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581B1 - 내부 자기 시일드 접촉스프링을 갖는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내부 자기 시일드 접촉스프링을 갖는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581B1
KR950005581B1 KR1019870003989A KR870003989A KR950005581B1 KR 950005581 B1 KR950005581 B1 KR 950005581B1 KR 1019870003989 A KR1019870003989 A KR 1019870003989A KR 870003989 A KR870003989 A KR 870003989A KR 950005581 B1 KR950005581 B1 KR 95000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hield
ray tube
tongue
cathode ray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600A (ko
Inventor
루이스 무엔켈 레이먼드
에드워드켈러 레이먼드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루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루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1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부 자기 시일드 접촉스프링을 갖는 음극선관
제1도는 음극선관의 내부에 있는 내부자기시일드에 부착된 1쌍의 접촉스프링을 예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접촉스프링이 없는 내부자기시일드의 확대된 후미 부분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5도는 내부 자기시일드에 부착하도록된 접촉스프링을 예신한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접촉스프링이 부착된 내부자기시일드의 확대된 후미 부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 18 : 자기시일드(magnetic shield)
28 : 접촉스프링 30 : 플랫면(flat surface)
32 : 봉부재(bar member) 34, 36 : 단부
38 : 하부통로 40 : 스탬핑 영역
42 : 모서리 44 : 요면(indentation)
46 : 플랫단 48 : 설상체(tongue)
52 : 개구(aperture) 54 : 리지수단(ridge means)
56 : 설상체의 단부 57 : 탭(tab)
본 발명은 내부 자기 시일드(internal magentic shield)에 부착된 접촉스프링을 갖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컬러 음극선관은 음극선 발광 스크린에 주사되는 전자빔 궤적 위에 자장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내부 자기시일드를 갖는데, 상기 자기 시일드는 대개 0.1mm 두께의 냉각압연 강판으로 구성되고 시일드 및 프레임은 자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새도우마스크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자기 시일드 퍼넬(funnel)에 치수가 맞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퍼넬벽에 최대한으로 근접되어 있다. 그러나 유리퍼넬의 내부면 위에서 시일드와 도전성 양극 피막간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퍼넬과 접촉되어서는 안된다.
종래의 방법으로는 퍼넬의 내부면 상에서 시일드와 도전성 피막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상기 자기 시일드의 후미에 있는 연성의 접촉스프링을 부착하였다. 상기 자기 시일드에 접촉스프링을 부착하는 한가지 수단은 용접하는 것인데, 용접은 불규칙하게 튀는 경향이 있다. 용접에 의한 손실입자들은 음극선관의 동작에 유해한것으로서 새도우마스크내에서 개구(aperture)를 단절시키거나 단락 및 고전압아아크를 발생시킨다.
상기 기술의 개선점에 대해 미합중국 특허 제4,310,779호에 기재되어 있는데(1982년 1월 12일에 페니어드등에게 허여됨), 상기 접촉 스프링은 자기시일드의 후미에 형성된 홈에 쉽게 부착되도록 클립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접촉 스프링으로는 자기시일드에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으므로 "이완" 스프링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 스프링을 자기 시일드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호 공동 결합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음극선관은 머시인-스템프(machine-stamped)된 봉부재가 봉부재의 양쪽 단부사이에 하부통로가 형성되도록 플랫면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내부 자기시일드를 갖는다. 탄성의 경사진 설상체를 갖는 접촉스프링의 플랫단은 돌출되어 상기 설상체의 단부로 하여금 상기 봉부재를 클리어하도록 하부 통로를 통해서 충분히 삽입되고 후미가 상기 봉부재의 모서리와 접촉됨으로써 스프링의 이동을 방지한다.
제1도와 제2도는 페이스플레이트판넬(12)의 판넬(12)의 모서리(16)을 따라서 퍼넬(14)에 봉입된 음극선관(10)을 나타낸다. 또한, 음극선관(10)은 상기 퍼넬(14)의 인접한 내부면(20)에 배치된 내부자기시일드(18)을 갖고, 상기 자기 시일드(18)은 새도우마스크 프레임(22)에 부착되며, 페이스플레이트판넬(12)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스터드(stud)(24)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퍼넬(14)의 내부면은 모서리(16)에서 내부면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면상에 도전성 피막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도전성 피막은 흑연 코팅이 되어 있고 음극선관(10)에 대해 양극으로서 작용한다. 한쌍의 접촉스프링(28)은 상기 내부자기 시일드(18)의 후미에 있는 플랫면(30)에 부착되는데, 이것은 자기 시일드(18)와 도전성 피막간의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함이다.
