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06B1 - 피봇죠인트 - Google Patents

피봇죠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06B1
KR950002506B1 KR1019870003177A KR870003177A KR950002506B1 KR 950002506 B1 KR950002506 B1 KR 950002506B1 KR 1019870003177 A KR1019870003177 A KR 1019870003177A KR 870003177 A KR870003177 A KR 870003177A KR 950002506 B1 KR950002506 B1 KR 95000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ody
channel
joint
sec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894A (ko
Inventor
세실 페더스 피터
Original Assignee
트리코-폴버드 리미티드
레네 마우리스 반 디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코-폴버드 리미티드, 레네 마우리스 반 디크 filed Critical 트리코-폴버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7000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봇죠인트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피봇죠인트의 하나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죠인트몸체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저면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죠인트몸체를 이용한 피봇죠인트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죠인트몸체 2, 3 : 측면판
4 : 바닥판 5 : 플랜지
6 : 고정판 7 : 걸림부재
8 : 걸림턱 9 : 경사면
10 : 돌기부 12 : 돌출부
14 : 이동면 20 : 제 1 부재
21 : 선단 22 : 측면벽
24 : 절결부 25 : 개구부
26 : 안착부 30 : 제 2 부재
31 : 중앙부 33 : 바닥면
35 : 개구부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드스크린와이퍼블레이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범용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된 피봇죠인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윈드스크린와이퍼블레이드를 제조할때 많은 피봇죠인트가 이용되고 있고, 그중 특히 여러개의 요오크와 윈드스크린와이퍼블레이드의 레버사이에 이러한 피봇죠인트가 사용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윈드스크린와이퍼블레이드를 제조하는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는 죠인트의 부품들을 금속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죠인트 부품들을 금속으로 만들게 됨에 따라 작동소음이 커지게 될뿐만 아니라 부식과 마모로 인해 쉽게 손상되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죠인트의 금속부재 사이에다 플라스틱 부재를 설치해 놓는등 여러가지 방안을 강구하고 있지만, 이러한 부재들은 작동에는 문제가 없으나 제조과정에서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문제점들중의 하나는 죠인트내의 리벳을 끼워 넣어야 한다는 것인데, 그렇게 하게 되면 조립작업이 어렵게 되고 또 리벳등과 같은 부품은 사용되지 않아도 종종 주위여건에 따라 부가적인 응력과 부식문제를 고려하여야만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를 축선회 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피봇죠인트가 축선회 되어지는 제 1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속에 삽입장착되도록 채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죠인트몸체로 이루어지면서, 이 죠인트몸체가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면과 탄발성 이동면을 갖추고서 상기 고정면과 탄발성 이동면 사이에 제 1 부재의 일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제 1 부재 속에 죠인트몸체가 지지되고, 또 상기 죠인트몸체는 1쌍의 돌기를 갖추면서, 그중 최소한 1개가 상기 채널형 단면의 바닥면에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부재가 축선회되도록 상기 제 2 부재에 형성되어있는 개구부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제 2 부재는 최소한 일부분이 죠인트몸체의 채널단면속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는 이 돌기가 제 2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과하게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돌기가 통과하지는 못하지만 상기 제 2 부재가 죠인트몸체에 대해 축선회되도록 상기 죠인트몸체와 제 2 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피봇죠인트는, 적어도 한쪽끝이 채널형 단면으로 되어 있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한쪽끝에서 축선회되어지고 제 1 부재의 채널단면에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게 되는 제 2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속에 삽입되어 안착되어지는 채널형 단면으로 된 죠인트몸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죠인트몸체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면과 1개의 탄발성 이동면을 갖추고서 상기 고정면과 탄발성 이동면 사이에 제 