이 작은 피선별물은 상기 가압공기에 의하여 떠오르게되고 상기 진동판의 경사를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가게되며, 상기 진동판의 상기 하단에 놓여져 있는 첫번째 게이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반면에,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진동판의 진동에 따라 진동판상의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지동판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두번째 게이트를 통해 배출되도록한 비중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형태의 종래 비중 분류기 및 그 문제점을, 실제분류작업, 즉 양질의 콩과 불량콩등이 섞어져 있는 것을 분리하는 작업의 일예로서 하기에 서술한다.
분리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피선별물, 즉 양질의콩과 불량콩이 섞어져 있는 것을 진동판 위에 설치된 호퍼로 부터 일정한 속도로 진동판 위에 공급한다. 불량콩은 양질의 콩에 비하여 비중이 작기 때문에, 진동판을 통하여 그 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가압공기에 의하여 떠오르게 되고 상기 진동판의 경사를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가며 상기 진동판에 하단에 놓여져 있는 게이트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양질의 콩은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가압공기에 의하여 떠오르게 되지 아니하고 상기 진동판의 진동에 영향을 받는다. 보통, 그 진동은 진동판의 경사 방향에 따라 생기고 상기 진동판의 윗쪽으로 이송할때는 그 속도가 고속이며, 그 진동판상에 있는 양질의 콩을 그 진동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변위시키도록 하고, 그것에 의하여 진동판의 상단에 설정된 게이트로 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비중과 품질의 관계는 콩에만 국한 하지 아니하고 곡물류등의 다른 과립상 제품등에 있어서도 적용할수 있으며, 그 선별 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행하여 진다.
그러나, 이러한 비중 분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분리 작업 초기에 있어서는 진동판상에 쌓여있는 피선별물의 양이 적어 진동판 위에 양질의 콩과 불량콩의 분리가 그다지 명료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소량이기는 하지만 양질의 콩 배출 게이트로 부터 양질의 콩과 함께 불량의 콩이 섞여 배출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양질의 콩 배출용 게이트의 마루에다 둑 요소(weir member)를 설치하여 그 게이트에 집적된 양질의 콩이 일정한 두께로 되고 불량콩을 포함하지 아니할때까지 콩을 막았다가 상기 둑 요소 너머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불량콩 배출용 게이트에 있어서는 분리 작업 초기에서 부터 불량콩을 배출하는 것이 상기 진동판상의 양질의 콩의 양의 비율이 많아지고, 상기 양질의 콩을 분리 배출하는데 편리하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둑 요소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분리작업을 시작하고 나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양질의 콩의 층이 전체적으로 두껍게되고, 불량콩 배울용 게이트를 향하여 집적된 불량콩은 그 층의 하층을 이루면서 상기 불량콩 배출 게이트에 도달하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 있어서는 불량콩 배출용 게이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둑 요소를 설치하여 상층을 이루는 불량콩만을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양질의 콩 배출용 게이트에는 실제로는 양질의 콩만이 모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둑 요소가 필요없었다.
