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90B1 -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90B1
KR950002590B1 KR1019920025384A KR920025384A KR950002590B1 KR 950002590 B1 KR950002590 B1 KR 950002590B1 KR 1019920025384 A KR1019920025384 A KR 1019920025384A KR 920025384 A KR920025384 A KR 920025384A KR 950002590 B1 KR950002590 B1 KR 95000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ircuit
interphone
bel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631A (ko
Inventor
김경섭
Original Assignee
김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섭 filed Critical 김경섭
Priority to KR101992002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590B1/ko
Publication of KR94001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중의 인터폰과 전화기의 전환장지회로부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중의 전자키 작동회로부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중의 음악발생회로부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회로의 블럭도.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도.
제6도는 제2도의 실시예도.
제7도는 제3도의 실시예도.
제8도는 제6도의 포터코플러의 내부 구성도.
제9도는 제5도의 포터코플러의 내부 구성도.
본 발명은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상호통화할 수 있고 인터폰과 전화기를 이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폰과 전화기 및 전자식키는 일반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각기 분리 사용하도록 되어있어 많은 불편이 있었다.
즉 인터폰은 대문밖에 설치하는 것과 현관이나 거실등에 설치하는 것이 한쌍을 이루어 외부 방문자가 대문인터폰을 작동시키면 실내인터폰으로 통화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실내인터폰의 설치장소는 대개 거실이나 현관에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외부 방문자와 통화하기 위해선 실내인터폰 설치장소에까지 가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전화통화중 인터폰 밸이 울릴 경우 전화기와 인터폰은 설치장소가 틀리므로 신속히 대처하기 곤란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대문인터폰벨을 누르면 전화기벨이 울리도록 하고, 전화수화기를 들었을때는 대문 인터폰과 통화할 수 있도록하며 대문인터폰에 숫자버튼을 부가하여 숫자버튼에 기입력된 키회로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도록 눌렀을때 또는 전화기의 숫자버튼을 눌렀을때에 대문키가 자동으로 열려질수 있도록 하며,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와 통화중일때 인터폰벨을 누르면 외부 전화와 접속을 끊고 인터폰에 연결되도록하며, 대신에 외부전화에는 음악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지의 인터폰에 숫자버튼 스위치 및 벨정지스위치를 새로이 부가하여 인터폰과 전화기 및 대문키를 결합하되, 인터폰 벨을 눌렀을때 이를 전화기 벨로 출력하는 수단과 전화기 수화기를 들었을때나 벨정지스위치를 눌렀을때 이를 감지하여 인터폰과 전화기를 자동으로 접속시켜주는 수단을 구비하는 전환회로부, 인터폰 및 전화기의 숫자버튼을 눌렀을때 발생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인식하여 키 메모리에 기프로그램된숫자와 비교하고, 비교후에 발생되는 디지탈신호등에 감응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키작동회로부 및 인터폰 작동과 동시에 발생하는 음악을 인터폰에 출력시키고, 외부전화와의 도통 상태를 감지하여 외부전화로 음악을 송출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음악 발생회로부가 결합되어 구성된 장치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각기 전환회로부, 키작동회로부 및 음악 발생 회로부의 구성관계 및 동작관계를 블럭도로 표시한 것이고 제4도는 각 구성부분을 전체로 결합하여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제5도 내지 제7도는 블럭도로 표시한 각 구성회로부의 일 실시예를 표현한 것이다.
제1도 및 제5도에서 대문 인터폰은 마이크, 스피커, 증폭기, 벨스위치 외에 숫자보턴과 벨정지스위치로 구성된 것임을 보여준다.
상기의 인터폰과 전화기의 결합은 인터폰측의 전환릴레이(17)와 전화기측의 전환릴레이(l6)가 연결되고 각 전환릴레이는 각기 릴레이구동희로(14, 18)와 콘트롤장치(13, 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환릴레이(16)와 콘트롤장치(13)연결 라인에 전화기 수화기 ON/OFF 상태 감지기(15)가 접속되고 감지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입력신호로하여 콘트롤 장치(21)에서 벨펄스발생회로(23), 벨퍼스주기조정회로(231), 출력회로(22)로 구성되는 벨출력회로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선되며, 벨출력회로에서 발생하는 출력신호는 전환릴레이(17, 16)를 경유하여 전화기 내부의 벨에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인터폰에 부가된 벨 정지스위치는 전화수화기 원 오프 상태 감지기에 연결되어 벨정지스위치를 눌렀을때와 전화기수화기를 들었을때 동일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벨스위치(1)를 원시키면 전원콘트롤러(12)에 의해 전회로가 작동하면서 OR회로로 구성된 콘트롤장치(13)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며, 릴레이구동회로(14)를 가동시켜 전환릴레이(16)의 선택단자를 바뀌게 한다. 이때 전환릴레이(16)의 고정단자에는 실내전화기가 접속되고 한쌍의 선택단자에는 외부전화선이 또다른 한쌍의 선택단자중 하나는 전환릴레이(17)의 선택단자에 나머지 하나는 감지기(15)에 접속되어지도록하여, 외부전화선과 연결된 선택단자와의 접속을 끊고 전환릴레이(17)의 선택단자와 감지기측에 연결된 선택단자에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벨출력회로와 전화기는 접속상태가 되어 전화기 내부의 벨을 울리게 된다.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거나 대문인터폰에 부가된 벨정지스위치(추후에 설명하는 키작동시 유용)를 누르면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는데 통상 이러한 종류의 감지기는 제9도와 같은 내부회로를 갖는 포터코플러를 사용할 수 있다. 감지기의 감응 결과는 콘트롤장치(13, 21) 의해 해독되고, 컨트롤장치의 출력신호를 받아, 벨출력회로(22)를 오프상태로 전환시켜 벨출력을 멈추게한다. 동시에 릴레이구동회로(18)에 출력신호를 가하여 전환 릴레이(17)를 동작시킨다.