1 부재의 일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제 1 부재속에 죠인트몸체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1쌍의 돌기를 갖추고서 상기 돌기중의 최소한 1개가 상기 채널형 단면의 바닥면에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부재가 축선회되도록 상기 제 2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제 2 부재의 최소한의 일부분이 죠인트몸체의 채널단면속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돌기가 제 2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과하게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돌기가 통과하지는 못하지만 상기 제 2 부재가 죠인트몸체에 대해 축선회되도록 상기 죠인트몸체와 제 2 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탄성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죠인트몸체의 채널형 단면 바닥면에는 제 2 부재가 결속되어 이른바 "나이프엣지"가 축선회 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방향의 예리한 돌기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 채널바닥면에는 상기 제 1 부재의 개구부가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 채널의 양쪽 측벽에는 죠인트부재의 양쪽 측벽 바깥면에 돌출형성되어져 있는 돌출부와 결합되게 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져 있는바, 상기 측면벽들은 서로에 대해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력을 갖게 되고, 또 상기 제 1 부재의 측벽에 형성되어져 있는 요홈부는 벽의 길이방향의 자유단에서부터 안쪽으로 잘려나가서 축방향의 개구요홈을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부재는 적어도 결합부근이 채널형 단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가 끼워지게 되는 개구부는 채널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는 예컨대 윈드스크린와이퍼블레이드이 주요오크로 이루어지고, 제 2 부재는 보조요오크나 레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 본 발명에 따른 피봇죠인트는 보조요오크 및 또다른 보조요오크나 레버사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와 제 2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봇죠인트를 이루게 되는 죠인트몸체(1)가 도시되어져 있는바, 이 죠인트몸체(1)는 2개의 측면판(2, 3)과 바닥판(4)을 갖춘 채널형 단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4)은 측면판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양쪽 측벽의 아랫쪽으로 고정면(6)과 함께 좁은 플랜지(5)를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4)에는 또한 1쌍의 수직걸림부재(7)가 갖추어지면서 그 끝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걸림턱(8)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걸림턱(8)에는 이 걸림부재(7)의 자유단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면(9)이 형성되어져있고, 상기 걸림부재(7) 사이에는 채널의 길이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예리한 돌기부(10)가 있는데, 이 돌기부는 다음에 자세하게 설명될 "나이프엣지"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2, 3)의 내벽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는 반면, 바깥면에는 그 자유단에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는 이동면(14)을 갖춘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죠인트몸체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양쪽 측면판(2, 3)과 수직걸림부재(7)가 죠인트몸체를 조립할 때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안쪽 및 바깥쪽으로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제 5 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주요오크로 되어 있는 제 1 부재(20)의 선단부(21)와 보조요오크로 되어 있는 제 2 부재(30)의 중앙부(31)는 죠인트몸체(1)와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어져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 1 부재(20)의 선단부(21)는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의 측면벽(22)을 갖춘 채널형 단면으로 되어 그 높이가 상기 선단부 지점에서 낮아지도록 되고, 또 상기 측면벽(22)에는 직사각형 돌출부(12)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하는 개방된 측면요홈부를 이루게 되는 직사각형의 절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채널의 바닥면에는 죠인트몸체(1)의 측면판(2, 3)이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개구부(25)가 형성되어져 있는데, 상기 제 1 부재(20)의 측면벽의 안쪽 가장자리에는 죠인트몸체(1)의 플랜지(5)가 안착되는 안착부(26)가 형성되어져서 상기 죠인트몸체(1)의 채널바닥벽(4)의 바깥면이 제 1 부재(20)의 바깥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안착되게 된다.
