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676B1 -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거담제 - Google Patents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거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676B1
KR950004676B1 KR1019890008194A KR890008194A KR950004676B1 KR 950004676 B1 KR950004676 B1 KR 950004676B1 KR 1019890008194 A KR1019890008194 A KR 1019890008194A KR 890008194 A KR890008194 A KR 890008194A KR 950004676 B1 KR950004676 B1 KR 95000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ysteine
hydroxyalkylcysteine
expectorant
deriva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335A (ko
Inventor
요시꾸니 이또오
히로유끼 미즈노
치까꼬 기요하라
스스무 사또
다쯔히꼬 가또리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다이도 나오가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다이도 나오가따 filed Critical 에스에스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5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57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23/58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거담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신규의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유효성분으로서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를 함유하는 거담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로서, S-(2-히드록시에틸)-L-시스테인 [Jo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50, 312(1961)]과 S-(3-히드록시프로필)-L-시스테인[Biochem. J., 100, 362(1966)]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약리 효과에 관한 보고는 S-(2-히드록시에틸)-L-시스테인이 항지루활성(抗脂漏活性)을 갖는다는 것(서독 특허공개 제 2, 219, 726)과 S-(3-히드록시프로필)-L-시스테인이 항콜레스테롤혈증 및 동맥경화증에 유효하다는 것(미국특허 제 3, 892, 852호)이 전부이다.
한편, 카르보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시스테인 에틸에스테르 염산염 등과 같은 시스테인 유도체가 거담제로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시스테인 유도체들이 거담제로 사용될 때, 완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며, 특히 N-아세틸시스테인 및 시스테인 에틸에스테르 염산염은 모두 독성이 강하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안정성, 보다 적은 부작용 및 독성과, 우수한 거담 효능을 갖는 거담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여러 화합물들을 합성하고, 이들의 약리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음 일반식(Ⅰ)로 나타내는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우수한 거담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n은 5 내지 24의 정수를 나타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를 함유하는 거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은 하기에서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상기 일반식(I)에서 n은 5 내지 24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이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5 내지 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I)은 다음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알킬 알코올(Ⅱ)과 시스테인(Ⅲ)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반응식 1]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 토실옥시기 또는 메탄술포닐옥시기이고, n은 전술한 바의 정수이다.
이 방법은 화합물(Ⅱ) 1~1.2몰당 화합물(Ⅲ) 1몰을 실온에서 또는 필요에 따라 가온하면서 적절한 용매 중에서 알칼리를 사용하여 pH를 약 9로 맞추고 4~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행한다. 알칼리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물, 물-메탄올 용매 또는 물-에탄올 용매가 바람직하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유기용매(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등)로 세척하고, 염산등을 사용하여 수용액층의 pH를 4~5로 조절한다. 결정이 석출되면, 여과 수집하고, 재결정으로 정제한다. 결정이 석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용액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무수메탄올등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추출물을 농축한 후, 에테르를 결정 침전물에 가한 다음, 재결정으로 정제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아세톤을 사용하여 잔사로부터 결정을 생성시킨 다음, 이온교환 컬럼크로마토그래피나 재결정하여 정제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I)은 이러한 방법으로 얻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Ⅰ)의 거담효과를 설명하는 실험실시예들을 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시험실시예]
실험방법 :
사쿠노 방법[Manchurian Medical Journal, 33, 779(1940)]으로 거담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0.5%의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MC-Na) 수용액 중에 현탁 또는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500mg/kg으로 토끼에 경구투여하고, 동시에 0.6% 페놀-술폰프탈레인(PSP) 주사액 1mg/kg을 토끼의 귀정맥내에 투여하였다. 30분 후, 경동맥을 절단하여 사혈(瀉血)하였다. 케뉼러를 기관에 삽입하고, 가온된(38℃)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12.5ml/kg)을 케뉼러를 통해 주입시켰다. 10분간 방치한 후, 주입액을 서서히 뽑아낸 다음, 다시 주입시켰다. 이 과정을 총 3회 반복하였다. 수집한 최종 용액을 10,000rpm으로 4℃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렇게 얻은 상층액을 1N 염산으로 pH 8.0으로 조절한 후, PSP를 정량하기 위해 파장 557nm에서 분광기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5% CMC-Na 수용액 10m1/kg을 경구투여한 후의 대조군의 PSP양을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거담효과는 기도로 유출된 PSP양의 증가율로 판정하였다. PSP양의 증가율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PSP양의 증가율(%)=(S-C)/C×100
상기 식에서, S는 시험 화합물군의 PSP양이며, C는 0.5% CMC-Na를 투여한 군(대조군)의 PSP양이다.
