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869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869B1
KR100337869B1 KR1019950033983A KR19950033983A KR100337869B1 KR 100337869 B1 KR100337869 B1 KR 100337869B1 KR 1019950033983 A KR1019950033983 A KR 1019950033983A KR 19950033983 A KR19950033983 A KR 19950033983A KR 100337869 B1 KR100337869 B1 KR 10033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hadow mask
panel
metal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864A (ko
Inventor
최종서
최귀석
주규남
김근배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3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869B1/ko
Priority to JP8191812A priority patent/JPH0997573A/ja
Priority to US08/690,833 priority patent/US5677592A/en
Priority to DE19631765A priority patent/DE19631765A1/de
Priority to GB9616727A priority patent/GB2305775B/en
Priority to MYPI96003360A priority patent/MY112526A/en
Priority to NL1003913A priority patent/NL1003913C2/nl
Priority to CN96119922A priority patent/CN1150323A/zh
Publication of KR97001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after passing the main deflection system, e.g. for post-acceleration or post-concentration, for colour switching
    • H01J29/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after passing the main deflection system, e.g. for post-acceleration or post-concentration, for colour switching using shadow mask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패널 내면의 금속막에 걸리는 전위가 섀도우마스크에 걸리는 전위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음극선관에 비하여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어 금속막에 충돌되는 전자의 양이 증대되어 휘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섀도우마스크에 충돌되는 전자의 양이 감소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열변형량이 감소되게 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휘도가 향상되고섀도우마스크(30)의 도밍(doming)량이 감소되도록 개선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형광체를 발광시키도록 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된 음극선관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트에 의해 봉착된 패널(10)과 펀넬(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패널(10)의 내면에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성된 형광막(11)과 알루미늄 등의 금속막(12)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으며, 패널(10)의 내벽에는 도전성의 스터드핀(13)이 결합되어 있다. 이 스터드핀(13)은 제2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흑연막(14)에 의해 금속막(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펀넬(20)의 내면에는 흑연이 도포되어 도전막(21)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도전막(21)은 펀넬(20)의 일측에 결합된 애노오드 단자(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40)이 패널(10)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프레임(40)의 측벽에 고정된 판스프링(41)이 상기 패널(10) 내벽의 스터드핀(13)에 끼워지게 된다. 이 프레임(40)의 전방에는 빔통과공(31)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30)가 고정되어 상기 금속막(12)과 이격되게 대면하고 있으며, 프레임(40)의 후방에는 인너실드(50)가 연결스프링(70)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40)과 인너실드(50) 사이에는 도전스프링(60)의 일단이 밀착 고정되어 있으며, 이 도전스프링(60)의 타단은 펀넬(20)의 도전막(21)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음극선관(9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고전압이 애노오드 단자(22)를 통해 펀넬(20) 내면의 도전막(21)에 인가되면, 도전스프링(60)을 통해 프레임(40) 및 이 프레임(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섀도우마스크(30)에 고전압이인가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판스프링(41)과 스터드핀(13) 및 흑연막(14)을 통해, 패널(10) 내면의 금속막(12)에도 섀도우마스크(30)에 인가되는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총(80)으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되면 그 전자들은, 상기 금속막(12)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금속막(12)측으로 가속되며 이동된다. 이러한 전자들 중에서, 일부는 섀도우마스크(30)의 빔통과공(31)을 통과하게 되고 나머지 전자들은 섀도우마스크(30)에 충돌하게 된다. 빔통과공(31)을 통과한 전자들은 금속막(12)을 개재시켜 형광막(11)의 형광체에 충돌함으로써 그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되나, 섀도우마스크(30)에 충돌되는 전자들은 섀도우마스크(30)를 가열하여 곡률반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열팽창시키는 소위 도밍현상을 일으키는 악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빔통과공(31)을 통과하여 금속막(12)에 충돌되는 전자들의 양 즉 금속막(12)으로 흐르는 전류량이 증대되면, 휘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섀도우마스크(30)에 충돌되는 전자의 양 즉 섀도우마스크(30)로 흐르는 전류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상술한 섀도우마스크의 열변형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양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총(80)에서 방출된 전자들 중 보다 많은 양의 전자가 섀도우마스크(30)의 빔통과공(31)을 통과하여 금속막(12)에 충돌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여러 가지로 검토되어 왔으나, 현실적으로 전자총(80)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들 