제3도와 제4도는 플랫면(30)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된 봉부재(32)를 나타낸다. 상기 봉부재(32)의 양쪽단부(34, 36)는 하부통로(38)가 양쪽 단부(34, 36)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플랫면(30)에 접속되고, 이 하부통로(38)는 상기 플랫면(30)의 평면에서 떨어져 있는 봉부재(32) 주변의 머시인 스탬핑 영역(40)으로 형성되며, 상기 봉부재(32)는 플랫면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머시인-스템프 영역(4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 자기시일드(18)의 후미에 있는 모서리(42)에 인접해서 배치된다. 상기 내부자기시일드(18)는 대개 두께가 0.1mm이며 쉽게 머시인 스탬프되는 냉각압연 강판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봉부재(32)는 머시인 스탬프된 종방향 크레스트(crest)(43)를 가지며 구조적 내구력을 고려해서 상기 플랫면(30)위로 연장되어 있다. 스탬핑 영역(40) 부근에는 구조상 강도(剛度) 및 내구력을 제공하도록 머시인 스탬프된 봉우리 모양의 크레스트(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내부자기시일드(18)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봉부재(32)에 평행한 상기 플랫면(30)안에 배치된 요면(indentation)(44)를 가지며, 상기 요면은 다음에 설명되어 있는것 같이 접촉스프링의 지나친 삽입을 방지하도록 플랫면(30)안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요면(44)는 상기 봉부재(32)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자기시일드(18)안에서 머시인-스탬프된다.
제5도와 제6도는 플랫단(46)을 갖는 접촉스프링(28)을 나타내는데,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면(50)을 갖는 탄성의 경사진 설상체(48)는 플랫단(4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50)의 단부(56)는 플랫단(46)의 평면에 직교하며 면으로부터 둔각으로 돌출된 탭(57)을 구비한다. 상기 탭(57)은 하부통로(38)에서 플랫단(46)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탬핑 영역(40) 부근의 크레스트(45)의 모서리와 접촉하고 아래쪽으로 돌출된 접촉스프링의 삽입으로서 경사진 설상체(48)을 디프레스 시킨다. 상기 설상체(48)는 상기 플랫단(46)이 하부통로(38)를 통해서 삽입될때 상기 봉부재(32)가 경사면(50)과 접촉되고 설상체(48)가 플랫단(46)쪽으로 프레스되도록 놓여져 있다. 상기 설상체(48)는 플랫단(46)에 접속되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랫단의 중심에 있는 개구(52)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접촉스프링(28)은 0.18mm 두께의 냉각압연 강판으로 구성되며 머시인 스탬핑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52) 부근의 플랫단(46) 영역도 구조적인 강도와 내구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부내에 머시인 스탬프된 봉우리 모양의 크레스트(53)를 갖고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28)은 내부자기시일드(18)이 플랫면(30)안에 배치된 요면(44)를 접촉하기 위하여 설상체(48)의 반대편 상의 봉부재로부터 떨어져서 평행으로 놓여있으며 리지수단(ridge means)(54)을 가진다. 상기 리지수단(54)은 설상체(48)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접촉 스프링(28)내에 머시인-스템프되며, 상기 플랫단(46)의 반대편에 있는 스프링(28) 단부는 퍼넬(14)의 내부면(20)상에 배치된 도전성피막(26)과의 접촉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뾰족하게 갈라진 두개의 접촉소자(55)를 갖는다.