이때 전환릴레이(17)의 선택단자(초기엔 추후에 설명하는 음악발생회로에 접속되어 장치의 가동과 동시에 인터폰에 음악이 흘러나오도록 됨)는 변환하여 인터폰과 전화기 및 추후에 설명하는 키작동회로와 완전히 접속되게 된다. 이 상태가 인터폰과 내부전화기가 상호 접속되어 통화할 수 있는 상태가이며, 추후에 설명하는 대문키를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된다.
제5도 및 이하의 실시예도에 포함된 각기의 블럭은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수 있는 IC이며, 특히 "세영전자주식회사"에서 발간한 상품카탈로그에서 기제된 상품번호로 표기한 것이다.
여기에서 벨스위치(11)는 공지의 S.C.R과 트랜지스터로 구성한 것으로 전원이 완전히 끊긴후에 재기동되며, 인출선에 의해 발생할수도 있는 유도전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한 것이다.
제2도는 인터폰과 전화기가 접속된 상태에서 키를 작동시키는 키작동회로부를 블럭도로 표시한 것이고, 이에 대응하는 실제 회로가 제6도에서 표현된 것인바, 인터폰과 전화기가 전환릴레이(16, 17)를 경유하여 접속되고 인터폰 또는 전화기의 숫자보턴을 누를매 발생하는 아날로그신호를 숫자감지회로(27)에서 증폭하여 숫자입력회로(263)로 인가시키며, 숫자비교회로(261)은 숫자입력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숫자메모리장치(261)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디지탈신호로 출력시키며 출력된 신호는 디지탈단위스위치(264)를 개폐한다.
인터폰 또는 전화기에 입력된 숫자와 숫자메모리장치에 기입력된 숫자가 일치하면 디지탈단위 스위치가 원 상태가 되며 지연타이머(30)에서 일정시간 개폐기스위치 작동을 지연시킨다.
지연회로는 트랜지스터와 S.C.R 및 가변저항기로 구성되어 지연시간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통상 10초 이하로 셋팅한다. 이와같이 지연회로를 부가한 이유는 과전압이나 잡음에 의해 개폐기스위치(31)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기스위치가 원 상태이면 개폐기가 작동된다.
개폐기스위치가 원 상태가 되면 대문이 열려진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개폐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과 개폐장치에 과부화가 걸리므로 개폐기전환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의 지연회로와 병행하여 개폐기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게 하는 타이머를 부가한다. 타이머의 설정시간은 1 내지 2초가 바람직하며 타이머에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전원 콘트롤러(12)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본장치의 기동을 종료하게 한다.
본장치는 전원콘트롤러가 오프상태가 되면 회로의 동작이 멈추어지고 각기의 전환릴레이는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3가지 경로에 의해 전체전원을 차단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제1경로는 상기의 개폐기스위치(31)의 동작에 연동하는 전원콘트롤러에 의한 것으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릴레이를 가동하게 하여 전체전원을 차단하게 하는 것이며, 제2경로는 숫자감지 증폭회로(27)에 특수한 신호를 감지할수 있는 #신호감지회로(28)을 부가하여, 감지된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전원콘트롤러를 구성하는 릴레이를 가동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특수신호는 전화기 또는 인터폰이 숫자보턴을 눌렀을때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으며 #보턴 또는 보턴과 같은 특수버튼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의 경로에 의해 인터폰 또는 전화기에서 전체회로를 오프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제3 경로는 상기의 전원 콘트롤러에 별도에 부가한 전원타이머(25)에 의해 전원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릴레이를 가동시킴으로서 전체전원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벨스위치를 누름에 의해 작동하는 전체회로는 전원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전원차단 경로에 의해 키작동회로를 동작시킬때는 최종적으로 쾌정장치가 열려질때에 전체 전원이 차단되고, 전화와 인터폰으로 통화중일때는 # 또는 와 같은 특수보턴을 눌러줌에 의해서 전체전원이 차단되고, 이상과 같은 조작은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된다.