그러나, 종래의 비중 분리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화하는 피선별물의 상태에 대응하여 게이트를 조절하는 장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에 비추어 진동판상의 피선별물의 상태에 응하여, 게이트를 조절하는 장치를 갖춘 비중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중 분리기는 전면에 걸쳐 다수의 통풍공을 갖고 약간의 경사를 지게하여 거의 수평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되는 진동판과, 그 진동판 아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판의 통풍공을 통하여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가압공기실과를 갖고, 상기 진동판상에 비중의 작은 피선별물을 상기 가압공기에 의하여 떠오르게 되며 상기 진동판상의 경사를 따라 아래쪽으로 유동하고 그 진동판의 하단위치에 설정된 첫번째 게이트로 부터 배출되는 반면에, 비중이 큰 피선별불로 진동판의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판위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진동판 상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두번째 게이트로 부터 배출되도록한 비중분리기에 있어서, 첫번째 및 두번째 게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한쪽의 게이트로 부터 배출되는 피선별물이 통과하는 게이트 통로에 설치된 둑 요소와, 상기 가압공기실에 연통되고 상기 가압공기실 내의 공기압에 따라서 상기 둑 요소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게이트 조절 기구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작업 초기에 있어서는 진동판 상에서 집적된 피선별물의 양이 적고 진동판을 통하여 그 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가압공기는, 비교적 쉽게 피선별물의 층을 통과하므로, 가압공기실 내의 공기압은 비교적 낮다. 분리 작업을 시작하고 나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진동판상의 피선별물의 양이 많아지고, 그리고 비중이 큰 피선별물의 층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그 피선별물을 통과하게 되는 가압공기는 그것을 통과하기가 어렵게 되므로, 가압공기실 내의 공기압도 높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중 분리기에 이러한 진동판상의 피선별물의 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가압공기실내의 공기압의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고, 상술한 구성으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공기실내의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각 게이트에 설치된 둑 요소의높이를 제어할 수 있어서 선별된 피선별물을 각각의 게이트를 통하여 적당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에 다른 비중 분리기 10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우선, 비중 분리기 10의 개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이 비중 분리기 10은 범용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고, 특히 송풍기(blower) 12에 장착된 기대(base) 14와, 그 기대 14상에 경사져서 설치된 진동판 16과, 그 진동판 16과 기대 14사이에 천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가압공기실 18과, 진동판상에 피선별물 공급하는 피선별물 공급장치 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판 16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거의 사디리꼴형의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일정한 높이의 벽재 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왼쪽 하부에 일정폭의 첫번째 배출 게이트 24가, 상부에는 두번째 배출 게이트 2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진동판 16에는 그 전면에 걸쳐 미소한 통풍공이 있다. 또한, 이 진동판 16은 도시하지 않은 진동장치에 의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에서 진동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분이 작업에 있어서는, 송풍기 12가 작동되어 가압공기를, 기대 14에 제공되어 있는 공기통로(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하여 가압공기실 안으로 보내어, 그 공기를 진동판의 통풍공을 통하여 윗쪽으로 불어올림과 동시에, 진동판은 진동시키고 피선별물 공급장치 20으로 부터 피선별물을 진동판 16위로 공급한다.
이때에, 도면에서 보아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빠르게, 왼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느리게 하여 진동판 16상에 있는 피선별물이 진동에 의하여 그 진동판 1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중 분류기 10을 이렇게 작동시키면, 피선별물 중에서 비중이 낮은 것은 상기 가압공기에 의하여 부상되고, 진동판 16의 진동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아니하고서 진동판 16의 경사를 따라 아래쪽, 즉 도면을 보아 왼쪽으로 흘러내려가며, 결국 첫번째 게이트 24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비중이 높은 것은 상기 가압공기에 의하여 부상되어지 아니하고 진동판 16의 진동에 의하여 경사의 윗쪽(도면으로 보아서 오른쪽)으로 이송되고, 벽재 22의경사부 22'에 도달하며, 그리고 경사부 22'를 통하여 배출하고자하는 피선별물 보다도 비중이 큰, 예를들면 돌등은 제2도를 보아서 진동판의 윗쪽의 오른쪽 귀퉁이에 모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비중 분리기의구조 및 작용은 종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분리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게이트 조절 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이트 조절기구는, 진동판 16상에 그 진동판과 동일 평면 예에서 연장(확장)하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 16'상에 설치되어 있고 가압공기실 18과 연통되어서 그 가압공기실 내의 공기압에 응하여 신축 확장되는 에어 백(air bag) 30과, 첫번째 및 두번째 게이트의 마루 부분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정된 가늘고 긴 둑 요소 32,33과, 플레이트 16'상에 설치되어 있고 둑 요소 32,33과 에어 백 30을 접속하여 에어 백 30의 신축 확장 운동에 응하여 둑 요소 32,33을 회전시키기 위한 운동 전달 기구 34로 이루어져 있다.