또한 채널형 단면으로된 제 2 부재(30)의 중앙부(31)에는 이 제 2 부재의 기본형태를 유지시켜 주면서 조립되어질때 죠인트몸체(1)의 걸림부재(7)가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부재(7)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있는 2개의 개구부(35)가 채널의 바닥면(33)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봇죠인트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죠인트몸체(1)의 측면판(2, 3)은 서로 굽혀질 수 있는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측면판(2, 3)이 굽혀지면서 죠인트몸체(1)는 죠인트몸체의 플랜지(5)가 제 1 부재(20)의 측면벽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26)에 안착되어질때까지 상기 개구부(25)를 통해 제 1 부재(20)안으로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측면판(2, 3)이 끼워지면 이들 측면판이 탄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돌출부(12)가 절결부(24)에 끼워지게 되고, 또 상기 측면판의 고정면(6)과 이동면(14) 사이에 제 1 부재(20)의 측면판이 끼워져서 죠인트몸체(1)가 제 1 부재(20)에 대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 2 부재(30)를 제 1 부재(20)쪽으로 들어올려 제 2 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5)가 죠인트몸체(1)의 걸림부재(7)에 맞추어지도록 하는데, 상기 걸림턱(8)에는 경사면(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 2 부재(30)는 죠인트몸체(1)안으로 간단하게 밀려들어갈 수가 있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턱(8)은 서로 안쪽으로 밀려 굽혀지면서 개구부(35)를 통과하여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8)이 일단 개구부(35)를 통과한 다음에는 다시 바깥쪽으로 벌어져서 죠인트몸체(1)를 제 2 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나이프엣지를 이루는 돌기부(10)가 상기 제 2 부재(30)의 양쪽 개구부(35) 사이에 있는 표면에 접촉되어 받침점으로 작용하게 되는바, 이러한 작용은 비록 제 2 부재(30)와 죠인트몸체(1) 사이에 움직임이 있더라도 브레이드가 설치되는 아암(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브레이드고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계속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봇죠인트는 일단 조립시켜 준 다음에는 분해할 필요가 없으나, 경우에 따라 분해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상기 죠인트몸체(1)에 형성되어져 있는 2개의 걸림턱(8)들을 서로 안쪽으로 밀어부치거나 혹은 걸림부재(7)중의 하나를 개구부(35) 가장자리 안쪽으로 밀어 다른 걸림부재쪽으로 굽힌 다음 상기 2개의 부재(20, 30)를 조작하여 이 굽혀진 위치로 유지시켜주고, 다시 나머지 1개의 걸림부재를 안쪽으로 밀어부쳐 2개의 부재를 조작해 주므로서 1개의 걸림부재를 뽑아낸다. 일단 1개의 걸림부재가 빠지고 나면 나머지 1개의 걸림부재는 쉽게 뽑아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2개의 부재(20, 30)가 분리된 다음에는 상기 제 1 부재(20)로부터 죠인트몸체(1)를 뽑아내주면 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죠인트몸체의 2개의 측면판(2, 3)을 서로 압착시켜 돌출부(12)가 절결부(24)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 다음 상기 죠인트몸체(1)를 제 1 부재(20)의 개구부(25)로부터 뽑아내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여러가지의 변형도 가능한바, 예컨대 상기 제 2 부재(30)에다 2개의 개구부(35)를 형성시켜주는 대신 1개의 큰 개구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나이프엣지를 이루는 돌기부(10)를 죠인트몸체(1)의 채널폭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시켜 주므로서 상기 돌기부가 변형된 큰 개구부의 모서리에서 작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나이프엣지를 이루는 돌기부를 완전히 없어도 죠인트몸체(1)와제 2 부재(30) 사이의 작동이 축선회되도록만 해주어도 좋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보조요오크가 채널형 단면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할 필요가 없고 상기 개구부(35)를 형성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또 상기 2개의 걸림부재(7)중의 하나만 탄성을 갖고 있어도 되는바,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2부재를 조립할 때 걸림턱(8)이 개구부(25)에 맞추어질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탄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상기 개구부(25)의 가장자리에 형성시킨 안착부(26)는 미적인 관점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할지라도 죠인트몸체(1)의 바닥판(4)이 제 1 부재(20)의 윗쪽으로 돌출되지 않는다면 이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주요오크의 금속선단을 플라스틱 캡으로 씌울 수도 있으며, 상기 주요오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25)는 이 주요오크의 한쪽 끝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의 와이퍼블레이드의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에 끼워지는 피봇죠인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봇죠인트는 특히 요오크와 레버사이를 연결시키는 어떠한 죠인트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고, 또한 본 발명을 윈드스크린와이퍼블레이드에만 한정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비슷한 다른 장치에도 동등하게 이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채널형 단면을 갖는 죠인트몸체로 이루어져 주요오크인 제 1 부재와 보조요오크인 제 2 부재를 축선회연결시켜주도록 된 피봇죠인트에 있어서, 상기 피봇죠인트는 축선회되어지는 제 1 부재(20)에 형성되어져 있는 개구부(25)속에 삽입장착되도록 채널형 단면을 갖는 죠인트몸체(1)로 이루어지면서, 이 죠인트몸체(1)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면(6)과 탄발성 이동면(14)을 갖추고서 상기 고정면과 이동면 사이에 제 1 부재(20)의 일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제 1 부재속에서 죠인트몸체(1)가 지지되도록 하고, 1쌍의 걸림턱(8)중 최소한 1개의 걸림턱이 상기 채널형 단면의 바닥판(4)에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부재(30)가 축선회되도록 상기 제 2 부재(30)의 개구부(35)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부재(30)는 최소한의 일부분이 죠인트몸체(1)의 채널형 단면속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8)은 이 걸림턱(8)이 제 2 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5)를 통과하게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걸림턱(8)의 통과를 방해하고상기 제 2 부재(30)가 죠인트몸체(1)에 대해 축선회되도록 상기 죠인트몸체(1)와 제 2 부재(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 2 위치에서 탄발력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죠인트.