시험결과 :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3
화합물 1 : S-(5-히드록시펜틸)-L-시스테인
화합물 2 : S-(6-히드록시헥실)-L-시스테인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합물(I)을 투여한 토끼는 대조군에 비하여 기도내 PSP양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여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우수한 거담효과를 갖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일반식(Ⅰ) 화합물의 독성은 극히 낮았다. 특히, 일반식(I)중 n=5인 화합물(I)의 급성독성 값(LD50)은 마우스나 래트에 구강 투여시 10g/kg 이상이었다.
화합물(I)이 거담제로 사용될 때, 투여량은 투여경로 또는 증상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정상인의 경구 투여시에 1일당 0.1~5g을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며, 비경구투여시에는 1일 0.02~1g을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한다.
본 거담제는 어떠한 제제형태로든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투여에는 정제, 캅셀, 산제(散濟), 과립제, 트로치 또는 액제등의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제제로는 피하주사제, 근육 또는 정밀내주사제, 수액혼합용제(樹液混合用劑)와 좌약등이 사용된다. 이들은 공지의 통상적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정제, 캅셀, 산제, 과립제 또는 트로치는 화합물(I)을 스타치, 만니톨, 락토오즈등과 같은 부형제,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등과 같은 결합제, 결정 셀룰로오즈, 칼슘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등과 같은 붕해제,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윤활제 및 경 무수규산 등과 같은 유동성 증가제와 적절히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I)의 수용성 성질을 이용하여 수용액 제제 및 주사제를 제조할 수 있다. 좌약은 화합물(I)를 카카오버터, 합성유지 등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에 분산시키고,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물을 고형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주어지는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량의 물을 10.Og(8.26×10-2몰)의 L-시스테인에 가하여 현탁액을 만들고,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pH 9로 조절하였다. 이 용액에 11.1g(9.1×10-2몰)의 5-클로로-1-펜탄올을 가한 후, 60~7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테르로 3회 추출하고, 수용액층을 10% 염산으로 pH4로 조절한 다음, 용액을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아세톤으로 반복세척한 다음, 분쇄하였다. 생성된 분말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DOWEX-5OW)하고, 2N 암모니아수로 용리한 획분을 수집한 다음,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에탄올 혼합물중 재결정하여 무색결정의 S-(5-히드록시펜틸)-L-시스테인(제1번화합물) 12.7g을 얻었다. (수율 : 74%)
융점 : 204-207℃(분해)
1H-NMR(D2O+DC1)δppm : 1.20-1.84(6H,m), 2.48-2.76(2H, m), 3.04-3.24(2H, m), 3.48-3.72(2H, m), 4.34(1H, m)
[실시예 2]
10.0g(8.26×10-2몰)의 L-시스테인을 소량의 물에 현탁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용액의 pH를 9로 조절하였다. 그후, 13.1g(9.1×10-2몰)의 6-클로로-1-헥산올을 첨가하고, 용액을 60~7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에테르 추출을 3회 수행하고, 10% 염산으로 수용액층을 pH 4.45로 조정한 다음, 용액을 하룻밤 동안 방치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 세척하고 물로 재결정하였다. 생성물은 본 발명의 제2번 화합물인 무색 비닐형상 결정의 S-(6-히드록시헥실)-L-시스테인 11.3g이었다. (수율 : 62%)
융점 : 207-209℃(분해)
1H-NMR(D2O+DC1)δppm : 1.00-1.80(8H, m), 2.40-2.76(2H, m), 3.04-3.18(2H, m), 3.40-3.72(2H, m), 4.20-4.44(1H, m).
[실시예 3]
10.0g(8.26×10-2몰)의 L-시스테인과 15.42g(9.1×10-2몰)의 8-클로로-1-옥탄올을 실시예 2에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무색결정의 S-(8-히드록시옥틸)-L-시스테인 13.2g을 얻었다. (수율 : 64%)
융점 : 206-208℃(분해)
1H-NMR(D2O+DC1)δppm : 0.80-1.80(12H, m), 2.44-2.76(2H, m), 3.04-3.28(2H, m), 3.44-3.72(2H, m), 4.20-4.48(1H, m).