중 빔통과공(31)을 통과하지 못하고 섀도우마스크(30)에 충돌되는 전자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70% 이상에 달하여, 휘도의 향상 및 도밍현상 억제에는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들 중 섀도우마스크의 빔통과공을 통과하여 형광제의 발광에 기여하는 전자들의 양이 대폭 증대되어, 휘도가 향상되고 섀도우마스크의 열변형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과 금속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패널과, 일측에 전자총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과,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상기 패널의 금속막을 향해 발사되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다수의 빔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섀도우마스크를 구비하며, 상기 금속막과 섀도우마스크에는 소정의 전위가 걸리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에는 상기 섀도우마스크에 걸리는 전위보다 높은 전위가 걸리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4도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100)은 프리트에 의해 상호 봉착된 패널(110)과 펀넬(120)을 구비하고 있다. 패널(110)의 내면에는 청록적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성된 형광막(111)과 알루미늄 등의 금속막(112)이 순차 적층되어있다. 펀넬(120)의 내면에는 흑연이 도포되어 도전막(1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도전막(121)은, 외부의 전기 단자(미도시)와의 접속을 위하여, 펀넬(120)에 결합된 애노오드 단자(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펀넬(120)의 네크부에는 전자총(180)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40)이 패널(110)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프레임(140)의 측벽에 고정된 판스프링(141)이 상기 패널(110)의 내벽에 결합된 스터드핀(113)에 끼워지게 된다. 이 프레임(140)의 전방에는 빔통과공(131)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130)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 섀도우마스크(130)는 상기 금속막(112)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금속막(12)과 대면하고 있다. 프레임(140)의 후방에는 인너실드(150)가 연결스프링(170)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한편, 종래 음극선관(90)에 있어서 패널(10) 내면의 금속막(12)과 스트드핀(13)이 흑연막(1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것과는 달리, 본 실시예의 음극선관(100)에 있어서는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금속막(112)과 스터드핀(113) 간에는 상술한 흑연막이 도포되어 있지 않으므로, 금속막(112)과 스터드핀(113)은 서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프레임(140) 및 판스프링(141)을 통해 스터드핀(113)과 연결되어 있는 섀도우마스크(130)도 금속막(112)과는 상호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절연되어 있는 금속막(112)과 섀도우마스크(130)는 각각 제1도전수단과 제2도전수단에 의해 상기 펀넬(120) 내면의 도전막(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도전수단의 저항값은 제1도전수단의 저항값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110) 내면의 금속막(112)과 펀넬(120) 내면의 도전막(12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1도전수단으로서, 패널(110) 내벽에 결합된 도전핀(115)과, 상기 금속막(112)과 도전핀(11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흑연막(116)과, 일단부가 상기 도전핀(115)에 용접되고 타단부가 상기 펀넬(120) 내면의 도전막(121)에 접촉되는 제1도전체(11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섀도우마스크(130)와 펀넬(120) 내면의 도전막(12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2도전수단으로서, 제2도전체(16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도전체(160)는, 상기 섀도우마스크(130)가 고정된 프레임(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제1부재(161)와, 펀넬(120) 내면의 도전막(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부재(162)와, 상기 제1부재(161)와 제2부재(16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제3부재(16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전수단의 저항값 즉, 제1도전수단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저항값들을 합한 값이 상당히 작아서 실질적으로는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인 것과는 달리, 제2도전수단의 저항값 즉, 제2도전수단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저항값들을 합한 값은 상기 제2도전체(160)의 제3부재(163)로 인하여 비교적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100)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단자(미도시)가 애노오드 단자(122)에 접속되어 그 애노오드 단자(122)를 통해 펀넬(120) 내면의 도전막(121)에 고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제1도전수단을 통해 금속막(112), 그리고 제2도전수단을 통해 섀도우마스크(130)에 각각 소정의 전위가걸리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도전수단을 구성하는 제2도전체(160)는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제3부재(16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제3부재(163)의 저항값에 따르는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어, 섀도우마스크(130)에는 금속막(112)에 걸리는 전위보다 낮은 전위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총(180)으로부터 전자방출이 시작되면, 이 전자들은 금속막(112) 측으로 가속 이동되어 일부는 섀도우마스크(130)의 빔통과공(131)을 통과하여 금속막(112)에 충돌하게 되고 나머지는 섀도우마스크(130)에 충돌하게 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막(112)에는 섀도우마스크(130)에 걸린 전위보다 높은 전위가 걸려 있으므로, 종래 음극선관에 있어서 섀도우마스크(30)와 금속막(12)에 동일한 전위가 걸리는 음극선관에 비하여, 금속막(112)에 충돌하는 전자들의 양 즉 금속막(112)으로 흐르는 전류량이 증대되고 섀도우마스크(130)에 충돌하는 전자들의 양 즉 섀도우마스크(130)로 흐르는 전류량이 감소되게 된다.