이 운동 전달기구 34는, 플레이트 16'에 견고하게 고정된 베어링 35(제2도)에 수평으로 설치된 주축 36과, 에어 백 30의 꼭대기 부 30'와 주축 36을 결합시키는 커플링 요소 38과, 주축 36의 한끝과 두번째 둑요소 33을 접속시키는 컨넥팅 요소 40,42,43과, 주축 36의 다른 끝과 첫번째 게이트의 둑 요소 32를 접속시키는 컨넥팅 요소 44,46,48,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팅 요소 50은 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으로 되어 있고 그 한끝에 워엄 52(제1도)가 절단되고, 그 워업 52는 첫번째 게이트 24의 둑요소 32의 주축32'의 한끝에 설치된 워엄치차 54와 맞물려 있다. 주축 36의 한끝에는, 커넥팅 요소 40과 인접하여 조절추 아암 58이 고정되어 있고 그 아암 58에는 조절추 60이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고정용 나사 62에 의하여 아암 56상의 임의의 위치에다 고정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에어 백 60에 소망의 압력을 가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조절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다른과 같이 작용을 한다.
제3a, b, c도에는 상술한 분리선별 작업을 행하고 난 후에 바로 게이트 조절 기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는 진동판 16상에 있는 피선별물은, 비교적 소량이므로 그 진동판위에 집적되는 피선별물의 층은 매우 얇으며, 가압공기실로 부터 공급되는 가압공기는 비교적 쉽게 그 피선별물의 층을 통과할수 있다. 따라서 가압공기실 내의공기압은 낮고, 에어 백 30이 거의 확장되지 아니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게이트 조절기구는 첫번째 둑 요소 32를 거의 수평 위치로 하여 그 게이트 24에 이송되게 하는 경량의 피선별물, 예를들면 불량콩은, 상기 게이트 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두번째 게이트 26의 둑요소 33은, 거의 수직으로 직립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에 이송되어지는 중량의 피선별물, 예를 들면 양질의 콩은 그것을 통과할수 없고, 둑 요소 33앞에 모여져 경량의 피선별물(불량콩)이 배치되지 않도록 중량의 피선별물과 섞어져 두번째 게이트 26으로 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4a, b, c도는 분리 작업을 시작하여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경우의 게이트 조절기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는 , 피선별물의 분리 작업이 이미 진행되어, 분리 작업이 초기 단계로 부터 배출되어 왔던 경량의 피선별물의 양의 비율이 중량의 피선별물의 것에 비하여 작게되고, 두번째 게이트 26의 근처에는 중량의 피선별물 만으로 비교적 두꺼운 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번째 게이트 26이 거의 수평위치로 설정되어 있어 비교적 중량의 피선별물을 제한적으로 배출한다. 한편, 첫번째 게이트 24의 둑요소 32는 거의 수직상태로 되어 있어, 그것은 중량의 피선별물의 층이 두껍고 그의 층이 경량의 피선별물의 층의 하층으로 확장하여 첫번째 게이트 24에 도달하더라도 그 게이트 24를 통하여 중량의 피선별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해왔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중 분리기에 있어서는, 진동판상의 피선별물의 상태에 응하여 게이트의 둑 요소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따라서 피선별물을 적당하게 배출하여 소망의 피선별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비록 상술한 실시예에서 게이트 조절 기구가, 에어 백 30의 압력을 검출하여 가압공기실내의 공기압에 따라 게이트를 제어하는 식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반드시 제한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가압공기실내의 공기압을 전기적으로 검지하여 효과적으로 게이트를 제어할수 있다.

