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812B1 -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812B1
KR950001812B1 KR1019900013466A KR900013466A KR950001812B1 KR 950001812 B1 KR950001812 B1 KR 950001812B1 KR 1019900013466 A KR1019900013466 A KR 1019900013466A KR 900013466 A KR900013466 A KR 900013466A KR 950001812 B1 KR950001812 B1 KR 95000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teering wheel
spoke
bracket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519A (ko
Inventor
고오이찌 가가
미노루 나와
나오유끼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제 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티어링 휠이 단면도이며 제 2도의 I - I 부위의 단면도.
제 2도는 동실시예의 스티어링 휠 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제 3도는 제 2도의 Ⅲ-Ⅲ부위에 있어서 패드의 설치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스티어링 휠의 단면도.
제 4도는 종래의 스티어링 휠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스티어링 휠 본체 12 : 보스부
13 : 스포크부 14 : 링부
15 : 패드 16 : 브리킷
17 : (나사) 볼트 18 : 스티어링 휠 코어
31 : 스포크 코어부 50 : 지지돌기
W1 : 스티어링 휠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스티러링 휠 본체의 보스부에서 스포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드를 보스부와 링부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된 스포크부의 부위에 나사로 고정시켜 설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 본체(1)의 보스부(2)에서 스포크부(3)의 상부에 패드(5)를 설치시키는 스티어링 휠(WO)이 공지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 3,895,823호 명세서). 스티어링 휠본체(1)는 링부(4)와 링부(4)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는 보스부(2)와 보스부(2)에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링부(4)와 보스부(2)를 연결하는 스포크부(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패드(5)의 스티어링 휠 본체(1)에 설치하는 것은 패드(5)의 좌우 양쪽에서 연장되는 브래킷(6)을 각 스포크부(3)에 대해서 볼트(7) 고정시키므로서 행하고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브래킷(6)에 너트(6a)가 고착되어 있으며 볼트(7)가 스포크부(3)의 삽통구멍(3a)을 거쳐 너트(6a)에 결합되고 브래킷(6)이 스포크부(3)에 고정되므로서 패드(5)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하는 바와 같은 패드(5)의 설치 상태에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었다.
즉, 패드(5)가 소정시 확개되는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장치라면 그 에어백 장치를 겸한 패드(5)의 중량이 더 무거울 것이다.
그래서,스포크부(3)가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각 브래킷(6)을 스포크부(3)의 소정 위치에 설치할 때, 각 너트(6a)를 스포크부(3)의 삽통 구멍(3a)에 일치시키는 위치 결정에 번거롭고 볼트(7) 고정 작업에 공수가 소요된다. 또한, 브래킷(6)을 설치하는 스포크부(3)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볼트(7) 고정 작업중에 브래킷(6)이 스포크부(3)의 경사에 연해서 약간 이동하여 볼트(7) 고정한 후에 패드(5)의 스티어링 휠 본체(1)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고 벗어났을 때에 다시 설치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패드의 중량이 무거워도 스포크부의 경사진 부위의 소정 위치에 용이하게 패드의 브래킷을 설치시킬 수 있고 패드의 나사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패드 설치후에 패드의 스티어링 휠 본체에 대한 상하 방향의 설치 방법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는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 본체가 링부와 이 링부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는 보스부 및, 이 보스부와 상기한 링부를 접속하는 스포크부를 구비하고, 패드가 상기 스티어링 휠 본체의 상기 보스부에서 상기 스포트부의 상부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패드에서 연장되는 브래킷을 상기 보스부와 상기 링부와의 사이에 경사되게 설치된 스포크부의 부위에 대해서 나사 고정시켜 상기 스티어링 휠 본체에 대해서 상기 패드를 설치하고 있는 스티어링 휠로서, 상기한 패드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본체쪽의 부위에 상기 패드를 나사 고정하도록 설치시에 상기 패드 하면과 대향된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패드의 나사 고정을 위한 설치시에 패드 하면을 스티어링 휠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에 맞닿게 하면 패드에서 연장되는 브래킷을 경사진 스포크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시킬수가 있기 때문에 패드의 중량이 무거워도 용이하게 나사 고정 작업을 할 수가 있다. 그래서, 나사고정중 및 나사 고정후에도 지지돌기가 패드 하면을 맞닿아 지지하고 있으므로써 브래킷이 경사진 스포크부의 부위에 따라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패드의 중량이 무거워도 설치후에 패드의 스티어링 휠 본체에 대한 상하 방향의 설치 칫수 정밀도가 향상하므로, 다시 설치할일이 없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은 패드의 중량이 무거워도 스포크부의 경사진 부위의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패드의 브래킷을 설치시킬 수 있어 패드의 나사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고 또한, 패드 설치후에 있어서도 패드의 스티어링 휠 본체에 대한 상하 방향의 설치 방법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실시예의 스티어링 휠(W1)은 제1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 본체(11)의 보스부(12)에서 스포크부(13)의 상부에 걸쳐 패드(15)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의 패드(15)는 에어백 장치를 겸하는 것으로 소정시에는 확개해 있고 통상시에는 접쳐진 에어백(51)과 겹쳐진 에어백(51)을 피복하고 에어백(51) 확개시에 파단해서 전개하는 커버체(56)와 에어백(15)에 소정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52)와 에어백(53)와 에어백(51)과 커버체(56) 및 인플레이터(53)를 연결하는 벡 홀더(54)와 패드(15)를 스티어링 휠 본체(11)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16)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인플레이터(53)는 외주면에 프랜지부(53a)를 인접하여 설치하고 백홀터(54)는 중앙에 큰 관통 구멍(도면부호생략)을 구비하여 그 관통구멍에 인플레이터(53)의 가스 분출구(53b)를 구비한 상부쪽을 하방에서 삽입시키고 있다.