제7도는 내부자기시일드(18)와 접촉시프링(28)이 함께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데, 상기 접촉스프링(28)은 내부자기 시일드(18)내의 하부통로(38)를 통해서 스프링의 플랫단(46)을 삽입함으로써 자기시일드(18)의 플랫면(30)에 장착된다. 상기 플랫단(46)이 하부통로(38)을 통해서 삽입될때, 상기 봉부재(32)는 탄성의 설상체(48)의 경사면과 접촉하고 상기 설상체(48)를 플랫단(46)쪽으로 디프레스되게한다. 상기 플랫단(46)은 상기 경사면(50)의 단부(56)로 하여금 봉부재(32)가 클리어되도록 하부통로(38)를 통해서 확실히 삽입되며, 제7도에 도시된것같이 스피링의 후미가 사이 봉부재의 모서리(58)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50)의 단부(56)가 인접한 하부통로(38)의 봉부재 모서리에 대해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탄성의 설상체(48)가 하부로 디프레스 되거나 스탬프영역(40)내에 있는 크레스트(45)상에 있는 탭(57)이 상부로 휘지 않고서 하부통로(38)로부터 플랫단(46)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설상체(48)가 원상태로된후 하부통로(38)를 통해서 플랫단(46)의 지나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스프링(28)내의 리지수단(54)으로 플랫면(30)안의 요면(44)과 접촉함으로서 상기 접촉스프링(28)의 이동을 중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접촉스프링(28)이 내부 자기시일드(18)에 견고하게 장착하도록 상호고정 결합을 제공하고 있다. 부가되는 클립이나 용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발생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이완" 스피링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8)

  1. 음극선관 퍼넬의 인접 내부면에 배치된 내부 자기 시일드를 갖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퍼넬의 내부면상에 배치된 상기 시일드와 도전성 피막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서 접촉스프링이 자기 시일드의 후미에 있는 플랫면에 부착되고, 봉부재(32)가 상기 플랫면에 평행 배치되며, 봉부재의 양쪽단부(34, 36)에서 하부통로(38)가 형성되도록 상기 플랫면에 완전히 접속되는 자기 시일드(18)와; 탄성의 경사진 설상체(48)를 갖는 플랫단(46)이 돌출되고, 상기 플랫단이 하부통로를 통해서 삽입될때 상기 설상체가 플랫단 쪽으로 디프레스되도록 위치가 설정되며, 상기 플랫단이 경사진 설상체의 단부(56)로 하여금 상기 봉부재를 클리어(clear) 하도록 상기 하부통로를 통해서 확실히 삽입되어 스프링후미가 상기 자기 시일드의 모서리(58)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이동을 방지하는 접촉스프링(28)의 상호 고정 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의 단부(46)가 리지수단(ridge means)(54)을 가지며, 상기 설상체가 원상태로 된후 하부통로를 통해서 상기 플랫단의 지나친 삽입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상기 자기 시일드 부분(44)과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설상체(48)의 반대편상에 있는 봉부재(32)로부터 떨어져서 평행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자기시일드(18)의 부분이 상기 봉부재(32)에 평행한 플랫면(30)안에 배치된 요면(indentation)(44)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설상체(48)의 단부(56)가 상기 플랫단(46)의 평면에 직교하고 상기 리지수단(54)쪽에서 둔각으로 돌출된 탭(5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체(48)가 상기 플랫단(46)에 접속되며, 플랫단 중심부의 개구(52)로 연장되고 머시인-스탬프(machine-stamp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재(32)가 상기 플랫면(30)의 평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봉부재 주변의 스템핑 영역(40)이 상기 하부통로(38)를 형성하는 플랫면의 평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머시인-스탬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재(32) 주변의 상기 머시인-스탬프 영역(40)이 상기 내부자기시일드(18)의 후미에 있는 모서리(4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스프링(28)과 내부자기 시일드(18)가 각각 0.18-0.1mm의 두께를 갖는 냉각압연 강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19870003989A 1986-04-29 1987-04-25 내부 자기 시일드 접촉스프링을 갖는 음극선관 KR950005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7046 1986-04-29
US06/857,046 US4670686A (en) 1986-04-29 1986-04-29 CRT internal magnetic shield contact sp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600A KR870010600A (ko) 1987-11-30
KR950005581B1 true KR950005581B1 (ko) 1995-05-25

Family

ID=2532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989A KR950005581B1 (ko) 1986-04-29 1987-04-25 내부 자기 시일드 접촉스프링을 갖는 음극선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70686A (ko)
EP (1) EP0244165B1 (ko)
JP (1) JPS62262346A (ko)
KR (1) KR950005581B1 (ko)
CA (1) CA1263687A (ko)
DE (1) DE3772435D1 (ko)
HK (1) HK156696A (ko)
PL (1) PL157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6478A (en) * 1989-09-05 1995-05-30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spring type contactor.