따라서, 휘도가 향상되게 되고 섀도우마스크(130)의 열변형량이 감소되게 되는데, 실제로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휘도 및 섀도우마스크(130)의 열변형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상기 제3부재(163)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종래 브라운관에 비해, 휘도는 30-100% 향상되고 섀도우마스크(130)의 열변형량은 10-50%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펀넬(120) 내면의 도전막(121)과 섀도우마스크(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도전수단이 소정의 저항값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섀도우마스크(130)측에 연결되는 제1부재(161)와 도전막(121)측에 연결되는제2부재(162) 및 이들을 연결하며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 제3부재(163)로 이루어진 제1도전체(160)를 채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부재(161) 또는 제2부재(162)를 생략하고 제3부재(163)가 직접 섀도우마스크(130)측에 또는 도전막(121)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제3부재(163)만으로 제2도전제(160)를 형성하고 그 일단부는 섀도우마스크(130)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도전막(121)에 직접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체(117)와 도전핀(115)은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용접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도전핀과 제1도전체는 일체화된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제1도전수단과 제2도전수단에 의하지 않더라도, 금속막(112)에 걸리는 전위가 섀도우마스크(130)에 걸리는 전위보다 커지도록 하는 구성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펀넬(120)에 설치된 애노오드 단자(122)와 유사한 형태의 별도의 단자를 패널(110) 또는 펀넬(120)에 결합하고, 상기 애노오드 단자(122)를 통해 섀도우마스크(130)로 제1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별도의 단자를 통해 금속막(112)으로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금속막(112)에 걸리는 전위를 섀도우마스크(130)에 걸리는 전위보다 크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패널 내면의 금속막에 걸리는 전위가 섀도우마스크에 걸리는 전위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음극선관에 비하여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어 금속막에 충돌되는 전자의 양이증대되어 휘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섀도우마스크에 충돌되는 전자의 양이 감소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열변형량이 감소되게 된다.
제1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개략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개략적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음극선관 110...패널 111...형광막
112...금속막 113...스터드핀 115...도전핀
116...흑연막 117...제1도전체 120...펀넬
121...도전막 122...애노오드 단자 130...섀도우마스크
131...빔통과공 140...프레임 141...판스프링
150...인너실드 160...제2도전체 161...제1부재
162...제2부재 163...저항체 180...전자총

Claims (4)

  1. 내면에 형광막과 금속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패널과, 일측에 전자총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과,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상기 패널의 금속막을 향해 발사되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다수의 빔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섀도우마스크를 구비하며, 상기 금속막과 섀도우마스크에는 소정의 전위가 걸리도록 구성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에는 상기 섀도우마스크에 걸리는 전위보다 높은 전위가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내면에 형광막과 금속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패널과, 내면에 도전막이 형성되며 일측에 전자총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과,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상기 패널의 금속막을 향해 발사되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다수의 빔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섀도우마스크를 갖춘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과 섀도우마스크는 서로 절연되고,
    상기 금속막과 상기 펀넬의 도전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도전수단과,
    상기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펀넬의 도전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1도전수단의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는 제2도전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수단은
    상기 패널(110) 내벽에 결합된 도전핀과,
    상기 금속막과 도전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흑연막과,
    일단부가 상기 도전핀에 용접되고 타단부가 상기 펀넬 내면의 도전막에 접촉되는 제1도전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수단은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제1부재와,
    상기 펀넬 내면의 도전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제3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19950033983A 1995-09-30 1995-09-30 음극선관 KR100337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983A KR100337869B1 (ko) 1995-09-30 1995-09-30 음극선관
JP8191812A JPH0997573A (ja) 1995-09-30 1996-07-22 陰極線管
US08/690,833 US5677592A (en) 1995-09-30 1996-08-01 Cathode ray tube
DE19631765A DE19631765A1 (de) 1995-09-30 1996-08-06 Kathodenstrahlröhre
GB9616727A GB2305775B (en) 1995-09-30 1996-08-07 Cathode ray tube
MYPI96003360A MY112526A (en) 1995-09-30 1996-08-15 Cathode ray tube
NL1003913A NL1003913C2 (nl) 1995-09-30 1996-08-29 Kathodestraalbuis.
