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047B1 -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047B1
KR950002047B1 KR1019920024641A KR920024641A KR950002047B1 KR 950002047 B1 KR950002047 B1 KR 950002047B1 KR 1019920024641 A KR1019920024641 A KR 1019920024641A KR 920024641 A KR920024641 A KR 920024641A KR 950002047 B1 KR950002047 B1 KR 95000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pollution
dust
contamination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446A (ko
Inventor
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101992002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047B1/ko
Priority to TW082110627A priority patent/TW259697B/zh
Priority to JP5316945A priority patent/JPH06233733A/ja
Publication of KR94001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물걸레 청소기의 구조도.
제2도는 종래의 걸레오염 감지장치 구성블럭도.
제3도는 제1도의 회로적 구성도.
제4도는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의 오염 검출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걸레오염 감지장치 블럭 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회로적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지수와 시간에 따른 오염관계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걸레오염 감지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걸레감지부 22 : 마이컴
23 : 먼지감지장치 24 : 표시부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걸레오염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걸레 청소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레봉축(Shaft)에 고정되고 봉모양으로 형성되어 청소기 먼지등을 닦아내는 봉걸레(1)와 봉걸레의 오염정도를 감지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걸레오염감지장치(2)와, 걸레오염정도에 따라 걸레를 교체할수 있도록 표시해주고 걸레오염장치(2)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부(3)와, 먼지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4)과 사용자가 손으로 밀고 당길수 있도록한 손잡이를 끼울수 있는 연장관(5)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종래의 걸레오염 감지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회로적 구성도로써, 발광소자(LED)와 수광소자(TR3)로 이루어져 걸레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걸레오염 감지부(6)와, 트랜지스터(TR1, TR2), 저항(R1~R5)등으로 이루어져 걸레오염 감지부(6)의 출력이 미세한 전압이므로 이를 증폭하는 증폭부(7)와, 증폭된 신호를 마이콤이 감지할수 있도록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8)와 디지탈로 변환된 오염도를 신호를 읽어서 표시부를 제어하는 마이콤(9)과 발광다이오드(D1~D3), 저항(R6~R8)등으로 이루어져 마이콤(9)의 제어에 의해 걸레의 오염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1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걸레오염 감지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걸레오염 감지부(6)에서 걸레의 오염정도에 따라 수광소자(TR3)에 전류 변화가 생긴다.
이전류변화를 증폭부(7)의 트랜지스터(TR2, TR1)로 증폭시켜 걸레의 오염정도를 읽어내고, A/D변환부(8)에서 이신호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마이콤(9)에 입력된다.
마이콤(9)은 프로그램된 데이타값과 비교 판단하여 그결과에 따라 출력포트에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10)에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에 있어서는 걸레봉 축의 유동으로 인한 전압값이 제4도와 같이 전압값 변화(A점에서 B점)가 심한 관계로 인하여 실제 오염정도에 따른 전압변화를 정확하게 읽을수가 없다.
즉, 봉걸레와 장치간의 거리(d)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4도에서 A점은 깨끗한 상가 되고 B점으로 올라 갈수록 오염되는 과정을 나타내게 되지만 실제 봉걸레의축의 유동이 사용자가 걸레를 밀고 당길때 발생함으로 정확한 오염도 감지가 불가능하다.