에어백(51)과 인플레이터(53)를 백홀더(54)로 연결하는 것은 에어백(51)의 개구부 주위 가장자리의 상면에 설치된 원환 형상의 리테이너(52)에서 연장되는 볼트(52a)가 에어백(51) 개구부 주위 가장자리, 백홀더(54), 인플레이터(53)의 프랜지부(53a)를 관통하여 프랜지부(53a) 하면에서 너트(55) 고정되므로서 행해지고 있다. 또한, 커버체(56)와 백홀더(54)와의 연결은 백홀더(54)의 주위 가장자리의 측벽(54a)과 커버체(56)의 주위 가장자리의 측벽(56a) 한편쪽에서 장착할 수 있는 브라인드 리벳(57)을 이용해서 행하고 있다.
또한, 브래킷(16)은 1장의 판금으로 형성되어 인플레이터(53)의 하부 혹은 백홀더(54)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16)은 각 스포크부(13)의 후술하는 포크 코어부(31)에 따라 3개의 설편(16a)을 구비하고, 각 설편(16a)에는 후술하는 각 스포크(31)에 형성된 관통 구멍(52)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16b)형성 되고, 또한 각 관통구멍(16b) 주위 가장자리의 상면쪽에 너트(16c)가 고착되어 있다.
또, 실시예의 브래킷(16)에는 소정의 위치에 후술하는 지지돌기(50)의 돌출부(50a)를 삽입시키는 삽입구멍(16d)이 형성되어져 있다.
스티어링 휠 본체(11)는 링부(14)와 링부(14)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는 보스부(12) 및 보스부(12)와 링부(14)를 연결하는 3개의 스포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보스부(12)와 스포크부(13) 및 링부(14)에는 스티어링 휠 코어(18)가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 코어(18)는 보스부(1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샤프트에 접속되는 보스(21)와 보스 플레이트부(22)를 구비하고 각 스포크부(13)에는 보스 플레이트부(22)에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포크 코어부(31)를 설치하고 링부(14)에는 링 코어부(41)를 설치하고 있다. 그래서, 보스 플래이트부(22)와 스포크 코어부(31)는 경합금 알루미늄 등의 다이케스트 금속에서 다이케스트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성형시 강철제의 보스(21)와 강관제의 링 코어부(41)를 주물로 둘러싸서 스티어링 휠 코어부(18)를 구비하고 있다.
각 스포크 코어부(31)에는 패드(15)에서 연장되는 브래킷(16)의 각 설편(16a)을 볼트(17) 고정시키기 위해 각 관통구멍(16b)에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32)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도면번호 19는 링부(14)로부터 각 스포크(13)에 걸쳐서 설치되고 링 코어부(41) 및 스포크 코어부(31)를 피복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피복층이다. 또한, 도면번호 20은 볼트(17)에 의해 스포크 코어부(31)에 고정되고 보스부(12)의 하부로부터 각 스포크부(13)의 하부에 걸쳐서 설치되는 하부 커버이다.