[실시예 4]
2.0g(1.65×10-2몰)의 L-시스테인을 소량의 물에 현탁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 현탁액을 pH 9로 조절하였다. 18m1의 에탄올과 4.7g(1.82×10-2몰)의 5-토실옥시-1-펜탄올을 가한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10% 염산으로 pH를 4로 조절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아세톤-클로로포름으로 잔사를 반복세척한 후, 분쇄하고 생성된 분말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DOWEX-50W)하고 2N암모니아수로 용리하였다. 용리된 획분을 수집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에탄올중 재결정하여 무색결정의 S-(5-히드록시펜틸)-L-시스테인(제1번 화합물) 2.46g을 얻었다.(수율 : 72%)
[실시예 5]
본 발명의 화합물을 표2에 나타난 원료물질인, 화합물(Ⅱ)로부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2]
제제실시예
[실시예 6]
(정제)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 정제는 필름 피막 또는 당의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7]
(캅셀)
공지의 방법과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과립을 제조한 다음, 제1번 캅셀에 충전시켰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8]
(과립제)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과립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9]
(트로치)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트로치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8
[실시예 10]
(산제)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산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9
[실시예 11]
(시럽제)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시럽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10
[실시예 12]
(좌약)
다음 성분들을 녹이고(melt) 교반한 후 주형, 고형화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좌약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11
상기 기재로 비추어 보아 본 발명의 수 많은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되는 청구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여기에 특정하게 기술하지 않은 다른 방법으로도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

  1. 다음 일반식(I)의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Figure kpo00012
    상기 식에서, n은 5 내지 24의 정수를 나타낸다.
  2. 다음 일반식(I)의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를 함유하는 거담제.
    Figure kpo00013
    상기 식에서, n은 5내지 24의 정수를 나타낸다.
KR1019890008194A 1988-06-16 1989-06-14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거담제 KR950004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48653A JPH0788352B2 (ja) 1988-06-16 1988-06-16 ヒドロキシアルキルシステイン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去痰剤
JP63-148653 1988-06-16
JP148653/1988 198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335A KR900000335A (ko) 1990-01-30
KR950004676B1 true KR950004676B1 (ko) 1995-05-04

Family

ID=154576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195A KR950004677B1 (ko) 1988-06-16 1989-06-14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거담제
KR1019890008194A KR950004676B1 (ko) 1988-06-16 1989-06-14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거담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195A KR950004677B1 (ko) 1988-06-16 1989-06-14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거담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047428A (ko)
EP (2) EP0346883B1 (ko)
JP (1) JPH0788352B2 (ko)
KR (2) KR950004677B1 (ko)
CA (2) CA1312090C (ko)
DE (2) DE68915341T2 (ko)
ES (2) ES2059625T3 (ko)
HK (1) HK1250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352B2 (ja) * 1988-06-16 1995-09-27 エスエス製薬株式会社 ヒドロキシアルキルシステイン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去痰剤
JP4098850B2 (ja) * 1997-07-16 2008-06-11 久光製薬株式会社 S−(3−ヒドロキシプロピル)−l−システインを含有する経口用製剤
JP2000133368A (ja) 1998-10-20 2000-05-12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とダミー栓の係止構造
CN1296040C (zh) * 2001-05-25 2007-01-24 爱诗爱诗制药株式会社 药物组合物
JP3805646B2 (ja) 2001-05-25 2006-08-02 久光メディカル株式会社 医薬液剤
WO2002096405A1 (fr) * 2001-05-25 2002-12-05 Ssp Co., Ltd. Preparations de medicaments
JP4490668B2 (ja) * 2003-10-23 2010-06-30 田辺三菱製薬株式会社 下痢治療薬
WO2007040188A1 (ja) * 2005-10-03 2007-04-12 Sankyo Company, Limited 杯細胞過形成抑制のための医薬組成物
GB2460915B (en) 2008-06-16 2011-05-25 Biovascular Inc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of agents that reduce circulating levels of platelets and methods therefor
CN102180820B (zh) * 2011-03-16 2014-03-12 四川科伦药物研究有限公司 一种制备高纯度福多司坦的纯化方法
CN103768011A (zh) * 2012-10-23 2014-05-07 天津药物研究院 福多司坦注射剂及其制备方法
CN103113273B (zh) * 2013-02-01 2014-09-10 浙江国邦药业有限公司 一种福多司坦的合成方法
CN104418779B (zh) * 2013-08-26 2017-08-08 天方药业有限公司 高纯度福多司坦的制备方法
CN104326954B (zh) * 2014-10-17 2016-03-30 宜昌东阳光长江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福多司坦的合成方法
CN106432021B (zh) * 2016-09-23 2018-03-27 威海迪素制药有限公司 一种福多司坦结晶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1M (fr) * 1963-12-02 1965-02-08 Rech S Pharma Et Scient Médicament a base de dérivé de cystéine.