CN96119922A CN1150323A (zh) 1995-09-30 1996-08-30 阴极射线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983A KR100337869B1 (ko) 1995-09-30 1995-09-30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64A KR970017864A (ko) 1997-04-30
KR100337869B1 true KR100337869B1 (ko) 2002-11-18

Family

ID=1942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983A KR100337869B1 (ko) 1995-09-30 1995-09-30 음극선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77592A (ko)
JP (1) JPH0997573A (ko)
KR (1) KR100337869B1 (ko)
CN (1) CN1150323A (ko)
DE (1) DE19631765A1 (ko)
GB (1) GB2305775B (ko)
MY (1) MY112526A (ko)
NL (1) NL100391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4744A (en) * 1994-08-11 2000-03-07 Lg Electronics Inc. Magnetism shield for cathode ray tube
KR20010096031A (ko) * 2000-04-17 2001-11-07 김순택 칼라 브라운관의 마스크 프레임 지지체
TW554373B (en) * 2002-03-26 2003-09-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Noise sound reduction structure and method
US6917152B2 (en) * 2002-07-26 2005-07-12 Osram Sylvania Inc. 2nd anode button for cathode r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23324A (en) * 1963-04-11 1966-03-23 Sony Corp Cathode ray tube
GB1374456A (en) * 1970-12-28 1974-11-20 Hitachi Ltd Postdeflection focusing type colour cathode ray tube
DE2520426C2 (de) * 1975-05-07 1977-04-0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arbfernsehbildroehre
US4188564A (en) * 1976-12-13 1980-02-12 U.S. Philip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having low resistance contact area beneath high voltage contact spring
NL7712707A (nl) * 1977-11-18 1979-05-22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DE2903759C2 (de) * 1979-02-01 1983-09-15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Anordnung zur Korrektur von Landungsverschiebungen in einer Farbbildröhre
NL7907596A (nl) * 1979-10-15 1981-04-21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JPS60124334A (ja) * 1983-12-07 1985-07-03 Toshiba Corp 後段集束型カラ−受像管
JPS60160546A (ja) * 1984-01-31 1985-08-22 Toshiba Corp 後段集束型カラ−受像管装置
JPS60160547A (ja) * 1984-01-31 1985-08-22 Toshiba Corp 後段集束型カラ−受像管
US4845404A (en) * 1988-03-30 1989-07-04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Projection tube panel funnel spring contactor and projection tube employing same
KR950000047Y1 (ko) * 1990-08-30 1995-01-07 주식회사 금성사 코일형상의 고저항체를 가지는 음극선관
KR0163172B1 (ko) * 1990-12-27 1998-12-01 김정배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12526A (en) 2001-06-30
JPH0997573A (ja) 1997-04-08
GB9616727D0 (en) 1996-09-25
KR970017864A (ko) 1997-04-30
DE19631765A1 (de) 1997-04-03
NL1003913C2 (nl) 1998-07-20
GB2305775B (en) 1999-09-01
GB2305775A (en) 1997-04-16
NL1003913A1 (nl) 1997-04-03
US5677592A (en) 1997-10-14
CN1150323A (zh) 199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71117A (en) Color-kinescopes, etc.
US4358703A (en) Cathode-ray tube
KR100337869B1 (ko) 음극선관
US4503357A (en) Cathode-ray tube
JPWO2003085692A1 (ja) 冷陰極表示装置及び冷陰極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649744B2 (ja) テンションマスクフレーム用ディテンションロッドアセンブリを有する陰極線管
US4567400A (en) CRT Comprising metallized glass beads for suppressing arcing therein
CA1200835A (en) Cathode-ray tube
US4095138A (en) Electron gun having an arc-inhibiting electrode
US4305018A (en) Electron gun structure with electrical contact spring for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US5001389A (en) Cathode-ray tube having arc suppressing means therein
EP0333421B1 (en) Cathode ray tubes
US5202615A (en) Arc suppressing means for cathode ray tube
KR100813830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3639797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plated inner metal layer of high-tensile strength
JPH0635358Y2 (ja) 陰極線管
KR200271018Y1 (ko) 칼라 브라운관의 음극지지체 구조
US5460559A (en) Cathode ray tube
KR200171929Y1 (ko) 음극선관용전자총
JPH08148103A (ja) 陰極線管
JPH08437U (ja) アーク抑制手段を備えた陰極線管
JPH0352171B2 (ko)
EP0652582A1 (en) Cathode-ray tube having ARC supressing means therein
KR20020040510A (ko) 컬러음극선관
JPH022633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