또한 봉걸레 색깔이 밝은 경우에서는 전압레벨이 어느정도의 일정한 폭을 갖고 있으나 걸레 색깔이 어두울수록 전압레벨의 변화폭이 작아져서 오염도 측정이 곤란해지는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것으로 걸레오염을 간접적으로 감지하여 걸레축의 유동 및 걸레색깔로 인한 오염도의 불정확한 감지를 해결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걸레유무를 감지하는 반사광 감지장치부와 먼지의 양을 계수하는 먼지 감지장치부와 청소기간과 먼지감지장치로 부터 먼지량 데이타를 연산하고 그연산 결과를 표시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어 청소기에 들어오는 먼지의 양이 적더라도 청소기간이 긴경우와, 청소기에 들어오는 먼지양이 많고 청소기간이 짧은 경우에 걸레가 심하게 오염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걸레오염 감지장치 블록구성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회로적인 구성도로써, 발광소자(LED), 수광소자(TR1), 저항(R1~R3)등으로 이루어져 걸레 장착 유무를 감지하는 걸레 감지부(21)와, 먼지를 감지하여 양에 상응하는 구형파를 발생하는 먼지감지 장치(23)와, 먼지감지 장치(23)로부터 먼지양을 체크하고, 청소기간을 계수하여 오염지수(D(n))을 연산하고, 내장된 ROM에 저장된 데이타와 그때의 오염지수를 비교하여 걸레오염 신호를 출력하며, 오염된 걸레로 계속 청소할경우 일정시간후 강제로 정지시키는 마이콤(22)과, 마이콤(22)의 연산결과에 따라 출력된 신호에 따라 걸레오염을 표시해주는 표시부(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걸레오염 감지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지수와 시간에 대한 오염관계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걸레오염 감지작동순서도로써, 본 발명은 걸레오염을 간접적인 방법으로 감지하기 때문에 마이콤(22)의 입력변수들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하면,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레는 청소시간과 청소하고자하는 장소의 먼지양에 따라 오염정도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첫째, 청소기에 들어오는 먼지의 양이 적더라도 청소기간이 긴경우(A)와, 둘째, 청소시간은 짧지만 청소기에 들어오는 먼지의 양이 많을 경우(B)로 나눌수 있으며, 먼지감지 장치(23)로부터 들어온 먼지의 양을 구형파로 변환되어 마이컴(22)의 입력단자로 들어온다.
마이컴(22)에서는 일정시간동안 먼지가 들어온 시간을 계수트(count)하고 먼지가 많고 적음에 따라 청소기의 흡입력을 표 1과 같이 자동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청소기 흡입력이 변화는 청소기에 들어오는 먼지양에 비례하므로 결국 이 흡입력의 변화가 걸레오염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때, 걸레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오염지수"라고 표현하고 그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오염지수
(여기서, i는 가중치를 나타내는 정수임)
이와 같은 원리를 감안하고 제8도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걸레오염 감지 동작 순서를 설명하면, 동작이 시작(Power ON)되면 모든 데이타 값을 초기화 한다면 (D=0, t=0, T=0, n=0)(1S), 먼지 감지장치(23)로 부터 데이타를 입력(4) 받고, (2S), 청소시간(t)를 계수한다(3S).
그리고 걸레유무를 걸레감지부(21)를 통해 감지하여(4S) 걸레가 없으면 모든 데이터 값을 초기화하여 대기하고 걸레가 있으면 청소시간(t)과, 오염지수(D)를 연산하기 시작한다(5S).
청소시간(t)이 일정시간(t1)을 경과하게 되면(6S) 그때의 오염지수(D1)를 체크하여 오염지수(D1)를 표-2와 같이 롬(ROM)에 저장된 데이타(D1)와 비교해서 (7S) D(1)≥D1가 되면 걸레오염표시 LED가 동작(ON)된다(8S).
만약 D(1)<D1이면 마이컴은 그다음 일정시간(t2)에서 오염지수(D2)를 체크하고(9S) 롬에 저장된 데이타(D2)와 비교하여(7S) D(2)≥D2이면 걸레오염을 표시하고(8S) D(2)<D2이면 그다음 일정시간(t3)에서 위과정을 반복하게 된다(9S).