  2. 적어도 한쪽끝이 채널형 단면으로 되어 있는 주요오크인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한쪽끝에서 축선회되어지고 제 1 부재의 채널단면내에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게 되는 보조요오크인 제 2 부재 및, 채널형 단면을 갖춘 죠인트몸체로 이루어진 피봇죠인트에 있어서, 상기 죠인트몸체(1)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면(6)과 탄발이동면(14)을 갖추고서 상기 고정면과 이동면 사이에 제 1 부재(20) 일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제 1 부재속에 죠인트몸체(1)가 지지되어 있으며, 1쌍의 걸림턱(8)을 갖추고서 이 걸림턱중 최소한 1개가 상기 채널형 단면의 바닥판(4)에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부재(30)가 축선회되도록 상기 제 2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5)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 부재(30)의 최소한 일부분이 죠인트몸체(1)의 채널단면속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8)은 이 걸림턱(8)이 제 2 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5)를 통과하게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걸림턱(8)의 통과를 방해하고 제 2 부재(30)가 죠인트몸체(1)에 대해 축선회되도록 상기 죠인트몸체(1)와 제 2 부재(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탄성작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피봇죠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죠인트몸체(1)의 바닥판(4)에 돌기부(10)를 형성시켜 이 돌기부가 제 2 부재(30)에 접촉되어 받침점으로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20)의 개구부(25)는 채널의 바닥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20)의 채널 측면벽에는 상기 죠인트몸체(1)의 측면판(2, 3)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2)와 결합되게 되는 요홈절결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죠인트몸체(1)의 측면판(2, 3)은 서로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요성의 탄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20)의 측면벽에 형성된 절결부(24)는 측면벽의 길이방향을 따른 자유단에서 안쪽으로 잘라져 요홈의 개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30)는 최소한의 결합부분이 채널형 단면으로 되어 있고, 이 제 2 부재(30)의 채널바닥면(33)에는 상기 죠인트몸체(1)의 걸림턱(8)이 끼워지는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20)와 제 2 부재(30)는 와이퍼블레이드의 요오크나 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20)는 윈드스크린와이퍼블레이드의 주요오크로 이루어지고, 제 2 부재(30)는 보조요오크나 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KR1019870003177A 1986-04-04 1987-04-03 피봇죠인트 KR950002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6/08280 1986-04-04
GB868608280A GB8608280D0 (en) 1986-04-04 1986-04-04 Pivot joint
GB8608280 198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894A KR870009894A (ko) 1987-11-30
KR950002506B1 true KR950002506B1 (ko) 1995-03-21

Family

ID=1059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177A KR950002506B1 (ko) 1986-04-04 1987-04-03 피봇죠인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240357B1 (ko)
JP (1) JPH0758088B2 (ko)
KR (1) KR950002506B1 (ko)
AR (1) AR240779A1 (ko)
AU (1) AU597634B2 (ko)
BR (1) BR8701553A (ko)
DE (1) DE3780493T2 (ko)
ES (1) ES2033835T3 (ko)
GB (2) GB8608280D0 (ko)
NZ (1) NZ219864A (ko)
ZA (1) ZA872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19690D0 (en) * 1987-08-20 1987-09-30 Trico Folberth Ltd Pivot joint
GB2233219B (en) * 1989-06-27 1992-11-18 China Wiper Special Rubbe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screen wiper blade assemblies
FR2653081B1 (fr) * 1989-10-13 1995-05-12 Journee Paul Sa Dispositif de connexion a articulation entre deux elements oscillants d'un balai d'essuie-glace.
