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758Y1 -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758Y1
KR0136758Y1 KR2019940013795U KR19940013795U KR0136758Y1 KR 0136758 Y1 KR0136758 Y1 KR 0136758Y1 KR 2019940013795 U KR2019940013795 U KR 2019940013795U KR 19940013795 U KR19940013795 U KR 19940013795U KR 0136758 Y1 KR0136758 Y1 KR 0136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
cathode ray
ray tube
slo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033U (ko
Inventor
권혁창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40013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758Y1/ko
Publication of KR960003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01J2229/0711Spring and plate (cli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에 대해 개시한다.
종래에는 컨택트 스프링을 프레임에 용접하여 고정시켰는 바, 용접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플래시에 의해 섀도우마스크의 색선별 구멍이 막혀 완성된 음극선관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컨택트 스프링의 기부에 한쌍의 슬롯을 형성시키고, 이 슬롯에 대향되는 인너실드의 플랜지에 돌기를 가공하여서 슬롯을 돌기에 끼운 후 돌기를 절곡하여 컨택트 스프링을 고정설치하므로 컨택트 스프링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아니라, 완성된 음극선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측면을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컨택트 스프링의 조립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컨택트 스프링의 조립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컨택트 스프링(contact spring) 21 : 기부(base)
21a : 슬롯 30 : 인너실드
31 : 플랜지 31a : 돌기
본 고안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펀넬(funnel)에 인가된 고압 전류를 패널(panel)에 전달함과 동시에 형광면상의 열전자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컨택트 스프링을 간단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contact spring)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의 전자총(electron gun; 1)으로 부터 주사된 전자빔이 편향요크(deflection yoke; 2)에 의해 편향되어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 3)의 색선별 구멍(3a)을 통해 패널(4) 내면에 형성된 형광면상의 해당 형광체(5)에 랜딩(landing)됨으로써 화상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빔의 가속을 위해 음극선관 내에는 통상 25-30KV의 고전압이 펀넬(6)의 아노드 단자(7)를 통해 인가되는 바, 이 전압을 형광면에 연결시켜 주는 것이 컨택트 스프링(10)이다.
이러한 컨택트 스프링(10)은 형광면에 랜딩된 전자빔에 의해 발생된 열전자를 아노드 단자(7)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므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품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컨택트 스프링(10)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8)의 플랜지(8a)에 지지되는 기부(base; 11)가 일단에 절곡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펀넬(6)의 내부 흑연도전막(9)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중간에는 접촉부(12)에 소정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탄력부(13)가 절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컨택트 스프링(10)은 인너실드(15)와 프레임(8) 사이에 기부(11)를 고정시키는 바, 프레임(8)의 플렌지(8a)에 기부(11)를 용접함으로써 컨택트 스프링(10)이 고정지지된다. 또한, 기부(11)와 플랜지(8a)에 서로 대응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여 이에 클립을 삽입하여 고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컨택트 스프링(10)은 프레임(8)에 용접되어 고정되므로 용접과정에서 스플래시가 발생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색선별 구멍(3)을 폐색시키게 되므로 화상 형성시 흑점을 야기시키는 등 완성된 음극선관의 품위를 떨어뜨리게 될 뿐아니라, 지그등을 사용하여 컨택트 스프링(10)을 프레임(8)의 소정위치에 접촉고정시켜 복수의 점을 용접해야 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워 고정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컨택트 스프링의 기부에 형성된 슬롯을 인너실드의 플랜지에 랜싱가공된 돌기와 결합시키므로 컨택트 스프링의 고정작업 효율 및 완성된 음극선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의 특징은, 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펀넬의 내부흑연도전막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형광면에 고전압을 연결하는 컨택트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스프링의 기부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과 대응되게 인너실드의 플랜지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을 상기 돌기에 결합시겨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스프링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컨택트 스프링(20)의 기부(21)에 한쌍의 슬롯(21a)을 형성하고, 이 슬롯(21a)에 대향되는 인너실드(30)의 플랜지(31)에는 돌기(31a)가 형성되는 바, 먼저 인너실드(30)의 플랜지(31)에 상호 대향되게 랜싱가공하고 랜싱가공된 부분을 인너실드(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눌러 절곡시키면 상호 대향되는 돌기(3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컨택트 스프링(20)의 슬롯(21a)을 인너실드(30)의 플랜지(31)에 형성된 돌기(31a)에 끼운 후 돌기(31a)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A)으로 눌러 절곡시켜서 컨택트 스프링(20)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는 종래와 같이 용접함에 따라 파생되는 작업공수의 증가 및 색선별 구멍(3a)이 막힘으로 인한 흑점발생등의 제반 문제가 해결되므로 작업효율의 향상 및 불량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완성된 음극선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레임(8)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펀넬(6)의 내부흑연도전막(9)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형광면에 고전압을 연결하는 컨택트 스프링(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스프링(20)의 기부(21)에 슬롯(21a)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21a)과 대응되게 인너실드(30)의 플랜지(31)에 돌기(31a)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21a)을 상기 돌기(31a)에 결합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1a)는, 상호 대향되게 랜싱가공된 인너실드(30)의 플랜지(31)를 절곡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KR2019940013795U 1994-06-14 1994-06-14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KR0136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795U KR0136758Y1 (ko) 1994-06-14 1994-06-14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795U KR0136758Y1 (ko) 1994-06-14 1994-06-14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033U KR960003033U (ko) 1996-01-22
KR0136758Y1 true KR0136758Y1 (ko) 1999-02-18

Family

ID=1938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795U KR0136758Y1 (ko) 1994-06-14 1994-06-14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7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033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758Y1 (ko)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구조
JP3649744B2 (ja) テンションマスクフレーム用ディテンションロッドアセンブリを有する陰極線管
KR900001705B1 (ko) 컬러 수상관
KR100337869B1 (ko) 음극선관
KR100472498B1 (ko) 음극선관용전자총
KR10041803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KR0126544B1 (ko) 칼라브라운관의 게타스프링
KR0123995Y1 (ko) 칼라 브라운관의 후크스프링과 일체로된 콘택트 스프링
KR0123993Y1 (ko) 칼라브라운관의 클립겸용 콘택트스프링
KR200158814Y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보조전극의 결합구조
KR920007420B1 (ko)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작방법
KR100229730B1 (ko) 평면음극선관용 레일의 접합구조
KR100217137B1 (ko) 브라운관용 스프링장치
KR970007170Y1 (ko)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KR200147971Y1 (ko) 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 조립공구
KR200203899Y1 (ko)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열전도장치
KR0126582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지지장치
KR200155157Y1 (ko) 음극선관의 판넬과 펀넬의 콘넥터 겸용 인너실드
KR950004391B1 (ko) 브라운관의 전자총용 벌브스페이서
KR100261123B1 (ko)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KR920001980Y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조립체
KR10032206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142032Y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과 홀더의 결합구조
KR0133814Y1 (ko) 인너시일드 조립구조
KR100209691B1 (ko) 칼라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