그래서, 실시예의 스티어링 휠 본체(11)에는 스티어링 휠 코어 (18)의 보스 플레이트(22) 혹은 스포크 코어부(31)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브래킷(16) 하면에 맞닿아 패드(15)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돌기(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지지돌기(50)는 상방으로 돌출 하는 돌출부(50a)를 상면에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각 지지돌기(50)의 높이는 돌출부(50a) 주위면에 상면에 브래킷(16) 하면을 맞댈때 브래킷 (16)의 각 설편(16a)이 각 스포크 코어부(31)에 맞대이게 할 수 있는 높이로 하고 있다. 또한, 각 지지돌기(50) 및 브레킷(16)의 삽입구멍(16d)의 설치 위치는 각 지지돌기(50)의 돌출부(50a)를 브래킷(16)의 각 삽입구멍(16d)에 삽입시킬때 브래킷(16)에 있어서 각 설편(16a)의 관통구멍(16b)을 각 스포크 코어부(31)의 관통구멍(32)에 일치시키는 위치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의 스티어링 휠의 패드(15)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해드(15) 하면쪽의 브래킷(16)의 각 삽입구멍(16d)으로 스티어링 휠 본체(11)쪽의 지지돌기(50)의 돌출부(50a)를 삽입시켜서 브래킷(16) 하면을 지지돌기(50)의 돌출부(50a) 주위 가장자리의 상면에 맞대이게 한다. 그러면, 패드(15)에서 연장되는 브래킷(16)의 설편(16a)이 경사진 스포크 코어부(31)에 맞대여 각 설편(16a)의 관통 구멍(16b)과 각 스포크 코어부(31)의 관통구멍(32)이 일치하므로 에어백 장치를 겸한 중량이 무거운 패드(15)로도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 후, 각 관통구멍(32)의 하방에서 하부 커버(20)를 개재시켜 볼트(17)를 관통구멍(32,26b)을 거쳐 너트(16e)에 결합시키면 패드(15)를 스티어링 휠 본체(11)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래서, 볼트(17) 고정 작업중에는 패드(15)의 브래킷(16) 하면에 각 지지돌기(50)의 돌출부(50a) 주위 가장자리의 상면이 맞대여 패드(15)를 지지하므로, 브래킷(16)의 각 설편(16a)이 경사진 스포크 코어부(31)에 연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로인하여, 패드(15)의 중량이 무거울지라도 설치후에 패드(15)의 스티어링 휠 본체(11)에 대한 상하 방향의 설치 칫수 정밀도가 향상되고, 재설치하는 것을 불필요하게해 기술한 발명의 작용, 효과의 면에서 기술한 바와같은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지지돌기(50)에 브래킷(16)의 삽입구멍(16d)에 삽입되는 돌출부(5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패드(15)의 스티어링 휠 본체(11)에 설치시 수형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따. 물론, 이점을 고려하지 아니하면 돌출부(50a)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 휠 코어(18)에 있어서 다이케스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보스 플레이트부(22) 혹은 스포크 코어부(31)와 지지돌기(50)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지지돌기(50)를 스티어링 휠코어(18)의 제조시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물론, 이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지지돌기(50)를 별도 스티어링 휠 코어(18)에 고정시켜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돌기(50)를 스티어링 휠 코어(18)의 보스 플레이트부(22)나 스포크 코어부(31)로 부터 돌출시킨 것을 도시하였으나 패드(15)를 지지할 수 있으면 스포크 코어부(31)에 경질 합성수지등의 피복층을 설치해 그 피복층에 지지돌기를 설치하거나 혹은 하부 커버(20)에 보스 플레이트부(22) 혹은 스포크코어부(31)로 부터 상방으로 부분 돌출하는 부위를 설치하고 그 부위에 지지돌기를 설치해도 좋다.
그래서 또다시, 지지돌기가 지지하는 부위는 패드(15)쪽의 브래킷(16)와에 인플레이터(53); 백홀더(54); 커버체(56)등이라도 좋다.

Claims (1)

  1. 스티어링 휠 본체가 링부와 이 링부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는 보스부 및 이 보스부와 상기 링부를 접속하는 스포크부를 구비하고, 패드가 상기 스티어링 휠 본체의 상기 보스부로 부터 상기 스포크부의 상부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패드로부터 연장되는 브래킷을 상기 보스부와 상기 링부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된 스포크부의 부위에 나사 고정시켜서 상기 스티어링 휠 본체에 대해서 상기 패드를 설치하고 있는 스티어링 휠로서, 상기 패드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본체쪽 부위에 상기 패드를 나사 고정하기 위해 설치시에 상기 패드 하면과 맞닿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KR1019900013466A 1989-11-30 1990-08-30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KR950001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063 1989-11-30
JP1312063A JPH03169764A (ja) 1989-11-30 1989-11-30 パツド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519A KR910009519A (ko) 1991-06-28
KR950001812B1 true KR950001812B1 (ko) 1995-03-03

Family

ID=1802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466A KR950001812B1 (ko) 1989-11-30 1990-08-30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169764A (ko)
KR (1) KR950001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0218A (en) * 1990-11-27 1994-05-10 Mazda Motor Corporation Steering wheel structu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69764A (ja) 1991-07-23
KR910009519A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486A (en) Steering wheel with pad
US5235146A (en) Steering wheel horn switch arrangement
JPH082362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20020030352A1 (en) Air bag cover with ornament
JPH0939704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1354100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KR100353896B1 (ko) 기조립된에어백완충장치를가진핸들
US6095552A (en) Steering wheel with an integral pad portion
US5720494A (en) Steering wheel with air bag device
KR950001812B1 (ko) 패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KR960040812A (ko) 자동차용 어시스트 그립 부착부 구조
JP2545218B2 (ja)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JP3042251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6126193A (en) Steering wheel
JPH05139236A (ja)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US620566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grated steering wheel
JP717269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645329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エアバック装置取付構造
KR100285051B1 (ko)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JP358232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ロアカバー
JPH0535904Y2 (ko)
JPH10119792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その組付方法
JPH0113639Y2 (ko)
JPH01136847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装置の取付け構造
JPH1115745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