DE19914413B4 (de) * 1999-03-30 2013-07-25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029144A1 (de) * 2000-06-14 2001-12-2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für Kraftfahrzeuge
DE10029713A1 (de) * 2000-06-16 2001-12-2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für Kraftfahrzeuge
DE10056425A1 (de) * 2000-11-14 2002-05-2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einen Scheibenwischer
KR101052268B1 (ko) * 2009-05-07 2011-07-27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회전형 보조빔을 이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493140B2 (en) 2013-12-02 2016-11-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upler assembly for wiper assembly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20150258967A1 (en) * 2014-03-11 2015-09-17 llI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and cove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CN105599727B (zh) * 2016-03-18 2017-11-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雨刮臂拉簧防腐结构
KR102120459B1 (ko) * 2019-10-28 2020-06-09 (주)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US11453368B1 (en) * 2021-07-12 2022-09-27 Danyang Upc Auto Parts Co., Ltd. Multi-section windshield wip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8994A5 (en) * 1976-12-20 1979-02-15 Tech Handelsberatung Establish Windscreen wiper for motor vehicles
DE2905138A1 (de) * 1979-02-10 1980-08-21 Rau Swf Autozubehoer Wischblatt mit einem tragbuegelsystem
CH629710A5 (fr) * 1979-05-07 1982-05-14 J B Brevets Balai d'essuie-glace.
IT8453429V0 (it) * 1984-05-25 1984-05-25 Fister Spa Elemento di collegamento tra parti componenti in oscillazione relativa di spazzole tergicristal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608280D0 (en) 1986-05-08
JPS62288709A (ja) 1987-12-15
GB2188672A (en) 1987-10-07
ES2033835T3 (es) 1993-04-01
DE3780493T2 (de) 1993-03-11
EP0240357A1 (en) 1987-10-07
NZ219864A (en) 1988-10-28
BR8701553A (pt) 1988-01-26
GB2188672B (en) 1990-06-20
AU7105887A (en) 1987-10-08
DE3780493D1 (de) 1992-08-27
AU597634B2 (en) 1990-06-07
KR870009894A (ko) 1987-11-30
EP0240357B1 (en) 1992-07-22
ZA872235B (en) 1987-11-25
AR240779A1 (es) 1991-02-28
JPH0758088B2 (ja) 1995-06-21
GB8707959D0 (en) 198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06B1 (ko) 피봇죠인트
US4750878A (en) Retainer bushing
US5168597A (en) Connector for fastening a windshield wiper blade to a windshield wiper arm
US936518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9845074B2 (en) Wiper blade
KR100884031B1 (ko)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US4418441A (en) Spacer for rotatably connecting wiper blade parts
KR950002510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US5073060A (en) Pivot joint
KR950002507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US6456493B1 (en) Heat sink clip
KR100296890B1 (ko) 작동케이블용체결장치
KR950014783B1 (ko) 윈드스크린와이퍼의 피봇죠인트
JPH0148182B2 (ko)
KR950006379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KR960005915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EP0354279A1 (en) Wipers for windscreens and like surfaces
US5048145A (en) Wiper blade with improved lever to yoke connector
US3883919A (en) Blade connection structure to arm
JPH08318824A (ja) ウインドシールドワイパーブレード用スナップ組立ナックル
GB2233219A (en) Windscreen wiper blade assembly
GB2163043A (en) Windscreen wipers
JPH03136955A (ja) 窓拭きワイパーブレードにおける2個の搖動部材の枢着装置
KR200277270Y1 (ko) 원터치식 스페이서
GB2189687A (en) Plastics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