US4085217A (en) * 1964-01-29 1978-04-18 L'oreal Process and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kin and scalp
US3891749A (en) * 1969-10-07 1975-06-24 Rech Pharm Scientifiques Diges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carboxymethyl cysteine for reducing viscosity of respiratory tract secretions, and method of treating therewith
FR2187326B1 (ko) * 1972-06-15 1975-10-17 Rech Pharm Scientifiques
US4005222A (en) * 1975-05-21 1977-01-25 Mead Johnson & Company Mucolytic mercaptoacylamidobenzoic and benzenesulfonic acid compounds and process
ES469060A1 (es) * 1978-04-22 1979-04-01 Invest Tecnica Aplicada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nuevos derivados tio- prenilicos con actividad farmacologica
ES8502967A1 (es) * 1983-08-08 1985-02-01 Vinas Lab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un nuevo derivado de carbocisteina
JPH0788352B2 (ja) * 1988-06-16 1995-09-27 エスエス製薬株式会社 ヒドロキシアルキルシステイン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去痰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096A (en) 1996-07-19
US5047428A (en) 1991-09-10
KR900000336A (ko) 1990-01-30
US4906665A (en) 1990-03-06
ES2059625T3 (es) 1994-11-16
DE68915341T2 (de) 1995-02-16
EP0346882A2 (en) 1989-12-20
EP0346883A2 (en) 1989-12-20
DE68909501T2 (de) 1994-05-05
ES2056153T3 (es) 1994-10-01
JPH023674A (ja) 1990-01-09
KR900000335A (ko) 1990-01-30
EP0346883A3 (en) 1990-10-10
DE68915341D1 (de) 1994-06-23
EP0346882A3 (en) 1990-12-12
JPH0788352B2 (ja) 1995-09-27
DE68909501D1 (de) 1993-11-04
EP0346883B1 (en) 1994-05-18
CA1325597C (en) 1993-12-28
EP0346882B1 (en) 1993-09-29
KR950004677B1 (ko) 1995-05-04
CA1312090C (en) 199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676B1 (ko) 히드록시알킬시스테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거담제
EP0196222B1 (en) Hypoglycemic agent
CZ419191A3 (en) Derivatives of methylenediphosphonic acid and medicaments in which said derivatives are comprised
EP0480061B1 (en) Hepatic disorder inhibitor
IE60510B1 (en) 6-thioxanthines
US2823164A (en) Method of preparing 3, 5, 3' l-tri-iodothyronin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NZ209275A (en) Steroi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NL8204126A (nl)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farmaceutisch preparaat met locaal-anesthetische werking dat een dialylamino-2',6'acetoxylidide en/of een farmaceutisch aanvaardbaar zout daarvan bevat, alsmede de onder toepassing van deze werkwijze verkregen gevormde farmaceutische preparaten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dialkylamino-2',6'acetoxylididen en de farmaceutisch aanvaardbare zouten daarvan.
EP0420121B1 (en) Antitumor composition
US4760078A (en) Immunomodulator 1,2-dithiol-3-thione derivative composition, use method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EP0009608B1 (en) N-phenethylacetamide compound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A2025858C (en) Antihepatopathic composition
EP0767777B1 (en) New salts of 2-[(2,6-dichlorophenyl)amine]phenylacetoxyacetic acid with organic basic cations
US4977181A (en) Tromethamine salt of 1-methyl-beta-oxo-alpha-(phenylcarbamoyl)-2-pyrrolepropionitrile
KR860001902B1 (ko) 메르캅토 아실 카르니틴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US3005818A (en) 1-phenyl-2, 3-dimethyl-4-morpholino methyl pyrazolone-(5) compounds
CA1070616A (en) Anti-tumor composition
EP0254167B1 (en) 1-hydroxy-5-oxo-5h-pyrido(3,2-a)-phenoxazine-3-carboxylic acid esters
KR850001040B1 (ko) 알로파노일피페라진 화합물의 제조방법
CA1173363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KR840002308B1 (ko) 테트라 하이드로 피리드-4-일-인돌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341773A (en) 2,4-Diamino-5-sulfamoylbenzene sulfonic acid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EP0177728A2 (en) Arphamenine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
JPH0753561A (ja) テトラヒドロチエノピリ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抗血球凝集剤
JPH03106881A (ja) キサンチ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