제3도는 음악발생회로부를 블럭도로 표시한 것이고, 제7도는 이에 대응하는 실제 회로를 표시한 것인바, 벨스위치(11)를 누름과 동시에 음악발생회로(33)에서 발생한 음악이 인터폰 음악 송출회로(39) 및 전환릴레이(17)를 경유하여 인터폰에 인가되고 인터폰에는 음악이 흘러나오게 배선한다.
이 단계는 밸출력회로가 가동되어 전화기에 벨신호음이 계속적으로 보내지는 단계이며, 전환릴레이(17)선택단자가 인터폰음악송출라인에 접속되 있는 초기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벨정지스위치(19)를 누르거나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면 감지기(15)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스위치(13, 21)에 의해 전환릴레이(17)를 가동하고 릴레이선택단자를 전화기측 라인으로 전환시키므로 전화기와 인터폰이 서로 통화할 수 있게 되며, 음악발생회로와 인터폰의 접속이 끊어지고, 또한 음악발생회로가 동작을 멈추게 되어 더이상 음악은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외부전화기에 음악을 송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초기단계(전체회로가 작동되지 않는 단계)에서는 내부전화기와 외부전화선이 직접 접속되도록 전환릴레이(16)의 선택단자가 외부전화선과 접속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외부전화가 걸려오면 본장치를 작동시킬 필요없이 전화기로 직접 통화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전화기와 통화중에 인터폰의 벨스위치를 작동하면 본장치가 가동되어 전환릴레이(16)상에서 외부전화선과 접속이 끊어지게 됨으로 외부통화자는 예고 없는 통화단절로 당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그러한 경우 외부 통화자에게 일정한 음악이나 음성을 송출하는 기능을 음악 발생회로부에 부가하고 있다.
즉, 전환릴레이(16)의 외부전화선과 접속된 선택단자에 연결된 라인상에 음성믹서정류회로(38)를 부가하여 이를 통과한 신호가 외부신호감지기(37)를 작동시키도록하고, 여기에서 발생한 디지탈 신호를 증폭기(36)에서 증폭하여, OR회로 구성된 콘트롤스위치(13)입력신호가 되도록 배선한다. 전화음악송출 전환릴레이(34, 36)는 병렬회로 구성하여 각각의 릴레이 구동회로(341, 351)가 동시에 작동될때 음악발생회로(33)로부터 인가된 신호음을 음성믹서 정류회로를 경유하여 외부전화에 송출되게 한다. 병렬회로로 구성된 전화음악 송출전화릴레이중의 하나는 콘트롤장치(13)에 의해 전화기의 송수화기가 들려진 상태에서만 작동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하나는 외부신호감지기에 전압이 계속해서 작용할때만 작동된다. 정격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원할히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신호 감지기와 콘트롤장치(13)의 접속라인에 신호증폭 회로(36)를 부가한다. 외부신호감지기는 연속 작동하는 포터코플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포터코플러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발광다이오드와 감응센서가 결합된 것이며 음성믹서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Z.N.R이 겹합된 브릿지 회로로 Z.N.R은 외부전환선으로부터 유입되는 과전압을 차단하여 전체회로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다이오드는 외부전화선에 극성을 부여하여 포터코플러의 발광다이오드와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포토코플러는 본장치내에 외부전화의 벨전압(100V로 단속적임)을 차단하여 벨전압에 의해 회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전화통화중 인터폰통화로 전환될때 외부전화기에 흐르고 있는 정격전압을 감지하여 전화음악 송출회로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즉 고압의 벨전압은 단속적으로 포터코플러에 유입됨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고 이와같은 점멸신호를 감응센서가 감지하더라도 신호증폭 지연회로에서 차단됨으로 전화음악 출력회로를 가동시키지 않으며, 전화통화중 인터폰에 접속된 경우에는 외부전화선에 의해 정격전압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포터코플러의 발광다이오드가 계속해서 점등상태가 되어 전화음악 출력회로를 작동하고 음악발생회로에서 발생한 음악신호를 외부전화 통화자에게 송출하게 된다.