Claims (3)

  1. 전면에 걸쳐 다수의 통풍공을 갖고, 약간의 경사를 지게하여 거의 수평으로 설정되며, 일정한 방향에서 진동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아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판의 통풍공을 통하여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가압공기실과를 갖추고 있어서, 상기 진동판 위에다 비중이 서로 다른 과립상 물질을 함유한 피선별물을 공급하고, 비중이 작은 피선별물은 상기 가압공기에 의하여 떠오르게 되어 상기 진동판의 경사를 따라 아래쪽으로 유동하여, 상기 진동판의 아래쪽에 설치된 첫번째 게이트로 부터 배출되는 반면에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따라 상기 진동판상의 소정의 반향으로 이송되고, 진동파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두번째 게이트로 부터 배출되도록한 비중 분리기에 있어서, 첫번째 및 두번째 게이트 중에서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그 적어도 한쪽의 게이트로 부터 배출되는 피선별물을 통과시키는 게이트 배출통로에 놓여져 있는 둑 요소와, 상기 가압공기실과 연통되어 상기 가압공기실 내의 공기압에 따라 상기 둑 요소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게이트 조절기구를 더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조절기구가, 상기 가압공기실 내의 공기압에 응하여 신축 확장하는 에어 백과, 상기 에어 백의 신축 확장 운동을 상기 둑 요소에 전달하여, 그것에 의하여 상기 둑 요소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운동 전달 기구를 갖고 있는 비중 분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둑 요소가 상기 게이트 배출 통로의 마루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형 요소로 되고, 상기 게이트 조절기구는, 상기 둑 요소를 회전 운동하여 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한 비중 분리기.
KR1019880006385A 1987-09-01 1988-05-30 비중 분리기 KR950006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18374 1987-09-01
JP62218374A JPS6463082A (en) 1987-09-01 1987-09-01 Specific gravity sepa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010A KR890017010A (ko) 1989-12-14
KR950006220B1 true KR950006220B1 (ko) 1995-06-12

Family

ID=1671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385A KR950006220B1 (ko) 1987-09-01 1988-05-30 비중 분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6463082A (ko)
KR (1) KR950006220B1 (ko)
CN (1) CN10148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654B2 (ja) * 1992-10-22 1999-06-14 山一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3396183B2 (ja) 1999-06-30 2003-04-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基板用グランドピン付きコネクタ
US7134909B2 (en) 2004-07-28 2006-11-14 Fujitsu Limited Connector circuit board
CN103394465B (zh) * 2013-06-24 2016-09-21 吴江市黎里建兴铸件厂 一种除尘器
CN106391443A (zh) * 2016-09-09 2017-02-15 东莞市国亨塑胶科技有限公司 硅胶分料工艺及装置
JP6672569B2 (ja) * 2018-07-02 2020-03-25 株式会社 安西製作所 比重選別機及びその選別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010A (ko) 1989-12-14
JPS6463082A (en) 1989-03-09
CN1014869B (zh) 1991-11-27
CN1031664A (zh) 1989-03-15
JPH0334989B2 (ko) 199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7351A (en) Fluidized bed peanut sorter
CN101056717B (zh) 用于分离颗粒物料的装置
KR890004600B1 (ko) 그릿츠(grits) 정선장치
JPH0659463B2 (ja) 穀物又はその他のばら物から重量物、特に石等を選別除去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GB204019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dry cleaning of grain
US4634522A (en) Arrangement in machines for separat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aerodynamic properties
KR950006220B1 (ko) 비중 분리기
US4687105A (en) Arrangement in grading and cleaning machines with screens
JPH0957195A (ja) 廃棄物の見掛け比重差分別装置
JPS5898175A (ja) 豆類選別装置
SU15461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многослойного пакета из древесноструже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4626195B2 (ja) 石抜装置
JPS6323750A (ja) 籾摺選別装置
Harmond et al. Seed cleaning and handling
KR850001051B1 (ko) 곡물 및 두류등의 선별기
JP2720757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US994659A (en) Grain-separator.
US1218170A (en) Ore-separator.
JPS6384680A (ja) 粒状物色彩選別機
US971609A (en) Process of cleaning and separating grains.
JPS6324752B2 (ko)
JPS63134085A (ja) 石抜選別機
JPS6327071B2 (ko)
JP2000070864A (ja) 揺動選別装置の傾斜角度調節機構
US272178A (en) Grain-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