[표 2]
그리고 시간(tn)동안 마이컴에서 연산된 오염지수(D(n))가 마이컴의 롬에 저장된 오염지수(Dn)보다 클 경우, 즉 D(n)≥Dn상태가 되어서 걸레오염이 표시되어도 사용자가 계속해서 청소를 할경우는 걸레오염 표시가 된 시점에서 일정시간(T)이 경과되면(10S) 자동적으로 전원을 정지시킨다(11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걸레오염 감지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는 청소시간 및 먼지양에 의해 간접적으로 걸레오염을 감지하므로 걸레의 색깔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걸레를 밀고 당길때 장치와 걸레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더라도 걸레오염도 감지 오차가 없을 뿐만 아니라, 걸레가 오염도지 않고 장시간 사용할때 걸레가 마르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청소시간을 일정간격(t1~tn)으로 나누어 그때의 오염기준값(D1~Dn)을 메모리시키는 제1스텝과, 걸레장착 유무를 감지하여 걸레가 있으면 먼지 양과 청소시간(t)을 계수하고 오염지수(D(n))를 연산하는 제2스텝과, 청소시간의 일정시간(t1~tn)마다 그때의 오염지수(D(1)~D(n))와 메모리가 된 오염기준값(D1~Dn)을 비교하는 제3스텝과, 제3스텝에서 비교하여 오염지수(D(1)~Dn)≥(D1~Dn)이면 걸레오염을 표시하는 제4스텝과, 걸레오염이 표시되고 일정시간 경과후에도 청소를 계속하면 강제로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5스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2. 걸레장착유무를 감지하는 걸레 감지부(1)와,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장치(23)와, 걸레가 있을때 먼지 감지장치(23)로부터 먼지를 체크하고 청소시간을 계수하여 오염지수(D(n))을 연산하고 일정시간간격으로 오염기준값(Dn)과 그때의 오염지수(D(n))을 비교하는 마이컴(22)과, 마이컴(22)의 제어에 의해 오염지수(D(n))가 오염기준값(Dn)보다 클때의 걸레 오염을 표시해 주는 표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먼지감지장치(23)는 먼지를 감지하여 먼지양에 따라 구형파로 변환시켜 마이컴(22)에 입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마이컴(22)은 내부에 청소기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일정시간(tn)에 상응하여 오염기준값(Dn)을 축적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 오염 감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마이컴(22)은 오염된 걸레로 사용자가 계속 청소를 할 경우 걸레오염 표시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강제로 전원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장치.
KR1019920024641A 1992-12-17 1992-12-17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 KR95000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641A KR950002047B1 (ko) 1992-12-17 1992-12-17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
TW082110627A TW259697B (en) 1992-12-17 1993-12-15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pollution level of dustcloth of wet cleaner
JP5316945A JPH06233733A (ja) 1992-12-17 1993-12-16 濡れ雑巾掃除機の雑巾汚染感知装置及び感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641A KR950002047B1 (ko) 1992-12-17 1992-12-17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446A KR940013446A (ko) 1994-07-15
KR950002047B1 true KR950002047B1 (ko) 1995-03-10

Family

ID=1934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641A KR950002047B1 (ko) 1992-12-17 1992-12-17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233733A (ko)
KR (1) KR950002047B1 (ko)
TW (1) TW2596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0149A (zh) * 2021-03-25 2022-09-30 深圳银星智能集团股份有限公司 清洁方法、装置及维护站
CN113440069A (zh) * 2021-06-23 2021-09-28 安徽金禾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分析的自动除尘装置、除尘系统及除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59697B (en) 1995-10-11
JPH06233733A (ja) 1994-08-23
KR940013446A (ko) 199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584B1 (ko) 물걸레 청소기의 자동 물 분사장치 및 방법
US4601082A (en) Vacuum cleaner
CN105744871B (zh) 空气过滤器监测
US20090119867A1 (en) Electric cleaner
US4685908A (en) Device for detecting increased pressure in pleural cavity
KR950002047B1 (ko) 물걸레 청소기의 걸레오염 감지방법 및 장치
KR950004473B1 (ko) 물걸레 오염 감지장치
JP2012125308A (ja) 電気掃除機
JP3684573B2 (ja) 光電センサ
GB2165758A (en) Collecting fluids from a body cavity
EP1343406B1 (en) A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JPH05317625A (ja) フィルターメンテナンス警告出力装置
JPH11258244A (ja) 分注装置の異常検知方法および異常検知装置
KR100339121B1 (ko) 배전선로 전압 측정 기록장치 및 방법
KR0128535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필터 오염도 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2956235B2 (ja) 電気掃除機の塵埃検知装置
JPH0576470A (ja) 電気掃除機
KR930008368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검출회로
KR0129244B1 (ko) 공조기
JP2956236B2 (ja) 電気掃除機の塵埃検知装置
KR930007029Y1 (ko) 진공 청소기의 표시 제어 장치
KR0132925B1 (ko) 진공청소기
JPS6033391Y2 (ja) 油分濃度計のワイパ装置
JPH0850107A (ja) 水槽内汚れ検知装置
KR940010289B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사용시간 제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