제5도는 이상에서 구분 설명한 각 구성부를 결합한 전체회로를 블럭도로 표시한 것이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각구성부의 실시예도는 상호 구성부분을 공유하면서 결합된것으로, 이러한 관계를 도면상에서 라인 번호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각기의 블럭은 공지된 소자들의 조합으로 이 분야에서 일반적 지식을 갖는 사람이라면 다양한 소자들의 결합을 안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작동과정과 최상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개시된 발명은 여러방법으로 개조될수 있으며, 각 구성회로부는 다양한 등가회로를 가질 수 있음을 이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공지의 인터폰에 숫자버튼과 벨정지스위치를 부가하고, 이것을 공지의 전화기 및 대문키에 결합하되, 인터폰 벨을 눌렀을때 작동하여 전화기벨이 울리게하는 벨출력회로와 벨정지스위치와 전화기 수화기의 들림상태에 감응하여 인터폰과 전화기를 자동으로 접속시켜주는 수단을 구비한 전환 장치 회로부, 인터폰과 전화기의 숫자버튼을 눌렀을때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와 숫자메모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비교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키작동회로부, 외부전화선으로부터의 정격전압을 감지하여 음악출력회로를 가동하여 외부 전화기로 음악을 출력하는 음악출력회로부 및 키작동완료후와 설정된 시간 및 인터폰과 전화기에서 부여하는 특별한 신호중 선선행신호를 수용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회로부가 포함된 결합회로에 의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환장치회로부는 벨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콘트롤장치(13)에 의해 릴레이구동회로(14)를 가동하여 전화기측 릴레이(16)의 선택단자를 외부전화선 접속단자로부터 내부회로 접속단자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인터폰측 콘트롤장치(21)를 기동시켜 벨펄스발생회로(23)와 벨펄스주기조정장치(231) 및 출력회로(22)로 구성된 벨출력회로를 작동하게하며, 벨출력회로에서 발생한 벨신호가 전화기측 전환릴레이(16)를 경유하여 전화기벨을 울릴수 있도록 배선하며, 전환릴레이(16)의 선택단자 접속라인과 콘트롤장치(13)의 접속라인에 전화기수화기 들림 상태와 벨정지스위치 원상태를 감지하는 감지기(15)를 부가하며, 감지기의 출력 신호를 받아 인터폰측 전환릴레이(17)의 선택단자를 변경하여 전화기와 인터폰을 접속되게하는 콘트롤스위치(21)로 구성한것.
  3. 제1항에 있어서, 키작동회로부는 인티폰과 전화기의 숫자버튼을 눌렀을때 발생하는 아날로그신호를 정류하여 증폭하는 수단과 상기의 증폭된 신호와 숫자 메모리장치에 기입력된 신호를 비교하여 디지탈단위스위치(264)를 가동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디지탈단위스위치를 경유한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여 개폐기스위치를 가동함과 동시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콘트롤러를 가동하여 전원을 차단케하는 개폐기타이머(32)를 가동하도록 배선하며, 인터폰과 전화기의 특별한 숫자버튼을 눌렀을때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콘트롤러를 가동하는 수단을 포함한것.
  4. 제1항에 있어서, 음악출력 회로부는 벨스위치(11)를 누름과 동시에 작동하는 음악발생장치(33)와 외부 전화선으로 부터 인가된 정격전압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전화기수화기의 들림상태를 감지하는 감지기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각기 별도로 동작하는 한쌍의 릴레이가 동시에 동작할때 상기의 음악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음악신호를 외부전화선으로 출력시키는 수단을 포함한것.
KR1019920025384A 1992-12-22 1992-12-22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KR95000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384A KR950002590B1 (ko) 1992-12-22 1992-12-22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384A KR950002590B1 (ko) 1992-12-22 1992-12-22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31A KR940017631A (ko) 1994-07-27
KR950002590B1 true KR950002590B1 (ko) 1995-03-23

Family

ID=1934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384A KR950002590B1 (ko) 1992-12-22 1992-12-22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5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31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2262A (en) Key telephone system
KR950002590B1 (ko) 인터폰과 전화기를 결합하여 키를 작동시키는 장치
JP3992047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950009702B1 (ko) 비디오폰
KR910003946B1 (ko) 인터폰 시스템의 상호국선 전환회로
JPH0530566A (ja) 家庭用電話交換システム
JP2575426B2 (ja) 電話システム
JPH0530227A (ja) 家庭用電話交換システム
JP2654115B2 (ja) 電話装置
KR20010048834A (ko) 기존 휴대 이동 통신기의 벨, 진동, 차단 모드의 자동전환 방법
JP2804551B2 (ja) 家庭用簡易交換装置
JPS62294368A (ja) テレコントロ−ル装置
JPH0498965A (ja) 自動通報装置
KR970000350Y1 (ko) 자동 스피커 폰
KR900006474B1 (ko) 릴레이 제어회로
JPS61237595A (ja) 電話装置
KR200279489Y1 (ko) 우선통화 스위치를 구비한 비디오 도어폰
JPH06291865A (ja) ハンドフリー式インターホン
JPH0566781B2 (ko)
JPS622497B2 (ko)
JP2000217254A5 (ko)
JPH02271799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2198254A (ja) ハンドフリー通話装置
JPH0338159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装置
JPS6346096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