KR960010112Y1 (ko) * 1991-07-13 1996-11-22 삼성전관 주식회사 음극선관
US5336962A (en) * 1992-07-06 1994-08-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athode-ray tube having internal magnetic shield with strengthening ribs
JPH0636701A (ja) * 1992-07-21 1994-02-10 Tohoku Gakuin Univ カラー陰極線管
KR100336545B1 (ko) * 1993-07-02 2002-11-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차폐기-애노드코팅부접촉기를구비한음극선관
US6157118A (en) * 1998-09-08 2000-12-05 Thomson Licensing S.A. Cathode-ray tube contact spring
US6188171B1 (en) 1999-06-15 2001-02-13 Kelly Eugene Hamm Cathode-ray tube contact spring
US6737797B2 (en) 2002-03-20 2004-05-18 Thomson Licensing S. A. Knee action circuit connector for a CR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16226A (ko) * 1956-04-17
US3377493A (en) * 1967-02-15 1968-04-09 Admiral Corp Clip for mounting peripheral electron shield on shadow mask of color television tube, provided with contact spring to tube inner coating
US3610990A (en) * 1969-04-18 1971-10-05 Hitachi Ltd Leaf spring arrangement for color selection electrode
US3851435A (en) * 1973-01-08 1974-12-03 Binkley Co Fastening means for joining members
US4106878A (en) * 1977-02-04 1978-08-15 National Rolling Mills Company Fire-rated ceiling grid cross joint
US4310779A (en) * 1980-01-28 1982-01-12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shield-funnel connective means
US4317641A (en) * 1980-05-05 1982-03-02 Roblin Industries, Inc. Locking connection for supporting grid systems
US4433267A (en) * 1982-01-18 1984-02-21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CRT Internal contactor positioning means
US4494350A (en) * 1982-09-20 1985-01-22 Ceiling Dynamics, Inc. Aluminum suspension system
JPS60133637A (ja) * 1983-12-21 1985-07-16 Matsushita Electronics Corp カラ−受像管
US4525973A (en) * 1984-01-09 1985-07-02 Chicago Metallic Corporation Suspended cei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63687A (en) 1989-12-05
EP0244165B1 (en) 1991-08-28
EP0244165A2 (en) 1987-11-04
EP0244165A3 (en) 1988-07-20
JPS62262346A (ja) 1987-11-14
DE3772435D1 (de) 1991-10-02
JPH0413811B2 (ko) 1992-03-10
PL157652B1 (pl) 1992-06-30
PL265415A1 (en) 1988-06-23
HK156696A (en) 1996-08-23
KR870010600A (ko) 1987-11-30
US4670686A (en) 198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581B1 (ko) 내부 자기 시일드 접촉스프링을 갖는 음극선관
US51266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spring type contactor
KR900005654A (ko) 음극선관의 양극 링 코넥터 조립체
WO1995033289A1 (e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element
JPS6324615Y2 (ko)
KR100336545B1 (ko) 차폐기-애노드코팅부접촉기를구비한음극선관
KR0185711B1 (ko) 전자총 지지부재
KR960003248Y1 (ko) 컬러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고정장치
JPS61142636A (ja) 電子銃構体
KR840002135Y1 (ko) 음극선관
KR930007581Y1 (ko)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KR200160913Y1 (ko) 음극선관의 콘텍트 스프링
KR920003287Y1 (ko) 인너실드 프레임 조립체
KR0177705B1 (ko)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JPS604362Y2 (ja) カラ−ブラウン管
JP2506586Y2 (ja) カラ―ブラウン管
KR910007648Y1 (ko) 브라운관용 콘택트 스프링
KR960004342Y1 (ko) 인너 시일드 고정용 클립
KR910009576Y1 (ko) 컬러 브라운관
KR200162814Y1 (ko) 음극선관의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0136758Y1 (ko)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US6737797B2 (en) Knee action circuit connector for a CRT
KR920001976Y1 (ko) 텔레비젼용 콘택트 스프링
KR0123993Y1 (ko) 칼라브라운관의 클립겸용 콘택트스프링
KR920003286Y1 (ko) 음극선관용 인너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